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리전공 대학생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정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items that are essential for the quality of online education services based on the five dimensions of quality in the SERVQUAL model developed by Parasuraman, Zeithaml, and Berry (1985)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online education quality for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s upon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seek a strategy that can enhance the continuing learning intentio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urveyed the culinary art and dining major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online classes in the university to verify it in a statistical manner. The researcher gathered the data with a survey and used SPSS 24.0 and AMOS 24.0 statistics packages to conduct a confidenc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impact of the online culinary education service upon learning immersion, the formality, confidence, responsivity, and conviction, which are the quality factors of culinary education services, all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concentration and fun factors of learning immersion, while empath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to the fun. Second, as for the impact of the culinary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learning satisfaction, only empathy, out of all the culinary education service qual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class satisfaction and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while formality and responsivity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Third, regarding the impact of the online culinary education service quality upon the continuing learning intention, only responsivity, which is one of the culinary education service qualitie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the continuing learning intention. On the other hand, formality, confidence, conviction, and empathy, which are also the quality factors of culinary education servi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ntinuing learning intention. Fourth, as for the impact of the learning immersion for the online culinary education service on learning satisfaction, the concentration and fun factors of learning immersion for the online culinary education service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both class satisfaction and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factors of learning satisfaction. Fifth, as for the impact of learning immersion for online culinary education services upon continuing learning intention, the concentration and fun factors for online culinary education services both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continuing learning intention. Sixth, as for the impact of the learning satisfaction for the online culinary education services upon continuing learning intention, only the class satisfaction factor of the learning satisfaction for online culinary education service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continuing learning intention. Wi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practical strategies to enha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continuing learning intention for online culinary education services while providing a sound direction for online teaching methods for college staff and faculty members who plan and execute education. Also, it was possible to provide implications on the aspects of the learners and service provision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immersion among online culinary education learners.

      • 수학개념이 포함된 전이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심정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학개념이 포함된 전이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를 증진시키는 전이활동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유아교육현장에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수학개념이 포함된 전이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유아의 수학능력(대수, 수와 연산, 기하, 측정) 변화에 차이가 있는가? 2. 수학개념이 포함된 전이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유아의 수학적 태도(수학에 대한 흥미, 수학능력에 대한 자아개념, 과제에 대한 지각, 주위의 기대와 격려) 변화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수학개념이 포함된 전이활동이 만 5세반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고자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S병설유치원의 만 5세반 유아 20명과 D병설유치원 만 5세반 유아 23명, 총 43명이었다. 이 중 S병설유치원을 실험집단, D병설유치원을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처치는 2013년 9월 9일부터 10월 28일까지 총 8주간에 걸쳐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은 수학개념이 포함된 전이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기존의 방식대로 일반적인 전이활동을 실시하였다. 수학개념이 포함된 전이활동은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문헌과 연구(김철옥, 2012; 유명혜, 2005; 한유미, 2009; Feldman, 1995; Malenfant, 2006),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교육과학기술부, 2012a, 2012b, 2012c)를 참고하여, 대수, 수와 연산, 기하, 측정 등의 수학개념이 골고루 포함되고 전이활동의 특성에 적합한 3-7분정도 소요되는 짧고 흥미로운 활동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유아의 수학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황해익ㆍ최해진(2007)이 개발한 ‘유아그림수학능력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수학적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박지영ㆍ황해익(2006)이 제작한 수학적 태도 검사 도구를 김철옥(2012)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ㆍ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차이에 대해 t 검정으로 비교ㆍ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개념이 포함된 전이활동은 유아의 수학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능력검사의 하위영역 중 ‘대수’를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수와 연산’, ‘기하’, ‘측정’)에서 수학개념이 포함된 전이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의 변화량 차이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유아들에게 흥미로우며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는 수학활동을 전이활동으로 실시하는 것이 유아의 수학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수학개념이 포함된 전이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적 태도의 하위영역 중 ‘주위의 기대와 격려’를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수학에 대한 흥미, 수학능력에 대한 자아개념, 과제에 대한 지각)에서 수학개념이 포함된 전이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의 변화량 차이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전이시간을 무의미한 활동으로 소비하거나 단순히 기다리면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수학개념이 포함된 전이활동에 즐겁게 참여하는 경험이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학개념이 포함된 전이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즐겁게 수학활동에 참여하는 경험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개념이 포함된 전이활동을 유아 수학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으로 사용하고, 전이시간을 미리 계획하여 운영함으로써 학습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how the transition activities where mathematical concepts are contained affect young children's ability and attitudes to mathematics and providing the kindergarten education field with basic data to develop the above-mentioned transition activities. The following are the subjects for inquiry associated with the issues: 1. Does participation in transition activities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affect change i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lgebra, number and operation, geometry, measurement)? 2. Does participation in transition activities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affect change i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ttitude (interest in mathematics, self-conception of mathematics, awareness of homework, expectations and encouragement from outside)? The follow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studying how the transition activities containing mathematical concepts affect the mathematical ability and attitudes of young children aged 5.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two kindergartens (hereinafter kindergarten ‘S’ and ‘D’ for each) located at Bucheon-si, Gyeonggi-do. The subjects from the S Kindergarten (20) were classifi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from the D Kindergarten (23) into the comparative group. From Sep. 9th to Oct. 28th, 2013 (total 8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 activities containing mathematical concept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conducted the previous transition activities as it has done before. The transition activities containing mathematical concepts were designed to contain various mathematical concepts (algebra, number and operation, geometry and measurement) that could be taught shortly (3 to 7 minutes) in an interesting way with reference to ‘Study for Young Children's Mathematics Education (Kim Chul-ok, 2012; Yoo Myeong-hye, 2005; Han Yu-mi, 2009; Feldman, 1995; Malenfant, 2006)’ and ‘Teacher's Guidebook on Nu-ri Curriculum (for aged 5) (Ministry of Education, 2012a, 2012b, 2012c)’.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was measured with ‘Testing Tool for Young Children's Ability of Drawing and Mathematics’ which was developed by Hwang Hae-ik and Choi Hae-jin in 2007, and their attitudes to mathematics were assessed with a testing tool which was created by Park Ji-yeong and Hwang Hae-ik in 2006 and revised by Kim Chul-ok in 2012. Further, preliminary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o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s. These test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ansition activities where mathematical concepts are contained actually enhanced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Comparing with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academical achievement at all the assessment elements about mathematical ability above except for ‘algebra’ between their preliminary and post tests. It indicates that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could be improved through the transition activities which help them learn about mathematics with interest. Second, the transition activities containing mathematical concepts surely reinforce young children's attitudes to mathematics. The experimental group made better achievement than the comparative group at all the assessment elements about the attitudes to mathematics above except for ‘expectations and encouragement from outside' between their preliminary and post tests. It shows that leading young children to join the transition activities containing mathematical concepts with interest, instead of just letting them kill the transition time with meaningless activities, has a much higher positive impact on their attitudes to mathematics. In conclusion, the transition activities containing mathematical concepts which help young children learn about mathematics with interes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bility and attitudes to mathematics. The result above indicates that the transition activities with mathematical concepts could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mathematics education, and further used as a good learning opportunity though planned and systematic operation.

      • 청소년의 정신건강 특성과 음주와의 관련성

        심정아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stress perception, sufficiency of sleep,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on alcohol drinking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se the data from 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7), and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was 62.27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12-18 yea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mental health effects on alcohol drinking Results : The odds ratios (ORs) of alcohol drinking for adolescents who perceived stress a little and who perceived a lot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perceived stress were 1.05 (95% confidence interval, 0.98-1.13) and 1.33 (95% confidence interval, 1.24-1.43) respectively. The ORs of alcohol drinking adolescents who insufficient sleep and who moderate sleep compared to those who enough sleep was 1.22 (95% confidence interval, 1.14-1.31) and 1.46 (95% confidence interval, 1.36-1.57) respectively. The ORs of alcohol drinking for adolescents who depressed more than those who not depressed was 1.63 (95% confidence interval, 1.54-1.71) and the ORs of adolescents who do suicidal ideation more than those who do not suicidal ideation was 1.57 (95% confidence interval, 1.46-1.68). Conclusions : This result showed that mental health such as stress perception, sufficiency of sleep ,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was associated with alcohol drinking of adolescents. Proper educational program will be needed to prevent alcohol drinking and promate mental health in adolescent period.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정신건강 특성과 음주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건강하지 못한 정신건강이 음주를 경험하게 되는 서로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청소년의 건강한 정신건강 해소방법의 연구와 청소년의 음주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제 13차(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며, 62,2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청소년의 정신건강 특성인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충족, 우울감 경험, 자살생각을 독립변수로 음주를 종속변수로 하여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 검정,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스트레스 인지가 많이 느끼지 않는 군에 비해 조금 느끼는 경우 음주에 대한 교차비는 1.05(95%CI 0.98-1.13), 많이 느끼는 경우 교차비는 1.33(95%CI 1.24-1.43)으로 유의하였고, 주관적 수면충족은 충분한 군에 비해 중간인 경우 음주에 대한 교차비는 1.22(95%CI 1.14-1.31), 충분하지 않을 경우 1.46(95%CI 1.36-1.57)으로 유의하였다. 우울감 경험에서 우울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우울할 경우 음주에 대한 교차비는 1.63(95%CI 1.54-1.71)로 유의하며, 자살생각이 없는 경우에 비해 자살생각이 있는 경우 음주에 대한 교차비는 1.57(95%CI 1.46-1.68)로 유의하였다. 다른 요인인 성별, 학년, 주관적 학업성적, 흡연, 적절한 신체활동, 거주형태, 부모여부, 형제여부, 부모학력, 주관적 경제상태 모두 음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따른 음주에 대한 예방의 필요성에 대해 적극적인 교육적 홍보가 필요할 것이며 성인과 구별되는 발달시기 상 예민하고 민감할 수 있는 시기인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긍정적인 정신건강을 함양할 수 있도록 청소년에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체제 및 활용실태 : 2009개정 초등 3,4학년 서울시 지역화 교과서를 사례로

        심정아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교육청에서 개발한 2009개정 초등 3, 4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체제와 활용실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지역화 교과서의 개발․활용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Ⅱ장에서는 교육과정 지역화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 및 지역화 교과서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서울시 초등 사회과 교육 중점과 지역화 교과서 개발의 기본 방침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구성체제와 활용실태 분석을 위한 연구 설계를 하였다. 구성체제는 외부체제, 내용제시 방식, 관련성 및 부록의 3가지로 나누어 분석틀을 구성하고, 서울시 및 경기도의 3, 4학년 지역화 교과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활용실태는 교사 인식, 구성 방법, 활용․개선으로 항목을 나누어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서울시의 3, 4학년 담임교사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설계를 바탕으로 구성체제와 활용실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서술하였다. 3학년 지역화 교과서 ‘우리고장의 생활’은 2~3개의 지역을 병렬적으로 연결하여 국정 교과서의 보조 역할을 하는 인정도서로 각 지역교육지원청에서 개발하고 있다. 4학년 ‘서울의 생활’은 6차부터 2007개정까지는 4학년 1학기 사회과탐구로 개발되었으나 사회과탐구가 폐지된 2009개정에서는 4학년 전체 내용으로 구성하여 보완도서라는 이름으로 개발하고 있다. 서울시 초등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체제를 분석한 결과, 3학년 ‘우리고장의 생활’에서 강서․양천구는 그림지도 그리기에 대한 내용을 1쪽에 제시하였고, 강남․서초구는 4쪽에 걸쳐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강서․양천구는 문장형으로 학습문제를 제시하였는데, 강남․서초구는 명사형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체제면에서 지역교육지원청별로 차이를 보였다. 4학년 ‘서울의 생활’은 ‘자랑스러운 우리 지역, 서울’ 단원을 1단원 앞에 제시하여 서울시의 특색을 강조하였다. 또한 학습문제를 재해석하여 지역화 아이콘과 명사형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서울시의 지역화 교과서가 지역화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화 교과서의 활용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역화 교과서의 개발 필요성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교사들이 많았다. 또한 50% 이상의 교사들이 서울시의 지역화 교과서가 지역의 특성과 구성요소, 학습자의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답했다. 75% 이상의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지역화 교과서를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으나, 지역화 교과서의 내용이 많아 국정 교과서와 함께 수업시간에 지도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많은 교사들이 앞으로의 지역화 교과서는 다양한 사회과 지역화 수업 자료 지원의 방향으로 개선되기를 선호했다. 지역화 교과서는 학습자 주변의 일상생활을 교과의 내용으로 구성하여 사회과의 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지역화 교과서는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지역 관련 내용을 양적, 질적으로 숙고하여 개발해야 한다. 또한 개발과 관리에 있어 지역화 교과서 개발 주체 간에 교류적 협의가 이루어져 지역화 교과서의 균형 잡힌 개발과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화 교과서를 누적으로 보관하고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개발․관리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둘째, 지역화 교과서의 보완 자료 성격을 고려하여 내용의 양을 적정하게 조정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을 대상으로 지역화 교과서의 활용 연수 기회가 보다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사회과 지역화 수업을 위한 다양한 자료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개발 자료를 수업에 활용하고 효과를 살펴보는 후속연구를 기대해본다.

      • 문화기관의 뉴미디어 홍보에 관한 연구 : 서울역사박물관을 중심으로

        심정아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기관은 공연시설, 전시시설 등 다양한 형태로 우리 주변에 존재하고 있다. 과거에 우리는 이러한 문화기관에 ‘상업적인 개념’을 접목시키는 것을 부담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었지만 이제 바야흐로 ‘문화산업’이라는 말이 보편화된 시대가 도래하면서 문화산업은 이미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명실공히 우리의 주력 산업군의 하나로 자리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문화기관의 경우 ‘90년대 중반부터 경영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으며, 기관 스스로의 목적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돌파구로서의 문화기관경영에 대한 필요성을 한층 절감하게 된 것이 사실이다. 그 중에도 문화기관의 존립근거인 수요자, 즉 대중을 중심으로 한 문화경영의 중요성이 제기되면서 관람객 위주의 경영과 관람객 만족의 극대화를 주요이념으로 삼고 있는 홍보 전략에 대해서도 관계 전문가나 경영관리자의 관심영역으로 새삼 부상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배경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관람객을 문화기관으로 유입하기 위한 홍보 전략이 다양한 방법으로 전개되는 한편으로, 여기에 차세대 매체로서의 뉴미디어가 새로이 주목받게 되었다. 최근 국가나 각급 지방자치단체별로 운영하고 있는 박물관, 미술관 등 문화기관의 지원이 줄고 재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특히 저비용 고효율의 뉴미디어 활용에 대한 욕구가 눈에 띄게 증가하였음이 감지된다. 최근 들어 소셜미디어 등으로 대표되는 뉴미디어는 이미 하나의 트랜드를 넘어서서 이제는 없어서는 안 될 문화기관의 홍보 및 마케팅 채널로서 급부상하고 있다. 전 세계 인터넷 사용자의 80% 이상이 사용한다는 소셜미디어 가운데 하나인 페이스북 이용자만 올해 10억명을 돌파했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해 앞으로 소셜미디어 이용자 수는 더욱 증가될 전망이다. 이처럼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과거보다 더욱 능동적인 홍보 전략으로 관람객을 찾아 나서기 위한 다양한 뉴미디어 홍보 전략은 관람객의 니즈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향후 국민의 문화에 대한 시각과 체험, 나아가 문화적 재능 함양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문화인프라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기관 SNS 우수운영기관으로 선정되어 대표 수범사례이며 동시에 서울시의 대표적 문화기관이라 할 수 있는 서울역사박물관을 통해 문화기관에서 뉴미디어 홍보전략을 어떻게 수립하며 활용하고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공영문화기관의 바람직한 홍보전략 운영을 위하여 하나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orporations implement a marketing strategy in pursuit of commercial interests and profits. What is the purpose of cultural institutes as non-profit organizations and how they run a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seeks to explain this question. In the past, culture and art programs targeted high class people as its audiences. Recently, however, more and more people enjoy those programs as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attempted to knock the wall down, for instance, by not charging for admission. For the popularization of culture and art, the new media, which needs less initial capital investment, is drawing attention as the upcoming marketing tool. Adopting communication style approach, social network service(SNS) is the best interest. The study mainly focuses on the Seoul Museum of History which is the representative non-profit culture organization in Seoul and has been selected for its excellent new media promotion examples and their new media operating status as well as their promotional strategies in the culture marketing site have been reviewed with promotion marketing staff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There are no established models in analyzing SNS effects yet and each companies are using their own models. Therefore, this study refers to the SRSR model, which views several models and categorizes them into four types: ‘search’, ‘relationship’, ‘sympathize’, and ‘reaction’. At the same time, it conducts surveys to figure out users’ responses. In the results, as shown from the evidence of number of fans of the Seoul History Museum, its SNS activities were very active and it was communicating most actively through Facebook which is a relation oriented SNS. From the survey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SNS users were satisfied with the rapid and usefu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NS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Previous studies in this field introduced several models to analyze the effects of SNS, but there has been no agreement. Therefore,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that it suggested a new SNS communication effect model for non-profit culture organizations.

      • 아파트 유지관리를 위한 COBie 개발

        심정아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 건축물은 건축주 및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목적에 따라 대형화하고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유지관리에서도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건물의 전 수명주기에서 O&M 기간은 75%에 해당된다. 이 기간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정확한 정보이다. 그러나 많은 정보들이 공사 완료 후 유지관리 단계에서 재입력의 과정을 겪고 있어 데이터의 연속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BIM기반으로 생성되는 COBie라는 오픈포맷은 초기데이터를 유지단계까지 연속성 있게 자동 전송 및 재가공이 용이하다. 따라서 BIM기반 설계를 통해 기획 단계부터 생성되는 기초정보를 비롯한 시설물 전생애주기 생성정보의 확보·갱신 및 FMS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논문에서는 BIM 기반의 정보를 이용하여 COBie 데이터를 추출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전문가적인 유지관리 프로세스에서 벗어나 비전문가인 사용자 중심의 FMS를 제안하기 위한 데이터 정보를 요약해 보았다. COBie 콘텐츠를 정의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BIM 모델을 이용해 설계단계에서부터 작성 가능한 Worksheet룰 추출하는 방법과 표준 데이터 포맷인 IFC와의 연계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보전달체계의 조사 및 제안 등 사용자 중심의 FMS 구축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Modern buildings have become increasingly large and complex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and goals of owners and users, which has granted further importance to building maintenance. The O&M period accounts for 75% of the entire life cycle of building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period is accurate information. Many pieces of information, however, go through a process of re-entrance in the maintenance stage after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which is why it is difficult to expect data continuity. A BIM-based open format called COBie makes it easy to transmit and reprocess the initial data automatically with continuity till the maintenance stage. There is thus a need to secure and updat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out the life cycle of a facility including the basic information since the planning stage and also to establish FMS with a BIM-based design. This study thus proposed a way to extract and manage COBie data by using BIM-based information and summarized data information to suggest non-professional user-centric FMS beyond the old professional maintenance process. It also proposed a way to connect the standard data format IFC with the method of extracting worksheets that could be prepared from the design stage by using the BIM model in order to define and implement COBie content. It also addressed a need to establish user-centric FMS including the examination and suggestion of a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 만다라(Mandala)통합치유 연구

        심정아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과학기술은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그 결과 현대인들은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편리한 생활을 하고 있다. 하지만 물질적인 성공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는 사회문화와 지나치게 빠른 환경변화는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스트레스는 심리적 긴장을 발생시키고 심신의 균형을 깨트리며 나아가 질병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스트레스로 인해 이미 발생한 심신의 증상을 완화하는 것은 현대인에게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심신의 질병들은 마음에 그 근본 원인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몸‧마음‧영혼을 온전하게 치유하는 전인치유 기제로서 만다라치유를 감각통합치유의 관점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만다라의 기원과 그 철학적 배경을 살펴본 후, 본래 만다라가 가진 기능과 치유원리를 파악하여 만다라의 전인치유적 가치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오늘날 만다라치유의 토대가 된 인도의 힌두교, 불교, 탄트라에서 만다라의 개념을 정의하고 발달 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만다라의 원형으로 힌두전통에서 발전해온 얀뜨라(yantra)의 의미와 기능을 고찰하여 만다라의 기능과 치유원리를 규명하였으며, 전일주의 세계관인 요가, 아유르베다, 탄트라에서 인간 이해를 토대로 만다라치유가 지니는 전인치유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아유르베다(A̅yurveda)의 감각기능이론을 적용하여 시각치유가 감각통합치유의 중심으로 역할을 하기 위한 근거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융(Carl G. Jung, 1875∼1961)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만다라미술치료를 중심으로 치유의 영역에서의 만다라의 발전과정을 통해 만다라의 치유원리를 고찰하였다. 또한 아유르베다의 감각기능이론을 바탕으로 시각중심인 통합치유로서의 만다라치유를 고찰하고 전인치유기제로서의 만다라통합치유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는 고대인도 전통에서부터 발전해 온 개념이며, 우주와 인간은 동일하다는 전일적인 인간관을 토대로 하는 전인치유기제이다. 융은 밀교에서 유래한 만다라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만다라는 그 이전 힌두전통과 불교, 탄트라에서부터 존재하였다. 베다(Veda) 시대에는 신에 대한 찬가를 만다라로 불렀다. 힌두전통에서는 만다라는 제의적 설계도로 사용하여, 사원에 모시는 신의 성격 및 조건에 따라 조형원리를 도식화한 만다라 위에 힌두교 사원을 건축하였다. 불교에서도 만다라는 대지 위에 토단으로부터 시작하여 부처를 모시던 장소였으나, 불교의 깨달음의 경지를 상징하는 그림으로 변화 발전하였다. 탄트라에서 힌두전통의 만다라는 베다 전통이 기하학적인 만다라인 얀뜨라로 명명되었다. 얀뜨라에는 세계 창조와 관련된 철학적 개념이 담겨 있으며 우주와 인간을 연결하여 합일시키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고대 인도인에게 세계의 근본원리는 ‘세계와 인간은 같다(loka-puruṣa-sāmya)’이다. 요가‧아유르베다‧탄트라는 모두 이 근본원리를 따르고 있으며, 이는 전일적인 세계관을 의미한다. 아유르베다에 따르면, 인간은 우주의 축소판으로서, 인간은 세계와 마찬가지로 공‧풍‧화‧수‧지의 5종 조대요소(mahābhūta)와 영혼으로 이루어진다. 요가에서 몸은 진아를 덮고 있는 5겹의 덮개(kośa)의 다층구조로 유기적 관계를 설명하고 있으며, 탄트라에서 몸은 영혼과 경계가 없으며 해탈을 위한 신성한 공간으로 설명된다. 요가‧아유르베다‧탄트라 모두에서 인간은 몸·마음·영혼이 상호 연결되어 있고 이들 간의 유기적 관계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둘째, 아유르베다의 만다라통합치유는 시각 중심의 통합치유로서 아유르베다의 감각기능이론을 바탕으로 한 5가지 감각치유를 대표한다. 만다라는 고대에서부터 몸, 마음, 영혼을 치유하는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만다라를 구성하는 기하학적인 형태들은 특별한 의미를 지니며 특히, 원은 그 자체로 치유의 힘을 갖는다. 만다라에 담긴 기하학적 도형에는 우주의 상징과 원리가 담겨 있으므로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사람의 몸과 마음이 자극을 받는다. 우주 안에 있는 것들은 우리 안에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그림과 달리 만다라를 바라보면서 자신 안에 있는 우주의 힘을 자각하게 되고, 만다라에 담긴 우주의 힘과 연결되는 명상시간이 되는 것이다. 만다라의 균형 잡힌 구조는 보는 사람에게 안정을 주고 에너지의 흐름을 느끼게 한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받는 현대인들에게 만다라를 바라보는 것은 치유의 방법으로 적절하다. 우주와의 연결로 고립감을 해소하고, 균형 잡힌 자극을 통해 불균형적인 삶을 되돌아볼 수 있도록 유도하기 때문이다. 요가와 아유르베다에서는 삿뜨와(sattva)의 계발을 강조한다. 아유르베다의 삿뜨와는 치유가 일어나게 하는 균형의 상태이다. 이런 삿뜨와를 계발하는데 조화롭고 균형 잡힌 만다라를 접촉하는 것은 매우 쉽고 빠른 감각치유법임을 알 수 있다. 아유르베다에서는 감각기능을 생명의 한 구성요소로 중요하게 다룬다. 아유르베다에 따르면, 감각기능은 5종 조대요소로 이루어졌으며, 감각인식의 과정은 감각대상–감각기관–감각물질–감각기능-감각지각의 일직선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렇게 마음으로 들어온 감각인상들은 지성(buddhi)에 의해 소화되어 잘 소화된 경험들은 우리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며, 이해되지 못하고 설명되지 못한 경험들은 우리 안에 독소로 작용하여 몸의 건강을 해치게 된다. 잘 소화된 행복한 기억들은 영혼에 전달되고 다시 마음에 영향을 주어 행동을 변화시키고 더욱 삿뜨와적인 것을 찾게 한다. 이런 반복적인 과정이 치유이며 삶과 존재 자체를 치유의 상태로 바꾸어 놓는다. 감각치유는 5종 조대요소를 치유하고 정화하는 것으로 청각치유, 촉각치유, 시각치유, 미각치유, 후각치유가 해당된다. 감각치유의 원리는 감각기능을 이루는 5종 조대요소의 각 요소를 바라보는 것이다. 각 요소를 바라본다는 의미는 각 요소를 ‘조명한다’는 것이며, 마음을 보내고 집중하는 것을 말한다. 집중된 마음은 그 대상을 정화하는 힘을 갖는다. 따라서 감각기능을 구성하는 5종 조대요소를 의식적으로 바라봄으로써 5종 조대요소 안에 아주 미미한 형태로 잠재된 삿뜨와를 일깨우는 것이 정화이고 치유이다. 5종 조대요소를 바라보는 과정은 관찰자의 바라보는 마음이 바라보는 대상을 변화시킨다는 양자역학의 ‘관찰자효과’로도 설명된다. 5종 조대요소를 바라보는 순서는 지각하기 쉬운 지요소로부터 시작하여, 수–화–풍–공요소로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짜라까상히따』의 감각기능에 해당하는 5종 조대요소의 비율은 감각기능에 해당하는 우세한 요소 1/2과 나머지 4종 조대요소 1/2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청각치유‧촉각치유‧시각치유‧미각치유와 후각치유가 대등한 관계에서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시각은 인간의 비언어적 소통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인간의 감각작용들은 시각에 의존하고 있다. 시각기능을 구성하는 화요소는 공-풍–화–수-지의 5요소 중 중간에 해당한다. 시각이 중요한 만큼 감각치유에서 시각치유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 따라서 시각치유는 감각통합치유에서 중요하게 먼저 고려되어야 한다. 만다라통합치유는 만다라의 조화롭고 균형 잡힌 형태의 에너지가 시각을 통해 우리 몸으로 들어오고, 우리 몸은 시각을 통해 들어온 감각물질들을 잘 소화하여 몸‧마음‧영혼이 균형을 이루는 치유방법이다. 만다라통합치유는 우주와 인간이 같음을 알게 하는 치유 기제로서 통합적인 치유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만다라치유가 아유르베다의 감각기능이론을 통해 만다라의 본래 기능을 되찾아 전인치유 기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다라통합치유가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질병과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자기치유(self-care)의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 손상된 미(Broken beauty)에 대한 연구 : 연구자의 《손상된 미-그릇들》《스티그마타》《헐벗은 얼굴들》 연작을 중심으로

        심정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예술의 역사에서 간과되어온 ‘손상된 미’를 조명하기 위해, 그 실재와 기원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그것은 과거에서부터 동시대의 예술작품까지 살펴보는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세계 또한 손상된 미가 어떻게 구체적으로 체현되고 있는지에 대해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미와 추(醜)가 혼재하는 불완전한 인간실존의 상황 속에서 예술과 인간의 삶을 회복시킬 수 있는 힘을 기독교의 상징과 스토리로부터 발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성만찬에 등장하는 ‘찢어진 빵’이 갖는 상징에 주목하면서, 손상된 미의 실재에 대해 풀어내고 있다. 성만찬이라는 상징적 사건에서 본다면, 이상적인 미는 손상된 미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타인을 치유하고 회복시키는 ‘구속적 미’로 상승된다. 또한 어떤 가식도 없이 헐벗은 진실을 드러내는 그리스도의 얼굴은 우리가 세상 속에서 잃어버린 채 살아온 ‘원형적 얼굴’에 대해 일깨워준다. 이때 손상된 미는 진실을 일깨워주는 ‘헐벗은 진실의 미’로 그 힘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자의 작품 속에서 체현된 손상된 미를 구속적 미와 헐벗은 진실의 미로 구체화시키고자 했다. 그리하여 손상된 미를 통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 변화들을 ‘종교와 예술의 화해’, ‘예술의 회복’, ‘인간 영혼과 삶의 회복’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특히 연구자의 《스티그마타》연작은 우리의 시선을 인간의 손상됨이 아니라 치유와 구속의 힘을 지닌 그리스도의 손상됨을 향하도록 이끈다. 《헐벗은 얼굴들》연작은 나와 타자가 헐벗은 얼굴로 마주하는 대면의 경험과 그로인해 촉발되는 회복의 여정을 설치미술과 행위예술의 접목을 통해 제시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예술작품 속에 구현된 손상된 미의 체험을 통해 예술과 인간 삶에 있어서 궁극적인 회복을 이루는 길을 모색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presence and origin of ‘broken beauty,’ a concept long-neglected in the history of art. Going from the works of the past to contemporary art, the goal of the study is to see how broken beauty finds detailed embodiment in the author’s own works. Amidst the reality of imperfect humanity where beauty and ugliness coexist, the author finds the power to restore art and human life in the symbolism and story of Christianity. The author notes the symbolism of ‘broken bread’ in Eucharist, using it to describe the notion of broken beauty. Viewed through the symbolic perspective of Eucharist, ideal beauty may transform into broken beauty; this then elevates to redemptive beauty which heals and restores others. The face of Christ, which uncovers the unveiled truth without any pretension, makes us see the ‘original face’ which we have lost in the world. Here, broken beauty commands its significance as the beauty of unveiled truth which makes us see the truth. Thus the present study seeks to develop broken beauty in the author’s works into redemptive beauty and the beauty of unveiled truth. Positive changes which can be brought about through broken beauty are understood to be ‘reconciliation between religion and art,’ ‘restoration of art,’ and ‘restoration of human spirit and life.’ In particular, the author’s 《Stigmata》 series focuses the viewers’ attention not to the brokenness of mankind but to the brokenness of Christ which has the power to heal and redeem. The 《Unveiled Faces》 series combines installation with performance art to evoke an encounter between oneself and others through unveiled faces and a journey of restoration which such encounter sets in motion. Thus this study seeks to offer an experience of broken beauty in art by way of achieving ultimate restoration in art and in human life.

      • 『리어왕』에 나타난 성격과 운명의 상관성

        심정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King Lear is the one of the greatest tragedies among Shakespeare’s works. Shakespeare’s tragedies are very similar with the ancient ones in which the main characters are suffering from his/her own actions. However, it is the coincidental mistakes that lead to the tragic ending in ancient tragedies, while it is the personality of the main character that leads to the sad ending in Shakespeare’s. It is also a factor that decides their desti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