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국의 일시적 외국자회사 배당금 저율과세 제도가 주한 미국기업의 배당정책에 미치는 영향

        최가영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미국은 지난 2004년 외국자회사에 이익을 유보해놓고 미국으로 들여오지 않는 해외유보이익을 송금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외국자회로부터 송금 받는 배당에 대해 저율과세를 실시하였다. 이에 Blouin and Krull(2009)은 모기업과 외국자회사가 여유현금흐름이 크고 투자기회가 제한되어 있을수록 많은 금액을 미국으로 송금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은 Blouin and Krull(2009)의 연구를 주한 미국기업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KIS-VALUE에서 추출한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주한 미국기업 재무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한 미국기업은 일시적 배당금 저율과세 제도에 기인하여 배당을 증가시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과잉투자상태에 있는 기업은 배당을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유현금흐름이 클수록, 투자기회가 제한되어 있을수록 많은 금액을 배당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하였던 다국적기업의 배당 및 재투자 의사결정에 관한 실증분석을 통해 그 결정요인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외국자회사들을 국가별로 구분하지 않고 모두 합하여 하나의 단위처럼 보고 분석한 Blouin and Krull(2009)의 연구를 보완하여 부채비율이나 기초현금비율 등 자회사의 특성을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다국적기업의 배당의사결정은 외국인직접투자(FDI)에 포함되는 재투자의사결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모기업이 근거한 국가뿐만 아니라 외국자회사가 위치한 우리나라의 경제에도 영향을 미친다. 오바마 행정부는 2016 회계연도 예산안에서 미국 다국적기업의 해외수익과 유보이익에 직접 과세하겠다고 공시하였다. 그 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해 10년 이래 최대치인 3000억 달러의 해외수익 및 유보이익이 미국으로 송금되었다고 보도하였다. 따라서 해외유보이익에 대해 유사한 정책이 시행되었던 2004년의 외국자회사 배당금 저율과세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다국적기업의 배당 및 재투자 의사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American Jobs Creation Act of 2004(JCA) has on the dividend policy of the U.S.-controlled firms in South Korea. The goal of JCA is to bring huge profits left in foreign subsidiaries back to parent firms in the U.S., increase domestic investments and thus create jobs. JCA contains one-time tax holiday that relieves the tax burden of the U.S. multinational corporations by applying low tax rate to the repatriated gain from foreign subsidiaries between 2004 and 2005. Blouin and Krull(2009) find that firms with high cash flows and low investment opportunities have higher probability to repatriate under JCA than those with low cash flows and high investment opportunities. Following Blouin and Krull(2009), I examine if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that repatriate under JCA are still applicable to the U.S.-controlled firms in South Korea. I extract 10-year financial data of 76 firms from KIS-VALUE and obtained 610 observations after removing missing ones. Blouin and Krull(2009) examine all the foreign subsidiaries on average which cannot consider the attribute of each firm and the country where it is locat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I add variables which are known to affect the dividend policy and narrow samples down to subsidiaries located only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 that U.S.-controlled korean firms in overall do not expand dividend payments between 2004 and 2005. However I find that firms in over-investment status do increase dividends under JCA. This result indicates that not all the firms but only those with high cash flows and low investment opportunities have incentives to increase dividend paymen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regarding dividend policy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since there is a paucity of empirical research about it. Also this study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and multinational corporations.

      • 화주기업과 물류기업간 장기적 관계구축에 있어 물류서비스 품질의 역할

        최가영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면서 기업 간의 경쟁은 더 심해지고 이와 같은 경영환경의 변화는 고객이 기업을 선택하는 시대가 되었다. 고객의 기대에 부흥하기 위해서 기업은 최선을 다해 적합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경쟁사를 이기고 고객의 선택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경쟁은 고객과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반복적인 구매를 유도하는 문제로 이어지면서, 장기적 관계구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물류산업 또한 마찬가지인데, 외주 물류기업을 이용하는 현상이 증가하면서 물류기업의 서비스 품질은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물류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들은 물류서비스 품질의 지표개발을 중심으로 만족과의 관계를 입증하는데 주력했으며 더 나아가 충성도, 재구매, 신뢰, 구전효과 및 시장점유율 등 연관된 변수와의 연구가 일반적이었고 상대적으로 장기적 관계 지향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족, 재구매 및 장기적 관계 지향성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물류 서비스 품질의 차별적 역할에 집중해 화주기업과 물류기업으로 구성된 2계층 공급사슬에서 이들 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기존에 개발된 물류 서비스 품질 측정 척도 6가지 (적시성, 정확성, 가용성, 신뢰성, 가시성 및 가치성)를 이용하였다. AMOS와 회귀분석 등의 방법론들을 적용한 결과, 만족, 재구매 및 장기적 관계 지향성에는 신뢰성과 가치성이 핵심 품질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가시성은 만족과 재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2자물류와 3자물류와 거래하는 화주기업의 물류 서비스 품질의 인식 차이 및 화주기업내의 물류부서 존재 유무에 따른 물류 서비스 품질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는 마케팅 관리자로 하여금 물류 서비스 품질 구성 요인들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게 하고, 고객에 접근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 한·중·일 산림휴양정책 발전과정 비교분석

        최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aradigm of forest management is shifting from economic function oriented (wood production) to a more integrated management concept which emphasizes on environmental and societal function simultaneously, encompassing biodiversity conservation, resting area provision and more. The notably increased interests towards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nowadays has subsequently led to the increase in expectations and demands of public functions of forests. Among those, demands of forest recreation, to enjoy the leisure time in forests, is expanding explosively. The northeast asian regions faced a rapid forest degradation due to illegal logging coupled with economic development after the World War II. Korea, China, and Japan however, have successfully achieved economic growth and reforestation through government-led reforestation initiatives. The demands of utilizing forest as a place for recreation and leisure is steadily increasing in all of the three countries based on higher income level and longer recreation time, thanks to their relatively faster economic growth in comparison to other asian countries. Comprehending forest recreation policy development process of each country not only enables a reality check of the current forest recreation status, bu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to ponder deeply on future policy direc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is is of paramount importance for Korea, China, and Japan, considering that their cooperation in forestry sector will only going to become more active in time. Afterall, imprudent policy implementation without consideration of each country’s conditions would result in policy failures. In order to understand a country’s forest recreation policy development process, this study has performed an integrated analysis on external factor (structural environment) and internal factors (institutional context, stakeholder)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institutionalism, so as to reveal effects of each factor on the changes of policies. Historical institutionalism was selected as a proper theory for this study as it enables case analysis of individual countries through historical approach, explains how a same policy results in different outcomes in countries with similar conditions and how a policy is continued in a country. In addition, this study has segmented developmental phases depending on each country’s forest recreation policy development level and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hase, while also attempting to explain the varied results of policies among the countries by analyz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moved on to providing useful suggestions for cooperation measures between the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s in each country’s forest recreational policy takes place by an external factor (structural environment) providing internal factors (institutional context, stakeholder) opportunities to change or not. Factors such as rise of income stemming from economic development, expansion of leisure∙recreation support policies due to changes in perception of leisure and awareness raising of environment conservation, altogether influence the direction of the forest law and national forest plan, resulting in gradual policy changes such as formation, displacement, and layering of forest recreation policy. Second,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three countries has revealed that Japan, with its relatively earlier economic growth in comparison to Korea and China, has witnessed changes in perception of leisure and increased income level, followed by the expansion in forest recreation policies. This provides that economic growth leads to rise of income level,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 of leisure strengthens national leisure policy, and also that environmental awareness promotion sets the direction of forest law and related policy along with the central forestry agency’s basic plan, eventually resulting into a more detailed forest recreation policy. Such propensity was apparent in a highly similar fashi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with certain amount of time gaps in between. With differentiated economic growth levels, the chronological order was Japan, Korea and then China. Since the three countries’ forest recreation policies project rather similar developmental processes albeit minute differences in external∙internal factors, it is possible to forecast the late-starter’s policy development conditions based on the forerunner’s case. In fact, by observing the recreation policy of Japan and Korea switching into quality improvement and welfare-viewpoint as the polarization of recreational spendings takes place due to economic recessions, one could predict that the direction of Chinese forest recreation policy would be headed towards a similar path. Nowadays with the cooperation in forest recreation sector between the three countries becoming increasingly active, it would be necessary for Korea to learn from the case of Japan and to propel policies strategically by predicting China’s policy direction. Korea has immense implications to take away from Japan’s focusing on quality improvement of the existing forest recreational facilities, active promotion of mountain village policy due to decrease and aging population of mountain village, and active progression of tourism resources for boosting domestic demand, as these are all similar future scenarios rapidly approaching Korea as well. Moreover, Korea-China cooperation has seen increased level of proactiveness starting from the ‘Bilateral MOU on Forest Welfare Between China and Korea’ in March of 2015. With China hoping for the transfer of Korea’s advanced forest recreation∙welfare policy know-how, Korea is in a dire need of more strategic mindset as this could be an opportunity to create jobs through dispatching forest welfare expert and to create socio-economic profits through transfer of know-hows on facility construction and program operation. Such cases would also provide an epitome to those that seek economic growth through forest recreation based on forest restor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olds an academic significance not only in its attempt towards a theoretical expansion of forest recreation policy studies through focused analysis of application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framework on forest recreation policy development processes of Korea, China and Japan for the first time, but also in providing policy-related implications such as realistic mutual cooperation measures among the three countries. 산림관리의 패러다임이 목재생산의 경제적 기능 중심에서 생물다양성 보전, 휴양공간의 제공 등 환경 및 사회적 기능을 동시에 강조하는 통합관리의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산림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기대와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산림에서 여가시간을 즐기고자 하는 산림휴양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동북아시아 지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무분별한 벌채와 경제개발로 산림황폐화가 급속히 진행되었으나, 한국∙중국∙일본(이하 한∙중∙일)은 국가주도의 녹화사업을 통해 경제성장과 산림복원을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다. 특히 한∙중∙일 3국은 다른 아시아 국가보다 빠른 경제발전을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소득수준과 여가시간이 주어짐에 따라 산림을 휴양 및 여가의 장소로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중∙일 3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산림휴양정책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국가간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여 향후 전개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국가별 산림휴양정책 발전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현 시점의 산림휴양실태를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간 상호비교를 통해 향후 정책전개방향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특히 향후 3국간 협력이 더욱 활성화될 것을 고려하였을 때, 개별국가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국가적 여건이 고려되지 않은 무분별한 정책도입이나 모방은 정책실패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국가의 산림휴양정책 발전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 따라 외생적 요인(구조적 환경)과 내생적 요인(제도적 맥락, 행위자)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각 요인들이 정책변동에 미치는 영향 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역사적 제도주의는 역사적 접근을 통해 국가 개별사례의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유사한 국가 간의 정책 차이와 국가 내에서 정책이 지속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 있어 본 연구에 적합한 이론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각 국가의 산림휴양정책 발전정도에 따라 발전단계를 구분하여 단계별 특징을 살펴보고, 국가간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여 왜 정책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가간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각 국가의 산림휴양정책은 외생적 요인(구조적 환경)의 변화가 내생적 요인(제도적 맥락, 행위자)에 변화기회 혹은 변화제약의 계기를 제공하여 정책변동을 일으킨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실제로 경제성장으로 인한 소득의 증가, 여가에 대한 가치관 변화에 따른 여가∙휴양 지원정책의 확대,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증가 등은 산림법과 산림기본계획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산림휴양정책의 형성과 대체, 층화 등 점진적 정책변동을 일으킴을 알 수 있었다. 둘째, 3국의 산림휴양정책 발달과정을 상호비교 분석한 결과, 경제가 가장 먼저 성장한 일본에서 소득증가와 함께 여가관의 변화가 처음 시작되었고 이에 산림휴양정책도 함께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결론적으로 경제성장은 소득증가를 견인하고, 국민들의 여가관 변화는 국가의 여가정책을 강화시키며,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증진은 산림법 및 관련제도와 산림중앙부처의 기본계획의 방향을 설정하여, 최종적으로 구체적인 산림휴양정책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향은 한중일 3국에서 일정한 시차를 두고 매우 흡사하게 나타나는데, 일본, 한국, 중국 순으로 경제발전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3국의 산림휴양정책 발전과정이 매우 유사하지만 국가의 외생적∙내생적 요인에 따라 차이점을 배태하며 흘러가고 있음을 미루어 보았을 때, 선발국가의 사례를 통해 후발국가의 정책발전 양상을 미리 예측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일본과 한국이 경기침체에 따라 휴양소비의 양극화가 이루어지고 이에 질적향상으로의 전환과 복지관점으로 휴양정책을 발전시켜나가고 있음을 미루어 보았을 때, 경제성장 속도가 완화되고 있는 후발국가인 중국의 산림휴양정책방향도 유사하게 흘러갈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3국간 산림휴양분야 협력이 더욱 활성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국은 일본의 사례를 통해 교훈을 취하고 중국의 전개방향을 예측하여 보다 전략적 차원에서 정책을 추진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이 기존 산림휴양시설의 질적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점, 산촌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로 인해 산촌진흥정책을 활발하게 전개해 나가고 있는 점, 내수진작 등을 위해 적극적인 관광자원화를 추진하고 있는 점 등은 비슷한 상황이 도래하고 있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한중 양국협력의 경우 2015년 3월 체결된 산림휴양∙복지분야 MOU를 시작으로 더욱 적극적인 모습을 띄는데, 중국이 한국의 선진 산림휴양∙복지 정책 노하우 전수를 희망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 더욱 전략적인 사고가 필요하다. 국내 산림복지전문가 파견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시설 건립 및 프로그램 운영 노하우 전수 등을 통해 사회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적자원 교류를 통해 국내 산림휴양복지 전문가들의 역량강화 계기 마련도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와 같은 점은 향후 산림복원을 바탕으로 산림휴양을 통해 경제성장을 도모하고자 하는 기타 아시아 국가에도 귀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그동안 이루어지지 않았던 한∙중∙일 3국의 산림휴양정책 발전과정을 역사적 제도주의라는 이론적 틀을 적용하여 집중 분석함으로써 산림휴양정책연구의 이론적 확장을 시도하였다는 점에 있어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국가간 상호비교를 통해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여 향후 상호 협력에 있어 실질적인 방안도출 등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있어 정책적 의의를 가진다.

      • 안정 상태 뇌파를 이용한 생체 인증 시스템 개발

        최가영 금오공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안정 상태 뇌파 기반 생체 인증 시스템에 관한 연구들과 달리, 단일 시행만으로 수집한 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3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눈을 뜨고 감는 행위를 10초씩 30번 반복하는 동안의 뇌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뇌파 데이터는 눈을 뜨고 있는 구간 (EO), 감고 있는 구간 (EC), EO와 EC의 차이를 계산한 (DIFF), 눈을 감고 뜬 구간 (EOEC)으로 구분하였다. 네가지 컨디션에 대해 각각 추출한 다섯 주파수 대역의 평균 주파수 파워 (power spectral density: PSD)를 특징으로 활용하였다. 추출된 특징을 이용하여 5X5 그룹 교차 검증 (cross-validation)을 활용한 서포트 벡터 머신 (support vector machine: SVM) 기반의 이진 분류를 통해 인증 정확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컨디션에서 전체 33개 채널을 이용했을 때, 94% 이상의 인증 정확도를 보였다. 심지어 후두엽 인근의 3개 채널만을 이용하여 뇌파 데이터의 길이를 1초까지 감소 시켜도 85% 이상의 높은 인증 정확도가 유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단일 시행 뇌파 측정을 기반으로 한 안정 상태 뇌파 기반 인증 시스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과학 글쓰기를 통한 원자 모형과 오비탈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분석

        최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atomic models and the atomic orbitals by utilizing the science writing. As object of study, it was selected 64 students who were sophomore in a high school located in Kyeonggi province and the science writing task composed of three items about the atomic models and the atomic orbitals was given to the students. Based on the contents of students' writing, it was grasped how they understand and the connectivity between concepts that students have through the students' concept structural drawings. Also the characteristic of science writing was investigated as a tool for investigating concept comparing with a questionnaire with concept of multiple choice. In order to get additional information, some of the students were interviewed and also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science writing, when explaining about the evolution of atomic model, students were good at describing about Dalton, Thomson, and Rutherford’s atomic models while they were relatively poor about Bohr and the modern atomic models. Bohr and the modern atomic models are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than earlier models because the quantum theory is implicit in those models. Also, the textbook descriptions about the last two models were not detailed enough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Second, for the modern atomic model, only 31.3% of students described the statistical view of electron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quantum theory. As mentioned above, the modern atomic model is regarded to be an invisible and an abstract concept due to the base of the quantum theory which is not easy to understand for high school students. Third, students valued the symbol, type and electron configuration rather than probabilistic concept in orbitals when they described orbitals. What makes it hard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probability of orbitals is regarded to be due to insufficient quantum-mechanical perspective. In the textbook, the concept of the probability of finding the electron is only described as to simply should be memorized. Sinc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also focuses on the electron configurations, the students are regarded to value the principles of the building up electrons in the atomic orbitals. As a result of using the science writing in the concept structural drawings by individual, it was visually able to be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 among atomic models and number of concept of orbitals and the connectivity by each student. The concept structural drawings could be used as an tool for analyzing writing because students' writings are able to be visualized and it is also able to be used as students' conceptual change instructions. As a result of using the science writing as a tool for investigating concept through the concept structural drawings, it was revealed that it is students' natural concept without being intended by researchers and it could be comprehensively understand about the concept. Also, it was easy to understand the connectivity of students’ concepts when the writing is expressed in the concept structural drawings. In order to improve the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modern atomic model and orbitals, it should be emphasized in the textbook that new theory should be explained because it is hard to explain microscopic world in classic physics. Further explanation about atomic orbitals is needed since it can be known the only probability of finding electron according to the uncertainty principle. It could be utilized science writing to figure out the student's conceptions in future because it was confirmed that to investigate understanding of concept of students through science writing was useful. Also, researches for the effective method of analyzing the writing in order to figure out students' conceptions would be necessary. 본 연구에서는 과학 글쓰기를 활용하여 원자 모형 및 오비탈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대상 학생은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 64명이었고 원자 모형 및 오비탈에 대한 글쓰기 문항 3문항이 제시 되었다. 학생들의 글쓰기 내용을 바탕으로 개념 이해 정도를 파악하였고 학생 개인별 개념 구조도를 그려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 사이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객관식 개념 검사지와 비교하여 개념 검사 도구로서 과학 글쓰기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글쓰기 내용을 분석하면서 추가적인 개념 확인이 필요한 학생들에 대해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고등학교 화학Ⅰ 교과서 분석이 함께 이루어졌다. 과학 글쓰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 글쓰기를 통해 원자 모형의 변화 과정을 설명할 때 학생들은 돌턴, 톰슨, 러더퍼드 원자 모형까지는 비교적 잘 설명하였으나 보어, 현대 원자 모형은 모형과 근거를 잘 설명하지 못하였다. 또한 모든 단계에서 공통적으로 원자 모형보다 근거를 설명하지 못하였다. 보어의 원자 모형과 현대 원자 모형은 추상적인 모형으로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양자 이론까지 포함되어 있다. 또 보어의 원자 모형과 현대 원자 모형이 도입된 근거가 교과서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지 않고 실험적 근거도 적어 학생들이 잘 이해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현대 원자 모형을 설명할 때 양자역학적 관점에서 정확한 의미의 전자 분포에 대해 설명한 학생은 31.3%에 불과했다. 현대 원자 모형은 비가시적, 추상적인 개념이고 이러한 모형이 나오게 된 이유 및 근거에 대해 교과서의 설명이 부족하므로 학생들이 이를 잘 이해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오비탈이 무엇인지 설명할 때 학생들은 오비탈에서 중요한 확률적 개념 보다는 오비탈의 기호 및 종류, 전자 배치를 더 중요하게 여겼다. 학생들이 오비탈의 확률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양자역학적 관점의 부족으로 볼 수 있다. 교과서에는 전자의 발견 확률 개념이 단순 암기밖에 할 수 없는 형태로 서술되어 있었다. 교과서의 구성도 전자 배치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학생들은 오비탈에서 전자 배치 원리를 중요하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내용을 개인별로 개념 구조도로 나타낸 결과 학생 개인별로 원자 모형 및 오비탈에 대한 개념의 수와 연결 정도가 다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개념 구조도는 학생들의 글쓰기 내용을 시각화 시킬 수 있어 글쓰기 분석 도구로 활용할 수 있고 학생들의 개념 변화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과학 글쓰기를 개념 검사 도구로 사용한 결과 연구자가 의도하지 않은 학생들의 자연스러운 개념이 드러났고 개념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글쓰기 내용을 개념 구조도로 나타내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 사이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기에 용이했다. 현대 원자 모형과 오비탈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전 물리학으로 미시 세계를 설명하는 것은 힘들기 때문에 새로운 이론이 필요하다는 교과서의 설명이 제시되어야 한다. 그 후 불확정성 원리에 따라 전자의 발견 확률만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나타낸 함수가 오비탈이라는 설명이 필요하다. 과학 글쓰기를 통해 학생의 개념 이해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앞으로 학생들의 개념을 알아보기 위해 과학 글쓰기를 활용할 수 있겠다. 또한 학생들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글쓰기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 또래교수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과 수학 학습 태도의 특성

        최가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Despite the emphasis on communication opportunities given to students and learner participation-oriented classes through inducing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in mathematics learning, In Korea's educational field,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Activities to supplement this include peer tutoring activitie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eer tutoring,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a study that analyzed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peer tuto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students' communication and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s in different types of peer tutoring activities by providing reciprocal peer tutoring activities and non-reciprocal peer tutoring activitie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depending on peer tutoring types? Second, what are the mathematical learing attitude of students depending on peer tutoring types?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f this study, 16 students from one class in the 4th grade of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divided into classes and reciprocal and non-reciprocal peer tutoring activities were provided, respectively. After that, one group of representatives was selected, and the data of a total of four students were analyzed and used for research. The problem of applying peer tutoring activities was selected as a total of 16 questions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mathematics textbooks and mathematics learning textbooks for the second semester of the 4th grade. After recording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by students, 14 of them, a total of 28 recorded data were transcribed and used for communication analysis. In addition, a peer tutoring activity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 of the study participants depending on the type of peer tutoring activity, and using this, interviews with student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communication analysis framework used by Lim(2019) was used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peer tutoring. The communication analysis method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upper categories, demands, mathematical explanations, and response categories.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 Son(2005)'s peer tutoring activity questionnaire was reorganized, and the interview contents based on the response results were used. The students'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s were divided into attitudes toward peer tutoring activities, confidence in mathematics, and interest in peer tutoring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communication analysis, the communication ratio of peer tutors in reciprocal peer tutoring activities was about 3% higher than that of peer tutees, while that of non-reciprocal peer tutoring activities was about 15%. As a result of the demand category analysis, both peer tutoring types showed a common characteristic that the ratio of communication in the question and request categories was more concentrated on peer tutors than peer tutees and higher than the instruction category.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mmunication of more various types of questions and requests in the activities of non-reciprocal peer tutoring. As a result of mathematical explanation category analysis, a common characteristic was found that the communication rate of peer tutors was higher when mathematical explanation (RA) as a response was excluded. As a result of the response category analysis, a common characteristic was found that the communication rate of peer tutees was higher than that of peer tutors. However, as a supplementary explanation, there was a difference that the proportion of communication in non-reciprocal peer tutoring activities in the support category was concentrated on peer tu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s, all participants in the study showed a positive attitude, acknowledging the benefits of peer tutoring activities. However, regarding the interest in peer tutoring activities, non-reciprocal peer tutoring activities showed regret over the way their roles were fixed, and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while most students thought that participation in peer tutoring activities was linked to confidence improvement in mathematics, peer tutee in non-reciprocal peer tutoring activities did not expand to confidence improvement.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ciprocal peer tutoring activities, the communication speech ratio of students by role was similar, while in non-reciprocal peer tutoring activities peer tutor's communication speech ratio was higher than that of peer tutees, and peer tutor's questions and requests were more diverse. Second, the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peer tutoring type was generally positive, such as understanding the benefits and purpose of peer tutoring activities, but differed by student and type in terms of confidence in mathematics and interest in peer tutoring activities. 수학 학습에서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의사소통 기회와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관심과 동기 유발을 통한 학습자 참여 중심의 수업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능동적인 수업 참여가 어려운 현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활동으로는 또래교수 활동이 있다. 또래교수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또래교수의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의사소통 특성을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적 또래교수 활동과 비상호적 또래교수 활동을 제공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또래교수 활동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의사소통과 수학 학습 태도를 살펴보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또래교수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의사소통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또래교수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 소재 A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의 학생들 16명을 반으로 나누어 각각 상호적, 비상호적 또래교수 활동을 제공하였다. 그 후 각 대표집단 한 집단씩을 선정하여 총 4명의 학생들의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또래교수 활동 적용 문제는 4학년 2학기 수학 교과서와 수학 익힘책 교과서를 수정 보완하여 총 16문제로 선별하였다.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동영상 녹화한 후 그 중 각 14개, 총 28개의 녹화 자료를 전사하여 의사소통 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또래교수 활동 유형에 따른 연구 참여자들의 수학 학습 태도 분석을 위해 또래교수 활동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학생들과의 면담을 녹음 후 전사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또래교수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의사소통 특성 분석을 위해 임경미(2019)가 사용한 의사소통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의사소통 분석 방법은 상위 범주, 요구, 수학적 설명, 반응 범주로 나누어 정량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학 학습 태도 특성 분석을 위해 손영(2005)의 또래교수 활동 설문지를 수정하여 진행 후 그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한 면담 내용을 활용하였다.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는 또래교수 활동에 대한 태도, 수학에 대한 자신감, 또래교수 활동에 대한 흥미로 나누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의사소통 분석 결과 상호적 또래교수 활동에서의 또래교사의 의사소통 비율이 또래학생보다 3% 가량 높은 반면 비상호적 또래교수 활동에서는 15% 가량 높게 나타났다. 요구 범주 분석 결과 두 또래교수 유형 모두 의사소통의 비율이 또래학생보다는 또래교사에게 편중되어 있었으며 지시 범주보다는 질문 및 요청 범주의 의사소통 비율이 더 높다는 공통적인 특성이 나타났다. 하지만 비상호적 또래교수 활동에서 더 다양한 종류의 질문 및 요청의 의사소통이 나타났다는 차이가 있었다. 수학적 설명 범주 분석 결과 반응으로서의 수학적 설명(RA)을 제외한 경우 또래교사의 의사소통 비율이 더 높다는 공통적인 특성이 나타났다. 반응 범주 분석 결과 또래교사보다 또래학생의 의사소통 비율이 더 높다는 공통적인 특성이 나타났다. 하지만 보충설명으로 지지 범주에서 비상호적 또래교수 활동에서 의사소통의 비율이 또래교사에게 편중되어 있다는 차이가 나타났다. 수학 학습 태도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 모두 또래교수 활동에 대한 유익성을 인정하며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또래교수 활동에 대한 흥미와 관련하여 비상호적 또래교수 활동 학생들은 역할이 고정되어 있는 방식에 대한 아쉬움을 보여 상대적으로 흥미도가 낮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또래교수 활동 참여를 수학에 대한 자신감 향상으로 연결지어 생각하는 것에 비해 비상호적 또래교수 활동에서의 또래학생의 경우 또래교수 활동과 수학에 대한 자신감 및 성적을 별개로 생각하여 자신감 향상으로 확장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적 또래교수 활동에서는 역할별 학생들의 의사소통 발화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비상호적 또래교수 활동에서는 또래교사의 의사소통 발화 비율이 또래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또래교사의 질문 및 요청이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또래교수 유형에 따른 수학 학습 태도는 또래교수 활동의 유익성과 목적을 이해하는 등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또래교수 활동에 대한 흥미 측면에서는 학생별,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 지역빈도해석을 통한 생성강우데이터의 활용성 분석

        최가영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use the regional weather model to generate physical rainfall in the Chung-ju Dam basin unlike traditional and statistical methods. To evaluate whether generated rainfall can be used as hydrological input data, probability rainfall was estimated through Regional frequency analysis. When compared with the observation, it was found that the rainfall set generated by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WRF) needs a bias correction process. In addition, the Discordancy and the heterogeneity measures through regional frequency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GNO distribution was selected as a best-fit distribution. As a result, when WRF was used as a tool for generating physical rainfall data, it still underestimated when compared to observation quantile, but it was calculated relatively close to observation quantile. 본 논문은 통계적 방법에서 벗어나 지역기후모델의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의 물리적 매개옵션을 조정하여 지역기후모델을 활용하여 충주댐 유역에 발생가능한 강우를 생성하였다. 생성한 강우가 수문학적 입력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지역빈도해석을 통해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관측값과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관측값과 비교시 WRF을 사용하여 생성한 강우세트는 편의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빈도해석을 통해 불일치척도, 이질성척도 산정과정을 거쳤으며, 적합성 척도 산정결과를 통하여 최적분포형 GNO를 선정하였다. 결과적으로 WRF를 물리적 강우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했을 때, 관측값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게 산정하는 경향이 있지만 비교적 관측확률강우량과 가깝게 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고등학교 생물 교육의 교수-학습을 위한 마인드 맵 활용방안과 학생들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최가영 성균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zability on the Mind Map of students after adjusting a theory of the Mind Map and analyzing its effect upon studying. Mind Map represents a way to sketch all things in a mind that can be read, thought, analyzed and memorized. Contrary to the existing way of writing at the time of studying, it is a way of studying to raise the level of power to create, understand and memorize. This study described the effect of the mind map upon studying and the way of preparing it, and a caution in applying the Mind Map as well. And further, it checked out the recognizability and its effect on the Mind Map in the position of learners. The result has shown that is helped the students to study the biology, made them interested in taking lessons and were able to utilize it even during the school hour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use the Mind Map, directions for use should be thoroughly known, and it is required to have the necessity of the study that it should be applied not only to the beginning of the class or speaking only, but also to the various other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