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발부민으로 유도된 천식동물모델을 이용한 리팜피신의 천식 치료 효능 연구

        박준우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천식은 대표적인 염증성, 폐쇄성 폐 질환으로 현재까지 천식에 대한 확실한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결핵치료제로 알려져 있는 리팜피신의 in vivo 천식 치료 효능을 연구하였다. 오발부민(ovalbumin)에 의해 유도된 천식 마우스 모델을 확립하였고, 각 실험군 별로 마우스의 기관지폐포세척액(BALF)을 분리한 후 BALF 내 염증세포의 수와 TNF- α, IL-6, IL-1β의 양을 측정하였다. trypan blue exclusion 방법과 FACS를 이용하여 BALF에 침윤된 염증세포의 수를 측정한 결과, 천식이 유도된 마우스의 BALF에서 염증세포의 수가 많았으나 천식이 유도된 마우스에 리팜피신을 투여했을 때 염증세포는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또한 천식유도군에 비해 리팜피신 투여군의 BALF내 사이토카인은 낮은 수치를 보여 주였으며,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처치군과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이런 결과들은 리팜피신이 염증을 조절함으로써 천식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 Hull White model과 LGM model의 모수추정 효율성 비교

        박준우 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재 금리 파생상품의 평가에 이용되고 있는 Hull White 모형을 일반화한 모형인 Linear Gauss Markov 모형에 대해 소개하고 Hull White 모형과의 비교를 통해 설명한다. 여기서 다루게 될 Dimension은 1-factor로 한정한다. 금리 파생상품의 구조는 기간 구조를 갖는다는 이자율의 특성과, 상품의 미래 가치를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이자율과 할인 시 사용되는 이자율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점 때문에 어렵다. 따라서 이해하기 쉬우면서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모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Linear Gauss Markov 모형이 간단하며, 여러 상품의 이론적인 가치 구현에서 Hull White 모형과 매우 흡사한 결과를 나타내면서, 모수추정에서도 좋은 효율을 보여주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Linear Gauss Markov model, which is a generalization of the Hull White model currently used for the evaluation of interest rate derivatives, and compares it with the Hull White model. Dimension to be discussed here is limited to 1-factor. The structure of interest rate derivatives is difficult because of we have to not only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interest rate with a period structure, but also consider the interest rate used to predict the future value of the commodity and the interest rate used at the discount. Therefore, models that are easy to understand and produce good results are needed. In this paper, I show that Linear Gauss Markov model is simple and shows very similar results to the Hull White model in the theoretical value implementation of various products and shows good efficiency on calibration.

      • 북한 신년경축행사 변화에 대한 연구 : 정치적 의례에서 미디어 이벤트로의 진화

        박준우 북한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북한의 신년경축행사에 전례가 없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폐쇄적이며 획일적이었던 행사들이 보다 개방적이며 역동적인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 구체적 변화상은 과거 김일성과 김정일 집권기의 신년경축행사들과 비교할 때 더욱 선명해진다. 김일성 집권기 학생 소년들의 설맞이 모임은 ‘위대한 어버이 수령’에게 한없는 경모의 마음을 바치고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행사였다. 수령을 뇌수로 한 사회정치적 생명체를 재현하는 역할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인민군 공훈합창단의 신년경축공연은 김정일의 ‘선군혁명영도’의 당위성을 역설하는 기능을 수행했다. 김정일 집권기를 상징하는 ‘선군정치’와 ‘음악정치’의 대명사였다. 과거의 신년경축행사들은 이처럼 최고지도자에게 복무하는 정치적 의례의 성격이 우선시되었다. 따라서 최근의 변화들은 정치적 의례에서 미디어 이벤트로, 장엄한 의식으로부터 축제적 양상으로의 진화로 요약할 수 있다. 북한의 의례가 상징적 표현을 통해 사회의 운영원리와 작동방식을 생생하게 전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일련의 변화들은 더욱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신년경축행사의 변화들은 김정일의 집권 후반기부터 출현하기 시작했다. 선전 선동의 주된 매체로 TV가 부상하면서 생중계가 확대되고 미디어 이벤트화의 움직임에 점점 속도가 붙었다. 변화는 김정은 집권 이후 야외에서 펼쳐지는 대규모의 개방형 행사를 TV로 생중계하는 본격적인 미디어 이벤트의 단계로까지 전개되었다. 김정은 집권 이후 신년경축공연의 아이콘으로 부상한 모란봉악단에 대한 인기는 대중문화적 현상과 유사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가수들의 공연과 불꽃놀이가 결합된 광장에서의 개방적인 신년경축행사는 김정일 집권 후기부터 단초를 보여온 ‘북한식 세계화’ 담론이 구체화된 결과로 볼 수도 있다. 인민대중의 참여 양상에도 변화가 발견된다. 수동적이고 순응 일변도이던 과거와 달리 신년경축행사의 이벤트들을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소비하는 새로운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과거의 스펙터클이나 장엄한 의식의 면모에서 탈피하여 대중들의 능동적 반응과 참여가 가능해진 ‘축제적 양상’이 출현했다고 할 수 있다. 신년경축행사에 대한 ‘축제적 시청’ 경험은 그동안 북한에 일반적이었던 ‘혁명역사’류의 집합기억과는 성격을 달리하는 미래지향적 집합 기억을 형성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상징적 측면에서는 최고지도자의 비범함과 탁월성 부각에 집중됐던 찬양과 선전이 국가상징에 대한 예우나 경제 건설과 과학기술의 발전과 같은 과업의 성취를 함께 강조하는 식으로 메시지가 분산되었다. 김정은에 대한 칭송은 계속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업적이나 인간적 면모에 중점을 두고 있어 ‘카리스마적 권위의 법적· 합리적 권위로의 이행’이나 ‘카리스마의 약화’로 해석할 수 있어 보인다. 신년경축행사의 변화들은 북한에 대한 고정관념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개방적이며 유연한 이미지를 형성할 계기를 제공한다. 북한 주민의 일상과 삶의 리듬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시장화’의 과정은 변화를 가져온 근본 요인에 해당한다. 북한 내부에 축적돼 있었던 아래로부터의 변화들이 제도의 틀 내부로 수렴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일관성을 지닌 이해의 틀을 정립한다는 차원에서 북한 신년경축행사의 향후 변화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탐색과 분석이 절실하다. Unprecedented changes are appearing in North Korea's New Year celebration ceremonies.. Events that were closed and uniform are being transformed into more open and dynamic forms. The specific form of change becomes clearer when compared to the New Year celebrations of Kim Il-sung and Kim Jong-il era in the past. The New Year gathering of students in Kim Il-sung era offered the endless heart of honor to the “great parental leader” and prayed for his permanent life. It played a role in recreating the North Korea society like a organism which has great leader as the brain. The New Year's celebration performance of the People's Army Contribution Choir performed the function of emphasizing the legitimacy of Kim Jong-il's “Military-First Revolutionary Leadership”. It was the symbol of “Military -First Politics” and “Music Politics”, which represented the period of Kim Jong-il in power. As such, in the past New Year's celebrations, the nature of political rituals serving the supreme leader was prioritized. In that context, recent changes can be summarized as an evolution from political rituals to media events, and from solemn rituals to festive aspects. Considering the fact that North Korean rituals vividly convey the operating principles of society through symbolic expressions, a series of changes come to be more meaningful. Changes in the New Year's celebration began to appear in the second half of Kim Jong-il's reign. As TV emerged as the main medium of propaganda, live broadcasts expanded and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media events accelerated. After Kim Jong-un came to power, the change has progressed to the stage of a full-fledged media event that broadcasts a large?scale open event live on TV. The popularity of the Moranbong Orchestra, which has emerged as an icon of the New Year's celebration after Kim Jong-un came to power, has the similar aspect with that of western popular culture. The open New Year's celebration in the plaza, where singers' performances and fireworks are combined,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discourse of “globalization of North Korean style,” which has been shown since the late Kim Jong-il's reign. Changes are also found in the participation pattern of the popular masses. Unlike in the past, when they were passive and compliant, they began to show a new aspect of consuming the events of the New Year celebrations in their own way. It can be said that a “festive aspect” has emerged that has enabled the active reac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public by breaking away from the aspect of spectacle or solemn ritual in the past. The “festival viewing” experience of the New Year's celebration has the potential to form a future-oriented collective memory that is different from the revolutionary and historical collective memory that has been common in North Korea. On the symbolic side, the message tends to be scattered in such a way that praise and propaganda, which were focused on emphasizing the excellence and greatness of the supreme leader, begin to emphasize the achievement of tasks such as the economic constr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or the respect for the national symbol. Although praise for Kim Jong-un continues, changes that can be seen as “transition of charismatic authority to legal and rational authority” or “weakening charisma” are unfolding as they are relatively focused on achievements and human aspects of supreme leader. The changes that have appeared in the recent New Year celebrations provide an opportunity to form an open and flexible image by breaking away from the stereotypes of North Korea in the past. The process of “marketization,” which fundamentally changed the daily life and rhythm of North Koreans, is a fundamental factor that brought about these changes. This is an analysis that sees these phenomena as the results of changes that have been accumulated in Nor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with consistency on North Korea's changes and directions, continuous exploration and analysis of future changes in the New Year celebrations is inevitable.

      • 대학생의 긍정정서,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박준우 계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ositive emotion,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52 students from K university in D c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and AMOS 22.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positive emo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social problem solving via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Second,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had a direct effect on social problem solving. Lastly, social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on social problem solving via ego-resil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social problem solving in university students is influenced by a combination of psychological variables.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gender difference i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implies that a differentiated approach is needed for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en dealing with their social problem solving.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긍정정서,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소재한 K대학교 재학생 35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긍정정서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심리적 변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확인되므로, 이는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접근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딥러닝 기반 Scan-to-BIM 프로세스 자동화 방법

        박준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 건축물의 경우 오랜 기간이 지남에 따라 도면이 누락되거나, 설계 변경 혹은 리모델링 등으로 인하여 도면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도면이 존재하지 않거나 도면과 불일치된 건축물의 현재 현황을 반영한 도면을 제작하기 위하여 역설계(Reverse Engineering)가 활용된다. 역설계를 통하여 제작된 도면은 건축물의 유지관리 및 보수, 현황 파악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역설계 과정은 현장 실측, 도면 작업 등의 전문적인 기술이 요구되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된다. 역설계 과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레이저 스캐닝으로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바탕으로 BIM 모델을 생성하는 Scan-to-BIM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Scan-to-BIM 과정 또한 스캐닝, 데이터 처리, 모델링 등에 수작업이 요구되며 이로 인한 시간, 비용이 소모된다. 이러한 수작업으로 인한 자원의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Scan-to-BIM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부분적인 자동화는 시도되고 있으나 포인트 클라우드로부터 BIM 모델을 생성하는 전체 과정을 자동화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또한 기존 연구는 벽, 바닥, 천장 등과 같은 주요 객체에만 한정하여 모델링을 자동화하였다. 실제로 사용 중인 건축물에는 주요 객체뿐만 아니라 설비, 가구 등 다양한 객체가 존재한다. 실내 대피 동선 탐색, 화재 시뮬레이션, 에너지 관리 등에는 건축물을 구성하는 주요 객체뿐만 아니라, 건축물 내에 존재하는 모든 객체를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딥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포인트 클라우드로부터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객체들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BIM 모델을 생성하는 전체 Scan-to-BIM 과정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딥러닝 기반 semantic segmentation을 통하여 추출되는 객체 클래스를 13개로 증가시키고, 객체 간 공간 관계를 정의함으로써 포인트 클라우드로부터 추출한 경계상자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Dynamo의 파라메트릭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경계상자로부터 추출한 객체 데이터와 BIM 라이브러리를 매칭함으로써 BIM 모델을 자동적으로 생성한다. 케이스 스터디로서 사무실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대상으로 개발된 방법을 적용한 결과, 일부 객체 클래스의 BIM 생성에서 최대 53.33%의 정확도 향상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건축물의 현실 캡처(reality capture)를 위한 Scan-to-BIM의 자동화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There are cases with existing buildings where drawings are omitted based on the passing of time, or may not match the drawings due to design modifications or remodeling. Reverse engineering is used to produce drawings that reflect the current state of buildings that are inconsistent with their drawings or those that do not drawings. Drawings that are prepared through reverse engineering can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repairs, and status identification. However, the reverse engineering process requires specialized skills such as on-site measurements and drawing preparations, as well as a large amount of money and tim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reverse engineering process, a Scan-to-BIM technology capable of generating a BIM model based on point cloud data produced by laser scanning is being applied. However, the Scan-to-BIM process also requires manual work, including scanning, data processing, and modeling, which consumes both time and money. In order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such resources due to the necessity of manual work, research into the automation of the Scan-to-BIM proces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lthough partial automation is being attempted,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into automating the entire process of generating the BIM model from the point cloud. Furthermore, existing research has automated modeling limited only to key components, such as walls, floors, and ceilings. However, in addition to the key components in buildings, there are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but not restricted to equipment and furniture. To find suitable indoor evacuation routes, simulate fire situations, and manage energy consumption, all existing components in the building, including the key components of the building, must be considered. Thus,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automating the entire Scan-to-BIM process of generating a BIM model by extracting the data of various components existing within buildings from point cloud based on a deep-learning algorithm. This particular method increases the component class extracted through deep-learning-based semantic segmentation to 13 classes, and enhances the accuracy of the bounding box extracted from point cloud by defining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Furthermore, the BIM model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matching the BIM library with the component data extracted from the bounding box by applying a parametric algorithm of Dynamo. Upon applying the method developed for the point cloud data of the office as a case study, an increase in accuracy of up to 53.33% was displayed in the BIM generation in some component classes. Through which, the possibility of Scan-to-BIM automation for reality capture of existing buildings becomes possible.

      • Maca(Lepidium meyenii) 발효균주의 탐색과 마카발효물의 특성

        박준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카(Lepidium meyenii, Maca)는 페루 안데스 산맥에서 주로 생산되는 십자화과 채소의 일종으로, 마카에는 필수아미노산, 미네랄 등이 풍부하여 여러 생리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남, 녀의 성기능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마카를 발효할 수 있는 미생물을 탐색하고, 해당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했을 때, 발효 전, 후의 성기능개선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전체적인 성분변화를 HPLC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발효에 따른 항산화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총 폴리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함량, FRAP, DPPH assay, ABTs test를 진행하였다. 균주 탐색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 M03이 발효에 가장 적합한 균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후 약 5% 감소하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효 후 2.4% 증가하였으며, FRAP assay에서는 발효 전후의 변화가 없었다. DPPH assay 결과 마카발효물이 발효 전보다 2% 높은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보였으며, ABTs test결과 발효 후 1.5배의 항산화능을 보였다. 마카발효물을 식이한 마우스에서 마카를 식이한 마우스보다 교미회수가 16% 증가하는 결과를 얻음으로서 마카발효물의 성기능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마카발효물의 특성을 확인하여 앞으로 마카발효물을 연구하기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소년보호처분 아동보호치료시설(6호처분) 위탁청소년을 위한 기독교교육 프로그램 설계 : 나사로청소년의집을 중심으로

        박준우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소년보호처분 아동보호치료시설(6호 처분) 위탁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기독교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한 연구로서 아동보호치료시설에서의 수감 기간인 6개월(24주)을 6개의 대 주제 속에서 24개의 소주제로 성경 말씀을 통하여 교육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아동보호치료시설에서 퇴소한 청소년들이 그룹홈에서 기독교교육을 받으며 정착할 수 있도록 그룹홈에서의 1년 52주에 대한 주간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지역교회에서의 프로그램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바탕으로 33주 과정으로 설계하였다. 소년보호처분 위탁청소년들이 아동보호치료시설과 그룹홈, 그리고 지역 교회로 연결되는 기독교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위탁청소년들의 사회로의 정착과 신앙생활의 정착을 돕는다.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Ⅰ5E 순환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지도안 개발 : 역동적인 화학 반응 단원 중심으로

        박준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many student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learn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hemistry I Dynamic Chemistry Reaction un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nit. To this end, this study developed a lesson plan applying the 5E circular learning model that can develop core science competencies, construct scientific knowledge, and change misunderstood science concepts by experiencing inquiry activities. For his,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evant unit in advance. The textbook analysis framework was selected first and the categories of attitude, inquiry,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Dynamic Chemistry Reaction unit of the Chemistry I textbook were analyzed. The 5E circular learning model is a modified form of the circular learning model that consists of three steps: exploration, concept introduction, and concept application. It consists of the participation, exploration, explanation, elaboration, and evaluation stages by adding the participation stage checking students' prior knowledge and the evaluation stage assessing the level of improvement in class activities. The 5E circular learning model guides students to form scientific knowledge and bring about changes in science concepts through inquiry. Through the analysis of prior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5E circular learning model cultivates the core competency of science: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ientific thinking ability,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scientific problem-solving skills and results significant academic achievement by bringing in inquiry-oriented activities. As textbooks are universally used by all students across the country, it was determined that a lesson plan that could be commonly applied to many students could be prepared through textbook analysis. Accordingly, the Dynamic Chemistry Reaction unit of 9 kinds of 2015 revised curriculum chemistry I textbook was analyzed. Not only the research activities within the dynamic chemical reaction unit but also diverse experimental and thinking-centered inquiry activities were presented evenly in the textbooks. There were also a number of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independently solved problems through group activitie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 lesson plan applying the 5E circular learning model, which can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the various inquiry process and utilize evaluation items in textbooks as well. In this study, a lesson plan applying the 5E circular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and among the activities presented in the Dynamic Chemistry Reaction unit, 'Dynamic equilibrium in water phase equilibrium', 'Calculation of acetic acid content in vinegar', and 'Measurement of heat flow in chemical reactions' were selected as its themes. Through this lesson plan, students are expected to actively explore and solve problems, form scientific concepts, and develop scientific thinking, scientific inquiry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본 연구의 목적은 많은 학생이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Ⅰ 역동적인 화학 반응 단원을 학습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어 해당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높이고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과학과 핵심역량을 키울 수 있고, 탐구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과학지식을 구성하고, 오개념을 올바른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5E 순환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에 해당 단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교과서 분석 틀을 선정하여 화학Ⅰ 교과서 역동적인 화학 반응 단원의 태도, 탐구, 교수·학습 지도, 평가의 범주를 분석하였다. 5E 순환학습 모형은 탐색, 개념 도입, 개념적용의 3단계로 이루어진 순환학습 모형의 변형된 형태이다. 학생들의 선행지식을 확인하는 참여단계와 수업 활동에 대한 향상 정도를 평가하는 평가단계를 추가하여 참여, 탐색, 설명, 정교화, 평가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5E 순환학습 모형은 탐구를 통해 학생들의 과학 지식을 형성하고 과학 개념의 변화를 끌어내도록 안내하고 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5E 순환학습 모형은 과학과 핵심역량인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을 함양하고, 탐구 중심의 활동을 통해 유의미한 학업성취도 향상을 끌어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교과서는 전국 모든 학생이 사용하는 보편적인 교재이기 때문에 교과서 분석을 통해 많은 학생에게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업지도안을 작성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9종의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Ⅰ 교과서 역동적인 화학 반응 단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역동적인 화학 반응 단원 내 탐구 활동뿐만 아니라 실험탐구, 사고 중심 탐구 활동이 골고루 제시되어 있었으며, 학생들이 모둠별 활동을 통해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탐구 활동을 적용해 학생들이 탐구 과정을 경험하고 교과서 평가 문항까지 활용할 수 있는 5E 순환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지도안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역동적인 화학 반응 단원에 제시된 탐구 활동 중에서 ‘물의 상평형에서의 동적 평형’, ‘식초 속 아세트산 함량 계산’, ‘화학 반응에서 열의 출입 측정’을 주제로 선정하여 5E 순환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 수업지도안을 통해 학생들은 능동적으로 문제를 탐색하고 해결하며,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고 과학적 사고력, 과학 탐구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