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패션과 텍스타일에 나타난 저패니즘(Japanism)에 관한 연구 : 젠(Zen) 스타일을 중심으로

        황혜란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전통적인 미와 선(禪) 사상이 일본 패션에 접목된 배경과 그 조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일본 패션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세계화에 성공할 수 있었는지를 분석하여 그 성공요인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저패니즘 패션과 텍스타일에 나타나고 있는 젠 스타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관련문헌연구 및 디자이너의 작품을 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패션에 대한 연구는 복식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텍스타일에 대한 분석은 주거용 실내인테리어를 증심으로 하였다. 먼저 저패니즘 패션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선사상의 특징을 분석하였는데 먼저 정신적 자기 훈련의 방법으로 실천적 행위의 규범을 준수한다는 것과 간결성과 단순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언어나 문자의 매개에 의존하지 않는 직접 체험과 실천과 반복의 수행의 지속을 중시하고 있다. 그리고 완전한 상태에서의 절제에 가치를 부여하였으며 자연 친화적인 사상이라 는 것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미의 근원이 되고 있는 선사상이 젠 스타일에 어떻게 적용되어 있는지 연계하여 밝혀 보았다. 첫째, 규칙과 관념에 얽매이지 않는다. 이는 의복의 본질적인 기능을 해체하고 형태와 구조를 파괴함으로써 나타나는 자유로운 무형식의 상태와 성의 관념을 뛰어넘은 양성적, 무성적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간결함과 단순함을 미학으로 한다. 간결한 조형적 라인의 추구와 단순한 형태로 장식이나 디테일이 배제된 스타일을 추구하고 있다. 셋째, 드러나지 않고 절제됨을 소중히 하여 내면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자연 색과 모노톤의 단색 혹은 무채색을 사용하여 나타나고 있다. 넷째, 수행과 실천의 어려움을 소중히 하여 이를 완전한 상태에서 절제를 통한 빈곤의 미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올 풀기, 찢기, 등을 통하여 의도된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다섯째, 자연 친화적이다. 자연과의 친화를 소중히 하여 천연소재를 사용하고 자연적 질감 등을 표현하고 있다. 저패니즘 텍스타일에 나타난 젠 스타일은 주거용 실내 인테리어를 중심으로 침구류와 가구마감용, 그리고 장식용 텍스타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공통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주름이나 장식 등 악세서리를 자제하고 소재 자체의 광택, 재질 등의 특성만을 이용하였으며 무늬가 없는 무채색의 단일색 직물을 사용하고 천연직물을 애용하여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조형미로 나타난 젠 스타일은 서구의 패션과 텍스타일에서 동양과 서양의 화합에 근거한 퓨전 스타일로 응용되어 새로운 트렌드를 제시하게 되었다. 젠 스타일을 응용하여 나타난 퓨전 스타일패션의 일반적 특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착장방법을 통한 응용으로 나타났는데 일본전통복식인 기모노를 서구의 스커트나 바지와 매치 하거나, 기모노를 서구의 자켓으로 표현하여 바지와 함께 나타내고 있다. 둘째, 형태의 변형을 통한 응용으로 나타났으며 기모노를 원피스 혹은 코트로 변형하여 나타내거나, 오비의 응용 등을 통하여 표현하였으며, 젠 스타일의 저패니즘 패션에 나타나는 의복의 불확정성을 이용하여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를 이용한 응용으로 나타났으며 간결하고 단순한 색감 혹은 일본의 전통적인 자수나 문양을 서구적인 패션에 절충하여 나타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젠 스타일을 응용한 퓨전 스타일의 텍스타일은 동양적인 고즈넉한 멋과 모던한 미니멀리즘이 융합되거나, 자연적이고 정적인 아름다움과 인공미의 접목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연구결과 저패니즘 패션의 성공은 동양문화의 뿌리가 되고 있는 선사상이 탈 중심화되고 탈 획일화를 추구하고자 하는 새로운 패션트렌드와 교감이 형성되면서 서구화를 모방하는 것이 아닌 전통의 미를 살리고 계승하고자 하는 철학적 접근이 세계패션계에 수용되어 왔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패션산업 발전을 위한 아래와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패션이 세계무대에서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저패니즘 패션의 성공에서 보듯이 한국적 이미지의 정체성을 확고히 한 후 차별성과 공통성을 세계적 감각으로 표현하여 세계적 공감을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한국패션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부, 업계, 학계 등의 상호협력과 지원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정부는 산업경쟁력 확보 차원에서의 거시적 지원이 필요하고 업계는 소비자의 니즈(Needs)를 철저히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과 상호협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set out to understand the backgrounds of the incorporation of the traditional beauty and Zen ideas into the Japanese fashion, as well as their plastic characteristics. It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through which the Japanese fashion succeeded in globalization and to find out the success factors. For those purposes, the Zen styles in the Japanism fashion and textile were analyzed, and related literature studies and designer works were examined. The fashion study focused on dress and its ornaments while the analysis of textile was based on the household interior. First it was analyzed what characteristics of the Zen ideas they used in making them the base for the Japanism fashion; they followed the rules of practical actions as a way to cultivate their minds. They also valued conciseness and simplicity. Instead of relying on the media such as language and letters, they thought high of the persistency of direct experiences, practices, and repetitive ascetic exercises. Finally what they placed high values on included the control in the perfect situations and nature-friendly ideas. Being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beauty, the Zen ideas were applied to the Zen style in the following ways: First, there is no strict observation of rules and notions, which is reflected in the state of free formlessness by destroying the intrinsic functions of clothes and in the bisexual and sexless images by transcending the sex concepts. Second, the two major elements of the aesthetics are conciseness and simplicity. They pursue the styles with ornaments or details eliminated by using simple plastic lines and forms. Third, control that is not revealed is valued, and thus inner beauty is pursued, which is proved in the use of natural colors, mono-tone single hues, and achromatic colors. Fourth, ascetic exercises and practices are thought high of because of their difficulty and expressed in poor looks through the control in a perfect situation. Such intended images as running plies or torn down strands are used for that purpose. Fifth, the word is nature-friendliness, which is so valued that almost only natural materials and textures are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Zen style found in the Japanism textile, the bedclothes, furniture finishes, and decorative textile of the household interior were analyzed. Their shared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pleats, frills, ornaments and other accessories was controlled. The luster and quality inherent in the materials were used. And single achromatic colored textiles with no patterns or natural textiles were favored. Having these plastic aesthetics, the Zen style was applied in the Western fashion and textile and reborn as the new trend called the fusion style based on the harmony of the East and We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fusion style fashion that had the Zen style applied are as follows; First, the application through creative methods is found. A kimono, the Japanese traditional dress, is matched with a Western skirt or pants. It is also presented as a jacket to be worn with a pair of pants. Second, application is made by altering forms. The examples include the kimonos that are transformed into one pieces or coats and obis that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look. The uncertainty of the Zen style clothes in the Japanism fashion was utilized. Third, images are used for applications. The concise and simple colors or the Japanese traditional embroidery and patterns are compromised in the Western fashion. Finally, the Zen style-applied fusion style had the textiles that had the quiet and gentle coolness and modern minimalism combined or the natural and static beauty and artificial beauty incorporated together. In short, the Zen ideas that are the roots of the Oriental cultures were encountering and interacting with the new fashion trends that pursued the styles that were not centralized or uniform. In the process, the Zen ideas didn't mimic the Western elements but approached them in a philosophical way to bring alive and pass down the traditional beauty. This approach of Zen was accepted in the international fashion world and ultimately resulted in the success of the Japanism fash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fashion industry: First, as it was apparent with the success story of the Japanism fashion, the Korean fashion needs to first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Korean images and express the differentiation and similarity in the international senses so that the world can sympathize with the Korean fashion and the Korean fashion can make a successful debut in the international stage. Second, the mutual cooperation and support among the government, the industry and the academics are critical to the success of the Korea's fashion industry.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a microscopic support program to secure the industry's competitive edge, and the industry should invest enormous amount of efforts in thoroughly understanding the consumer needs. And in the process the mutual cooperation and support must play an essential role.

      • 현대패션에 나타난 웰빙 트렌드에 대한 연구

        조수현 德成女子大學校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오늘날 급속히 변화해 가는 현대 산업사회에서 기계문명의 발달은 물질적 풍요를 가져다 준 반면, 인간의 정신을 황폐화 시키고 있다. 웰빙은 이와 같은 병폐를 인식한 사람들이 생명과 자연의 가치를 중시하고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면서 나타난 새로운 삶의 양식이다. 미국의 패스트푸드에 반대하여 전통적 식생활 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운동으로 시작된 슬로우 푸드 운동을 출발점으로 슬로비족, 보보스족, 로하스족 등의 신조어를 탄생시키고 있는 웰빙족은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고 있다. 이들을 소비대상으로 하고 있는 웰빙 산업은 일본 및 구미 선진국을 중심으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전 세계적으로 팽창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건강식품을 중심으로 웰빙 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이탈리아, 프랑스를 비롯하여 대체의학이 발달된 독일을 중심으로 웰빙 산업이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이처럼 웰빙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이유로는 출산율의 저하, 고령화 사회화로 인한 노년층의 증가, 환경오염, 물질 중심적 사고로 인한 인간성 상실 등에 기인한 것으로 자연회귀를 염원하는 자연주의 정신이 확산된데 있다. 웰빙 트렌드는 의식주 전반에 걸쳐 인위적 환경을 벗어나 환경친화적 삶으로 변화하려는 경향으로 인간과 자연을 존중한다. 패션산업에서 웰빙의 적용은 친환경 소재로 시작되었다. 새로운 기능을 갖추고 지구 환경과 건강을 고려한 대체섬유로서 패션 소재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친환경 소재에는 신기술적 소재와 재활용 소재, 자연소재 등이 있다. 웰빙 트렌드의 확산은 의류에 있어 건강을 생각하는 기능성 소재의 등장과 더불어 스포츠웨어의 개념을 변화시켰다. 스포츠웨어의 특징과 디자인 요소가 일상복에 도입되었으며 소비자의 감성을 겨냥한 웰빙 마케팅을 비롯하여 매장 인테리어에 이르기까지 월빙 트렌드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유기적 삶은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인 지향점이며 그 변화의 중심에는 웰빙이 있다. 이제 친환경적, 유기적 스타일을 만드는 것이 패션업계 담당자들에게 주어진 가장 큰 과제가 된 것이다. 본 논문은 웰빙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유형과 라이프스타일 및 패션산업에 반영된 웰빙 현상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진정한 웰빙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웰빙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며 소비자니즈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 생산함으로써 패션산업에 있어 긍정적인 웰빙 소비문화를 창출하고 정착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ough the development of mechanical civilization has brought human being material abundance in rapidly changing modem industrial society these days, it is causing metal desolateness. Well-being is settled as a new life style as those who recognize such malady, put importance to the value of life and nature and pursue physically and mentally healthy and happy life. Triggered by Slow Food movement that started in Europe in the middle of 1980s as a campaign to preserve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against the fast food of US, well-being tribe is reflecting the life style of modem men, creating new coined words such as slobbie, Bobos, and Lohas. Targeting them as consumers, well-being industry is growing explosively mainly in Japan and Western advanced countries, thereby expanding worldwide. While well-being industry grows in Japan, centering around health food, it also grows remarkably in Europe mainly by Italy, France and Germany where substitute medicine is developed. Such rapid growth of well-being market is owing to increasing aged caused by decreasing birth rate and trend to the aging society as well as lost humanity caused by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materialism, namely, the expansion of naturalism yearning for regression to nature. As a trend to deviate from artificial environment in all areas of clothes, food and shelter and to move toward environment-friendly life, well-being respects human being and nature. In the fashion industry, the application of well-being is originated from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As substitute fiber that is equipped with new function, considers global environment and health and presents the unlimited potential of fashion material,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are composed of new technological material, recycling material and natural material. With the emergence of functional material that considers health in the area of clothes, the expansion of well-being trend altered the concept of sportswear. As the character and design factor of sportswear is adopted in routine clothes, well-being trend is being diversely applied from well-being marketing that targets the emotion of consumer to the shop interior. While the organic life in which human being and nature co-exist is commonly pursued worldwide, well-being is at the center of the variation. Now the largest task given to those engaged in the fashion industry is to make environment-friendly and organic style. This dissertation is about well-being phenomenon that is reflected in the type of consumers pursuing well-being, life style and fashion industry. I expect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creating and settling positive well-being consumption culture in fashion industry by understanding true well-being, grasping the life style of modem men who pursue well-being and developing/manufacturing products that satisfy consumer's needs.

      • 스타 마케팅이 청소년의 패션 동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강북에 거주하고 있는 1318세대 중심으로

        장성희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뉴 미디어 다 매체시대에 24시간 노출된 오늘날의 10대들은 TV를 통해 다양한 문화를 접하며, 그 속에서 새로운 가�喚�라이프 스타일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친구와 함께 입을 옷이나 음반, 스타 캐릭터 상품을 구매하거나 TV스타들의 패션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활동을 하며, 스타의 말버릇이나 그들의 시각적인 모습인 패션 상품을 모방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모방이 지속되는 기간이 매우 짧아 곧바로 새로운 스타일을 받아들이면서 활발한 소비활동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스타일의 영감원을 주로 연예인들의 스타일을 그대로 모방하거나 또는 과장하여 입고자하는 성향이 강하며 국내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징을 갖고 있는 강북에 거주하고 있는 1318세대들로 하였다. 또한 그들의 패션 행동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TV스타를 모방하는 요인을 파악하므로서 그들의 패션 행동을 이해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패션 동조성과 욕구이론, 1318세대의 특징 및 성향과 스타마케팅에 대한 이론적 측면을 고찰하였으며 조사연구방법으로 설문지법을 실시하여 총 320부를 배포하여 305부를 최종 통계처리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를 사용하여 Today's teenagers tend to form their way of thinking and their own life style while they are influenced by multi-media including TV, movies, etc. They are considered as a group of main consumers opted to imitate how their favorite idols talk and look. However, the period of imitating their idols does not sustain for a long time. They tend to spend money again to follow the idols' very recent fashion style. The scop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tendency of teenagers living in Kang-buk and age of 13 to18 in terms of both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 The reason we have chosen the teenagers is because they have a strong tendency to imitate their idols' fashion style and are also very sensitive to follow a fashion trend in general. To carry out the theoretical aspect of this work, we have done literature search and looked into previous works. In addition to the theoretical study, we have done a survey where we hav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305 questionnaires out of 320 copies we have originally distributed. The SPSS is used to analyze the returned questionnaire statistically. We, first,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questions about desire-factor (how kind of cloth and how much they want to have), clothing-factor (how they wear cloth), TV-factor (how they are influenced by TV), star-marketing-factor (how they are aware of the star marketing), item-purchased (what kind of items they purchased), and process-of-purchasing (how they purchase clothes). According to the TV-factor, the study subjec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TV-star-loving group, those are imitating their idol aggressively, TV-loving group, those are aware of the fashion trend of their idol but not imitating aggressively, and unconcerned group, those are not aware of. We, then, study what are effects of the imitation of the teenagers living in Kang-buk and age of 13 to 18. The summary of the study is followed. First, a girls' group shows higher average than a boys' group in the clothing-factor and TV-factor. However, it does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it comes to the desire-factor, the star-marketing-factor, and the item-purchased. Second, the study subjects is more interest in colors and styles, so we can infer that they are not purchasing fashion items just because certain stars wear them on TV. Third, girls' and boys' group showed little differences in term of how their idols influence in buying the following items: suits, casual wear, sports wears, accessories, underwear, night clothes. However, both groups showed high interest in casual wear indicated by its high average. Finally, there was no relationship found among 3 groups categorized by TV-factor. In terms of fashion-related factors, the more they watch TV, the higher tendency to be influenced by TV stars' fashion as the TV-loving group showed high average of fashion related-factors. Suits were highly influenced by TV stars fashion in TV-loving group, whereas TV-star-loving group showed high influence from TV in sports wear, accessory, underwear.

      •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컬러선호도 :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이지윤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컬러마케팅을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라는 측면에서 컬러에 초점을 두어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컬러선호도, 그리고 킬러이미지스케일표를 이용해 소비자의 컬러선호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론 컬러마케팅 전락수립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본 연구는 20~30대 여성들을 편의표본 추출하여 409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사회과학통계 패키지(SPSSWIN V.10)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 x^2-test, 군집분석, 분산분석(F-검증), Duncan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0~30대 여성들이 선호하는 컬러이미지, 정장용 의복 컬러이미지, 캐주얼 의복 컬러이미지를 조사하고자 선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호하는 컬러이미지에서 내츄럴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밝은 이미지, 모던한 이미지의 순으로 선호하였다. 정장용 의복 이미지에서는 모던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고, 우아한 이미지, 내츄럴한 이미지 순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캐주얼에서는 경쾌한 이미지와 내츄럴한 이미지가 가장 높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2. 컬러 선호도는 의류와 상관없이 선호하는 컬러이미지와 의복 구입 시 선호하는 컬러이미지를 알아보고자 선호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색으로는 검정색이 선택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흰색, 파란색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가장 선호하는 색인 검정색이 선호하는 의복의 색상과 많이 구입하는 의복의 색상과 동일하게 검정색으로 나타났으며, 흰색도 같은 결과로 선호하는 색과 실제로 구입하는 의복의 색상과 동일한 색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3. 본 연구에서 조사한 20~30대 여성들을 라이프스타일에따라 독립적 활동, 경제실리, 혁신적, 사교적 정보 추구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라서 선호하는 컬러이미지, 패션관심도, 컬러관심도, 컬러선호도, 인구 통계적 특성에 차이를 보였다. 1)독립적 활동집단에 선호하는 정장용 의복 컬러이미지는 밝은, 귀여운 이미지를 선호하며, 캐주얼 의복 컬러이미지는 화려한, 다이나믹한, 경쾌한, 밝은, 귀여운 이미지를 선호하였다. 그리고 패션 관심도에서는 높은 관심을 보였으나, 컬러 관심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컬러 선호도는 흰색과 검정색 같은 무채색의 컬러를 선호하였다. 학력은 대학교 졸업(47%), 월 패션상품지출비용은 30만원 미만(41%)를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2)경제 실리집단이 선호하는 정장용 의복 컬러이미지와 캐주얼 의복 컬러 이미지는 온화한, 우아한, 내츄널한, 은은한 이미지를 선호하였다. 패션관심도에서는 의복을 중요시하고 개성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컬러관심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대학교 재학, 졸업이 (79%), 월패션상품지출비용은 10만원 이하(47%)로 낮게 나타났다. 3)혁신적 집단이 선호하는 정장용 의복 컬러이미지와 캐주얼 의복 이미지는 모던한, 점잖은, 고상한 컬러의 이미지를 선호하였다. 그리고 패션관심도는 패션 리더쉽이 높고, 컬러 관심도는 낮게 나타났다. 학력은 고등학교이하가 많았으며, 월 패션상품지출비용으로는 30~50만원의 가장 높은 지출을 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4)사교적 정보추구집단이 선호하는 정장용 의복 컬러이미지는 화려한, 다이나믹한, 경쾌한 이미지를 선호하며, 캐주얼 의복 이미지는 화려한, 다이나믹한, 경쾌한, 밝은, 귀여운 이미지를 선호하였다. 패션 관심도는 패션리더쉽이 높게 나타나고, 컬러 관심도는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컬러 선호도에서는 빨강색, 초록색, 보라색등 다채로운 컬러를 선호하였다. 학력은 대학교 졸업(43%), 월 패션상품지출비용은 10만원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기업은 20~30대 여성들의 시장세분화 기준을 이용하여 나타나는 집단별 선호색과 선호이미지를 기업의 제품이미지 개발과 광고 등 판매 촉진전략의 기초자료로 적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color preferences based on both life style and image scale in terms of buildup of competitive power of company. This study is important in establishment of the strategy of color marketing based on consumer's life style. In this study, four hundred nine women from twenties to thirties were randomly selected. A question paper, which was rewritten based on reference and previous investigation, was used. This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hi-test, cluster analysis, ANOVA analysis, and Duncan analysis with SPSSWIN. The results were following; 1. Preferential analysis was executed to see the image of color, formal suite, and casual suite. Natural image was selected as preferential image. Next to natural image, clear and modern image succeeded. In formal suite, modern image was best preference image among them, and elegant and natural image succeeded. However, in casual wear, light and natural image were preferential image. 2. Preferential analysis also was applied to see preferential image despite suite when consumer bought it. Black was chosen as best color among selected women and white and blue was second and third choice, respectively. Black and white, which was chosen as best color, were also selected as preferential color when consumers purchase clothes. 3. The characteristic of selected women was divided into four group based on life style using factor and cluster analysis, independent activity, economic practical, innovation, and social pursuit of information. These groups show discrepancies in color image, fashion interest, color interest, color preference and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based on life style. 1) The group, named "independent activity", preferred to clear and cute images in formal suite, whereas magnificent, dynamic, light, clear, and cute image in casual wear. They showed a great interest in fashion, but their interest in color was quite low. They preferred to achromatic color, such as white or black, in color.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ir education surpass college graduates (47%) and they spent three hundred thousand won a month for their expenditure for buying goods. 2) The group, named "economic practical", preferred to mild, elegant, natural, and subtle images in formal suite and casual wear. They showed a great interest in clothes and are marked by their strong individuality. Seventy-nine percent of this group is enrolled at college or have graduated in academic attainments, and they spent less than one hundred thousand won for their expenditure for buying goods. 3) The group, named "innovation", preferred to modern, decent, and noble images in formal suite and casual wear. They showed high fashion leadership in fashion interest, whereas they did low fashion leadership in fashion interest. Most of them graduated high school, and they spent from three to five hundred thousand won for fashion expenditure. 4)The last group, named "social pursuit of information", preferred to magnificent, dynamic, and clear images in formal suite and casual wear. They also showed high fashion leadership and low fashion leadership in color interest. They preferred to colorfulness, such as red or green. Forty-three percent of this group have grauduated from college and they spent less than one thousand won for their expenditure. In brief, a company will apply this information to the development and advertisement of product image based on life style using the standard subdivision of market.

      • 트랜드 변화에 따른 패션 브랜드 광고에 관한 연구

        서혜련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패션은 자체 법칙에 따라 해마다 새로운 패션으로 제시되어 왔으며 이는 각종 대중매체를 통해 전파되어왔다. 인쇄 매체를 통한 광고는 기록성과 보전성이 강한 특성으로 인해 지식의 전달과 대중화를 가져온 가장 오래된 매체로 활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잡지는 그 시대의 사회적 분위기나 현실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 수준까지도 알 수 있게 해준다. 패션 잡지광고는 시즌에 앞서 제시되고 지속적으로 변화하여 소비자가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는 분야인만큼 그 역할은 매우 크다. 패션잡지광고를 통해 그 시대의 유행경향과 사회전반적 분위기 그리고 그 시대 사람들의 미의식이나 생활상, 혹은 사고방식이나 가치관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잡지광고에 표현된 구성요소와 브랜드 컨셉, 사회현상, 라이프스타일, 패션 트랜드를 연계하여 그 기표에 따른 기의를 분석하였다. 또한 1994년과 2003년의 여성복을 3개 군으로 분류, 비교, 분석하여 패션 잡지광고가 브랜드 컨셉과 시대적 사고의 변화를 어떠한 형식으로 반영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발행되고 있는 라이센스 잡지 중에서 'Elle', 'Vogue', 'Marie claire'의 여성복광고를 대상으로 하였다. 여성복 브랜드 군을 연령, 가격, 컨셉 등을 고려하여 3개 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의 2개 브랜드를 선정하여 1994년도와 2003년도의 광고를 분석하였다. 또한 광고가 함의하고 있는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광고의 구성요소를 복식, 모델, 배경, 언어로 분류하여 기표와 기의에 따른 외연적 의미와 내면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1994년도 1군의 복식파 모델, 배경에서는 자연스러운 실루엣을 추구하는 에콜로지(자연주의)와 편안함을 추구하는 미니멀리즘과 소녀이미지, 레이어드룩 등 전반적으로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경향이 보여졌다. 이에 비해 2003년도는 사회의 분위기에 맞춰서 물질적 풍요에 따른 명품의 추구와 고급화에 맞춰서 아이템과 디테일과 소재, 색상, 악세서리들이 화려해졌으며 레져산업의 발달로 편안한 실루엣의 추구 등의 경향도 보여졌다. 모델은 1994년도는 소녀적이고 청순한 스쿨걸느낌이 강한 타겟층의 모델을 제시하였다면 2003년도는 감정의 표현보다는 자기 자신의 개성이 강하게 드러내는 자신감에 찬 타겟층을 모델로 제시하였다. 배경은 1994년도는 타겟층의 일상적인 생활공간을 제시하여 주면서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반면 2003년도는 무배경과 연출된 공간의 제시 등으로 자연스러움보다는 모던함과 도시화된 삶을 보여주고 있다. 언어는 1994년도나 2003년도의 경우 동일하게 본문 없이 로고만이 강조되었다. 1994년도 2군의 복식은 자연스러운 실루엣을 추구하는 에콜로지(자연주의)와 편안함을 추구하며 미니멀리즘과 long&lean실루엣은 1군에서 보여졌던 것과 비슷한 경향이 보여졌으나 2003년도는 1994년도보다 여성들의 활발한 사회적진출의 영향으로 커리어우먼의 섹시함과 럭셔리함, 화려함등의 경향이 보여졌다. 모델은 1994년도는 개성적이면서도 아직까지는 순수한 이미지의 모델이었다면 2003년도는 개성이 더욱 강조되어지면서 여성의 적극적인 사회진출로 자기 연출이 강한 모델이 제시되어져 있다. 배경은 1994년도는 타겟층의 일상적인 생활공간과 편안한 자신만의 공간을 제시하였다면 2003년도의 배경에서는 지극히 개인적인 느낌의 비밀스런 자신만의 공간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언어는 1994년도나 2003년도의 경우 동일하게 본문 없이 로고만이 강조되었다. 1994년도 3군의 복식은 편안한 실루엣과 장식이 배제된 미니멀리즘과 예복 스타일이 제시되었으며 2003년도는 화려함과 럭셔리한 소재를 추구하는 스타일과 편안함을 추구하는 스타일등이 보여졌다. 이 군에서는 공통적으로 장식성이 거의 없으며 색상이나 패턴도 많이 사용되어지지 않았다. 소재의 선택에서 고급스러움을 추구한다는 특성이 있었다. 모델은 2003년도가 보다 강한 느낌의 커리어우먼상을 제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경향을 제시하였다. 모던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사회적 지위에 오른 여성의 모습을 제시하여 준다. 배경은 1994년도는 야외배경과 실내배경을 제시하여 타겟층의 라이프스타일과 그들이 추구하는 삶의 모습을 단적으로 잘 보여주었다. 2003년도의 경우 무배경과 사진이미지가 들어간 배경 등으로 모던하면서 인위적인 현대 도시의 삶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2003년도 거의 모든 군에서 보여지는 배경의 특성으로써 현사회의 개인주의와 모던함의 추구 등을 나타내어주고 있는 것이다. 언어는 1994년도와 2003년도 두개의 년도가 본문없이 로고만 강조하는 스타일이었는데 이것은 패션브랜드들의 전반적인 경향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분석 결과 패션잡지광고에서는 브랜드의 컨셉이 사회적 환경, 패션트랜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연계하여 복식, 모델, 배경, 언어등에 반영되어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소비자는 여러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패션잡지광고를 통해 그 브랜드를 선택하고 상품을 구매하면서 소비공동체의 일원이 된다. 그러므로 잡지광고는 현재의 사회현상, 라이프스타일과 패션트랜드들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패션과 복식문화의 환경을 제시, 예측할수 있게 하기 때문에 그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Every year, each season fashion is presented to us with its own theories and logic through various types of mass media. Advertisement through matters of print has the advantage of being documented and recorded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characteristics make it relatively easy to access the general public and communicate fashion and trend information. Magazines, in particular, not only reflect the general social atmosphere and reality but also become the measure of cultural level. Advertisements in magazines are presented a season ahead and constantly transforms as well as influences the consumer. Therefore, the role fashion magazines play is significant. From fashion advertisements, we detect current social trends and the public's aesthetic consciousness allowing us to read their way of thinking and values. In this research, I have closely linked magazine advertising, brand concepts, social phenomena, lifestyle and fashion trends while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and relevant information. Furthermore, by sorting women's apparel from 1994 and 2003 into 3 separate groups, I have compared and analyzed information from each year discovering how magazine advertisements reflect brand concepts and change of value in generation and time. I have used women's apparel advertising in domestic magazines such as 'Elie', 'Vogue', and 'Marie Claire' as my main source information. In method, I have sorted the information gather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ge group, price point, and concept. From those groups, I have then picked out 2 major brands and analyzed their advertisement info from year 1994 and from year 2003. Categorizing elements of the advertisment into style, models, atmosphere and fashion language, I have analyzed its meaning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is research shows that brand concept is intimately connected to social atmosphere, fashion trends, and consumer lifestyle, which in result represents itself in style, models, atmosphere, and fashion language. Fashion advertisements which carry various levels of meaning heavily influence consumers in making choices. And in making purchasing choices, consumers become a member of the community of consumerism. Therefore, the role that fashion advertisements play must not be taken lightly for not only does it represent the atmosphere, lifestyle and fashion trends of present times but it also becomes a measure of looking into our fashion atmosphere in the future.

      • 국내 의류업체와 패션 컨버터의 상호관계 분석을 통한 소재 컨버터의 역할 현황 연구

        이관정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패션 산업의 필수적이고 중요한 요소인 소재의 중요성에 근거하여 여성복과 유니섹스 캐주얼 브랜드의 소재 기획 및 개발 과정에서 소재컨버터의 역할과 기능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두 업태간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소재 컨버터의 역할 인식의 차이를 규명하고 나아가 현재 컨버터의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의류업체의 소재 기획과 개발에 대한 현황 및 구조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소재 컨버터의 역할과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문헌조사 및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2006년 4월 13일부터 4월 22 까지 10일 동안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여성복과 유니섹스 캐주얼 브랜드의 소계 담당자와 이들을 대상으로 영업을 실시하고 있는 우븐 컨버터 업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의류업체 30부, 소재 컨버터 30부, 총 6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업체와 컨버터의 정보 수집 현황을 살펴보면 의류업체와 컨버터 모두 해외 트렌드 정보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았으며, 국내 소재 전시회 참가율은 무척 낮았다. 둘째, 의류업체의 소재기획 및 개발 현황에 대한 결과, 시즌별 전체 사용되는 소재 중 수입 소재 사용정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고, 소재 개발 공정 중 가장 취약한 부분은 원사와 가공 부분이었다. 소재 컨버터에 대해서는 트렌드에 맞는 발 빠른 움직임 때문에 선호하고 있었으나 신소재 개발 부분에 대해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염료와 원사를 개발하여 국내 패션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더욱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컨버터의 소재기획 및 소재 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소재 개발 공정 중 가장 취약한 부분은 가공, 원사, 제직, 염색 순으로 조사되어 의류업체 조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고 소재 개발의 성공 요인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트렌드로 인식하고 있었다. 소재 개발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모티브에 대해 의류업체와 컨버터 모두 수입의류나 수입 원단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직까지 국내 소재 개발 수준이 선진국의 소재를 모방하는데 그치고 있었다. 소재의 다양한 개발 및 차별화는 패션산업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독창성 있는 소재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의류업체의 소재 상담 실태 및 컨버터의 영업 실태 조사 결과, 직접 방문 상담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상담은 수시로 진행되는 편이었다. 그러나 국내 의류업체의 소재 상담 및 컨버터의 영업활동은 여전히 단순한 방문 상담이 주를 이루고 있어 즘 더 다각적이고 다양한 접근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소재 컨버터의 영역을 세분화하여 전문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의류업체와 컨버터의 원단 클레임 실태 조사 결과 의류업체와 컨버터 모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원단 클레임 종류는 품질 사고로 조사되었으며, 입고된 소재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퀵델리로 재작업을 요구하는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의 소재에 대한 신기술과 품질의 안정화를 위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여섯째, 의류업체의 향후 소재 수급 계획 및 컨버터의 사업 진행 방향조사 결과, 의류업체와 컨버터 모두 해외 완사입 진행을 가장 많이 계획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해외 저가 소재 수입 순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소재 컨버터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는 의류업체와 컨버터 모두 첨단 소재 및 다양한 소재 개발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의류업체에서 진행하고 있는 소재기획과 개발, 발주, 클레임에 이르기까지 컨버터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컨버터의 구체적인 역할현황과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앞으로 소재 컨버터 분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problem of two business conditions as analyze the role and functioning of between apparel and textile converters in connection with material plan and development of women's apparel and unisex casual apparel. Also, the significance and ultimat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helpful answers to apparel and converter as present for future improvement and converter's business directions. There were studied the literature and surveyed questionnaire to grasp today's current status of domestic apparel about material plan and development textile converters, according to that, to analyze the role and functioning of textile convert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from the person in charge on textile of women's apparel and unisex casual apparel and woven textile converters in Seoul area from April 13 to April 22, 2006; 30 questionnaire surveys by apparel and 30 questionnaire surveys by textile converter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converter and apparel information collecting, two business conditions all depended on various international textile fair and international forecasting references, but had a low participating rate in domestic textile fair. Therefore there is need to analyze radically the customer and is endeavor creative textile development from reanalysis international information. (2) Regarding status of apparel material plan and textile development, using about imported fabric among the whole fabric had a low and most vulnerable part of material development process were original yams and processing. The reason of preference textile converters were quick movement for suitable trend. The most big problem of textile converters were new material development, on this there is need to develope various dyes and yams to advance domestic fashion industry for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3) Regarding status of converter's material plan and textile development, most vulnerable part of material development was investigated in order processing, original yams, weaving, dyeing. Trend was most importance factor in success of material development. Furthermore, as, for pattern design, most of domestic manufacturers mostly rely on foreign materials, imitating and modifying from them. But yet, the techniques to yam production and finishing processes are still insecure and improvement on each production department's professionalism is greatly required. (4) Fabric business talk of apparel and converter tend to most door-to-door consultation and at any time. Not associating with apparel industry well and use fairs and exhibitions to promote new developed materials and network with other manufacturers. Therefore converter is demanded to multilateral and various approach, for that have got to increase professionalism as converter subdivide province into. (5) With regard to fabric claim of apparel and converters, quality accident were most occurred in the whole fabric claim. In the event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were required reproduction quick delivery. In spite of improvement of domestic material technique, there were still occurred many quality accident, so required constant efforts for quality stability. (6) The results of answers to apparel and converter for future improvement and converter's business directions, two business all considered expansion of international garment product for future. About converter's business directions for future, there were examined in order of the high technique fabric and the various material development, industry of diversification, strengthen system about cooperation of apparel brand, various overseas expansion.

      • 인터넷 쇼핑몰 디스플레이 디자인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의류제품을 중심으로

        정수지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39

        인터넷 사용인구의 증가로 인해 점점 발달하고 있는 전자상거래는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큰 장점을 제공한다. 소비자는 집안에서 편리하게 상품을 구매하고 대금을 결제하며 구입한 상품을 받아볼 수 있게 되어 구매의 편리함과 시간절약을 동시에 얻게 되었다. 한편 판매자는 유통과정을 축소함으로써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적은 비용으로도 효율적인 홍보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유익함을 주는 인터넷 쇼핑몰은 해마다 거대한 유통시장으로 탈바꿈 하고 있다. 의류업체들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인터넷 쇼핑몰을 제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을 홍보하고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주로 직접 입어보거나 만져보고 구입하는 의류제품의 경우 그 특수한 구매습관에 의해 인터넷 쇼핑몰의 활성화가 느린 상태이다. 또한 쇼핑몰 홈페이지는 소비자가 접하는 첫 번째 관문으로서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주는 한편 호기심을 자극하여 구매 욕구를 유발시키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 디자인 요소와 상품들의 적절한 디스플레이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함으로써 향후 의류제품 인터넷 쇼핑몰을 구축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 먼저 일반적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정의와 인터넷 쇼핑몰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본다. 또한 의류제품 인터넷 쇼핑몰의 개념, 종합쇼핑몰, 전문쇼핑몰로 구분되는 인터넷 의류 쇼핑몰의 유형과 쇼핑몰을 이루고 있는 요소들을 추출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인터넷 쇼핑몰을 이루고 있는 요소들로 상품제시방법, 상품 이미지 크기 및 유형, 시각요소인 레이아웃, 문자, 색채, 그래픽 등을 포함하였다. 소비자들이 인터넷 쇼핑몰에서 쇼핑할 때 그들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시각적, 구조적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응답자들을 구매의도집단과 비 구매의도 집단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의 인구 통계적 특성, 인터넷 이용 행동, 쇼핑몰에 관한 전반적인 선호도와 쇼핑몰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에 대한 선호도등을 파악하였으며, 나아가 구매의도 예측력을 알아보았다. 편의 추출에 의한 200명의 여성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X^(2)-검증과 t-검증, 그리고 조사 변인들의 소비자 구매의도예측을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조사한 4가지요인 중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인구 통계적 특성, 전반적인 선호도, 인터넷 이용행동 순으로 구매의도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에서는 홈페이지 구조, 타이틀 색상, 일관성 있는 색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통계적 특성에서는 직업과 결혼유무가, 전반적인 선호도에서는 쇼핑몰의 유형, 상품의 제시형태가, 인터넷 이용행동에서는 인터넷 사용기간이 구매의도에 높은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인터넷 쇼핑몰 홈페이지 디자인 구성요소와 시각 요소에 대한 구매의도집단의 선호도 및 구매의도예측변인들은 쇼핑몰을 구축하고자 하는 업체에서 쇼핑몰 디자인에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에 시사하는바가 크다. Electric commerce which has developed with the increase in population of internet user provides great advantages to both purchasers and sellers. Customers can purchase goods and take them in their house, which gives them convenience of purchase and economy of time. And sellers can cut down the expenses by reducing distribution channel and making inexpensive publicity activities. By these merits electric shopping mall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in size and quality. Apparel businesses also keep pace with the times to organize internet shopping mall with which they make publicity work and sell goods. But people have a tendency to try on the clothes before they buy them, which make slow the development of electric shopping mall in an apparel business. Shopping mall homepage is the first gate the customers enter so that the homepage should give them trust and stimulate their curiosity for them to purch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pendence of customers' purchase decision on display designs of electric shopping mall and to apply the information to constructing a good internet shopping mall. In theoretical background I investigate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hopping mall. I made out questions by distinguishing the types of internet shopping in an apparel business mall and factors which form the shopping mall. The factors which constitutes internet shopping mall include the way to present goods, the size of images of goods and visual elements(layout, letter, color, graphic and so on). I classify into two groups, i.e. group of people who have purchase intention and group of people who do not have purchase intention and get the information of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nd behavior of internet use and general tastes on shopping mall and inclinations about the visual elements to investigate the dependency of customers' purchasing choice on display designs of electric shopping mall. The question sheet was distributed to 200 unspecified women by internet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x^(2)-tes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analysis explains that visual elements of desig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general tastes on shopping mall and behavior of internet use are in sequence that former one has closer relation with purchase intention than latter one, and purchase intention also depends on homepage structure, title color and degree of monotone color in visual elements of design; and occupation and marriage i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nd types of shopping mall and ways of presenting goods in general tastes; and a term of internet use in behavior of internet use. The elements of homepage design of internet shopping mall and the preference tendency on visual elements and the prediction factors of purchase decision that are obtained in this study are very suggestive in that sellers who have a plan to construct electric shopping mall can refer to them and apply the information to constructing a good shopping mall.

      • 기능성 섬유제품의 소비자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건강, 쾌적 기능성 섬유제품을 중심으로

        이현진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기능성 섬유제품에 관한 연구로서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전개된다. 먼저 기능성 섬유의 개념과 특징, 국내 기능성 섬유제품의 개발현황을 통해 오늘날 기능성 섬유제품이 갖는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기능성 섬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 구매자와 비구매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구매자의 구매행동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 비구매자의 비구매 이유와 앞으로 구매의사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가 앞으로 가능성 섬유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에 실증적 인 자료를 제공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적 조사에 의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고찰로 이루어졌다. 실증적 고찰로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임의 표본추출방법에 의해 최종 196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위해 SAS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χ² 검정을 실시하였다. 기능성 섬유는 1980년대 중반부터 일본에서 개발되기 시작했으며, 환경오염이 심해지고, 여가시간이 늘어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각각 이들 용도의 기능성 섬유소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이 착용감과 섬유 소재뿐만이 아니라 건강까지 고려한 의류를 선호하면서 보온성, 항균 방취 효과 등 특수한 기능을 가진 섬유를 찾게 되었다. 기능성 섬유란 직물 자체에 어떤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소재를 말하는 것으로, 그 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쾌적 기능, 위생 건강 기능, 안전성 기능, 촉감 심미 기능, 관리 편리성 기능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능성 소재는 스포츠웨어 회사들에 의해서 주도되었다. 방수, 방풍 소재의 개발로 스키복 형태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등산이나 아웃도어 레저웨어에 방한용 재킷 등은 일상 생활에서도 인기 있는 아이템이 되었다. 또한, 1998년 남성복 대형 3사인 제일모직, 코오롱 상사, LG패션은 신 소재 개발에 나서기 시작했고,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현재 기능성 섬유제품을 개발하여 시판하고 있는 업체의 제품을 살펴보면, '제일모직'은 전자파 차폐 복지, 원적외선 방사 복지, 자외선 차단 복지, 향기 나는 복지 등을 「갤럭시」와 「로가디스」에 사용하고 있으며, '좋은 사람들'은 황토내의, 옥내의, 키토산 함유 속옷 등을 시판하고 있다. 앞으로 섬유시장의 기능성 섬유에 대한 개발은 계속 이루어질 것이며, 이를 구매하는 소비자가 다양해 질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기능성 섬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능성 섬유제품을 구매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둘째, 기능성 섬유제품을 구매한 경우는 30대의 기혼 여성이 주로 구매를 많이 하였으며, 구매자들 대부분이 대졸로 월평균 �雍撚堧�150~200만원 미만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매동기는 자신이 특별한 기능을 원하거나 건강에 관심이 많아서, 또 선물하기 위해서 구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 구매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보원으로는 방송매체를 통한 광고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매한 제품으로는 '흡습속건 섬유', '정전기 방지 섬유', '황토내의', '항균방취 섬유' 등의 제품을 많이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매장소는 백화점, 전문점, 할인점에서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능성 섬유제품에 대한 불만사항은 '생각보다 기능적 효과가 적은 것 같다'로 제품에 대한 효과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비구매자의 비구매 이유는 필요성을 못 느끼기 때문이었으며, 대부분이 앞으로 구매의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인지하고 있는 제품으로는 '황토내의', '정전기 방지 섬유' 등이었으며, 인지제품에 대한 정보원천은 'TV(뉴스, 광고)'에서 가장 많은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구매 집단이 비구매 집단보다 광고 접촉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비구매 집단보다 구매집단이 건강에 대해 관심이 많았으며, 건강에 대한 정보를 TV에서 많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섬유제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소비자��중요하게 인식되는 요인을 파악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제품판매를 위한 마케팅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각 업체에서는 소비자들��기능성 섬유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광고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며, 제품에 대한 인지도와 상표인지도를 높이는데 좀 더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witch investigate functional textile products described with two section broadly. In the First, I am going to deal with the concept and features of functional textile and intend to understand it's significance using present development situation of functional textile goods in the inside of country. Secondly, I establish the factors that affects buyer's decision to be or not to be purchasing functional textile products. In the result, purpose of this research support company, selling functional textile goods, to make a marketing strategy by providing actual data. Research method is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by documents and actual consideration by survey. As fulfilling the actual consideration, I would survey general man and women over 20's who live in Seoul and then obtain the actual data with 196 people through a method of random sampling. Also, I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and χ²-test, using SAS Package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Functional textile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middle of 1980's in Japan. As we're suffering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having more time for leisure, and increasingly getting more interests about health, a variety of functional textile has been showing up. Moreover, consumers prefer clothes designed by considering health as well as comfortable feeling, material, and they came to look for textile with special functions such as warmth, antibacterial, deodorization. Functional textile is said to be the material that has special function in itself. According to its function, it is classified comfort, sanitary health, safety, smoothness, convenience to keep. Sportswear industry has led the field in functional materials, it brought about big changes in a ski suit by developing waterproof, windproof materials. The jackets that keep out the cold for climbing, outdoor leisure became popular items in daily life. Also, Jeil Mozik, Koron Cor., LG Fashion, so-called, the big three in Men's wear started to go forth into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and showed various products to the world. Let's take a look at products from the companies that develop and sell functional textiles. 'Jeil Mozik' is using materials that can keep out electromagnetic waves, one that can protect infrared rays radiation and fragrant materials in Galaxy and Logadis. 'Good People' sells 'Whangtonaei', the underwear containing substances of yellow soil, 'oknaei', the one containing jade substance, and the one containing chitosan. The development for functional textile will be continued, and the layer of consumers who purchase these items will be variously. The results from researching and analyzing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for functional textile is as follows. 1. There are many cases of not purchasing functional products. 2. Mostly single women in their 30's purchase these goods and most of them are graduated from universities, salaried between one and a half and two million won . 3. Some of the purchasing reasons are that they want clothes with special functions or have much interests in health, and that they often buy it for a gift. The sources that they consider most important in purchasing are the advertisements through broadcasting, which convey the information with accuracy and reliability. 4. For the purchasing goods, there were 'material that absorb dampness easily and dry fast', 'material that protect static electricity', 'Whangtonaei', 'antibacterial and deodorant material'. They mostly show the inclination purchasing from department stores, specialized shops and discount stores. 5. The complaint about products is that 'these items were less effective than they expected', it means that they put the most emphasis on its effectiveness. 6. The reason why they didn't purchase products is that they don't feel like to buying these products at present, and survey showed that they don't have any purchasing intention in the future too. 7. The products that they've recognized are 'Whangtonaei', 'material that protect static electricity', etc.. and they mostly get the information from TV news and TV commercials. 8. It appears that Purchasing group has more contact with advertisements than non-purchasing one. Also, it seems that the former has more interests in health than the latter, get mostly information about health from TV. This research results would be very helpful for making marketing plans for efficient products sales by recognizing the factors consumers considers very important when they purchase functional goods. Each company has to make an advertisement strategy that convey the accurate information for these products and make an effort to improve consumers' recognition for products and brand name.

      • 남성복 소재기획을 위한 소모소재 Spec조사

        이지영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남성복 소재 디자인 계획 단계에 필요한 소모소재를 사용하는 의류 관련 업계에 실질적이고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남성복 의류소재 개발과 연계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하기 위하여, 소재 기획시 고려해야할 구조적 특성과 소재특성과 생산공정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생산공정은 국내 소모 생산업체를 조사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생산현황을 조사하여 소재 기획자에게 보다 실질적인 자료를 제시하여 기획시 QR 시스템을 이루게 하고 생산현장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으로 보다 나은 소재기획을 전개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남성복 아이템에 적합한 정장 및 캐주얼웨어에 사용된 소모소재를 중심으로 소모소재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남성복 브랜드 업체를 선정하여 소모소재를 사용하여 제품화한 것을 분석하였다. 조사아이템으로는 캐주얼웨어의 아이템으로 셔츠, 바지, 점퍼를 정장에서는 Suit's, 재킷을 대상으로 정하여 02/03'S F/W, 03'S S/S에 시장에 출시한 것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캐주얼에서 소모소재를 사용한 셔츠는 F/W에 25개 스타일을 전개하면서 6가지 소재 SPEC으로 색상, 패턴, 스타일만 변형하였으며 S/S에 25개 스타일을 전개하면서 6가지 소재 SPEC으로 색상, 패턴, 스타일만 변형하였다. 바지는 F/W, S/S에 20개의 스타일을 전개하면서 4가지 소재 SPEC으로 색상, 패턴, 스타일을 변형하여 전개하였다. 점퍼는 F/W에 30개 스타일로 4가지 소재 SPEC으로 전개하였으며, S/S에 10개의 스타일로 전개하면서 6가지 소재 SPEC을 사용하였다. 정장에서 소모 소재를 사용한 SUIT'S는 F/W, S/S에 50개 스타일을 전개하면서 8개의 소모소재 SPEC을 사용하였다. 재킷은 F/W, S/S에 20개 스타일을 전개하면서 각각 5개, 3개의 소모 소재 SPEC을 사용하였다. 캐주얼에 사용된 소모소재 특성으로는 F/W에 2/60'S, 2/48'S와 같은 중번수 Yarn과 혼용율에서는 Wool 100%, Twill 조직, Clear, Milled 가공으로 표면차이를 두었고 S/S에는 Siro Yarn (F/60, F/40)을 주로 사용하였다. 실용적인 울 혼방, 하복지 조직인 평직, 모소 Clear의 소재를 사용하여 캐주얼 이미지와 실용성을 강조했다. 정장에 사용된 소재특성으로는 주로 2/80'S이상의 세 번수를 사용하였고 고급원료를 사용한 Wool 100% 혼용율과 F/W에는 Twill 조직과 변화직, S/S에는 평직과 밀도가 낮은 변화직을 사용하였고 대부분 모소 Clear 가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재기획시 윈료에서부터 제품이 될 때까지 생산조건과 아이템에 맞는 소재의 적합성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올바른 기획이 될 수 없다. 예를 들어보면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고자 할 때 원료에서 생산 해야하는 것과 기존에 생산되고 있는 Yarn으로 소재를 개발하는 것과는 개발시점과 비용과 나중에 Main을 진행하기 위한 발주 시점과 많은 차이가 난다. 그리고 색상과 패턴이 마음에 들어 적합하지도 않은 아이템으로 소재를 전개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등 이러한 점을 상세히 고러해야 좋은 기획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소재 기획자는 소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본 논문은 소재기획이 상품의 차별화 요소로서 소모소재 기초자료 제시와 그 전문성 부여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ructural and material features and manufactural processes which one has to consider in determining fabrics in order to present the theoretical basis of development of men's clothes by providing practical and fundamental informations to apparel business enterprises using a material of worsted wool needed in planning the design of fabrics of men's wear. I investigate manufactural processes from domestic wool production lines and present the practical materials to makers and enable them to achieve Q.R. system and to prepare proper fabrics. The clothes made of worsted wool from randomly chosen domestic men's wear brands a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m, which include shirts, trousers, jumpers, suits and jackets which appeared in 02/03's F/W and 03's S/S markets. A good plan can be performed by considering producing conditions in production processes and suitability of fabric. This study is very suggestive in that it provides basic materials about worsted wool and expert knowledges to makers who need accurate informations about fabrics.

      • 국내 의류업계의 중국 진출을 위한 브랜드 전략연구

        조현주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39

        최근 중국은 WTO 가입이후 새로운 개혁-개방의 물결을 타고 제품의 품질과 브랜드를 중시하는 소비자 패턴으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서 국내 의류업계는 중국 소비자들의 기호와 시세에 맞게 체계적인 브랜드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세계적인 브랜드는 중국에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류업계는 생산에만 치중하고 제품개발에 소홀히 하여 세계시장에 내 놓을 만한 브랜드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실을 보더라도 국내 의류업계는 하루라도 빨리 브랜드 세계화를 추진하고 중국 시장에 대한 철저한 시장 조사 및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과 고품질에 합리적인 가격으로 중국 시장을 공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WTO 가입으로 하루가 다르게 변해 가는 중국의 경제현황 및 한·중 의류업계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중국 의류산업 전반에 대해 알아보고, 대(對)중국시장 진출의 대한 성공 및 실패 사례를 분석하여 앞으로 나아갈 전략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기술개발을 통한 품질의 고급화 전략을 위해서 소재의 기획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e-비즈니스를 통한 브랜드 전략과 한류(韓流)를 통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브랜드 이미지 확립을 위해서 현지 유통망 구축 전략을 세워야 한다. 넷째, 고부가가치 브랜드 진출을 위해 디자인력 강화 조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내 의류제품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 전략을 위해서 브랜드 상품 개발과 광고 및 이벤트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국내 의류업계는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서 전략 방안 이외에도 현실을 직시하고 좀더 적극적이고 꾸준한 장기 투자계획과 더 나은 제품과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통해서 국가 이미지 제고와 더불어 기업의 상품구매로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trend of reformation and opening since China joined WTO, Chinese consumers are attaching greater importance to the quality and brand of goods. To advance the Chinese market, the domestic clothing industry must establish a systematic brand strategy in accord with the tastes and tendency of Chinese consumers. Worldly brands are welcomed in China, but the domestic clothing industry has concentrated on manufacturing and neglected product development, and as a result, there is no brand of world class. To advance to the Chinese market in this situation, the domestic clothing industry must promote the globalization of brands, make a thorough investigation of the Chinese market, develop original designs and be equipped with competitiveness in quality and price, as soon as possibl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the rapidly expanding Chinese economy, its effects on the clothing industry in Korea and China, and the general details of the Chinese clothing industry. In addition, it studied cases of success and failure in advancing into the Chinese market, and proposed the following future strategies. Besides strategies for advancing into the Chinese market, the domestic clothing industry must understand the reality and establish more aggressive and consistent long-term investment plans. Moreover, it must develop high quality products and brand images to enhance the national image of the country, and promote the product sales of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