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06학년도 신입생 특성 기초 조사

        황혜자,박현주,최미경 동아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007 學生硏究 Vol.35 No.-

        2006학년도 신입생 특성 기초 조사를 통해 몇 가지 소견을 얻을 수 있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입생들은 우리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가 무엇인가에 대해 40.5%가 고용불안과 청년신업이라고 응답했고 교수와 의논하고 싶은 문제로 25.0%가 취업문제라고 응답했다. 따라서 각 학부 및 학과별로 취업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여 신입생 들에게 취업과 관련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해야 할 것이며 진로 및 취업을 위한 다양한 특강 및 진로 선택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 신입생들이 학생상담센터에 가장 바라는 점은 심리 검사와 개인 상담 활동의 강화 (26.1%) 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입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우선적으로 충원하고 다양한 상담 프로그램을 및 특강을 통해 신입생들이 대학생활에 효율적으로 적응하고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것 이다. 3) 신입생들이 학생상담센터에서 가장 상담 받고 싶은 영역은 장래 취업 문제 (39.6%) 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입생들의 49.1%가 장래에 갖고 싶은 직종으로 전공과 관련된 직종이라 응답하고 있으며 학생상담센터 프로그램 중 가장 참여하고 싶은 분야에 대한 질문에서 진로 상담(44.6%)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관련하여 학생 상담센터에서 진로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우선적이라 할 수 있겠다. 4) 집단상담, 온라인상담. 성·여성관련 교육 및 상담 등 학생상담센터의 다양한 이용에 대한 안내로서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5) 학생들을 위한 상담 시설 교육 시설 연구 시설의 파악과 이들 시설의 확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2006학년도 재학생 실태 조사

        황혜자,이상룡,최미경 동아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007 學生硏究 Vol.35 No.-

        학교의 발전은 구성원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학교의 발전이 바로 구성원의 발전이고, 구성원의 발전이 바로 학교의 발전이다. 이는 학교의 모습이 구성원의 모습과 통일함을 말해준다. 역으로 말해보면 구성원의 모습이 바로 학교의 모습인 것이다. 그러므로 구성원의 모습을 통한 학교의 모습을 보기 위해 매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재학생 실태조사는 단지 구성원의 모습을 파악함으로써 학교의 모습을 보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만은 아니다. 구성원의 실태를 앎으로써 구성원의 변화를 시도하고 그 변화를 통하여 학교 모습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것이다. 한 집단의 발전방향과 발전정도는 그 집단 구성원의 조건에 크게 의존한다. 따라서 대학의 발전방향과 발전정도는 구성원의 조건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학구성원의 중요축인 재학생들의 조건과 상태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대학의 발전방향을 재정립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재학생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개인의 행동은 환경과 인성의 상호작용에 따라 나타난다. 따라서 본교 재학생들의 생활모습과 가치관 등을 분석하여 이를 개선하는 학교정책의 선정은 학생들이 만나는 환경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학생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변화된 학생 행동은 학교 모습을 변화시켜 준다. 따라서 본 조사연구는 2006학년도 재학하고 있는 2, 3, 4 학년들의 생활 특성, 가치관, 전공관 등을 분석하여 재학생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 한 학생지도 방안과 대학의 교육방향 정립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2004학년도 재학생 실태조사

        최청일,이상룡,김주현 동아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004 學生硏究 Vol.33 No.-

        학교의 발전은 구성원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학교의 발전이 바로 구성원의 발전이고, 구성원의 발전이 바로 학교의 발전이다. 이는 학교의 모습이 구성원의 모습과 동일함을 말해준다. 역으로 말해보면 구성원의 모습이 바로 학교의 모습인 것이다. 그러므로 구성원의 모습을 통한 학교의 모습을 보기 위해 매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재학생 실태조사는 단지 구성원의 모습을 파악함으로써 학교의 모습을 보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만은 아니다. 구성원의 실태를 앓으로써 구성원의 변화를 시도하고 그 변화를 통하여 학교 모습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것이다. 한 집단의 발전방향과 발전정도는 그 집단 구성원의 조건에 크게 의존한다. 따라서 대학의 발전방향과 발전정도는 구성원의 조건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학구성원의 중요축인 재학생들의 조건과 상태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대학의 발전방향을 재정립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재학생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개인의 행동은 환경과 인성의 상호작용에 따라 나타난다. 따라서 본교 재학생들의 생활 모습과 가치관 등을 분석하여 이를 개선하는 학교정책의 선정은 학생들이 만나는 환경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학생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변화된 학생 행동은 학교 모습을 변화시켜 준다. 따라서 본 조사연구는 2004학년도에 재학하고 있는 2, 3, 4 학년들의 생활 특성, 가치관, 전공관 둥을 분석하여 재학생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학생지도 방안과 대학의 교육방향 정립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대학(원)생의 성의식 및 성폭력 실태조사

        최청일,박자연 동아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004 學生硏究 Vol.33 No.-

        본 조사에서는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성지식과 성의식, 성경험과 성폭력 실태, 그리고 성폭력 처리 규정과 성폭력 상담실에 대한 인지 등을 파악하여 대학 내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30세 이하의 본교 재학생 1,032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생의 성지식과 성의식 수준을 살펴보면, 피임, 임신, 성폭력 등 전체적 인 성지식 수준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13.03점/총 20점), 이는 학생들이 성에 대한 지식을 주로 친구나 선배 (35.8%) 또는 인터넷 (21.4%)을 통해 얻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성의식 중에서 학생들이 감정이나 성적 용구, 성적 접촉, 피임 등에 있어 자신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성적의사결정능력 수준 역시 다소 낮았으며 (36.65점/총 50점), 특히 여자가 남자보다 자신의 성적 의사를 표현함에 있어 다소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폭력에 대한 태도 유형은 적극적 대처형 (35.9%)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사회 규범 책임형(28.3%), 의식개혁 주장형(23.4%), 피해자 비난형 (12.4%)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폭력에 대한 인식에서는 언어적·비언어적·물리적 행동들 모두에 대해서 성폭력이 ‘맞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아니다’라고 응답한 비율보다 높았으나 많은 학생들이 물리적 행동은 성폭력이라고 쉽게 인식하는 반면, 언어적 행동은 성폭력이라고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러한 성폭력 행위들에 대한 인식은 성별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이로 인해 성폭력이 발생할 경우 갈등이 유발 될 수도 있다. 둘째, 성경험 및 성폭력 실태를 살펴보면, 많은 학생들이 이성교제 경험이 있으며 (86.2%), 이 때 경험한 신체적 접촉은 키스(33.7%), 섹스(19.4%), 애무 (12.6%)의 순으로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대부분의 학생이 어느 정도 이상의 신체적 접촉 경험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폭력 경험 중 가해경험과 피해경험 모두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난 항목은 ‘여성 다움, 남성다움에 대한 강요’, ‘신체나 외모에 대한 평가나 조롱’, ‘몸을 훑어보거나 특 정 부위를 주시’ 행위인데, 이는 성폭력에 대한 인식률이 매우 낮은 항목과 일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폭력에 대한 인식과 실제 가해 ? 피해경험에는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의 비율이 대체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많은 항 목에서 가해경험에 비해 피해경혐의 비율이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피해 자들은 그러한 행위를 성폭력으로 인식하는 반면, 가해자들은 자신의 행위를 성폭력으 로 잘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성폭력의 가해경험은 주로 남자가 많고 피해경험은 주로 여자가 많았으나 몇 몇 언어적·비언어적 항목에서는 남자와 여자의 피해경험의 비율이 비슷하거나 오히려 남자의 피해경험이 많았다. 또한 전체 항목의 가해경험 중 여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28.5% 이고, 피해경험 중 남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35.2%라는 점으로 볼 때, ‘성폭력에서 가해자는 곧 남자이고, 피해자는 곧 여자’라는 사회적 통념은 잘못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가해자와 피해자가 응답한 상대방의 지위를 살펴보면, 외부인과 상대를 모르는 경우를 제외하면 가해자나 피해자 구분 없이 본교 남학생이 그 대상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언어적·비언어적 성폭력은 지위나 성별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가해와 피해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 그 심각성을 알 수 있다. 언어적·비언어적 · 물리적 성폭력을 경험할 경우에 학생들은 즉각적으로 중지를 요구하면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42.0%) , 만약 성폭력 상황에서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피해 사실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싶지 않기 때문이거나(32.1%)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방법을 모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26.6%).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상담하고 싶은 사람은 친구나 선후배 (54.1%) 그리고 상담기관(18.2%) 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폭력 처리 규정 및 성폭력 상담실에 대해 살펴보면, 절반 이상의 학생이 본교의 성폭력 처리 규정을 전혀 모른다고 응답해(54.9%) 성폭력 처리 -규정의 인지도가 매우 낮으며, 특히 여자들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절반가량의 학생들이 성폭력 처리 규정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8.6%). 한편, 성폭력 상담실에 대한 인지도 역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35.2%) 실제 성폭력 상황에서 학생들이 상담실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반면, 학내에서 성폭력 피해를 목격하거나 당하게 될 경우 성폭력 상담실에 문의할 것이라는 응답은 높게 나타났다(60.9%). 따라서 피임, 임신, 성병 동 성지식 전반에 관한 강연(49.3%)을 개최하거나 이성관계의 갈증 해소와 관계 증진을 위한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40.2)을 활성화하는 등 평소에 성폭력 상담실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할 경우 학생들은 성폭력 상황에서 상담실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요청할 것으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대학(원)생들이 생각하는 학내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성지식, 성폭력 예방 관련 프로그램이나 과목을 의무적으로 수강하도록 하거나 (44.6%) 성희롱·성폭력 예방을 위한 전체 학생·교직원 대상의 정기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40.9%). 그 외에도 성차별·성희롱·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학교의 지원을 확대하거나(39.7%) 평등한 대학 내 성문화 장착을 위한 캠페인과 행사를 실시하며(35.2%) 성폭력 예방과 처리에 관한 규정의 수정 등 제도를 보완하는 것 (19.5%) 역시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황혜자,유선림 동아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004 學生硏究 Vol.33 No.-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대학교 학생들이며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22명이다. 이들은 학생상담 센타 주최로 공고된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이라는 공고문을 보고 자발적으로 참여한 학생들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1명씩 무선배치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는 집단상담을 실시하기 전 대인관계능력 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가 이루어졌고, 집단상담은 매 회 120분, 주 1회로 10회 과정으로 이루어 있다. 집단상담을 실시 후 대인관계능력 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가 이루어져 하위요인별로 채점하였다. 또한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에서 얻어진 점수를 근거로 각 가설에 따라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집단 간의 평균차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접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므로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인 일반적 능력에 대한 점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므로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의 일반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인 사회적 능력에 대한 접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므로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의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인 학교적 능력에 대한 접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므로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의 학교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인 가정적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점은 자아존중감의 가정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집단상담의 효율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 2004학년도 신입생 특성 기초조사

        박현주,박자연,김유진 동아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004 學生硏究 Vol.33 No.-

        본 조사는 2004학년도 신입생들의 가치관, 성향 또는 학업에 대한 관심 등의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인 특성과 신입생의 주변환경 요소를 파악하여 학생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적합한 상담과 진로지도의 방안을 수립하며 학생 관련 연구를 돕기 위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 대학생들의 사교육비에 관한 연구

        노태익,박자연 동아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004 學生硏究 Vol.33 No.-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사교육비의 지출 정도, 지출 내역, 사교육 기관 이용 경험 등 일반 사교육비와 취업 관련 사교육비의 지출 실태를 파악하고 사교육비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대학생 1,6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생의 일반 사교육비 지출 실태를 살펴보면, 대학생들이 교재비, 학습자료 및 문구류 구입비, 하숙 및 자취비, 교통비, 각종 수강료 및 학원비, 각종 시험 응시료, 연수비 등 사교육을 위하여 1년간 지출한 비용은 평균 1,281,200원으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교육비는 특히 성별과 가계의 소득수준에 따라서 지출 정도가 달랐는데, 남자가 여자보다, 그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사교육비의 지출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이 지출하는 사교육비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교재, 학습자료 및 문구류 구입비’(43%) 와 ‘각종 수강료’(34%) 이며, 이를 충당하기 위해 ‘부모님 (가족)의 용돈’(62.5%)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교육비로 인해 많은 대학생들이 경제적으로 부담을 느끼고 (48.6%) 다른 항목의 지출을 감소시켰으며 (59.8%), 이는 가계의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더욱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대학생의 취업 관련 사교육비의 지출 실태를 살펴보면, 대학생들이 외국어나 컴퓨터 학습 또는 각종 자격증 취득을 위하여 각종 교재를 구입하거나 강의를 수강하고 시험에 응시하는 등 취업과 관련하여 1년간 지출한 사교육비는 평균 439,800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취업 관련 사교육비는 학년이 높을수록 지출액이 커지며, 특히 4학년은 1학년의 2배 이상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나 4학년의 취업 관련 사교육비의 부담이 큰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소득수준에 따라서는 일반 사교육비와 마찬가지로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취업 관련 사교육비의 지출 정도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취업 관련 사교육비 중에서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응답한 항목은 ‘토익·토플·웹스’(53.4%), ‘영어회화’(30 .4%), ‘자격증 취득 학습’(19.5%), ‘국가고시 및 각종 시험대비 학습’(14.4%) 등의 순으로 나타나 많은 대학생들이 취업을 위해서 영어 학습과 자격증 취득에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를 위해 최근 1년간 대학생의 2/3가량(62.5%)이 학원, 인터넷 동영상 강의 등 사교육 기관을 이용하였고, 이 중에서 ‘2개 이상’의 사교육 기관을 이용하거나(26.9%), 주당 ‘5시간을 초과’하여 이용하는 경우도 많았다(23.4%). 이러한 비율은 학년이 높을수록 모두 높게 나타나 취업이 가까워 질수록 사교육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가 더욱 많아짐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취업 관련 사교육 기관을 이용한 후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보다는 만족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26.2%), 많은 대학생들이 사교육 기관의 이용이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1%). 전체 응답자 중 2/3가량이 추후 1년간 취업과 관련하여 사교육 기관을 이용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는데(63%), 이는 최근 1년간 사교육 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비율 (62.5%)과 비슷하며 특히 고학년이 되는 3학년과 2학년이 높게 응답한 점으로 보아 사교육비의 지출 규모가 앞으로도 감소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학생들이 취업과 관련하여 추후 1년간 지출할 계획이 있는 사교육비는 ‘토익?토플?댐스'(59.9%), ‘영어회화’(42.5%), ‘자격증 취득 학습', ‘국가고시 및 각종 시험대비 학습’(22.9%)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최근 1년간 지출한 비율이 높은 항목들과 일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항목에 대한 대학생들의 교육 욕구가 지속적이고 사교육비의 지출이 되풀이되는 만큼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할 것이다.

      •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른 유아 교육 기관에서 실시되는 특별활동에 대한 인식

        박영태,안수정 동아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007 學生硏究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mand and the appreciation of parents those feeling need of extracurricular activity in the children education cente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rete research goals are set up. 1) How is the actual condi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y being performed in the children education center (for instance, kindergartens and nurseries)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2) How is the demand of extracurricular activity being performed in the children education center (for instance, kindergartens and nurseries)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This work surveyed the parents of children in the children education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distributed 350 copies of questionnaire asking the parents' demand and appreciation to the need of extracurricular activity in the children education center. In the retrieved copies, some vague responses are excluded so totally 321 parents' responses are selected as the final study objects.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hich had been used in the work of Lee Myung-jo (2003) has been amended and complemen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research the parents' demand and appreciation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The summarized result is followed below. Firs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parents of 3-4 year old children and those of 5 year old children. In case of 3-4 year old children's parents, they selected the children education center under consideration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are greatly satisfied with it. The intent was to develop their children's talents and nature.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is that it enhanced their interest. But the parents mentioned mental stress to consider the progress level and interest of their children. In case of 5 year old children's parents, they showed a variety of responses not sticking to one purpose. Second, there is difference between parents of 3-4 year old children and those of 5 year old children in the areas about foremost considering factors in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the form of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the number of types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the carry-out time, the need of teachers having the diploma of the children education, special field of teachers and future direction for improvement. In case of parents of 3-4 year old children, it is preferred to make all children participate in the activity and 3 or 4 activities are highly marked. The parents prefer teachers who majored in subject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o those who majored in children education. They think that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should extend and complement the regular curricular activities in school. In case of 5 year old children's parents, the content of extracurricular activity is highly scored (53%), most parents insist that the participation should b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activity. And they preferred 2-3 types of activity on the question about the number of types. The response to the question about the carry-out time is even. The result shows that teachers of extracurricular activity who majored in children education are highly preferred. Lastly, on the question about the future direction for improvement, parents hoped the complementation of the public education with divided and specialized subjects.

      • 유아놀이 환경으로서의 가상공간이 교육적 함의

        박영태,전철욱 동아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004 學生硏究 Vol.33 No.-

        Recently a tendency in research is arising to focus on young children’s internal representation, through which inner world, especially emotional world of young children is presumed to be more realistically revealed. This study intended to survey research works and related perspectives to grasp clear picture about the concept of young children’s mental representation and its role in the course of their social, emotional, interpersonal developments, and the schemes for measuring young children’s internal representation as well. The conclusions deriv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ly, Young children develop their affection capacities in the process of life experiences in which they feel and also make affective meanings out of everyday events they face. Internal representations play a critic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s, social skills, and problem-find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ly, emotion has been recognized to execute a lead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s internal representation about self and others. Infants express their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needs through intensified emotional behavior, and when these needs are resolved by caregivers’ appropriate respondent actions young children can recover their emotional equilibrium and start to explore around the world. As these experiences accumulate, trusts and beliefs in themselves as well as in others are being formed, and their capacity to deal with conflicts and imbalances in everyday life situations are being developed. These trusts and beliefs are the basis for young children’s formation of positive mental representations of self and of others. Thirdly, narratives young children express in play situations are found to be vital pathways to reveal their inner world, and a group of researchers have structured a comprehensive scale, MacArthur Story-Stem Battery(MSSB) ,based on the revisions of previous scales that have shortcomings for some reasons and additions of more varieties in young children' s developmental areas, which can efficiently assesses young children’s internal mental representations. MSSB has now acquired much of its validity and credibility through works of many researchers. 놀이는 유아의 삶 자체이며, 동시에 가장 강력한 학습수단이다. 놀이는 긍정적인 정서와 관련되고 비현실적이며 과정 지향적인 행동으로 학습의 다양한 측면을 유아 중심적이며 풍부하고 지지적인 맥락으로 통합하는 활동인 것이다. 유아의 자발성 시장, 욕구충족, 갈동 해소, 발달 촉진 등을 반영하는 역할을 하는 놀이도 일반적인 학습능력 함양과 더불어 유아의 연령, 성차, 지적 능력, 가정환경 등을 포함한 개인적인 요인과 부모, 또래, 교사와 같은 인적 요인을 포함하는 사회적 환경,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장소 또는 배경을 의미하는 물리적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이기숙, 1995; 이숙재, 1997). 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 중 최근에 많이 등장하는 것이 컴퓨터에 관한 연구이며 컴퓨터 환경 중 특히 유아에게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이 인터넷이다. 웹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교육은 대부분 가상공간 중심의 교육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작용 하면서 실시하는 면대면 교육과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가상공간의 의미 및 특성을 알아보는 것은 매우 의의가 높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는 놀이를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질 때 가장 효과가 높음을 감안하여, 유아놀이 환경의 유형과 특성 및 가상공간의 특성을 살펴보고, 놀이환경으로서의 가상공간의 교육적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그 구체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놀이의 유형으로 제시된 기능놀이, 구성놀이, 신체놀이, 교수놀이, 게임, 역할놀이 중 신체놀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놀이는 가상공간의 놀이로써도 충분히 개발·제공 가능하다. 둘째, 일반적인 놀이환경으로서의 특성인 효과적 교육과정운영 및 유아의 발달을 촉진시키고(이기숙, 1995) 유아의 능동적 놀이 활동, 놀이 지속 시간, 친구들과의 협력태도 증진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유아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정서적으로 편안하고 평화로움을 느낄 수 있는 분위기, 유아가 능동적으로 탐색하고 움직이며 놀이하고 폭 넓은 경험을 하도록 지지하는 교사, 유아가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적 공간의 확보 동의 특성도 가상공간의 특성인 의사소통 능력, 상호작용적 의사소통, 새로운 사고방식이나 새로운 전략 경험, 독특한 사회적 의사소통 구조를 반영하여 적용한다면 충분히 가능할 뿐 아니라 오히려 일반적인 놀이환경의 특성에서 드러나지 않는 시공간을 초월한 비동시적 상호작용까지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셋째, 연령별 놀이환경 구성 및 연령별 발달에 적합한 놀이 특성은 결국 놀이환경으로서의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구성 및 제작할 시 고려해야 하는 특성으로써 유아가 가상공간에서 교육적 가치가 높은 학습을 경험 하는가 아닌가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는가 아닌가의 여부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놀이환경으로서의 가상공간의 교육적 특성은 추후 직접 가상공간을 통한 놀이 프로그램을 구성 및 실시한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의 바탕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유아를 육성할 수 있는 다른 접근 방법 및 연구로서의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비록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하드웨어의 발전을 뒤따르고 있는 수준이기는 하지만, 최근의 교육이론과 교육공학 기술의 발달과 부합하여 유아들의 문제해결능력과 창의력을 길러 줄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이경우, 1996)되고 있으므로 가상공간의 다양한 활동방법을 통해 유아의 창의성, 사회성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정한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에서 도출된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제언하면 가상공간에서의 놀이 역시 일반놀이 환경으로서의 특성을 포함할 뿐 아니라 유아의 정서․사회성․인지․창의성 발달 등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높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유아에게 제공한다면 오히려 가상공간을 통한 놀이환경 제공이 더 많은 장점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상공간에서의 놀이를 통한 학습은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유아의 정의적 내적 표상과 그 측정방안 연구

        정숙경,이현정,박정화 동아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004 學生硏究 Vol.33 No.-

        최근 유아발달에 관한 탐구에서, 유아들이 발달 초기에 형성하는 정의적 내적 표상이 유아기 성장과정에 미치는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이에 관한 연구와 그 측정도구 개발에 연구자들의 관심이 시작되고 있다. 내적 표상이란 유아가 자기, 타인, 또는 특정 대상에 대해 느끼고 지각한 경험에 대해 의미를 구성한 결과로서의 이미지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내적 표상이 무엇이며 어떻게 형성되고 유아발달에서의 그 역할이 어떠하며, 그리고 그 측정방안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내적 표상은 유아가 경험했던 느낌, 정서 상태, 정서적 의미구성 동의결과에 의해 유아의 마음속에서 자기, 타인 및 기타 대상들에 대해 형성시킨 이미지를 말하는 것으로, 후속되는 사회적, 정서적, 대인관계 기술 동의 발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유아의 내적 표상 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초기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의 질이며, 건전하게 형성된 내적 표상은 자기 및 타인을 이해하고 다양한 사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 형성의 기반이 된다. 그러나 내적 표상은 유아 각자의 경험에 따라 다양한 개인차를 보인다. 내적 표상을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통로는 유아들의 네레이티브이다. 네레이티브란 특정 주제에 의한 놀이 상황 속에서 유아가 표현하는 언어적 반응을 말하며, 연구자들은 네레이티브 분석을 통해 유아들의 내적 정서적 세계를 이해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둘째, 초기 내적 표상의 형성은 유아의 정서에 의해 안내되어진다. 출생 직후부터 여러 가지 생리적, 심리적 욕구들에 의해 고조된 어린 유아들의 정서적 긴장이 양육자의 즉각적이고 민감한 반응에 의해 해소되는 과정이 반복되어지면, 어린 유아들은 자신의 능력에 대해 신뢰감을 형성하며, 타인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를 형성하고, 나아가 환경에 대한 탐색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경향성을 발달시킨다. 따라서 생애 초기 어린 유아와 양육자간의 상호작용관계의 질은 유아들의 건전한 내적 표상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렇게 시작된 자기 및 중요한 타인에 대한 긍정적 표상의 형성은 유아들의 정서적 조절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기술과 같은 사회적 기능, 문제의 발견 및 해결 능력과 같은 고차적 사고과정의 발달을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셋째, 유아의 내적 표상을 측정하기 위한 기존 방법에는 놀이면담 및 놀이심리치료, 네레이티브를 분석하는 분리불안검사와 애착이야기완성검사 퉁이 있지만, 각기 방법적 접근 상의 문제 또는 유아들의 제한된 인지적, 언어적 능력으로 인한 측정 상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내적 표상 연구자들이 기존 네레이티브 척도들의 구성 내용과 이들 척도들을 사용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고 그 단점들을 보완하여 유아들의 언어적, 인지적 특성에 적합하게 제작한 내적표상 측정도구가 MacArthur StoryStem Battery(MSSB)이다. MSSB는 유아들의 언어적 발달, 도덕성 및 친사회성 발달 등의 여러 측면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서, 유아들의 진정한 내적 표상을 밝혀 줄 수 있는 도구로서의 타당도와 경험적 신뢰도가 입증되어지고 있다. Recently a tendency in research is arising to focus on young children’s internal representation, through which inner world, especially emotional world of young children is presumed to be more realistically revealed. This study intended to survey research works and related perspectives to grasp clear picture about the concept of young children’s mental representation and its role in the course of their social, emotional, interpersonal developments, and the schemes for measuring young children’s internal representation as well. The conclusions deriv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Young children develop their affection capacities in the process of life experiences in which they feel and also make affective meanings out of everyday events they face. Internal representations play a critic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s, social skills, and problem-find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ly, emotion has been recognized to execute a lead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s internal representation about self and others. Infants express their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needs through intensified emotional behavior, and when these needs are resolved by caregivers’ appropriate respondent actions young children can recover their emotional equilibrium and start to explore around the world. As these experiences accumulate, trusts and beliefs in themselves as well as in others are being formed, and their capacity to deal with conflicts and imbalances in everyday life situations are being developed. These trusts and beliefs are the basis for young children’s formation of positive mental representations of self and of others. Thirdly, naπatives young children express in play situations are found to be vital pathways to reveal their inner world, and a group of researchers have structured a comprehensive scale, MacArthur Story-Stem Battery(MSSB) ,based on the revlslOns of previous scaJes that have shortcomings for some reasons and additions of more varieties in young childreo' s developmentaJ areas, which can efficiently assesses young children’s intenal mental representations. MSSB has now acquired much of its validity and credibility through works of many resear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