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법학 106년 회고 및 전망 -민사소송법의 관점에서-

        정영환 ( Young Hwan Chung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고려법학 Vol.0 No.68

        본 논문은 고려법학 106년 회고 및 전망이라는 제목으로 민사소송법의 입장에서 서술하고 있다. 고려법학(Korea Law Review)의 뿌리는 보성전문학교(Bosung University) 당시인 1907년 법정학계(Bosung Law Review)에 뿌리를 두고 있다. 논문의 내용은 고려법학의 학문적 업적은 보성전문학교와 고려대학교의 전임교수가 쓴 글이 주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1905년 이후의 보성전문학교와 고려대학교의 교수진을 살펴본 후에 고려법학에 게재된 논문의 내용을 간단히 본다. 논문 중 1908년에 법정학계에 게재된 논문 2편은 민사소송법의 법제사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생각되어 원문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것으로 고려법학의 106년을 나름대로 회고하였다. 이러한 기초 위에 고려법학의 향후 발전방향을 간단히 제시함으로써 그 전망에 갈음하고 있다. Under the title “Retrospecting one hundred and six years of Korea Law Review and prospecting its future”, this article is describing the retrospect and prospect of the journal from the perspective of civil procedure. Korea Law Review has roots in Bosung Law Review that was first published in 1907, by “Bosung University”, the former self of Korea University. Because academic values of Korea Law Review have been established by faculty members of Bosung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this article first examines faculty members of the two universities; then it briefly looks through contents of the scholarly articles published in Korea Law Review. This article reviews contents of two articles more thoroughly that were published in Bosung Law Review in 1908, because they are thought to have important meaning in terms of legal history of Korean civil procedure. Likewise, this article looks back one hundred and six years of Korea law Review. Based on the retrospect, this article briefly suggests possible directions of future development of the journal in lieu of the prospect of it.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재 분석 연구 - 2005년, 2014년 고려대학교 글쓰기 교재를 중심으로 -

        윤철민 ( Chul Min Yo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문교육 Vol.17 No.-

        본 연구에서는 고려대학교의 2005년 개정판 대학 글쓰기 교재와 2014년에 개발된 대학 글쓰기 교재를 비교 분석하여, 고려대학교 글쓰기 교재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고려대학교 2005년 교재와 2014년 교재의 비교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교재 분석 준거를 ‘형식 요소’와 ‘내용 요소’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하위분류 항목을 제시하였다. 두 교재의 ‘형식 요소’ 중 ‘제목’을 살펴보면, 2005년 1학기 교재는 ‘글쓰기의 기초’, 2014년 1학기 교재는 ‘대학 글쓰기의 이해’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2005년 글쓰기 교재는 일반적인 글쓰기 교재로서 글쓰기의 기초적인 내용들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반면 2014년 교재는 ‘이해라는 제목과 같이 전반적으로 대학에서의 글쓰기란 무엇인지를 학습자들이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다음으로 살펴볼 부분은 ‘분량과 부록’이다. 두 교재의 분량은 부록 부분을 제외하면 큰 차이가 없다. 한편 부록을 살펴보면 2005년 교재는 한자 교육에 매우 치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2014년 교재는 부록에 발표와 토론, 어문규정, 한자성어를 포함하여 ‘읽기·쓰기’교육을 중심으로 한 말하기, 듣기, 문법, 한자의 ‘대학 국어(글쓰기)’교육의 형태를 지향하고 있다. 두 교재간의 가장 큰 차이는 분권의 형태이다. 총 3권의 계열별 글쓰기 교재로 구성된 2005년 교재와 달리 2014년 교재는 각 계열에 맞는 주제와 복합 주제로 구성된 단권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계열별 글쓰기 교재가 갖고 있는 ‘학문 통합적 사고의 어려움’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볼 수 있다. 내용 요소에 관한 분석에서 주목할 부분은 먼저 ‘교육 목표·이론’ 항목이다. 2005년 교재의 경우 교수 항목인 교육 목표·이론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2014년 교재는 머리말을 통해 고려대학교 글쓰기 교재(교육) 의 교육 목표와 이론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 항목의 ‘단원 구성 및 전개’ 요소를 살펴보면 기존의 ‘설명-읽기자료1-도움말’ 형태를 유지하되 2014년 교재에서는 도움말 이후에 부과되는 학생 활동에 대해 더욱 세분화 하여 ‘기본 과제(쓰기·발표·토론)-심화 과제(쓰기·발표·토론)-활동자료’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형태는 교재가 제시하는 과제들을 단계적으로 학습하여 높은 수준의 사고와 표현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I compared and analysed, 2005-revised College Writing Textbook and 2014-developed College Writing textbook. Moreover, examined how it has changed. To compare the two textbooks in the study, we have classified ‘formation constituent’ and ‘content constituent’ as the criteria for analysis. In ‘formation constituent’, I looked over the ‘title’ first. The titles are ‘The basic of the Writing’ in semester 1 year 2005 and the other is ‘The Understanding of College Writing’ in the first semester in year 2014. The textbook in year 2005, is a general Writing textbook. It put meaning by providing contents of the basic writing. Then, the ‘Quantity and Appendix’. The quantity of the two textbooks does not have much difference except for the Appendix. In the appendix, the 2005 one very muchly tend to focus on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However, in 2014 one, it includes ‘presentation and disucssion’, ‘liguistic rules’, and ’Chengyu’. Therefore, with ‘Reading·Writing’ Education as the center, it is educating formation of ‘College Korean(Writing)’ with speaking, listening, grammar, chinese charcter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two are form the division of the books. In 2005 second semester, textbooks by department are three. In 2014, textbooks are made in singular copy of book by its own suitable department and complex subject. This features are to solve the ‘scholar integrated thinking difficulties’ that the existing textbook by the department copy has had. ‘Context’ factor is ‘Education aim·theory’ factor. In 2005, the textbook does not specify the Education aim·theory. On the other hand, it is proposed in the ‘Heading’ of the textbook. Finally, I examined ‘unit structure and development’. Both textbook had the form of ‘description-Reading material1-help’. However, in the textbook of 2014, they detailed the student activity after the ‘Help’. If examine it carefully, I could figure out that it was composed with ‘Basic assignment (Writing ·Presentation ·Discussion) - Advanced assignment (Writing ·Presentation ·Discussion) - Activity Material’. This made the learners to learn that the textbook proposed step by step, and develop a high-level of thinking and expressing ability.

      • KCI등재

        고려법학 106년의 회고와 전망 -노동법학-

        박지순 ( Ji Soon Park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고려법학 Vol.0 No.68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학술지에 2012년 10월 현재까지 약 53편의 노동법관련 논문이 게재되었다. 필자의 대부분은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및 법학전문대학원에 재직하였거나 재직 중인 교수 들이지만, 최근에는 본교에 재직하고 있지 않은 연구자들의 투고도 점차 늘고 있다. 고려법학은 노동법학 분야에 관하여 고려대학교만의 고유한 학풍과 경향을 상대적으로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고려법학이 보여준 노동법학의 가장 큰 특징은 전체 법질서의 조화적·유기적 관계 하에서 근로자보호를 실현할 뿐 아니라 바람직한 근로관계 질서의 형성을 도모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나아가 현대적 노동질서의 방향과 논점을 제공하고 있다는데 있다. 특히 노동법도 전체 私法秩序의 범주에서 私法의 수정과 보완관계를 통해 노동법의 이론을 발전시키고 있다는 점, 헌법의 객관적 가치질서의 내용을 구체화하여 해석론의 준거로 제시함으로써 해석의 타당성을 견지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종래 일본 노동법 일변도의 비교법 연구에서 독일 노동법의 역사와 이론 그리고 실무를 직접 연구대상으로 삼아 노동법 연구의 이론적 다양성과 깊이를 더해주고 있다는 점을 그 기본적 방법론으로 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노동법을 이념적, 계급적 틀에 가두지 않고 전체 법질서의 유기적 관련성을 고려하여 체계적 해석을 시도하고 그에 터잡아 이론과 실무의 조화를 도모하고 있다는 점도 고려법학이 이룩한 노동법학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특징을 고려하여 노동법학 방법론과 노동법체계의 관점에서 새로운 이슈를 제시한 논문과 노동법의 새로운 과제영역을 던진 논문 그리고 비교법적 관점에서 새로운 쟁점과 논리를 제시하는 논문들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노동법학을 위하여 고려법학이 이뤄낸 성과를 반추하고 있다. The journal of the Korea University Legal Research Institute which first launched as Law Journal(법학논집) in 1958 has carried about 53 articles in the field of labor law by October 2012. Most of the authors are from law department of Korea University or Korea School of Law, however increasing number of articles are being submitted by researchers from outside of the institute. Legal researches appeared in Korea University Law Review focus on establishing order of labor relationship as well as realizing protection of workers in the cooperative and organic relation with the whole order of law suggesting directions and issues regarding modern labor order. Particularly, they have pointed out that labor law has been developed through amendment and complement of principles of private law and they regarded constitutional objective order of values as standard of interpretation. Also contrary to the previous tendency of concentrating on comparative studies with Japanese labor law, the history, theories and practices of German labor law began to be dealt with to extend diversity and depth of research on labor law. This article attempted to ruminate the success Korea University Law Review has been deriving for legal studies on Korean labor law based on articles that presented methodology, new issues in regard to labor law system, original research subjects, new logic in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comparison. The most notable characteristic of legal studies on labor law presented in Korea University Law Review is that they tried to systemically interpret the laws considering the order of laws as a whole instead of restricting labor law to ideologies and classism in order to harmonize theories and practices. This especially stands out as the academic tradition of Korea University Law Review since 1960, when legal studies on labor law were at a primary stage in Korea. Korea University Law Review has considerably contributed to academic development by pursuing normative integrity in interpretation, focusing on presenting reasonable policies based on constitutional objective order of values and professionally conducting comparative legal studies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including Germany.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ology developed by Korea University Law Review lasts and advances to be established as academic traditions of Korea University Law Review.

      • KCI등재후보

        Ssangsŏng Ch’onggwanbu as the Border between Koryŏ and Yuan Dynasty

        Nakano Kota(나카노 고우타)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8 No.1

        1258년부터 1356년까지의 약100년간 존재한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는 元이 고려 동북부에 세운 지배기구이다. 쌍성총관부는 100년 동안 유지되었다는 특수성과 이성계 가문의 세력기반이라는 정치적 중요성 때문에 연구자들의 주목을 끌어 왔다. 쌍성총관부에 관한 기존연구는 고려와 쌍성의 관계를 검토한 것이 대부분이고 元과의 관계를 충분히 검토하지 않았다. 본고는 쌍성과 元, 그리고 고려와의 관계를 검토함으로써 쌍성총관부가 元과 고려 사이에서 어떻게 존속했는가를 밝히려고 했다. 그 검토를 통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元은 쌍성을 고려의 일부분 아니면 고려와 女眞의 경계지역 정도로 인식하고 자기의 영토로서 그리 중시하지 않았던 것 같다. 元은 금의 공납을 받는 대신 쌍성총관의 지배권을 인정했으나 고려가 금의 공납을 약속하자 元은 고려의 쌍성수복을 묵인했다. 쌍성총관부와 고려의 관계는 원래 적대적이었다. 1287년에 元에서 乃顔 · 合丹의 난이 일어나자 고려는 그 기회를 이용해 쌍성수복을 시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 난을 계기로 고려의 영향력이 커지고 쌍성 내부 세력들도 고려와의 관계를 중시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쌍성은 조림 형제의 출사로 볼 수 있듯이 고려에 대해 의존하게 되었다. 쌍성총관부는 元과 고려라는 자기보다 큰 두개 세력을 균형있게 이용함으로써 100년 가까이나 살아남을 수 있었다. 쌍성에서 고려왕에 대해 비교적 자립적인 이성계 세력이 성장할 수 있던 이유도 쌍성총관부의 이런 성격으로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Ssangs?ng Ch’onggwanbu, which existed for about 100 years between 1258 and 1356, was a governing body established by Yuan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y?. It has drawn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owing to its survival for a century and the political importance as the power base of Yi S?nggye’s family.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about Ssangs?ng Ch’onggwanbu hav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t and Kory?.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t and Yuan and Kory? in an attempt to see how it continued to exist between those two stronger powers. It appears that Yuan did not attach great importance to Ssangs?ng, viewing it as a part of Kory? or the border between Kory? and the Jurchen. Yuan allowed general superintendents to exert their right of control over the Ssangs?ng area in return for their submittal of part of their gold production to Yuan as tax, but when Kory? recovered Ssangs?ng and promised to continue to submit part of gold production to Yuan, Yuan made no protest. The leadership of Ssangs?ng Ch’onggwanbu took a hostile attitude toward Kory?. In 1287, when Nayan and Qada’an staged a rebellion against Emperor Shizu in Yuan, Kory? tried to take advantage of the situation as an opportunity to recover Ssangs?ng, but in vain. However, Kory? came to exert stronger influence on the area following the rebellion and the people in Ssangs?ng started to attach more importance to the relationship with Kory?. As a result, Ssangs?ng came to rely on Kory?, as shown by Cho Rim and his brother serving in the Kory? officialdom. Ssangs?ng Ch’onggwanbu was able to survive for a century by taking a balanced position toward Kory? and Yuan. Yi S?nggye could build his power there as a faction relatively independent of the Kory? Dynasty apparently thanks to the unique status that Ssangs?ng Ch’onggwanbu maintained.

      • KCI등재

        Political Trends of Hong Bog Won Clan in the Period of Mongol Domination

        Oleg Pirozhenko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9 No.-

        13세기 초엽 고려 북계의 토호인 洪福源은 아버지 洪大純의 정치적 성향을 이어받아, 고려를 배반하고 몽고의 고려 침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 후, 그는 몽고에 투항한 고려인들의 지도자가 되어, 그것을 기반으로 遼藩지방에서 튼튼한 정치적, 사회경제적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홍복원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배경은 高麗ㆍ元 간의 갈등 관계에 기인한 것이었기 때문에, 그는 평생토록 이런 갈등상황을 유지시키려 했다. 사료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것은 홍복원의 자손 가운데 그의 둘째 아들 洪茶丘와 그 아들인 洪重喜, 洪重慶으로 구성된 분파에 대해서이다. 그들은 고려와 모든 관계를 단절시킨 채 고려에 압박을 가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홍복원의 정치적 성향을 계승하였으며, 고려에 대한 침략과 수탈을 통해 자신들의 영향력을 강화하여 했다. 그러한 가운데 高麗ㆍ元 관계 성립기, 즉 충렬왕 즉위까지는 洪茶丘의 정치적 영향력이 컸지만, 양국관계가 안정됨에 따라 그 영향력은 쇠퇴하였다. 그것을 회복하기 위해 홍다구는 김방경 사건을 비롯하여 도발적인 책동을 벌였지만, 끝내 그 영향력을 회복하지 못하였다. 13세기말~14세기 초에는 홍다구의 아들인 홍중희, 홍중경의 활동이 遼瀋지역에 집중되었으며, 따라서 이 지역은 그들의 정치력, 경제력의 유일한 근거지가 되었다. 그러므로 요심지방에 대한 충선왕의 영향력의 확대는 바로 홍중희, 홍중경으로 하여금 立省論을 제기하게 만들었다. 즉, 홍중희, 홍중경은 충선왕의 섬양진출로 위기감을 느끼게 되었으며, 자기 세력의 기반을 지키기 위해 충선왕과 대립하지 않을 수 없었다. 고려에 지지할 세력이 없는 그들은 충선왕 지지세력과 협상을 할 수 있는 처지도 아니었고, 元 조정을 통해서 충선왕 세력 제거를 시도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입성책동을 시도하였던 것인데, 그것이 실패하자 그들의 영향력은 더욱 약화되었으며, 그 이후 그 一派는 적극적 정치 활동을 할 수 없었던 것 같다. 홍복원 일가 가운데 그의 또 다른 아들인 洪熊三, 洪君洋과 그들의 후손이 따로이 일파를 구성했는데, 그들은 홍씨 국내파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원에서 활동하였다. 이들은 駙馬國體制에 적응하여 고려와 원의 교류에 있어서 상당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주로 충렬왕 때에 활동하였던 홍군상은 그의 정치적, 경제적 위치가 두드러졌는데, 高麗ㆍ元 간의 평화적 교류와 우호관계 유지에 크게 기여하였다. 홍복원의 동생인 洪百壽는 고려에 남아 활동했는데, 그의 후손이 홍씨일가의 국내파를 형성하였다. 자신들의 사회경제적 기반과 이해관계가 고려와 관련되었던 만큼, 그들 홍씨 국내파는 高麗ㆍ元 간의 관계를 깨뜨리는 일보다는 고려와 원 사이의 중재인 역할을 원했고, 실제로 그러한 역할을 수행했으므로, 이 시기의 다른 부원배 세력과 대조를 이룬다고 하겠다. 물론 그들의 정치적인 성향도 고려의 내정 상황에 따라 좌우되었다. 즉, 洪詵을 비롯한 홍백수의 이들로 구성된 일파는 충선왕 측근세력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제1차 立省論을 반대하였던 것이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지적할 만한 것은 홍복원 일가의 정치적 동향을 통해서 드러나는 바 요심 지역에서 고려인이 정치적, 군사적 측면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서이다. 당시 元都에서는 요심 지역을 중국 영토의 일부로서보다는 별도의 지역으로 인식하였으며, 요심 지역 고려인 토호세력의 존재와 요심 지역에 대한 고려 왕조의 영향을 인정하였다. 그리하여 당시 이 지역에 있어서 고려의 영향은 상당히 강했으며, 요심 지역에서의 통치권 분쟁은 대부분 고려인 간에 일어난 것이었다. 홍복원 일가는 요심 지역에서 계속적으로 관직을 차지하면서 이 지역의 고려군민을 통제하였다. 한편, 원은 以夷制夷 政策의 일환으로 瀋王을 임명하여 요심 지역에 대한 통치권을 둘러싸고 고려 지배층의 분열을 조장하였는데,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심왕은 물론 형식적이라도 요심 지역과 관련하여 관직을 받는 사람들이 모두 고려인으로서, 고려 왕조와 관련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또한 심왕이 요심 지역에 대해 실제 통치권을 갖지 못하도록 심왕을 견제한 인물들이 바로 고려출신 홍복원 일가였다. 이러한 사실들로 미루어보아, 당시 요심 지역에 있는 고려군민의 큰 비중과 이 지역에 있어서의 고려의 강한 영향력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원의 붕괴에 뒤이어 명이 성립되어 고려 및 조선과 외교 관계를 전개시켜 나갔고, 그 결과 遼瀋 지역에 대한 漢族제국인 명의 통제가 확립되었던 것이지만, 13세기 이 지역에서 고려군민 세력이 절대적 위치를 차지했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홍복원 일가의 정치적인 활동을 통해 드러나는 요심 지역에 대한 고려의 강한 영향력과 그 지역과 고려와의 긴밀한 관계는 재인식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은 바로 동북공정과 관련된 역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고려(高麗) 예종대(睿宗代) 불아(佛牙) 장래(將來) 기록(記錄)과 그 장래자(將來者)에 대하여

        이진한 ( Lee Jin-ha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79 No.-

        고려 睿宗代에는 송이 고려와 연합하여 요를 제압하려는 외교적 전략에 따라 중요한 문화적 산물을 주어 고려의 환심을 사고자 했기 때문에 고려는 그 점을 십분 활용하여 불교에서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불아를 송에서 가져올 수 있었다. 이러한 불아의 전래 과정과 고려에서의 관리에 대해서는 『三國遺事』의 「前後所將舍利」조에 실려있는데, 그것을 가져온 고려의 사신은 정극영이라고 하였다. 반면 『高麗史』에는 왕자지가 송에서 불아를 가져왔다고 하였다. 양 사서의 차이를 비교해보건대, 『高麗史』의 睿宗代 기록이 예종 사후 편찬된 『예종실록』을 인용한 것이 많았고, 『三國遺事』의 설화적인 내용과 달리 간결하게 예종, 인종, 명종 등의 불골(佛骨) 관련 의식을 적었으므로 『高麗史』 기록의 신빙성이 더욱 높다고 생각된다. 그런데도, 정극영이 불아를 가져왔다고 『三國遺事』에 전하는 것은 인종 초 정국의 변화에 따라 두 인물의 부침이 있었기 때문이다. 예종 말에 죽은 왕자지는 사돈인 이자겸 덕분에 예종묘정에 배향되는 영예를 누렸으나 이자겸 몰락 이후 배향이 철회되었다. 그에 반해 정극영은 이자겸의 반대 세력인 한안인의 당여라고 하여 1122년 말에 유배되었으나 1126년 이자겸의 난이 평정되고 나서 사면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불아를 가져온 것에 기억에도 영향을 끼쳐서, 왕자지의 역할은 사라지고 정극영이 그 일을 한 것으로 바뀌었던 것이다. During the reign of King Yejong in Goryeo Dynasty, Song Dynasty employed a diplomatic strategy of joining forces with Goryeo to suppress Liao Dynasty, and thus wanted to ingratiate itself with Goryeo Dynasty by giving valuable cultural gifts. For this reason, Goryo Dynasty could receive bul-a (Buddha's tooth), the most cherished item in Buddhism, from Song Dynasty. Records on the transport of bul-a and subsequent management in Goryeo are found in the 'Jeonhusojangsarijo' part of 'Samgukyusa,' where the records say that Goryeo's official, Jeong Geukyoung, brought bul-a from Song. However, in 'Goryeosa,' it is said that Wang Jaji brought bul-a from Song. Considering that much of the records during the reign of King Yejong in 'Goryeosa' were quoted from 'Yejongsillok' that was published after the death of the King, and that compared to fictional contents in 'Samgukyusa,' 'Goryeosa' succinctly recorded Buddhist rituals during the reigns of King Yejong, King Injong, and King Myoungjong, it is likely that the records of 'Goryeosa' are more credible. Still the records of 'Samgukyusa' say that Jeong Geukyoung brought bul-a, as the two figures' fate diverged due to political changes in the early years of King Injong's reign. Wang Jaji passed away in later years of King Yejong's reign, and was enshrined at King Yejong's shrine thanks to his family relationship with Lee Jagyeom; however, after Lee Jagyeom lost power, the privilege was revoked. In comparison, Jeong Geukyoung was exiled in 1122 because he was on the side of Han Anin, a political opponent of Lee Jagyeom, but was forgiven after the rebellion of Lee Jagyeom in 1126 was suppressed. This circumstance affected the event of bringing bul-a as well, and accordingly, Wang Jaji's role was erased in history, and it was altered to the act of Jeong Geukyoung.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교육 현황과 그 발전 방향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강의를 중심으로-

        권혁명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0 No.-

        This paper, the status of the check and writing education college to seek a way forward, focusing on "Thinking and Expression" of Korea University college writing education lecture, is aimed at. To this end, Korea University College Writing lecture 'Thinking and Expression' Introduce to operational status, and based on the data, books, lectures, student guidance and related issues raised in three aspects, and proposes ways to improve. First, textbooks and writing materials in regard to consider the timeliness reading text, writing assignments, discussion assignments the need for sustainable management were mentioned. Second, with regard to teaching to ensure homogeneity of the lecture-oriented teaching instructor of the major content derived from a textbook on the basis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original intent of the course each in course content and objectives that you must configure discussed. Third, in regard to correction correction considering the time spent on physical play professionally in the correction researchers to find a place in the direction that the improvements were noted. 본고는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과목을 중심으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대학 글쓰기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학 글쓰기 교과목인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의 과목 운용 현황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재, 강의, 학생지도와 관련된 세 가지 측면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교재와 관련해서는 글쓰기 교재는 시의성을 고려하여 읽기 지문이나 쓰기 과제, 토론 과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하였고, 둘째 강의와 관련해서는 강의의 균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강사들의 전공 위주의 강의 내용을 지양하고 교재에 수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본래의 과목 취지와 목표에 맞게끔 강의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는 점을, 셋째 첨삭과 관련해서는 첨삭에 소요되는 물리적인 시간을 고려하여 첨삭을 전문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연구원을 두는 방향으로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고려법학 106년의 회고와 전망 ; 행정법학 발전의 회고와 전망 -고려법학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

        김연태 ( Yeon Tae Kim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고려법학 Vol.0 No.68

        《고려법학》의 전신인 《법학논집》이 간행된 이래 지금까지 《고려법학》 및 《법학논집》, 《법률행정논집》에 실린 행정법학 논문을 개관하여 《고려법학》이 행정법학의 발전에 기여한 의의를 찾고 행정법학의 발전상을 역사화하면서, 동시에 행정법 분야의 미래적 전망을 그려보는 것은 우리나라 법학의 발전에 있어서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그리고 그 학술논집인 《고려법학》이 차지하는 비중에 비추어 볼 때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고려법학》에서의 행정법학의 역사를 어떻게 시대구분 할 것인지는 다양한 관점에 따라 행해질 수 있을 것인데,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제1기는 《법학논집》이 간행되기 시작한 1958년부터 《법률행정논집》으로 발간된 1981년까지의 시기로, 한국 행정법 1세대인 윤세창 교수를 중심으로 한국 행정법이 뿌리를 내리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제2기는 《법률행정논집》에서 다시 《법학논집》으로 바뀌어 발간된 1982년부터 《법학논집》 제28집이 발간된 1992년까지의 시기로, 한국 행정법 2세대인 김남진, 이상규 교수가 중심이 되어 한국 행정법의 비약적 발전을 이루었던 시기이다. 제3기는 《법학논집》 제29집이 발간된 1993년부터 제35집이 발간된 1999년까지의 시기로, 한국 행정법학의 성숙기에 해당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제4기는 《법학논집》에서 《고려법학》으로 학술지 이름이 바뀌어 발간되는 2001년 이후의 시기로, 《고려법학》이 변화된 법환경에 대응하고 새로운 법분야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며 우리나라 법학의 발전을 주도적으로 끌고나가는 시기라고 평가될 수 있다.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행정의 기능과 과제가 변화하고 그를 대상으로 하는 행정법학 또한 새로워져야 함은 행정법을 전공으로 하는 우리들의 사명이며 계속 짊어지어야 할 부담이라 할 것이다. 새로운 행정법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활성화를 위하여 《고려법학》이 이루어 온 업적을 앞으로도 계속 계승,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고려법학》, 그 전신인 《법학논집》 및 《법률행정논집》은 지금까지 우리나라 행정법 이론 및 판례의 변화와 발전에 주도적이며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앞으로도 우리나라 행정법 이론과 제도를 정립하고 창조적인 법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있어서 《고려법학》이 주도적 역할을 담당할 것을 기대한다. Since the “Korea University Law Review” which is the former name of the “Korea Law Review” was published, it has become academically important to overview the thesis published in the “Korea Law Review”, the “Korea University Law Review” and the “Law and Administration Review” in order to study the contribution of the “Korea Law Review” on the developments of the science of Administrative Law. Overviewing the Korea University law journal series listed above is also helpful in historicizing the aspects of the evolution of Administrative Law while simultaneously outlining the future prospects of the field of Administrative Law. The vitality of the efforts explained above is emphasized when concerning the high degree at which the College of Law at Korea University and its law journals influence the academic developments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In full consideration of the notion that the methods in which the history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is periodized in the “Korea Law Review” can by no means be interpreted under a single perspective, this paper divides them as follows. The first period is the time between 1958 when the “Korea University Law Review” was published and 1981 when the publishing title of the journal changed to “Law and Administration Review”. This period is when Korean Administrative Law laid its roots, primarily propelled by the efforts of professor Se-Chang Yoon, an academic among the first generation of the science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The second period begins in 1982 as the title re-changed to the “Korea University Law Review” and runs until 1992 when the 28th volume of the journal was made available. This period is shined with the great strides in the science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around the work of professor Nam-Jin Kim and Sang-Kyu Rhi, who were the second generation academics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The third period can be remarked as the time when the science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attained to maturity, running from 1993 when the 29th volume of the “Korea University Law Review” was published until the publication of the 35th volume in 1999. Lastly the beginning of the fourth period is marked by the change of the journal`s title to “Korea Law Review” in 2001 and the period has not seen its end until present. The fourth period can be evaluated as the time that the “Korea Law Review” copes with fluctuating legal circumstances and takes a key part in forming the theoretical base of new legal fields, as well as actively leading the way of progress in Korean Law studies at the very forefront. In accordance with periodical and societal variations, functions and tasks of administrations must change and it is not only an important mission but also a continuous responsibility of those who pursue the study of Administrative Law to recognize the changes and correspondingly renew the Administrative Law that applies to those changes. In order to vitalize interests and studies on the new fields of Administrative Law, researchers are advised to sustainably succeed and develop the achievements that the “Korea Law Review” has produced thus far. The “Korea Law Review”, along with its former versions that are the “Korea University Law Review” and the “Law and Administration Review” has been taking a significant role as an academic pioneer in modifying and maturing the theories and judical precedents of Administrative Law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 Law Review” will proceed and take charge of playing a principal role in establishing the legal theories and related systems in Korean Administrative Law while fostering a creative legal culture.

      • 특집논문 : 대송(對宋) 외교 활동에 참여한 고려 수군 - "파한집(破閑集)"과 "고려도경(高麗圖經)"에 나타나는 사례를 중심으로

        이창섭 ( Chang Seop Lee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4 사총 Vol.83 No.-

        고려 시기의 수군은 전투 외에도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 글에서는 『破閑集』에 나타나는 李子淵의 宋 使行 기록을 통해, 海路를 이용한 使行에 고려 수군이 동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군은 운항을 담당하고, 유사시에는 사절단의 안전도 책임졌으며, 송에 도착해서는 현지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때 송에 간 수군은 운항과 의례 수행을 주요한 임무로 하였다. 외교는 중앙 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고, 수행원들은 외국에 나가서 고려를 대표하는 사람이었다. 그런 까닭에 고려에서는 使行에 군인이 필요한 경우 지위가 높고 전문성을 갖춘 이들을 뽑아 파견하고자 하였다. 해로로 사신을 파견할 때에는 이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는 중앙군 소속의 수군을 동원하였는데, 고려 중앙군에는 의례를 담당하는 千牛衛 휘하에 해상에서의 의례를 맡는 海領이라는 수군 부대가 있었다. 이런 면에서 볼 때 해로를 이용한 외교에 참여한 수군은 중앙군인 천우위 해령에 소속된 군인이었다. 고려 수군은 송에 가는 사신을 수행할 뿐 아니라 반대로 송에서 온 사신을 고려에서 맞이할 때에도 동원되었다. 이때의 수군 또한 해령 소속이었다. 송 사신이 고려에 올 때에는 儀典이라는 측면에서 고려가 세심하게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았는데, 의례를 담당했던 해령은 그러한 임무 수행에 적합하였다. 송 사절 영접에 투입된 수군은 고려에서 영접하는 관원들의 배를 운항하였고, 송 사절과 조우한 뒤에는 그들과 여정을 함께 하면서 群山島, 馬島, 紫燕島 등 주요 거점에서 의례를 행하였다. 고려 수군은 고려에서 송으로 사신을 보낼 때에 이를 수행하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송 사신이 고려에 올 때에는 이들에 대한 영접 관련 의례 등을 담당함으로써 麗宋 교류의 현장에서 여러모로 기여하였다. Goryeo Navy performed various duties in addition to battle. It was confirmed that Goryeo Navy was accompanied by envoy’s maritime journey through Yi Ja-Yeon(李子淵)’s records of envoy’s journey to Chinese Sung Dynasty described in Pahanjip(破閑集, which means a book breaking idle hours; Goryeo book of poetry and tales written by Yi Il-Lo(李仁老)). The Navy was responsible for sailing and the safety of delegation in case of emergency, and secretly collected the information after arriving at the Sung. At that time, the Navy who went there had major duties of sailing and the performance of ceremony. Diplomacy was done at the level of central government and the envoy and entourage were representative of Goryeo after visiting foreign countries. Thus, Goryeo intended to reinforce high-ranking soldiers with professionalism if soldiers were required in the envoy’s journey to the Sung. Consequently, the Navy belonging to the Central Command was mobilized. There were naval forces called Naval Command(海領, Haeryeong) in charge of maritime ceremony under the command of Cheonu Guard(千牛衛) in the Goryeo Central Command. In this respect, the Navy who got involved in diplomatic visit by sea route belonged to the Naval Forces Central Command. Goryeo Navy was mobilized when greeting envoy from the Sung as well as when accompanying Goryeo’s envoy visiting the Sung. The mobilized Navy also belonged to the Naval Command. When the envoy of the Sung visited Goryeo, Goryeo had to pay careful attention to many things in terms of protocol, and the Naval Command in charge of ceremony was suitable for the performance of such a duty. The Navy mobilized to greet the envoy and delegation from the Sung drove a ship carrying government officials greeting them in Goryeo. And it performed ceremonies at the major stopping points such as Koonsando Island, Mado Island and Jayeondo Island during journey with the envoy and delegation after meeting them. Goryeo Navy made contributions to the exchange between Goryeo and the Sung in various ways by implementing many duties when dispatching envoy and delegation to the Sung and performing ceremonies related with the reception when greeting envoy and delegation from the Sung.

      • KCI등재

        對宋 외교 활동에 참여한 고려 수군 - 『破閑集』과 『高麗圖經』에 나타나는 사례를 중심으로

        이창섭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사총 Vol.83 No.-

        Goryeo Navy performed various duties in addition to battle. It was confirmed that Goryeo Navy was accompanied by envoy’s maritime journey through Yi Ja-Yeon(李子淵)’s records of envoy’s journey to Chinese Sung Dynasty described in Pahanjip(破閑集, which means a book breaking idle hours; Goryeo book of poetry and tales written by Yi Il-Lo(李仁老)). The Navy was responsible for sailing and the safety of delegation in case of emergency, and secretly collected the information after arriving at the Sung. At that time, the Navy who went there had major duties of sailing and the performance of ceremony. Diplomacy was done at the level of central government and the envoy and entourage were representative of Goryeo after visiting foreign countries. Thus, Goryeo intended to reinforce high-ranking soldiers with professionalism if soldiers were required in the envoy’s journey to the Sung. Consequently, the Navy belonging to the Central Command was mobilized. There were naval forces called Naval Command(海領, Haeryeong) in charge of maritime ceremony under the command of Cheonu Guard(千牛衛) in the Goryeo Central Command. In this respect, the Navy who got involved in diplomatic visit by sea route belonged to the Naval Forces Central Command. Goryeo Navy was mobilized when greeting envoy from the Sung as well as when accompanying Goryeo’s envoy visiting the Sung. The mobilized Navy also belonged to the Naval Command. When the envoy of the Sung visited Goryeo, Goryeo had to pay careful attention to many things in terms of protocol, and the Naval Command in charge of ceremony was suitable for the performance of such a duty. The Navy mobilized to greet the envoy and delegation from the Sung drove a ship carrying government officials greeting them in Goryeo. And it performed ceremonies at the major stopping points such as Koonsando Island, Mado Island and Jayeondo Island during journey with the envoy and delegation after meeting them. Goryeo Navy made contributions to the exchange between Goryeo and the Sung in various ways by implementing many duties when dispatching envoy and delegation to the Sung and performing ceremonies related with the reception when greeting envoy and delegation from the Sung. 고려 시기의 수군은 전투 외에도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 글에서는 『破閑集』에 나타나는 李子淵의 宋 使行 기록을 통해, 海路를 이용한 使行에 고려 수군이 동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군은 운항을 담당하고, 유사시에는 사절단의 안전도 책임졌으며, 송에 도착해서는 현지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때 송에 간 수군은 운항과 의례 수행을 주요한 임무로 하였다. 외교는 중앙 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고, 수행원들은 외국에 나가서 고려를 대표하는 사람이었다. 그런 까닭에 고려에서는 使行에 군인이 필요한 경우 지위가 높고 전문성을 갖춘 이들을 뽑아 파견하고자 하였다. 해로로 사신을 파견할 때에는 이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는 중앙군 소속의 수군을 동원하였는데, 고려 중앙군에는 의례를 담당하는 千牛衛 휘하에 해상에서의 의례를 맡는 海領이라는 수군 부대가 있었다. 이런 면에서 볼 때 해로를 이용한 외교에 참여한 수군은 중앙군인 천우위 해령에 소속된 군인이었다. 고려 수군은 송에 가는 사신을 수행할 뿐 아니라 반대로 송에서 온 사신을 고려에서 맞이할 때에도 동원되었다. 이때의 수군 또한 해령 소속이었다. 송 사신이 고려에 올 때에는 儀典이라는 측면에서 고려가 세심하게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았는데, 의례를 담당했던 해령은 그러한 임무 수행에 적합하였다. 송 사절 영접에 투입된 수군은 고려에서 영접하는 관원들의 배를 운항하였고, 송 사절과 조우한 뒤에는 그들과 여정을 함께 하면서 群山島, 馬島, 紫燕島 등 주요 거점에서 의례를 행하였다. 고려 수군은 고려에서 송으로 사신을 보낼 때에 이를 수행하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송 사신이 고려에 올 때에는 이들에 대한 영접 관련 의례 등을 담당함으로써 麗宋 교류의 현장에서 여러모로 기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