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양기초교육연구소 운영 성과와 특성화 방안

        윤승준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2 교양기초교육연구 Vol.3 No.1

        이 글은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의 운영 성과와 고전교육을 위한 특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연구소의 운영 모델을 모색하는 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의 조직과 인적 구성, 연구 활동, 교육 활동을 소개하고, 고전 및 지성사 연구와 교육을 통합하기 위한 단계별 특성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2013년 10월 1일에 설립된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는 대학 및 국가 수 준에서의 교양교육 정책 연구, 교양 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 교양교육 성과 진단 및 분석, 환류 프로그램 개발, 교양교육 관련 각종 세미나와 학술대회 개최, 학술지 간행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교양기초교육연구소는 소장과 감사, 간사 등 약간 명의 임원을 두고 있으며, 운영위원회와 편집위원회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교양기초교육연구소의 활동은 연구 활동과 교육 활동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연 구 활동으로는 학술지 교양기초교육연구 의 발간, 국내 학술대회 개최, <창파강 좌>의 공동 주최, 2019년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 연구과제 수행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전 교육의 저변 확대를 위하여 사페레 아우데, <단국권장도서 101> 독서토론대회,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인문교양강좌 운영 등 학생과 지역사회를 위 한 다양한 교육 활동을 펼치고 있기도 하다. 교양기초교육연구소는 ‘고전 및 지성사 연구와 교육의 거점 연구소’로 성장한 다는 목표 아래 단계별 발전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1단계 기반 강화기 (2019~2022)에는 연구소의 발전 기반을 강화하기 위하여 학술지 발간과 학술대 회 개최 등 연구소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주력하는 한편, 고전교육 방법론 을 모색한다. 그리고 2단계 성장 발전기(2023~2025)에는 고전 및 지성사 연구 와 교육의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데 역점을 두어 연구소 특성화 계획의 목표 를 실현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교양기초교육연구소의 이러한 특성화 방안은 대학 교양기초교육연구소의 성공적인 운영과 발전을 위한 타산지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development strategy of the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Research Center by introducing the operational results of Dankook University’s Institute for Liberal Arts and Sciences Education(DILAS) and a specialization plan for classics education. To this end, the organization, personnel composition, research activiti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DILAS were introduced, and specialization strategies for each step was proposed to integrate research and education classics. Founded on October 1, 2013, DILAS researches liberal arts education policy at university and national level, develops liberal arts curriculum and subjects, diagnoses and analyzes liberal arts education outcomes, develops feedback programs, and conducts various seminars related to liberal arts education. Its main businesses include holding academic conferences and publishing academic journals. DILAS has a few executives such as the director, auditor, and secretary, and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the Steering Committee and the Editorial Committee. The activities of the Institute for Liberal Arts and Sciences Education can be broadly divided into research activiti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Research activities include publication of the academic journal ‘Research on Liberal Arts and Science Education’, holding domestic academic conferences, co-hosting <Blue Waves Lecture>, 2019 A Support Project for Humanities and Social Research Institute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addition, in order to expand the base of classical education,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for students and the local community are being carried out, such as Sapere aude, <Dankook Recommended Book 101> reading debate contest, and humanities liberal arts lectures for local residents. DILAS h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a step-by-step development strategy with the goal of growing into a ‘research center for classical and intellectual history research and education’. In the first stage of strengthening the foundation (2019~2022), in order to strengthen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stitute, it focuses on performing its original functions, such as publishing academic journals and holding academic conferences, while exploring the classical education methodology. And in the second stage of growth generator (2023~2025), there is a plan to realize the goal of the research institute specialization plan by focusing on creating practical results in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classical and intellectual history. This specialization plan of DILAS can be considered as a model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Institute for Liberal Arts and Sciences Education at universities.

      • 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의 과학교육환경에 관한 연구

        조혜경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과학교육논총 Vol.13 No.-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의 과학교육환경에 관한 조사 연구로 과학교육연구소의 인적 구성면, 시설면, 역할, 과학교육교수-학습 활동 지원 현황 등에 관한 실태 조사를 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전국 교육 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의 소장은 많은 학교에서 과학교육과의 교수가 맡아 하고 있으며, 과학교육과, 수학교육과의 대부분의 교수와 컴퓨터 교육과, 실과교육과 교수가 약간 운영에 참여하고 이싸. 또한 전임조교는 8개교 겸임조교는 3개교에서 확보하고 있었다. 2.소장실, 사무실, 기자재 보관실 등의 시설물이 열악한 실정이다. 3. 과학교육연구소의 역할로 연구 논문집 발간, 각종 인쇄물 제작은 전국 교육 대학교가 공동으로 하고 있었으며,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현장 연구대회, 각 종 세미나, 강연회 등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교육 관련 실험활동의 자료 및 기기의 확보, 보관, 대여를 하고 있는 학교는 그리 많지 않았다. 또한 보유 현황과 재정도 열악한 상태이며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도 부족한 실저이다. 4.대부분의 과학교육연구소는 시설의 빈야과 인적·물적 자원 부족으로 설립 목적에 부합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므로 이에 따른 자구책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In this study the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in the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explored through the survey on the composition of staffs, facilities, roles, facilitat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science educ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Directors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in all of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Most of the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and that of math education, and some of the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and that of practical arts took part in the operation of the research centers. In the 8 Universities of Education, research centers had full time assistants, whereas in the 3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 center had assistants serving for 2 offices at the asme time. 2.The facilities like the offices of the directors, offices of the research centers, the Universities Education storages to keep apparatus and materials were in poor condition in all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3.All of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published academic journals and various printed mateerials. But few centers purchased, kept, and lent materials and apparatuses for experiments related with science education. The amount of materials and apparatuses they kept and thir financial condition were very poor, and the centers were in need of qualified staffs. 4.Most of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were in lack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so they did not properly perform required roles. Some devices needed to be worked out to get out of this present condition.

      • KCI등재후보

        학교교육정책 변화에 따른 교육연구 방향: 국책연구소와 시도교육정책연구소를 중심으로

        장경숙,이병천,정은주,임은영,김영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9 교육발전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educational research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accordance with the new government 's educational reform policy focusing on local education autonomy.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educational research outcomes of a government-funded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GFERI) and the research institutes affiliated to local offices of education(LOERI).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 reports by LOERI and GFERI was done with a total of 683 research reports published by 13 region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and 1,023 reports published by the GFERI. The published repor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category, theme, school level, research type, and research focus. Classification by publication year shows that the number of research reports decreased in GFERI while LOERI increased the number of research reports. It is also revealed that there is a big gap among the LOERIs; while the least number of studies are 4 research repor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are 151. 317 out of 1,023 reports by GFERI wer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field; 296 reports were in the field of curriculum and textbook, and 262 reports were studies on assessment. 437 cases out of a total of 683 research reports by the regional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were categorized as ‘local research issues’. The comparison between the LOERI and GFERI shows that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lies in local issues, and one common area is learning and teaching improvement. It implies that loc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has conducted research on various regional areas(regional school policy, school administration, local educational policy etc.) to meet various local needs, while the GFERI has done educational research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with focus on curriculum, evalu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chool level classification, the studies dealing with al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utnumber the other types of research. It is found that local research institutes did more studies at the kindergarten level than GFERI. In the comparison according to regional specificity, it is found that GFERI focuses on policies and educational issues at the central level, while the LOERI conducted studies on region-focused issues. The scope of GFERI research goes beyond the domestic to the global level. While the staff member of GFERI were conducted studies,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joined research as external co-researchers in the region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According to the new government’s local education autonomy policy, LOERIs are expected to carry out autonomous, more practical and field-based policy research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of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Recently, a network of regional education policy research institutes has recently been established to carry out joint research among region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individual research institutes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r local constraints. It is necessary for GFERI as a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to carry out studies with local research institutes to meet needs from local areas across the country. Efforts needs to be made to seek effective ways of doing research in collaboration from selecting research topics, and collecting data and analyzing to proposing educational policies. A consultation body can be established to enhance collaboration among institutes. Such collaboration is expected to support and bring about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new educational policy with focus on local education autonomy.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교실혁명과 교육자치를 통한 교육개혁 정책에 따른 정부출연 교육연구기관의 연구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정부출연 교육연구기관과 시도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에서 수행된 연구의 비교 분석을 위해 한 정부출연 교육연구기관과 13개 시도교육정책연구소에서 최근 5년간 발간된 연구 보고서를 발행 연도, 연구 영역, 주제, 세부영역, 학교급, 위탁여부, 지역특수성, 수행 형태 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두 기관의 설립 목적과 특징에 따라 수행 연구 영역, 주제, 범위, 형태, 방식 등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지방 교육자치 정책에 따라 시도교육청의 교육정책연구소에서는 자율적이고 보다 실천적이며, 지역성과 현장성이 강한 정책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각 지역 연구소의 위상과 제도적 여건에서 차이가 있어 정책연구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역 간 공동연구를 통해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중앙 차원에서 연구가 수행되는 정부출연 교육연구기관은 전국교육청 정책연구네트워크와 협의체를 구축하여 공동연구를 추진한다면 지역교육청과 학교 현장의 자료 수집 및 현장 접근성이 높아지고, 현장성이 강한 교육 연구 수행이 가능하게 되며, 현장의 참여와 피드백이 활성화되어 실질적이고 지역별 실정에 부합되는 교육 정책 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일본 시청각장애학생 현황 및 교육실태 분석

        박경란 ( Park Kyungra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4

        [목적] 이 연구는 일본 시청각장애학생 현황과 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시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 방향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일본 문부과학성 시청각장애 관련 정책 자료, 특별지원교육 관련 법령, 특별지원학교 학습지도요령 등을 분석하고, 전국맹농인협회와 국립특별지원 교육종합연구소에서 실시한 맹농인 실태 조사 결과를 검토ㆍ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일본에서는 ‘시청각장애’에 대한 법적인 정의가 확립되지 않았으며, 시청각장애는 ‘맹농(盲聾)’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14,000명의 맹농인 중 학령기 학생은 555명으로 추정되며, ‘맹농’보다는 ‘약시난청’이나 ‘전맹난청’ 학생의 비율이 높고, 시청각장애 외 다른 장애를 동반한 학생 비율이 높았다. 둘째, 일본은 「영유아 건강검진」과 「취학 시 건강검진」을 통해 장애를 발견하고 의료, 보건, 복지, 교육 등 관련 분야의 협력을 통한 연계 지원 체계를 강조한다. 검진을 통해 발견된 장애학생에 대한 상담ㆍ지원을 위해 ‘개별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학령기 동안은 ‘개별교육지원계획’으로 전환되어 장애 영역별 특별지원학교가 중심이 되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청각장애학생의 배치에 있어서는 해당 학생의 당면 과제의 우선 순위를 파악하고 가장 시급한 당면 과제에 대응할 수 있는 특별지원학교에 배치가 이루어진다. 셋째, 일본에서 맹농학생에 대한 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일반교육과정에 준하는 교육과 함께 ‘자립활동’을 추가적으로 편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발달장애가 심한 맹농학생의 경우 ‘자립활동’을 중심으로 지도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자립활동’의 ‘의사소통‘ 영역에서 의사소통 수단의 선택ㆍ활용에 대한 고려사항이 명시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맹농교육 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해‘국립특별지원교육종합연구소’에서 매년 연수회를 실시하고 ‘전국맹농교육연구회’가 조성되어 맹농교육 현장 실천 사례를 공유하고 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청각장애 진단ㆍ평가, 교육배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그리고 교사 전문성 함양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find implication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support for deaf-blind students in Korea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educational status of deaf-blind students in Japan. [Method] To this end, policy data on the deaf-blind from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were analyzed. Laws related to special support education and learning guidelines for special support schools were also analyzed. [Results] First, in Japan, no legal definition of ‘deaf-blind’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term ‘deaf-blind (Mourou)’was being used. Among the 14,000 deaf-blind people in Japan, 555 are estimated to be school-aged. The percentages of ‘low vision and hard of hearing impaired’ or ‘blind and hard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deaf-blind' students, and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 had other disabilities apart from deaf-blindness. Second, Japan finds disabilities through ‘infant and child health screening’and ‘school enrollment health screening'. Moreover, Japan emphasizes a connected support system through cooperation in related fields, such as health, welfare, and education. When a disability is found through screening, an ‘individual support plan’ is established to counsel and support the disabled person. If the person is of school age, this plan is converted to an ‘individual education support plan’ and support services are provided by special support schools. Third, in Japan, the curriculum for deaf-blind students requires additional ‘self-reliance activities’ along with an education equivalent to the general curriculum. In particular, considerations for the selection and use of communicative means are specified in the ‘communication’ part of the‘self-reliance activities'. To foster the expertise of the teachers of deaf-blind students, the Japanese‘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Needs Education’ offers and annual workshop, and the ‘National Research Society for Deaf-blind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to share cases of deaf-blind education practic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were found regarding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deaf-blind students, educational placement,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 expertise.

      • 교육혁신을 위한메타버스와 가상현실의 활용

        류지헌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교육연구 이슈리포트 Vol.- No.1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는 1973년에 개소한 이래로 우리 교육 현장의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한 교육 연구 활동을 추진해왔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육 현장을 연계하고 교육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 사업을 진행시켜왔다. 이 와 더불어 연구 결과를 수집하고 확산시키기 위해서 학술연구의 편찬 활동을 이끌어왔다. 그런데 교육 현장을 지원하기 위한 매체 및 운영 환경이 급속히 확장되면서 이에 대한 이해와 활용방안을 확장할 필요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급속하게 변화하는 교육정보를 공유 하고 매체 활용 등을 시기적절하게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기존에 교육문제연구소가 펼쳤던 연구편찬 활동을 확 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이슈리포트"를 발간하기로 하였다. 교육문제연구소의 이슈리포 트는 세 가지 운영 방향을 토대로 한다. 첫째, 정보성이다. 교육 환경 변화 등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도록 한다. 둘째, 현장성이다. 변화된 교육환경에서 어떻게 적용 해야 하는가를 보여주기 위한 실천적인 방법을 소개할 것이다. 셋째, 가능성이다. 새로운 방법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인 교육의 변화 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는 이슈리포트를 통하여 초중등 및 고등교육 전반에 걸친 교육 정보와 활용에 대한 실천적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핵심역량 중심의 교양교육 방법 및 효과 연구 - 성공회대학교의 <말과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오현화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0 한국어문교육 Vol.33 No.-

        핵심역량 중심의 교양교육의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대학교육의 본질 훼손과 수행의 측면만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핵심역량 중심의 교양교육이 지닌 한계점들을 극복하고, 대학교육의 본질과 질적 향상을 제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먼저 성공회대의 교양교육 체계 및 교육과정 운영 현황 및 결과를 살펴보고, 1학기 ‘혁신’ 과정의 핵심역량 과목으로 지정된 <말과글> 수업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해 핵심역량 중심의 교양교육의 실효성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팀프로젝트 활동으로 이루어진 ‘기획서 작성하기’는 2019년 재학생 핵심역량진단 평가에서 미흡하다고 지적된 ‘대안’ 역량 습득 보완을 위해 마련된 교육과정이다. 코로나19로 인해 팀프로젝트 활동은 전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이루어졌으며, LMS 온라인 강의와 카카오톡 오픈채팅을 통해 팀별 활동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팀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안’ 역량과 ‘실천’ 역량의 영역별 학습 능력 향상도 역시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답변을 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말과글> 수업이 ‘실천’ 역량 중심의 교양과목이긴 하지만, 기존 교육과정 및 내용을 수정·보완한다면 통합적 핵심역량 교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There is still much controversy about the effectiveness of liberal arts education centered on core competencies in the education field. This is because it undermines the essence of university education and emphasizes only the aspect of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some cases of actual classes to see whether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re competencies-centered liberal arts educ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First, the current status and results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operation of Sungkonghoe University were investigated. Afterwards, the effects of liberal arts education centered on core competencies were analyzed through the case of <Speaking and Writing> class. The result of a survey done through Google revealed that students' satisfaction with team project activities was very high. The results of the survey found that the integrated core competency education is possible if the already existing curriculum and contents are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 KCI등재

        최근 10년간의 중등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고찰

        강종구,김영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2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전공과 포함)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환경별 진로직업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동안 ‘특수교육통계’에 나타난 중등특수교육의 진로교육 여건 및 취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은 중학교에서 전공과까지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 많이 특수학교에 배치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경력 특수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일반학교보다는 특수학교에 더 많이 배치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은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취업에서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전공과와 같은 추가적인 지원만으로는 이러한 어려움을 대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방법들로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안하였다. 첫째, 특수학교는 진로직업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학교는 보다 많은 경력 특수교사의 배치를 포함하여 진로직업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실존철학의 죽음이해와 죽음교육의 의의

        신교남 ( Shin Kyona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실존 철학자인 니체와 하이데거의 죽음에 대한 관점을 고찰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죽음 교육의 의미를 논의하는 것이다. 니체는 삶의 완성으로서의 죽음을 강조하였고 하이데거는 본래적 삶 회복으로의 죽음을 주장한다. 죽음교육의 의미는 다음 4개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자살 예방 교육은 철학적으로 고찰되어야 한다. 실존적 죽음교육은 자살예방교육을 위한 심층적 교육 배경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 둘째, 죽음교육은 공존적 실존교육일 수 있으며, 개별적 실존교육의 발전된 형태일 수 있다. 셋째, 죽음교육은 비연속적 교육의 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교육을 받음으로 인하여 궁극적으로 우리가 전인적으로 성장하고 결단과 책임을 통하여 실존교육의 정상으로 인도되기 때문이다. 넷째, 인간은 죽음을 통해 삶을 성찰하기 때문에, 죽음은 인간에게 전환점이다. 죽음교육은 일반교육에 새로운 지평을 여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 세상을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게 하는 바탕을 제공해 준다. 결론적으로,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죽음교육은 인간에게, 무엇이 될 것인가 아닌,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성찰적 의미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istential philosophers, Nietzsche’s and Heidegger’s, perspectives of death and discuss the meanings of death education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death. Nietzsche emphasized death as the completion of life, whereas Heidegger insisted that death was the recovery of authentic life. Four topics of death education are discussed. First,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philosophically reviewed. Existential death education is an appropriate starting point for a deeper educational background of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Second, death education can be coexistential education, which could realize a higher degree of education than individual existential education. Third, death education can be an alternative education to noncontinuous education a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to enable people to grow holistically and lead them to the top of existential life through resoluteness and responsibility. Fourth, as human beings reflect on their lives through death, death is undoubtedly a turning point therefore, death education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r education by opening up new horizons inspiring people to see the worl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conclusion, in terms of existential points of view, death education can teach, a reflective meaning of how to live, not what to be.

      • KCI등재후보

        Liberal Education, 그 오래된 미래를 향하여 -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단국대학교의 도전

        윤승준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0 교양기초교육연구 Vol.1 No.1

        본고는 단국대학교가 Liberal Arts College와 Liberal Education을 시행하기 위하여 준비해 온 과정을 돌아보고, 자유교양대학(D-LAC)을 운영하고자 하는 목 적과 교육목표가 무엇인지,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을 어떻게 개편하였으며, 그 시행 에 있어서 해결해나가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단국 대학교는 학생들을 인문학과 사회과학, 자연과학 분야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식견, 깊이 있는 안목을 갖춘 인재로 양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교양교육대학을 자유교양 대학(D-LAC)으로 전환하고, 대학의 교육과정을 교양ㆍ전공ㆍ선택(웅비)의 3원 체 제로 재편하면서 교양교육과정의 내실화를 도모하였다. 다만 그 시행에 있어서는 학내 여건을 고려하여 교양교육과정의 개편을 단계적으로 시행하기로 하였다. Liberal Education을 위한 단국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은 중핵교양, 공통교양, 영역별교양 으로 구성되는데, 중핵교양 교과목 개발에 소요되는 기간을 고려하여 2020학년도 에는 공통교양과 영역별교양으로만 구성하고, 2023학년도부터 중핵교양을 포함한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한다. 대신 2020학년도부터는 기존의 대학기초교양 영역에 개설되었던 전공기초 성격의 교과목을 전공교육과정에서 이수하도록 하고, 특정 시험을 대비하기 위한 교과목이나 취창업 관련 교과목 등 보편지성교육을 위한 교 양 교과목으로서는 부적합한 교과목들을 웅비교육과정에서 이수할 수 있도록 함으 로써 다양한 교육 수요를 충족시키면서도 교양교육과정의 정체성을 제고할 수 있 도록 하였다.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이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발전하기 위 해서는 학내 구성원의 협력과 공조, 「세계 지성사의 이해」와 같은 새로운 교과목 의 개발, 영역별교양 이수학점의 확대, 기초학문 분야 전임교원의 확보 및 교육여 건 확충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This paper reviews the process that Dankook University has prepared to implement Liberal Arts College, the goal of Liberal Education that Dankook University pursues, and how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the educational goals, and what tasks were to be needed in its implementation. Dankook University has transformed an existing the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into a liberal arts college (D-LAC) in order to cultivate students with a wide range of knowledge, insights and in-depth knowledge in the field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The education curriculum was reorganized into a three-element system of liberal arts, majors, and choices (Ungbi), aiming to enhance the liberal arts curriculum.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was decided in stages in consideration of the university conditions. Dankook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Liberal Education consists of core curriculum, common course, and distributed requirements. Consider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core curriculum, the 2020 school year consists only of common course and distributed requirements. And in 2023, a complete liberal arts curriculum including core curriculum will be operated. In order for Dankook University’s liberal arts college to take root and develop stably, coopera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development of new courses such as “Understanding of the World Intellectual History”, expansion of credits for liberal arts in each area, securing of full-time faculty in basic academic fields, and increasing educational conditions remain a challenge.

      • KCI등재

        죽음교육 연구동향 분석: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이영선,장환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죽음교육의 연구동향을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향후 죽음교육의 체계적인 확산및 발전을 위한 연구방향성 및 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대상 논문은 최근 10년 동안의 등재후보 및 등재 학술지 국내 논문 100편이었고, 연도별, 전공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내용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도별 분석에서는 2014-2016년의 연구가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별 분석에서는 교육학(29%), 사회복지학(19%), 신학(18%), 간호학(16%) 순이었다. 연구대상별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노인(19%)이 가장 많았고, 성인(3%)과 유아(2%) 대상이 가장 적었다. 연구방법별 분석을 보면 양적연구가 3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문헌연구(32%), 사례 및 개발연구(24%)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내용별 연구동향은 교육철학적, 교육과정 및 방법, 교육사회학적, 교육심리적·상담적, 의료·법적 포함 실용적 접근으로 평생교육 관점과 연계하여 분석하였고, 이러한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죽음교육의 체계적인 확산 및 발전을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