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을 위한 최소 교합 고경에 대한 고찰

        김승민,최순호,송영우,강주현,차재국,이중석,박영범,정의원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17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1 No.1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exmanine the minimal interocclusal distance required for implant placement for each implant manufacturer without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Minimal interocclusal distance” was defined as the distance from the edentulous alveolar crest to the functional cusp of the opposing teeth or to the contact surface facing the central fossa of implant prosthesis. 15 journals were searched by “Pubmed”, and specifications were inquired by manufacturer. Result: Implants were classified into bone level and soft-tissue level implant. The bone level was divided into external connection type and internal connection type. Implants were categorized into cement-retention type and screw-retention type according to the fastening method of the prosthesis. For the cement-retention type, the bone level implant required 6 mm interocclusal distance and the soft-tissue level implant 8 mm, regardless of manufacturer. For the screw- retention type, minimal interocclusal distance were 1.5~4.5 mm for internal connection type, 3.65~4.5 mm for external connection type, 4.3~6.5 mm soft-tissue level implant.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each manufacturer, but implantation can be performed when the minimum interocclusal distance of 1.5 mm is secured.

      • KCI등재후보

        치과 페이스북 메시지에 대한 이용자 반응 연구

        신보람,박지만,신임희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18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2 No.1

        Purpose: Although many dental clinics have actively managed social network service (SNS),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effects of messages produced by SNS of dental clin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argeting Facebook messages of dental clinic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ssages on users by types, and learn various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effects of messages. Methods: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s of messages produced by SNS of dental clinics, the types of Facebook messages of dental clinics were divided into interacting type, information providing type, and playing type, and users’ responses were divided into message attitude, image of dental clinics, and word-of-mouth effect. Considering that the main users of Facebook are young people aged 20-30 s, this study targeted Facebook users aged 20-30 s, performed a survey targeting 292 young people, and conducted two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19.0. Results: It could be found that, among the types of Facebook messages of dental clinics, interacting type has a positive effect in the aspect of image of dental clinics, information providing type in the aspect of message attitude, and playing type in the aspect of word-of-mouth effect. Also, it could be found that, among users’ responses, message attitude of information providing type has the greatest effect on users’ Responses. Users having experience of seeing messages and having intention of receiving dental information show more positive effects in the aspects of message attitude, image of dental clinics, and word-of-mouth effect. And it was analyzed that as the rate of SNS use increases, users’ Responses turns out to be more positive. Conclusion: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expanded the range of typical researches from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SNS to the effects of SNS messages. The information providing type, interacting type, and playing type messages have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ser response. The users who have experienced the dental facebook message expressed more positive response than ones who have not. Frequent exposure of dental Facebook messages can be of interest to users. 최근 IT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웹 2.0이라는 새로운 인터넷 환경의 등장으로 인하여 인터넷상 모든경계를 허물어버린 대표적인 플랫폼인 SNS (Social Network Service)가 출현하였다1. 이를 더해 스마트폰의 도입과 확산은 장소와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정보통신의 서비스가 이용 가능한 환경을 만들었다2. SNS는 개인을 표현하는 수단이자 이용자들의 판단 및 구매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수단이 되고있으며3, 이러한 SNS의 특성과 강점을 활용하여 의료분야에서도 SNS가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의 경우 국민의 3분의 1이 SNS를 동일 질병이 있는 동료 환자를 찾고 그 증상을 공유하는데 활용을 하고 있으며, 의사 60%는 의료서비스의 용도에서 SNS를 사용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4. 신문이나 방송을 통하지 않고도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얻을 수 있고 생활권이다른 사람들과도 쉽게 교류할 수 있는 소셜미디어가 생활에 쉽게 자리 잡았다.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체가 등장하면서 오랜 역사를 가진 종이매체를 밀어내고 그 자리를 대신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매체가되었다. 사람들은 이제 일상적으로 정보의 바다인 인터넷에 들어가 클릭 한번으로 앉은 자리에서 원하는 정보를 얻는다5. 대표적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인 페이스북(facebook)과 트위터(twitter)는 전 세계적으로 하나의 문화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온라인상에서 인맥을 형성하고 정보를 교환하고 싶다는 인간의 욕구가 SNS의 인기로 나타난 것이다. 국내로 이어진 소셜네크워크 서비스의 인기는 많은 수의 트위터 사용자수를 만들어내었고 페이스북 사용자수와 큰 격차를 보였었다. 하지만 최근 SNS의 판도는 달라지고 있다. 트위터 사용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는 오이코랩(2012)에 의하면 트위터 사용자수는 642만 명으로 예전과 큰 차이 없는 사용자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반해 페이스북 사용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는 소셜베이커스에 의하면 한국 페이스북 사용자수는 703만 명 정도이고 사용자수로만 순위를 매기면 전 세계 26위 수준이지만 지난 6개월간 사용자 증가율은 56.92%로 26개 나라 가운데 2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페이스북 사용자가 급증하는 것은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페이스북의 정책이 새롭고 다양한 기능의 서비스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켰기 때문으로 예상할 수 있다6. 기업이 SNS 활용하는 부분에 있어 현재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서비스는 바로 ‘Facebook’이다. Facebook은 ‘세계 모든 사람들을 교류하도록 하겠다’는 목표로 2004년 개설된 이래로 2011년 2월 초 기준 약 6억 명 이상의 사용자들이 활동하며 영역의 확장을 빠르게 진화시키고 있다. SNS의 가치가 이와 같이 주목받고 있는 바에 비하여 치과 관련 페이지 SNS 효과의 대한 연구는 아직미흡하다. 기존의 연구는 SNS의 이용 동기, 사회적 영향 등 매체적 특성을 조사하는 데 집중되어 있고, 실제 SNS의 운용과 메시지 효과에 대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Sheldon 등7에 의하면 미국 페이스북 이용자들은 관계유지, 시간 보내기, 가상 커뮤니티, 엔터테인먼트, 멋지게 보이기, 동료의식 고취 등을 이유로 페이스북을 이용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페이스북 이용 동기가 다르지만 관계유지, 인맥관리 등 친교의 ...

      • KCI등재후보

        흰쥐에서 안면신경의 절단 후 즉시 및 지연 봉합간의 효과에 대한 연구

        이명환,홍종락,팽준영,안재명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18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2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mmediate suture with delayed suture after nerve transected. Materials and Methods: A group of 39 rats of Sprague-Dawley rats (250-300 g) were used in this study. 24 rats ha d a operation for facial nerve transected and delayed suture (1week later, 4 weeks later) was done. For controls, 12 rats transected facial nerve and sutured immediately. Then evaluated the recovery of immediate suture type, delayed suture type. Results: In the feature of H&E, Luxol fast blue, histologic finding was similar in delayed suture group and immediate suture group. Conclusion: Delayed suture group and immediate suture group had little difference. Delayed suture is acceptable for nerve injury due to implant installation in human cases. 치과영역에서의 수술 - 사랑니 발치, 임플란트 식립, 근관치료, 악교정수술 등 - 에서 하치조신경의 손상 가능성은 늘 존재하고 있다. 신경손상에는 1943년 H.J Seddon이 기계적손상을 병리조직학적 관점에서 분류한 일과성 국소성 전도장애(neuraparaxia), 축삭단열(axonotmesis), 신경섬유단열(neurotmesis)의 3형 분류가 이용된다. 손상 후의 환자들의반응은 임상적으로 감별해내기가 상당히 어렵다. 임상적으로 축삭단열, 부분적 신경단열, 신경속 완전단열은 공통적으로 지각, 통각의 광범위, 소범위의 상실(anesthesia) 또는 둔감IMPLANTOLOGY The Korean Academy of Oral & Maxillofacial Implantology Vol. 22, No. 1, 2018 13 (anesthesua)이 나타나기 때문에 초기에 감별 진단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임플란트 식립 후 감각이상이있는 경우 임상적으로 완전한 신경절단을 감별할 수 없는 경우나, 신경절단이 명확한 경우 추가적 수술보다는 보존적 방법을 선택하고자 할 경우 즉시봉합과 지연봉합 간의 차이와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계획하였다. 일과성 국소성 전도장애(neuraparaxia)란 neuron의 apraxia, 즉 신경계의 non-action을 의미한다. 병리학적으로는 장애부위에 국한된 탈수변화로 생각할 수 있으며, 촉각, 통각 등과 같은 완전한 지각상실은없으며 이질감 및 착감각 등과 같은 지각이상을 보이는데, 조기에 지각의 완전 회복이 가능하다 . 축삭단열(axonotmesis)의 tmesis는 cutting을 의미한다. 축삭은 단열되어 있으나 신경상막, 신경내막, 슈반초의 연속성은 유지된 상태이다. 절단부에서 말초 축삭은 완전하게 윌러변성이 일어나지만, 그 외신경섬유의 구조는 잔존되었으므로 재생이 양호하고 기능 역시 거의 완전하게 회복된다 . 신경섬유단열(neurotmesis)을 신경간을 구성하는 모든 구조의 단열을 의미한다. 장애부위부터 말초에는 윌러변성이 일어나는데, 머지않아 신경섬유 단열부에서 말초방향으로 재생축삭이 신장되고, 말초측에 잔존하는 신경내막관 내부로 진입한 후, 슈반초가 축삭을 따라 재생된다. 그렇지만 신경봉합 등과같은 최선의 치료를 실시해도 지각회복은 80-90%에 그치며, 완전회복은 기대할 수 없다. 결론 : 임상적으로 신경 손상 직후 neurotmesis와 axonotmesis는 감별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일정 기간이지나야 그 둘의 감별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친다면 neurotmesis의 경우 지연 봉합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데, 과연 지연 봉합이 즉시봉합과의 효과적인 면에서의 차이가 있는 것인가에 대해 본실험은 하치조신경과 같은 지각신경인 흰쥐의 안면신경을 이용하여 신경 절단 후 즉시봉합, 1주 지연봉합, 4주 지연봉합을 시행하였으며 각각의 봉합군들을 4주와 8주 후에 희생시켜 신경조직의 회복 정도를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① 흰쥐의 안면신경 절단 후 4주 희생의 경우 봉합 시기가 빠른 군의 회복이 양호하였다. ② 흰쥐의 안면신경 절단 후 8주 희생의 경우 신경 절단 후 봉합시기와 회복 정도와는 차이가 없었다. ③ 흰쥐의 안면신경에 있어서 손상 후 봉합 시기와의 관계는 8주 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할수 있다. ④ 앞으로 다양한 봉합 시기와 희생 시기가 계획된 실험과 이에 바탕을 둔 human study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코딩된 치유 지대주를 이용한 디지털 방식의 임플란트 인상채득 방법에 대한 고찰

        오경철,김종은,김종엽,심준성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17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1 No.2

        Conventional implant-level impression techniques required removal of healing abutments at least twice until the placement of definitive restorations. The use of coded healing abutments may simplify this procedure since they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to design implant abutments such as implant hex position and platform diameter. This could minimize peri- implant tissue irritation and reduce the laboratory time and costs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an intraoral scanner. The aims of this article were to describe the structure, clinical availability, and limitations of the coded healing abutments and review the studies related to their use.

      • KCI등재

        변형된 Edlan-Mejchar 술식을 이용한 임플란트 주위 전정성형술의 기술적 측면에 대한 보고

        조인우,강대영,신승일,신현승,박정철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19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3 No.4

        Vestibuloplasty is usually considered for improving retention and/or stability of denture by deepening vestibule and providing attached gingiva. The current case series aimed to describe the technical aspect of modified Edlan-Mejchar vestibuloplasty for improving the soft tissue environment around dental implants. The technique was applied to 3 patients who had a lack of vestibule and keratinized peri-implant mucosa. A U-shape incision that opens toward the implant prosthesis was performed 1 mm deep into the mucosa. It comprises of 2 vertical incisions that start 3 mm apical point from the buccal and proximal side of the implant and 1 horizontal incision that roundly connects the apical ends of the vertical incisions. Split-thickness flap was reflected on the mucosal area surrounded by the U-shape incision in the coronal direction. Another horizontal incision was performed under the flap into the periosteum along the imaginary line with the coronal edge of the U-shape. An underlying mucoperiosteal flap was reflected with dull instrument and apically positioned so that the superficial split-thickness flap could be placed on the denuded bone surface. The surgical wound was stabilized by suturing, gauze pressing, or periodontal dressing. The deepened vestibule and newly formed attached mucosa around implants were maintained in all patients during the follow-up period ranging from 3 to 9 months. The vestibular deepening with attached mucosa might be simply obtained using the technique in selected indication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investigate the long-term stability and histologic feature of the newly formed attached mucosa.

      • KCI등재후보

        즉시 식립 임플란트의 장기적 누적생존율에 관한 후향적 연구

        김세진,구영,김준환,남궁다정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18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11-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on immediate implants placed between 2006 and 2016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by one periodontist (Y. K). With an aggregate 185 implants were calculated 11-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with Life table method and assessed the effect of predictor variables with Kaplan-Meier analysis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fter a mean follow-up time 4.67 years, 16 implants failed and 169 survived among 185 implants. The overall cumulative survival rates at 5 and 11 years were 90% and 90%, respective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was detected between the implant survival rates and the possible risk factors: gender, age, location, history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smoking, implant type, fixture diameter and length and bone graft.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mmediate implant placement is a reliable and predictable restoration procedure to replace missing teeth. 임플란트 치료는 중·장기적으로 높은 생존율과 성공율을 보이기 때문에 다양한 원인으로인한 치아상실을 회복시켜주는 예지성이 높은 치료방법으로 간주되고 있다1. 임플란트의발전과 함께 오랜 기간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던 것이 바로 임플란트의 식립시기이다. 임플란트 치료 도입의 초기에는 발치 후 6-8개월간 기다렸다가 임플란트 매식체를 식립하는Brånemark식의 지연 식립 방식(late placement technique)이 주로 행해졌는데2, 이는 골융합(osseointegration)이라는 개념을 토대로한 근대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발전이 주로 오랫동안 무치악으로 지내 치유가 완료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저작능력 회복을 목적으로 발달했기 때문이다3. 그러나 이후 부분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치료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단일 치아 결손의 임플란트 대체가 많아지면서 기존의 식립 방식에서 파생되는 문제점들이 크게 대두 되었다. 첫째로, 발치 후 치유기간동안 발치와에서 연조직 변화를 동반한 3차원적인 치조골 흡수가 일어난다는 점이다. 두번째로, 기존의방식으로는 발치 후 치유기간만큼 치료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며4, 세번째로, 수술 횟수(surgical intervention)가 증가하는 만큼 경제적, 시간적 손실과 함께 감염의 위험도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이다5. 1978년 Schulte 등6에 의해 발치 후 바로 발치와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즉시 식립 임플란트’라는 술식이 처음 소개된 이래로, Chen 등7, Quirynen 등8 및 Chen과 Buser9에 의해 즉시 식립 임플란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임플란트의 식립 시점이 치과의료계에서 본격적으로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1993년 Wilson과 Weber10가 임플란트의 식립 시점을 즉시(immediate), 최근(recent), 지연(delayed), 만기(mature)라는 용어를 사용해 분류한 것을 계기로 다양한 정의들이 등장하였는데, Hämmerle 등11은2004년 컨센서스(consensus statement)를 발표해 각 단계의 명확한 정의를 내리며 네 단계(Type 1-4)로분류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분류 시스템은2 008년 ITI (International Team for Implantology)에서 Chen 과 Buser12에 의해 재정비되어 즉시 식립(immediate, 발치 당일에 임플란트 식립), 조기(early, 4-8주 후; 연조직 치유 후), 조기(early, 12-16주 후; 부분적 골조직 치유 단계), 후기(late, 6개월 후; 완전한 골조직 치유 후 식립)와 같이 정의 되었으며, 이후 현재까지 공통된 기준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는 치료의 안정성과 성공률을 기본으로 하면서 심미성과 간편함 그리고 신속성에 대한 요구가 함께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즉시 식립 방식의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수요는 점점 증대될 것이라고 예측되며, 임플란트 치료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임플란트 식립 시점은더욱 주된 고려 사항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최근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즉시 식립 방식의 임플란트 시술에대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장기간의 관찰은 아직 적으며 특히 국내에서 시행된 즉시 식립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관련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임상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즉시 식립방식으로 시술된 임플란트의 장기적 누적생존율을 살펴보고, 생존율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여러 위험 요소들을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결론 :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임플란트 진료센터에서 한 명...

      • KCI등재후보

        상악 임플란트 오버덴처의 보철적인 형태에따른 임상적 결과의 문헌적 고찰

        최승희,김선재,장재승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18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2 No.2

        Background: The two-implant overdenture should be considered as the first treatment option for mandibular edentulous patients. But for the maxilla, there is no widely accepted consensus yet. In this study, implant survival rate, clinical evaluations, marginal bone loss of the maxillary overdenture were investigated. Materials and Methods: “Maxillary overdenture” was the key word of this study, and with the combination of “attachment system”, “implant number”, “implant survival rate”, “clinical evaluation” and “marginal bone loss”, 21 journals were searched by “Pubmed”.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ystems and implant numbers. Especially, maxillary overdentures with four or more implants showed excellent results. Clinical parameters and marginal bone loss were not affected by attachment systems and implant numbers. Conclusion: For successful maxillary implant overdenture treatment, four or more implants can be considered using various attachment systems. I. 서론 : McGill consensus1에서 하악 무치악 환자에서 첫 번째 치료 옵션으로 두 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가 고려되어야 한다고 발표했다. 기존 총의치에 비해 동요도가 적고, 하악 전치부에서의 높은 임플란트 생존율, 잔존골 흡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들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두 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 착용 시 기존 총의치에 비해 여러 측면에서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에 비해 상악 피개의치의 경우에는 아직 의견 일치가 없고, 연구가부족한 상황이다. Raghoebar 등2은 체계적 고찰연구에서 임플란트 개수, 임플란트 연결 유무에 따라 임플란트와 피개의치의 생존율을 비교해 보았다. 4개 이상의 임플란트를 연결하여 피개의치를 제작할 때높은 임플란트와 피개의치 생존율을 보였고, 4개 이하의 임플란트를 연결하지 않고 피개의치를 제작할때 낮은 임플란트, 피개의치 생존율을 보였다. 또, 더 넓게 분포된 임플란트를 통한 피개의치 제작의 경우 더 좋은 예후를 보였다. Sadowsky3는 체계적 고찰연구에서 상악 피개의치에 대해 임플란트 개수, 임플란트 생존율, 고정 설계방식, 임플란트 실패와 부작용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임플란트 개수에 대해서는 명확한 기준이 없었고, 구개 피개 없이 성공적인 피개의치 치료를 위해서는 4개 이상의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한다고 하였다.D udley4 또한 그의 논문에서 상악에서 임플란트개수, 연결 유무, 부착장치 종류, 환자 만족도, 유지 관리 등 여러 측면에서 피개의치에 대해 조사하였으나 결론적으로 많은 논문에서 결과가 일치하지 않고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고 발표하고 있다. Jemt 등5 은 피개의치를 위한 임플란트 개수는 상악에서 하악보다 많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는 상악 골질이 하악 골질보다 좋지 않은 데서 비롯한 이론이다. 하악에서는 2개 이상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가추천되는 반면, 상악에서는 최소한 4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해야 한다는데 대부분의 논문에서 동의하고있는 바이다. 4개 이상의 임플란트를 이용하는 경우에서는 임플란트 생존율에 큰 차이는 없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 외에도 몇몇 연구들이 상악 피개의치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아직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지 않은 상황이고,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상악 피개의치에서 부착장치시스템, 임플란트 개수에 따른 예후를 임플란트 생존율, 임상적 평가, 변연골 흡수 측면에서 여러 논문들을 참고로 정리하고자 한다. V. 결론 : 다양한 부착장치를 4개 이상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상악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한다면 임상적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 KCI등재후보

        골유도재생술을 동반한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대한 연구

        정석현,구영,김준환,남궁다정,김윤정,정재은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18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dental implants installed with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and also elucidate the factors related with the survival of dental implants. Material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148 dental implants installed in 76 patients by one specialist (Y.K.) at the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and Implant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2001 to 2010. The cumulative survival rates were obtained by the Kaplan-Meier method.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factors and dental implant survival were analyzed by using the log-rank test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Results: Among 148 dental implants installed in 76 patients, 8 implants in 7 patients were lost and the cumulative survival rates up to 5-years and 10-years were 97% and 89%, respectively. Gender, smoking status and location of impla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implants (p < 0.05). Age, history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implants (p > 0.05). Conclusion: The dental implants installed with guided bone regeneration is predictable techniqu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umulative survival rate over 10 years. Ⅰ. 서론 :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를 수복할 때 가장 먼저 고려되는 술식 중 하나이다. 1969년 Bränemark에의해 처음 골융합(osseointegration)의 개념이 소개된 이후 지난 수십 년간 임플란트 관련 술식에는 큰 진전이 있었다1. 최근의 임플란트의 성공률이 과거에 비해 비약적으로 높아지긴 했지만 여전히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실패한다. 임플란트의 실패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실패의 원인이 되는 인자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임플란트가 장기간 안정적이고 양호한 예후를 가지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주위에 충분히 많은 골량 뿐아니라 양호한 골질을 보이는 골의 확보가 필요하다. 심한 치주질환, 종양으로 인한 조직절제, 외상에 의한 치아의 상실 등의 경우 치조골이 과도하게 위축되며, 이 경우에는 임플란트 식립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치조골 증대술이 필요하다2, 3.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수직적 혹은 수평적 잔존 치조제를 가지는 경우에는 임플란트의 고정체가 완전히 골조직 속에 식립되지 않게 되며, 주위연조직의 퇴축이나 적절한 구강관리가 어렵게 되어 임플란트 주위의 감염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Nyman 등4은 치주 치료 시에 결손부에 차폐막을 이용한 조직유도재생술(Guided tissue regeneration) 을 도입하였다. 6-8주간 창상으로부터 빠른 성장을 보이는 상피와 결합조직의 이동을 차단하면, 상대적으로 성장속도가 느린, 술자가 원하는 조직이 치아주위 공간으로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응용하여 임플란트 치료에 있어서 치조제 증대를 위한 목적으로 골유도재생술(Gudied bone regeneration) 이 도입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5. 골유도재생술은 특정 조직을 배제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조직유도재생술과 유사하나, 단순 골조직만의 재생을 원한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더 간단하다. 국소적인 골 결손부위의 증대를 위해 임플란트 식립 전이나 식립 과정에서 함께 행할 수 있는 여러 방법들이 소개되었으나, 이러한 술식들 중 골유도재생술이 노출된 임플란트 나사산 부위의 골을 재생하기 위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골유도재생술은 초기의 단순한 골 이식술에서 더욱 발전하여 흡수성 차폐막이나 비흡수성 차폐막을 이용한 성공적인 결과가 보고되었다6. 골유도재생술은 임플란트식립 시에 수평적 골결손부의 골증대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7-11, 임플란트 식립 후 열개나 천공이 보이는 경우12-14, 그리고 심한 치주질환 등으로 인하여 발치와가 매우 크거나 비전형적인 창상치유를 보이는 경우에서도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15-17. 이와 같이 많은 연구들이 골유도재생술에 대해 양호한 결과들을 보여주고 있지만, 골유도재생술을 동반한 임플란트의 누적 생존율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골유도재생술과 함께 시술된 임플란트의 장기적 누적 생존율을 조사하고 환자의 성별, 나이, 당뇨 또는 고혈압 병력 유무, 흡연, 임플란트의 직경, 고정체의 길이, 구강 내의 식립 위치, 골이식재 종류, 차폐막 종류 등이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향후 임플란트 치료 시 예후판정에 있어서 기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Ⅴ. 결론 : 본 연구에서는 골유도재생술과 함께 식립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누적 생존율을 조사하고, 임플란트의 누적 생존율에 영향을 ...

      • KCI등재후보

        컴퓨터-보조 임플란트 수술에 대한 고찰: 네비게이션 수술 시스템 vs. 컴퓨터가이드 임플란트 템플릿 vs. 수술 로봇

        박지만,김종엽,심준성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18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2 No.1

        In addition to the computer-guided implant template popularized in Korea recently, the navigation system and early-stage robot are becoming the new trend in the field of computer-assisted implant surgery. The navigation surgery system tracks the position of patient and handpiece and displays them in real-time on CT data with pre-implant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operation principle and metho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the accuracy studies of the navigation system. 최근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키워드는 4차 산업혁명이며, 이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로봇기술, 3D프린팅 등이 주도하는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의 융합으로 이루어지는 차세대 산업혁명이다. 실제공간과 가상공간이 통합되는 가상 물리 시스템의 구축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산업의 변화를 기대하고 있다. 이는 초연결(hyperconnectivity)과 초지능(superintelligence)을 속성으로 하므로 더 빠른 속도로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우리의 실생활에 다가오고 있다. 치과계는 이러한 움직임이 다른 산업계보다 빠르게 적용되고 있다. 인상채득을 인상재 없이 3차원 스캔으로 영상을 획득하며, CAD 과정에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이 점차 깊게 관여하고 데이터를 전세계 어디에 있든지 상관없이 치과의사와 기공사 간 연결이 가능하게 되었다. 효율적인 의사소통 후에 디자인이 완성되면 이를 진료실 내이거나 기공소에서 밀링 혹은 3D프린팅 기술을 통해 수복물을 환자 맞춤형으로 장착하는 디지털 작업흐름(digital workflow)이 이제는 일반적인 진료실 풍경이 되었다. 임플란트 치료 또한 종전의 CT 영상을 단순히 참고만 하는 수준이 아닌, 적극적으로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분석하고, 가상공간에서 임플란트 위치와 상부 보철물을 계획하며, 이를 절삭 혹은 프린팅으로 실체화 하여 환자에 적용하고 있다. 2000년도 초반에 Simplant와 Nobel Guide 등의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가 소개되어왔으나 제작 비용, 준비 과정의 번거로움, 정확성에 대한 의심 등으로 널리 활용되지 않았으나, 최근 국내에서 대부분의 임플란트 회사들이 Implant Studio (3shape, Denmark) 등의 발전된 형태의 소프트웨어와 3D 프린트 보급화 등의 추세를 따라 회사 단위에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를 공급하고 있으며, 이제는 가이드 수술이 보편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고찰 및 결론 : 정확도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정적 CAS가 드릴을 물리적으로 구속하므로 가이드의 적합도가 담보된다는 전제하에 동적 CAS인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비해 좀 더 정확한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CT 촬영 당일에 별다를 준비 없이 컴퓨터 보조 수술을 할 수 있으며, 임플란트 계획을 수술 도중에도 상황에 맞게수정할 수 있는 유연성에서의 장점이 있다. 따라서 두 가지 방식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각 진료 환경에맞는 시스템을 취사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내비게이션 임플란트 수술 시스템은 위치 추적을 위한 센서와 통신 기술, 수술 계획 단계에서의 인공지능, 그리고 향후 로봇기술이 보다 정밀화된다면 로봇자율수술까지도 활용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의기술들이 집약되어 있는 분야라고 생각된다. 2004년 전후로 이스라엘에서 처음으로 개념과 실 사용이가능한 장비가 소개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은 아니지만,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기반으로 치과 임상에 보다 가깝게 다가오고 있다. 최신 장비를 소개하는 각종 전시장에서 여러 회사들이 각자의 특징적인 내비게이션 수술 장비들을 적극적으로 소개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임플란트 수술의 트랜드가 점차 이쪽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가지고 반전을 이루어 간다면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치과계가 의료산업과 학문 발전을 견인하는 선도적인역할을 할 수 있을 ...

      • KCI등재후보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서 자연치와 비슷한교합형성법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

        전보슬,김승균,이정진,서재민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18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2 No.3

        Restoration with fixed prostheses using implants is a generalized treatment method in partially or fully edentulous patients. In the past, where only the function of the implant prostheses was emphasized, successful osseointegration was just enough to be considered clinically satisfactory. Recently, however, as the patient’s demands have increased, the recovery of function and esthetics similar to the lost natural teeth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for implant prostheses restoration. There may be controversy as to whether occlusion of natural teeth can be applied to implants with different morphological, histological, and dynamical characteristics from those of natural teeth. Therefore, this article will investigate the possibility, prerequisites, limitations and solutions of implant occlusion formation similar to natural teeth. Ⅰ. 서론 : 부분 또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수복은 일반화된 치료방법이다. 임플란트 보철의 기능만이 강조되던 과거에는 골유착에 기반한 성공만으로도임상적으로 만족스럽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환자의 요구사항이 높아지면서 상실된 자연치아와 유사한 기능성과 심미성의 회복이 임플란트 보철 수복의 중요한 문제로대두되고 있다.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아우르는 교합 양식은 상호보호교합(mutually protected occlusion) 으로, 이는 최대교두감합에서는 구치부가 강하게 교합되고 전치부에서는 약하게 교합되며, 하악의 전방운동 시에 모든 구치가 이개되고, 측방운동 시 비작업측의 구치는 이개되고 작업측구치는 교합간섭이 없어서 기능 운동시에 전치부와 구치부를 모두 보호하는 교합 방식이다 . 임플란트는 자연치와 달리 치주인대와 치주기계수용기(periodontal mechanoreceptor)가 없기 때문에, 자연치에 비해 충격 흡수가 약하고 교합 인지 능력이 떨어지며 임플란트-골 계면으로 스트레스가집중된다1,2. 그렇다면 과연 자연치와 다른 형태학적, 조직학적, 역학적 특성을 가지는 임플란트를 자연치와 유사한 교합으로 형성해주어도 되는 것인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 . 따라서 임플란트 보철물의 교합 형성은 자연치와 다른 방식으로 임플란트를 보호할 수 있는 임플란트 보호교합(implant protected occlusion)이 추천되어져 왔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3,4. 1) 중심 교합 시 간섭이 없고 자연치보다 약한 교합 또는 저위 교합(infra-occlusion)의 형성2) 임플란트의 중심에 집중된 교합 접촉(centered occlusal contact)의 부여3) 넓은 자유도를 가지는 와(wide freedom in centric occlusion)의 형성4) 둥글고 낮은 교두각(rounded and diminished cusp tip)의 형성5) 자연치 보철물보다 30~40% 작은 크기의 교합면(narrow occlusal table) 형성6) 작업측/비작업측의 간섭이 없는 교합면의 형성지금까지 이러한 임플란트의 교합형태가 기계적, 생물학적 합병증 없이 임플란트의 임상적 성공율과수명을 높여줄 것이라고 평가되었다5,6. 하지만 이를 증명할 충분한 임상적 연구와 근거 기반 결과(evidence- based outcome)의 부족으로 이상적인 임플란트 교합은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7. 또한 최근에는골유착에 기반한 성공만으로는 임상적 만족을 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및 보철물의 기계적물성과 개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자연치와 유사한 임플란트 교합 형성에 대한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전통적으로 추천되어 왔던 임플란트 교합 형성의 개념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임상적으로 임플란트 보철물을 설계할 시에 적용할 수 있는 교합에 대해 제시해 보고자 한다 . Ⅲ. 결론 : 임플란트와 자연치 모두에서 존중되어야 하는 기본 교합 양식은 상호보호교합이다. 따라서 임플란트보철 수복 시, 교합면 접촉의 위치와 교합 정도, 교두 각도, 교합면 크기를 자연치와 유사하게 형성하는것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으며, 하악의 편심운동 시에는 전방부 치아나 다수의 임플란트가 유도를 담당하여 구치부의 불필요한 간섭이 없도록 하는 것이 추천된다. 하지만 주변치아들의 심한 마모나 파절, 비기능 습관과 같은 조절할 수 없는 응력이 존재한다면 선택적으로 임플란트 보호교합을 형성하는 것이임플란트의 기계적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즉, 임상가가 환자 개개인마다 응력에대한 종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