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숲을 활용한 생태미술 교수-학습 방법 연구

        양진실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모두가 지구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소명 의식을 바탕으로 환경적·사회적·문화적 이슈를 다루는 생태미술교육(Ecological Art Education)은 과거 근대사회의 과오였던 인간중심주의를 반성하고 이후 후대를 살아갈 모든 생명체를 위하여 삶의 기반을 보존하는 지속가능성에 의미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지구의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예술 활동을 전개해온 예술가들의 작품 및 작업 과정을 고찰하여 실제로 생태미술이 중등 미술교육 현장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예비작업으로 다양한 생태학적 논의를 살펴보았다. 생태론을 우선적으로 검토하는 이유는, 생태학적 논의가 제기하고 있는 문제들이 앞으로의 생태미술이 드러내고 짚어나가야 할 예술적 논점들이 되기 때문이다. 생태론의 공통 결론은 환경뿐만 아니라 자연-인간 사이의 문화적 요소가 함께 고려될 때 전지구적 생명체의 삶이 더 풍요로워질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생태미술의 특성과 생태적 예술 작품 사례를 생태론에 입각하여 고찰하여보고 생태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지도안으로써 제시하였다. 첫째,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근원적 사고의 전환을 이끄는 수업이 요구된다. 학습자와 숲을 걷는 활동을 통해 ‘나와 자연’의 관계를 재정립하고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에 대해 이해해본다. 둘째, 치유적 행동을 이끄는 영성적 접근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생명의 순환이라는 관점을 조형요소로 풀어내 보며 개인의 경험이 유한한 생명체계로서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과정을 새롭게 경험하게 된다. 셋째, 결과적으로 공동체의 진화로 나아갈 수 있는 수업이 되어야 한다. 학생들은 환경문제의 해결과 관련하여 사회문제를 드러내는 과정을 통해 우리 사회 또한 자연의 한 부분임을 인식하고, 나아가 다양성과 다문화적인 동반자의 윤리를 발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생태미술이 학습자에게 전일적 맥락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을 형성하고, 학습자가 살아가는 장소와 주변 환경에서 자아실현을 경험하는 체험을 제공함을 밝힌다. Ecological Art Education, which is dealt with environmental, cultural and social issues based on everyone is one of responsibly ‘Earth Community’, reflects on anthropocentrism in the worst past and be meant to be sustainable for all creatures in the future to preserve foundation of life. The study considers artwork processes of artists who are interested in earth environment, which makes the goal to accomplish ecological art in practice. It is required to search a variety of ecological discussion. The reason which is examined logic of ecology preferentially is that the problem of ecological discussion has become ecological issues that ecological art needs to be revealed and expressed. Communal conclusion of ecological logic is that virtual life of global organism could be productive when not only environment but also cultural element between nature and human co-exists in a full-time paradigm. The paper suggested considering concept and feature of ecological art with artists’ artworks for instance based on logic of ecology, which could guide the promising perspective for ecological art. Firstly, it is required to change thought by the roots on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Learner reestablishes relationship between me and nature through activities during walking around School forest, which helps understand harmony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ultimately. Secondly, it is demanded spiritual approach which leads to healing behavior. Students could apply a formative element using a point of life circulation and experience a new visual process with individual experience as a finite creature. Thirdly, they should proceed to evolution of community in conclusion. Students are able to recognize that our society is a part of nature through identifying interest with social structural conflict and find out diversity and ethics of multicultural partner. The point of this study reveals that ecological art makes up global perspective for learners with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that they could find and experience existence of life around their living area and surrounding environment.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지역사회문제해결형 PBL 교수설계 모형 개발

        이언지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목표에 따라 학습자들이 지속가능한 사회로 변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식, 인식, 실천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문제해결 중심의 PBL(Problem Based Learning) 교수설계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핵심역량 달성여부를 측정하고 모형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과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지역문제해결형 PBL 교수설계를 하기 위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내적 타당성과 내적 타당성을 평가하여 최종 모형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모형을 바탕으로 실제 교육에 접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의 반응 및 모형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 교과 연계를 통한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 수업 방안 연구

        이화영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 시대의 전환은 갈수록 빨라지고 21세기 들어 가속화된 세계화 흐름은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정보통신 분야의 혁신으로 지구촌 구성원들 간의 교류가 활성화되고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소통의 기회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미래 사회에서도 상호 간의 소통을 위해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에 대한 공감과 폭넓은 이해가 더욱 중요해졌다. 중국어 교육은 학생들이 더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글로벌 마인드를 함양한 세계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도와주며 학생들은 중국어 학습을 통해 자신과 다른 문화권 사람들의 가치관과 사유 방식, 생활 습관 등을 접하면서 타 문화에 대한 존중과 이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갖춰야 할 기본적인 태도와 자질을 함양할 수 있다. 고교학점제의 도입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계 대전환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변화된 상황을 적극 반영하여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해당 언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뿐만 아니라 중국 문화를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다양한 매체와 자료를 통해 해당 언어에 관한 정보를 조사·정리하고 상호 협력적인 태도로 정보와 의견을 교환하는 것이다.’ 21세기는 미래 교육으로 나아가는 과도기로서 교육 현장에서는 변화무쌍한 시대와 환경에 발맞춰 새로운 교수·학습 방안을 위해 연구를 거듭해야 한다. 외국어는 더 이상 언어기능과 지식습득을 위한 교수자 중심의 교육이 아니라 학습자 중심의 의사소통 능력과 언어의 배경지식이 되는 문화감수성을 함양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 교과과정은 언어기능 위주의 학습에 머물러 있으며 교육과정 재구성과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을 위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 양성을 위한 방안으로 교과 연계를 통한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의 실질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교과 연계 수업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다음, 교과 연계 수업에 관한 이론적 배경으로 교과 연계의 중요성과 교육과정 통합방법, 고교학점제의 도입과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그다음으로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의 총 11종 교과서에 제시된 문화 내용을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교과 연계 수업에 적용 가능한 주제와 내용을 선정한 후, ‘날씨와 환경’, '길 묻기와 여행', '전통 공연 예술' 세 가지 교과 연계 주제를 가지고 교과 연계를 활용한 중국어 교과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안을 구체적으로 설계한다. 실제 고교학점제가 시험적으로 도입된 고등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과 연계 수업 방안을 설계하여 제시하고 수업의 과정과 효과에 대해 검토한 후 마지막 결론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 짓는다.

      • 혁신교육지구 마을학교 교사에 의한 중학교 생명과학 수업의 효과

        김혜정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s refer to autonomous districts in which each local government, education support office, school, and community participate and cooperate to realize a school-village education community so that children and teenagers can grow into subjects of life in schools or villages. As a member of the village, which is an educational community, a person in charge of village education to the students or residents of the village is called a village school teacher. The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has been allowing village school teachers to teach at school sites as a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since 2017.This study was conducted by village school teachers in the regular classes of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 system in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and 24 students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among 7 first graders of K Middle School in Geoje, Gyeongsangnam-do. The class program has a total of eight themes, including self-defense methods of plants, nutrients and health, genetics and traits, scientific investigation techniques, principles of conservation techniques, bio-currents, eye structure and function, and natural indicator making. The first class was a theory class, and the second class was an inquiry experiment-oriented class, and the second class was conducted for eight weeks, two times a week.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life science class program, the effect of the life science program was analyzed by conducting a self-awareness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17 questions in 4 areas), science positive experience index (35 questions in 5 areas), and science core competency (25 questions in 5 area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degree of interest in science improved from 5.39 points to 7.14 points. In particular, the area of self-concept in science was improved the most, and the area of instrumental motivation in science was improved the least.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classes by village school teachers increased students' interest compared to science classes conducted in existing schools.Second, the science positive experience index improved from 6.10 points to 7.41. Among the five areas, the improvement in scores in the science learning emotional area and science-related self-concept areas was large.Third, as a result of science and core competency tests, the average of all areas was improved from 5.88 points to 7.05. Scientific thinking skills increased by 1.19 from 6.09 to 7.28, scientific inquiry skills increased by 1.10 from 5.80 to 6.90, and scientific problem-solving skills increased by 1.04 from 5.95 to 6.99.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increased by 1.30 from 5.73 to 7.03,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skills increased by 1.17 from 6.13 to 7.30.As a result of interviewing and questioning with student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had this effect, it was interesting that the village school life science program was an inquiry experiment-oriented class that was not frequently conducted in school, an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bject participation, and were interested in many topics related to daily life. In addition,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program,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very satisfied or satisfied, and the value by the satisfaction calculation method was high at 100 points.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life science program by the village school teacher increases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has positive experiences in science, and is effective in improving science and core competencies. Therefore, this study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articipation of village school teachers in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in school classes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science classes in the school field. 혁신교육지구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학교나 마을에서 삶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각 지자체, 교육지원청,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고 협력하여 학교-마을 교육공동체를 실현해 나가는 자치구를 일컫는다. 교육공동체인 마을의 구성원으로서 마을의 학생들이나 주민들에게 마을 교육을 담당하는 사람을 마을학교 교사라 한다. 경상남도 교육청은 2017년부터 행복교육지구 사업으로 마을학교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마을학교 교사가 행복교육지구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규 수업에서 생명과학 16차시 수업을 진행한 것으로,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 거제시 소재 K중학교 1학년 7개 반 중에서 수업 참가를 희망한 학생 24명이다. 수업 프로그램은 총 8개 주제로 식물의 자기방어 방법, 영양소와 건강, 유전과 형질, 과학수사 기법, 보존 기술의 원리, 생체 전류, 눈의 구조와 기능, 천연 지시약 만들기 등이다. 1차시는 이론 수업, 2차시는 탐구실험 중심의 수업으로 매주 2차시씩 8주간 진행하였다. 생명과학 수업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중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도(4개 영역 17문항), 과학긍정경험 지표(5개 영역 35문항)와 과학과 핵심역량(5개 영역 25문항) 등에 대한 자기 인식 조사를 하여 생명과학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에 대한 흥미도는 5.39점에서 7.14점으로 향상되었다. 특히, 과학에서의 자아개념 영역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으며, 과학에서 도구적 동기유발 영역이 가장 적은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의 학교에서 이루어진 과학 수업보다 마을학교 교사에 의한 수업이 학생들의 흥미를 높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과학긍정경험 지표는 6.10점에서 7.41점으로 향상되었다. 5개 영역 중 과학 학습정서 영역과 과학관련 자아개념 영역 점수의 향상 폭이 컸다. 셋째, 과학과핵심역량 검사 결과, 전 영역의 평균은 5.88점에서 7.05점으로 향상되었다. 과학적 사고력은 6.09에서 7.28로 1.19가 높아졌고, 과학적 탐구능력은 5.80에서 6.90으로 1.10 높아졌으며, 과학적 문제해결력은 5.95에서 6.99로 1.04 높아졌다.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은 5.73에서 7.03으로 1.30 높아졌으며,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은 6.13에서 7.30으로 1.17이 높아졌다. 이와 같은 효과가 나온 요인을 탐색하고자 학생들과 면담 및 설문한 결과, 마을학교 생명과학 프로그램이 학교에서 자주 하지 않던 탐구실험 중심의 수업이라 흥미가 있었고, 주제 참여에 학생들이 직접 참여했으며, 일상생활과 연계된 주제가 많이 포함되어 관심이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이 매우 만족이나 만족이라 응답하여 만족도 산출 방식에 의한 값은 100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은 마을학교 교사에 의한 생명과학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도를 높여주고, 과학에 대한 긍정경험을 갖게 하며, 과학과 핵심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혁신교육지구의 마을학교 교사의 학교 수업 참여가 학교 현장의 과학 수업 개선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 다문화 학생을 위한 동화 활용 한국어 읽기 교수 ·학습 과정안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을 중심으로

        김용근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농어촌지역 초등학교에 다문화 학생들의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외국인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 사이에 태어난 다문화 학생들은 어려서부터 언어생활과 학습에 많은 영향을 받는 어머니가 외국인으로 인하여 한국어에 대해 충분한 지도를 받지 못해 한국어 읽기 능력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읽기의 경우는 단순히 국어 읽기 능력뿐만 아니라 문해력과 관련된 중요한 영역으로 한국인 어머니인 일반 학생들에 비해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은 의사소통 언어생활은 별문제가 없으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읽기 능력이 다소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의 문제를 일반 가정의 자녀들을 위한 교육뿐만 아니라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 필요성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시작하였다. 그에 모든 학습에서 제일 중요한 읽기 교육력 신장을 위해 다문화 학생들에 맞은 수업안 즉 교수․학습 과정안의 필요성을 알았다. 한국어 교육의 읽기 교육방법을 교수․학습 과정안의 형식으로 하고 스키마 이론을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즉 동화를 활용하여 다문화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식적으로는 한국어 읽기 과정인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의 과정을 이용하고 내용적인 면에서 스키마 이론을 통한 기존의 국어 학습에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교수․학습과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장은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을 중심으로 다문화 학생을 위한 동화 활용 한국어 읽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의 방법과 선행연구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 대해 논의로는 동화의 개념, 동화의 특징과 함께 동화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가 치를 말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읽기 교육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구체적 내용으로는 읽기의 개념과 특징, 읽기 수업의 구성, 읽기 교육의 필요성, 읽기 교육에 스키마 이론 적용에 대해 서술하였다. 다음으로는 한국어(KSL)와 초등한국어 읽기 성취기준 비교한 후 표준 한국어(KSL) 교재 읽기 활동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다문화 학생의 한국어 교육에 수요 조사를 다문화 학생들과 다문화 학생의 어머니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질적인 교수․학습으로는 동화 텍스트 선정 기준과 목록을 제시하고 초등학교 교과서 5학년과 6학년 동화 텍스트 중에서 동화 텍스트 선정 기준인 길이, 구조와 사건, 삽화와 그림, 어휘, 흥미, 공감대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작품인 『우주호텔, 『덕실이가 말을 해요』동화를 선정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선정된 동화를 통하여 교수․학습안 개요작성, 수업의 방향 제시, 교수․학습안 내용으로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였다. 끝으로는 전체적인 결론을 제시하였다. ‘우주호텔’동화 텍스트에서는 글의 구조 속에는 글의 개념과 내용 사이의 관계를 말해주며, 주제나 내용에 따라서 특정 유형의 조직의 형태를 취하는 형식적인 스키마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하였으며,‘덕실이가 말을 해요’동화 텍스트는 사람들의 머리 속에 내장된 장기 기억으로서 선지식과 과거 경험 추상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이 연관되어 읽기 자료를 이해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내용적인 스키마 이론을 통한 교수·학습과정안을 작성하였다. 본 다문화 고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동화를 활용한 읽기 교수․학습과정안이 실제로 보충 수업인 한국어 수업에 시행했을 때 다문화 학생들에게 활발하게 활용되고 한국어 읽기 능력 향상에 많이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보충 한국어 교수․ 학습 방안으로 제시하였으나 실제 읽기 수업에 적용 후 결과에 대한 분석이 없는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교수․학습과정안을 실제로 다문화 학생들에게 교수․학습을 한 후 결과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다문화 학습자, 동화, 읽기전 활동, 읽기중 활동, 읽기후 활동, 스키마 이론, 교수·학습과정안

      • 3D 모델링을 활용한 구축조각 교수·학습 방법 연구

        김동현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미술교육의 방법에 변화를 꾀하며 미술과의 본질적 내용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에 따라 3D 모델링을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제안하며 구축조각을 적합한 교수내용으로 선정하였다. I장에서는 연구 필요성과 연구 목적 그리고 연구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II장은 구축조각의 개념과 미술교육적 의의, 3D 모델링의 개념과 미술교육적 의의에 대해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구축조각은 양감과 공간을 새로이 해석한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3D 모델링 활용 교육은 공간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는 기존 연구에 동의하였다. 그리고 3D 모델링의 작동방식과 구축주의 작가들의 양감과 공간에 대한 해석 사이의 유사점을 근거로 3D 모델링을 활용한 구축조각 교수·학습의 당위성을 확보하였다. III장에서는 분석한 이론을 토대로 고등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양감과 공간은 기존 미술교육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본질적인 내용임을 확인하였고, 이를 재구성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교 현장에서 실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요소를 인지적으로 이해하는 학습이 이루어졌다. 학습자는 구축조각 작품 감상과 3D 모델링을 활용한 제작 활동을 통해 3차원에서의 양감과 공간 표현에 대해 이해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삶 속에서 디지털 기반 시각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태도를 함양하게 되었다. 데이터의 형태로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활동을 통해 디지털 매체 활용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있으며, 3D 모델링 기반 시각문화와 관련된 경험을 공유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생활 속에서 그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협동하는 자세를 가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모둠을 이루어 진행하는 활동 속에서 매체 활용 능력이 우수한 학생들은 모둠 구성원들에게 기능적인 측면에서 도움을 주며 협동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고 그에 적합한 교수내용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한 데 의의가 있다. 이로써 미술과의 본질적인 개념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미래지향적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intend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Solution to instruct essential content with art in new and more effective ways, which pursues changeable way of art education on coming digital conversion age. It has become to select Constructivist Sculpture with suitable teaching content, suggesting '3D modeling' as a new Teaching -Learning method. The Chapter 1 suggests necessity, purpose, content and the method of the study. The Chapter 2 is based on the study of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analyses the concept of Constructivist Sculpture, 3D modeling and the importance of an art education. The Constructivist Sculpture has educational meaning, which could explain 'mass and space' revolutionary. 3D modeling application education agreed to previous studies that the education could increase spatial ability. Constructivist Sculpture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3D modeling gives appropriate prominence because of similarity between 3D modeling operation method and constructivists' interpretation on volume sense and space. The Chapter 3 suggests Teaching-Learning Program which could apply to the education field on high school based on analyzed theory. The Chapter could make possible and specific solution through curriculum reconstruction, verifying that volume sense and space are important and essential in accordance with original art education content. The first result on the school field shows Teaching and Learning type to understand formative element cognitively. Students could figure out three dimensional volume sense and space expression though Constructivist Sculpture artwork appreciation and production activity using 3D modeling. Secondly, students could individually improve an attitude of being interested in visual culture based on digital media in their lives. which could expect to develop digital media utilization ability by producing digital result and to focus on their digital lives with activities, sharing experiences relate to visual culture based on 3D modeling. Thirdly, researcher could realize that students could cooperate each other. The setting of the study was group activities. Through this activities students, who are remarkable on media utilization ability, made possible help on the functional aspects to the group and cooperated in their classes. The study has been significance to fi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n the changeable contemporary society and to suggest specific way to draw appropriate teaching content. Thus, it is certain that essential concept of art education could be future-oriented and effective.

      • 중학교 미술 교과의 유니버설 디자인 교수-학습 프로그램 연구

        홍연수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산업화와 함께 시작된 대량생산 체제 안에서, 일반 성인을 기준으로 표준화된 디자인은 장애인과 고령자, 아이와 임산부 등의 사람들을 좌절시키고 소외시켰다. 이러한 디자인은 다양한 생활을 영위하는 개인의 삶의 형태를 외면하고 간과해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차별에 대응하여 개개인의 개성을 포용하고 존중하는 디자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 평등과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은 미미하여 디자인 과정에 사용자를 참여시키지 않고 있다. 그로 인해 우리의 생활공간은 여전히 위험과 차별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대부분의 시민들의 의식수준은 낮아 공존을 위한 의식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사회적 디자인으로 대표되는 유니버설 디자인이 시민들의 공동체 의식 고양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더욱이 가치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이 앞으로 사회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주도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교육 분야에서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맞추어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교육 내용이 문제 해결에만 집중되어 있어 사용자에 대한 깊은 이해와 문제의 탐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단순히 주변 환경을 편리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경험과 심리, 인간을 둘러싼 환경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분석하여 인간의 요구를 반영하는 인간 중심의 디자인이다. 따라서 문제 해결에만 집중하는 것은 디자인의 과정에 사용자를 참여시키지 않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사용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시각에서 문제를 발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탐색 활동을 경험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2장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과정을 통해서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과 등장 배경, 정의, 원리·원칙을 관련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으며, 유니버설 디자인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사고와 함께 생활환경에서 경험할 수 있는 잠재적인 불편함을 다양한 사용자의 특성 및 배려 사항과 연결 지어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에서 유니버설 디자인과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2015년 개정된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교육적 의미를 제시하고, 학교의 여건에 맞도록 활용할 수 있는 3가지의 체계적인 유니버설 디자인 교수-학습 방법을 설계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포용할 수 있다. 둘째, 타인과 공감을 바탕으로 소통할 수 있다. 셋째, 자신도 공동체의 일원임을 알며, 사회문제에 대해서 도외시하지 않고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행동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은 전 생애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공감, 소통, 배려, 존중, 공동체 의식과 같은 인성 능력과 시민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생각과 경험을 보다 깊이 있게 공감할 수 있는 사용자 이해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학습자들에게 존중과 배려의 가치를 형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the mass production system that began with industrialization, the standardized design for ordinary adults frustrated and alienated people such as the disabled, the elderly, children, and pregnant women. It can be seen that this design has ignored and overlooked the form of life of individuals living various lives. In response to this discrimination, the need for a design that embraces and respects individual individuality is emerging. However, companies' response to social equality and the social role of design is insignificant, and users are not participating in the design process. As a result, our living space still has risks and discrimination, and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most citizens about this is low, so we need to change our consciousness for coexistence. Therefore, universal design, represented by social design, is important for enhancing citizens' sense of community, and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a lot to making teenagers who are in an important period of forming values sensitive to social problems and take the lead. Recently, universal design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is social trend in the field of education,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deep understanding of users and searching for problems are not sufficient as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are concentrated only on solving problems. Universal design does not simply mak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onvenient, but is a human-centered design that reflects human needs by closely observing and analyzing human experiences, psychology,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humans. Therefore, focusing only on problem solving can be seen as not involving users in the design process. In this study, I propose a universal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at experiences various exploration activities so that learners can discover problems from the user's perspective based on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users'. Chapter 2 of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background, definition, and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along with related cases, link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siderations of various users with the thoughts necessary to practice universal design. In Chapter 3, art textbooks revised in 2015 were analyzed to understand how content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are presented in the current curriculum. Chapter 4 presents the educational meaning of universal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so far, and designs three systematic universal design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can be used to suit the school conditions. The educational meaning of universal design is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nd embrace the diversity of community members. Second, you can communicate with others based on empathy. Third, the learner himself knows that he or she is a member of the community, and can develop an attitude of acting with a sense of community without neglecting social issues. Universal desig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throughout life, and in order to cultivate personality skills and citizenship such as empathy, communication, consideration, respect,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 user-center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learners can more deeply sympathize with users' thoughts and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I hope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form a value of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learners, and I hope it will be helpful in universal design education that will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 대학생 진로인식 및 진로교육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대학 진로교육 개선 방안 연구

        조지현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based on analysis of awareness and the program of undergraduate’s career education. 1,322 graduates answered 2022 G-university survey for career awareness and the programs preferring to participate in. The result was analyzed and differences in gender, grade, major field were found out.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undergraduates’ having more chances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collect information related with their major through better career exploration programs. Second, improv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not to postpone the period of the future career decision. Third, supporting proper programs according to personal career preparation levels. key words: career education, awarenes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혁신교육지구에서 초등학교 생태교육에 참여한 마을학교 교사의 인식

        이혜정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refers to an area designated to achieve innovation in public education through educational cooperation networking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for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education community.Village education community refers to a community in which schools and villages cooperate and unite so that students can dream freely and live their future on the basis of learning and cooperation, and develop their capabilities as right democratic citizens.The Gyeongsangnam-do-typ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focuses on establishing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discovers and fosters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that suit the operation contents of each reg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establish and revitalize ecological education as an educational community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operating ecological education courses in village ecology and school forests by villag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elementary school ecology education in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To this end, participation observation,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on 8 village school teachers working for ecological education research in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ecological education, scholarship to the G Office of Education, and dispatched teachers. Through the data collected in this way, cases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ecological education village learning curriculum were analyzed.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village school teachers working for ecological education research in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are local residents wh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well, and based on their long experience in ecological education, they developed ecological education courses in villages and school forests and had a positive effect in operation.Second, in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ecological education is moved from school-centered education to village-centered education at an educational level and operated as "education through village" and "education about village", which has a practical meaning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btained to establish and revitalize ecological education in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are as follows.First, in order for ecological education to proceed beyond schools to villag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and have professional ecological education capabilities of village school teachers.Second, in order for ecological education programs to be well established with school education, research on the regular curriculum is preceded, and research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behavioral guidelines, and theoretical grounds of the program is necessary.Third, as an educational community in ecological education, extensive discussions should be held between village school teachers, education offices, and local governments, and multilateral support is required. 혁신교육지구는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하여 학교와 지역사회의 교육협력 네트워킹을 통해 공교육의 혁신을 이루기 위하여 지정한 지역을 의미한다.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와 마을이 학생을 함께 키우고 배움과 협력의 토대 위에 학생들이 마음껏 꿈꾸며 미래를 살아갈 힘을 기르고, 올바른 민주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학교와 마을,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학부모와 지역사회가 협력하고 연대하는 공동체를 말한다. 경상남도형 혁신교육지구에서는 마을교육공동체 구축을 역점과제로 두고 지역별로 운영내용에 맞는 마을교육공동체를 발굴하고 양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혁신교육지구에서 초등학교 생태교육에 참여한 마을학교 교사들이 마을의 생태와 학교 숲에서의 생태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과정을 통해, 교육공동체로 생태교육이 정착되고 활성화되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혁신교육지구에서 생태교육 연구를 위해 활동하고 있는 마을학교 교사 8명과 생태교육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들, G 교육지원청 장학사, 파견교사를 대상으로 참여 관찰, 면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를 통해 생태교육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발·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교육지구에서 생태교육 연구를 위해 활동하고 있는 마을학교 교사들은 마을의 특성을 잘 아는 지역민으로서, 생태교육에 관한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마을과 학교 숲의 생태교육 과정을 개발하였고 운영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혁신교육지구에서 생태교육이 교육적 차원에서 학교 중심 교육에서 마을 중심으로 옮겨져 ‘마을을 통한 교육’, ‘마을에 관한 교육’으로 운영됨으로써 마을교육공동체의 실천적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혁신교육지구에서 생태교육이 정착되고 활성화되기 위해 얻은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교육이 학교를 넘어 마을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마을학교 교사의 전문적인 생태교육 역량이 필요하다. 둘째, 생태교육 프로그램이 학교 교육과 함께 잘 정착되기 위해서는 정규 교과 과정의 연구가 선행되고, 프로그램의 성취기준과 행동지침, 이론적 근거들의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생태교육에 있어서 교육공동체로써 마을학교 교사와 교육청, 지자체의 폭넓은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조은진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래 직업과 삶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첨단 과학 기술과 소프트웨어 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정보과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강조하였다.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현실과 컴퓨팅 환경을 연결해 주기 때문에 실생활 문제해결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과 소프트웨어 역량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방과 후 코딩 수업을 신청한 3~4학년을 대상으로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하여 코딩 수업을 한 A 초등학교와 EPL만을 이용해 코딩 수업을 한 B 초등학교를 비교하여,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코딩 수업의 양상과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처음 소프트웨어 교육을 접하는 초등 저학년도 쉽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엔트리와 회로에 대한 지식 없이도 쉽게 접할 수 있고 큰 부담이 가지 않는 피지컬 컴퓨팅 교구인 펀보드와 마이크로비트를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27차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후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의 연령을 고려한 피지컬 컴퓨팅 도구의 선정이 필요하고, 교육 환경과 경제적 상황에 맞게 제공될 때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학습자가 더 흥미로워하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어 졌다.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에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여 학습자들이 양질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료가 많이 개발되어 보급된다면, 초등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그러므로 피지컬 컴퓨팅 교구에 대한 교수·학습 과정의 개발과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 in advanced technology and software education to cope with future changes in occupation and life increased. In the 2015 revised information department curriculum,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were emphasized as the core competencies pursued in software education. Software education using physical computing connects reality to the computing environment so that it can be closer to solving real-life problems, and can be expected to improve learner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software capabilities. In this study, we compared A elementary school which used physical computing, and B elementary school which used only EPL to code for 3rd to 4th-grade after-school coding classes, and studied the aspect of coding class using physical computing and its ability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The 27th class program was developed and provided with software education by applying Entry which can be easily programmed for the first time in elementary and lower grades and Funboard and Microbit, which are easy to access without knowledge of circuits. Through this,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and the conclusions obtaine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post-interview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physical computing tools should be selected considering the age of the learners and that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can be provided when provided b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conomic circumstances.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learners were more interested in software education using physical computing and tend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It was analyzed that software education using physical compu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f a program is developed so that learners can receive high-quality software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elements necessary for education, and many materials are developed and distribut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to improve th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physical computing teaching materials and in-depth research are continuously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