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본의 국가 이미지와 한국의 대일 군사안보정책 : 국가 이미지와 위협인식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이혜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국가 이미지가 대외정책에 반영되고 있다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의 일본에 대한 국가 이미지가 실제로 대일 군사안보정책에 반영되고 있음을 연구한 논문이다.한일관계는 국가이익과 지역안보의 안정을 위해 협력하는 기조를 유지해 왔으며 특히 경제적 상호교류는 매우 두드러진 발전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한일관계의 양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안보분야에 있어서의 협력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식민지 범죄 처리에 대한 일본의 무성의한 태도와 정당화 발언들은 한국에게 모욕감과 불신을 심어주었으며 신뢰를 붕괴시켰는데, 1990년대 일본군 위안부 문제, 역사 교과서 왜곡 사건, 식민지 범죄에 대한 배상문제 등은 과거 일본에 대하여 한국이 갖고 있는 부정적 기억을 현재에 재구성한 계기가 되었다. 아울러 일본에 대해 신뢰를 상실한 한국에게 일본의 '보통국가론'은 그 진위여부를 떠나 대단히 위협적으로 보였으며, 일본이 독도 영유권 문제에 대해 보여주고 있는 행동이 과거 침탈을 정당화함과 동시에 한국의 안보에 실질적 위협을 가하는 행위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한국은 자국의 안보를 수호하기 위해 일본의 군사적 위협에 대비한 군사안보정책을 수립하게 되었다. 한국의 대일 군사력은 해, 공군력 위주로 증강되었으며 F-15K에 독도수호임무를 부여하고, 한반도 동남부 지역의 해, 공군 전력을 강화하였으며, 신형 잠수함과 이지스함, 정찰위성 보유에 전격 착수하는 등 다방면으로 군사력 증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한국이 통일 이후를 대비한 군사안보정책 수립과정에서 주변국, 특히 가상적국으로 가정하고 있는 일본을 다분히 의식한 선택이었다.

      • 청소년의 성역할정체감 유형과 성의식 및 성가치관과의 관계

        이혜정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청소년의 성역할정체감 유형과 성의식 및 성가치관과의 관계 이혜정 교육학과 교육심리 및 상담 전공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본연구는 청소년의 성역할정체감 유형을 알아보고 이에따른 성의식 및 성가치관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성문화 형성을 위한 지도와 올바른 성의식 및 성가치관이 정립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의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청소년의 성역할정체감 유형은 어떠한가? 2.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성의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3.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라 성가치관의 차이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남시에 있는 H실업계고등학교 1학년 남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성역할정체감 검사지」와「성의식․성가치관 검사지를 조사도구로 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별로 교차분석을 통하여SPSSWIN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성역할정체감의 차이를 보면 전체적으로 미분화성유형이 34%로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양성성유형이 33.4%로 많이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학생은 미분화성유형이 40.8%, 양성성유형이 29.6%로 많았고, 여학생은 양성성유형이 37%, 여성성유형이 28.6%로 많이 나타나, 성별에 따른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미분화성유형과 양성성유형이 67.4%로 높게 나타난 것은 여성의 활동영역이 넓어지고 사회적 적응 및 대인관계에서 여성성 또한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는 것으로 강선미(1998)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성인식의 차이나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성인식의 차이 및 성별X성역할정체감의 상호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성별․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성의식을 성에 대한 인식과 성역할 태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가정적 성역할 태도와 사회적 성역할 태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성역할 태도에서 더 보수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같은 결과는 조아미(2000)의 청소년의 성에대한 태도유형의 차이 결과와도 일부 일치한다. 셋째, 성별 및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성가치관의 차이에서는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성별에 따른 이성관의 차이를 보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이성을 이해할 수 있고 친구로서 서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긍정적인 생각을 더 많이 갖고 있으며, 순결관에서도 남녀 모두 순결을 지켜야 한다는 가치관이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생명의식의 가치관인 낙태에 대한 견해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성역할정체감과 성의식 성가치관은 사회화되는것이고 여러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가정, 학교, 사회간의 긴밀한 관심과 협조를 통해 효율적이고 내실있는 대책을 마련하여 통합적이고 다양한 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이 개방적이고 평등한 성역할정체감과 건전한 성의식을 가질수 있도록 해야한다. 특히, 가치관교육은 시대적 환경과 맞물린 고도의 정신적인 작용이므로 가정과 사회를 포함하여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을 찾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 춘천 남서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이혜정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춘천 남서부 지역에 위치한 5개 지역(화악산, 북배산, 삼악산, 금병산, 팔봉산)의 관속식물상과 식생을 2006년 3월부터 2007년 9월 까지 조사하여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기존에 발표된 이·이(1979)의 자료와 비교 검토하였다. 춘천 남서부 지역의 관속식물은 111과 448속 870종 27변종 17품종으로 총 914분류군이었으며, 이 중 170분류군은 금번 조사에서 새롭게 분포가 확인된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기존에 보고된 914분류군과 같은 분류군 수를 보였으나 세부적으로는 미확인 분류군이 170분류군, 추가된 분류군이 170분류군이었다. 양치식물계수(Pte-Q)는 1.26으로 기존의 0.98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조사된 914분류군 중 특산식물은 금강초롱꽃속을 포함한 33분류군이며, 희귀식물과 멸종위기 식물은 각각 26분류군과 4분류군이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15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기존의 결과인 33분류군보다 1.5배 증가된 분류군 수를 보였다. 이 중 단풍잎돼지풀, 가시박, 돼지풀, 대룡국화, 미국쑥부쟁이, 미국가막사리, 애기땅빈대 등은 특히 출현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생활형 조성은 H-R5-D1-e type으로 나타났으며, 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식물이 26.0%로 가장 높았고 약용식물이 23.3%, 목초용식물이 12.5%의 순으로 나타났고 용도가 알려지지 않은 것도 22.1%로 높게 나타나 기존의 조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식생분석결과 춘천 남서부 지역의 식생은 5개의 군집, 즉 거제수나무-고로쇠나무 군집, 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 신갈나무-떡갈나무 군집, 그리고 소나무 군집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는 5개 군집에서 높은 빈도와 상대피도를 보여 본 조사지의 우점종은 신갈나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식생조사결과와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지역별 우점식생은 화악산은 거제수나무-고로쇠나무 군집과 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 북배산은 소나무 군집과 신갈나무-떡갈나무 군집, 삼악산은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과 신갈나무-떡갈나무 군집, 그리고 금병산은 신갈나무-떡갈나무 군집으로 나타났다. The flora and vegetation of five regions representative Southwest Chuncheon area (Hwaaksan, Bukbaesan, Samaksan, Geumbyungsan, and Palbongsan) were investigated from March, 2006 to September, 2007. This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previous study by Lee?Lee(1979). Vascular plants of investigated regions were composed of 111 families, 448 genera, 870 species, 27 varieties, and 17 forma, totaling 914 taxa. New distribution of 170 taxa were recorded in this study, but 170 taxa which recorded by Lee?Lee (1979) were not reconfirmed. Thirty-four species including endemic genus Hanabusaya among the 914 taxa were Korean endemic. Four endangered and 26 rare plants, and 152 species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also investigated. The vegetation of investigated regions were well conserved based on the Pteridophyta index (Pte-Q), 1.26.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7 taxa, and its increased 1.5 times than results by Lee?Lee (1979). Among the 47 taxa, Ambrosia trifida,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aefolia var. elatior, Erechtites hieracifolia, Aster pilosus, Bidens frondosa, and Euphorbia supina were dominant species in investigated regions. Life form spectra was H-R5-D1-e type, and the use of plants were composed edible 26.0%, medical 23.3%, pasture 12.5%, and unknown use 22.1%,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similar with Lee?Lee (1979). The vegetation of Southwest Chuncheon area was classified five communities that Betula costata-Acer mono, Quercus mongolica, 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 Quercus mongolica-Quercus dentata, and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shows that the higher relative coverage and relative frequency in the five communities, therefore its considered as a dominant species of Southwest Chuncheon area. This result is congruent with the Lee?Lee (1979). The dominant communities of each investigated region were as follows: Betula costata-Acer mono,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 in Hwaaksan,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Quercus dentata in Bukbaesan, 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mongolica-Quercus dentata in Samaksan, and Quercus mongolica-Quercus dentata in Geumbyungsan.

      • 지적장애학생의 효과적인 전환을 위한 기술영역에 관한 교사의 인식수준=

        이혜정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providing systematic transition education. 144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eighty special school or classroom who work wit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ANOVA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er roles in teaching main transition skills for successful transi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owever,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as relatively low. Specificall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independent living skills most and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munity participation skills least. In additi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perceived the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independent living skills most and perceived the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skills for transition to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least. Through the differences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fifteen necessities were identified for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 can help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have successful transition through gain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among teacher groups divided by grade lev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ost-hoc test indicated that the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significantly higher than both the middle and postsecondary vocational classroom teacher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among teacher groups divided by years of teaching. The post-hoc test indicated that the perceived level of importance of teachers who had taught more than 10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who had taught less than 5 years and between 5 and 10 yea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among teacher groups divided by grade lev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ost-hoc test indicated th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ostsecondary vocational classroom teachers.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level of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of high school teacher was higher than teachers of other grades. The gap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level could keep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having quality life and practical inclusion into the soc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foundation for improving the motiv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eaching effective transition skills and build systematic transition plan, which help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have effective transi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창작발레의 대중적 활성화에 관한 연구

        이혜정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예술(Art)은 사회라는 토대와 분리된 채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없다. 모든 예술의 역사가 그러하듯이, 무용(발레)의 역사도 그 시대에 존재하는 사람들의 문화, 습관, 감정표현의 변화 속에 형성되어진 예술에 대한 개념에 비롯하여 발달하고, 현대인들은 복잡하고 다양한 변화속에 계속해서 새로운 것을 추구하려 한다. 발레 역시 고전발레(Classic Ballet) 레퍼토리 수용과 한국 창작발레(Creative Ballet)의 개발이라는 이원화된 방향으로 발전되어 오면서 이제는 순수예술(Pure Art)로서의 개념을 뛰어넘어 21세기 대표적인 공연예술로서 성장하고 있다. 이는 곧 특정계층에 의해 향유되는 순수예술로서의 예술보다 상위개념으로 모든 사람이 함께 공감하고 경험할 수 있는, 문화시대라는 시대적 특성에 부합하는 대중예술(Popular Art)로서 발전함을 뜻한다. 창작발레는 발레계의 세계 역사적 발전차원에서의 시각 뿐 아니라, 작품 소재의 폭을 넓히고 다양한 형태의 공연방식을 통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관객(대중)들의 욕구를 채워주며, 더 나아가 공연수입증대를 통한 단체재정과 안정성 ·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제는 전공인들에 의해 자족하는 공연에서 벗어나 수용층 확대라는 적극적인 방법으로 대중친화작업을 모색하고 작품내용의 질적 향상과 함께 대중적인 소재개발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대중화 작업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창작발레의 대중적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창작발레의 개념 및 한국 창작발레의 시대적 흐름을 통하여 창작발레를 이해하는데서 시작하였다. 그리고 창작발레를 활성화 시키는 대상으로 ‘대중’ 이라는 주체요인을 두고 그 취지를 바탕으로 명확한 의미에서의 대중은 누구이며 그들이 지니는 대중문화의 성격과 특성을 살펴 그에 맞는 창작발레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는 형태로 방향을 모색함과 동시에 더욱 이루어 져야 할 연구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자는 발레가 어렵고 난해한 특정계층만이 향유하는 고급문화라는 편견을 없애고 모든 사람들이 함께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문화예술로서 발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 Art cannot grow or develop, if it is separate from its ground or the society. As the history of any art dictates, the history of dance (ballet) has evolved with people's ever-changing culture, habits and emotional expressions. Our modern men attempt to pursue something new continuously in a complicated and diversified society. As for ballet, it has developed being divided into Classic Ballet and Creative one, and now, it transcends the concept of pure art to grow as a performance art representing the 21st century. In other words, ballet is developing into a popular art as a super-concept of pure art which people can sympathize with or experience. Creative Ballet meet audience's needs changing rapidly by expanding its sources and performance styles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ballet history but also within its inherent paradigm, and furthermore, help increase the revenues for the ballet company and enhance stability and perfection of ballet works. Now is the time when we ballerinas should not simply feel satisfied for ourselves but explore the ways to expand the audience by approaching them in a familiar way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works and developing more popular sources. Then, our ballet will be rooted more deeply in our aud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ways to popularize the creative balle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tarted by reviewing concept of creative ballet and its history, and thereupon, focused on the 'audience' to activate the creative ballet.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audience or the people, the researcher examined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r culture and therethrough, examined the ways to revitalize the create ballet in Korea together with the challeng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help people avoid their obsession that balle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thus, it can only be enjoyed by a certain class of our society, and thereby, promote and develop our creative ballet to be a cultural art which every people can sympathize with and enjoy.

      • Diagnostic Polymorphisms in the Mitochondrial DNA allow Discrimination among Cervus Elaphus Velvet Antlers : comparison of Populations from Republic of Altai, Canada and China

        이혜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Velvet antlers from Cervus elaphus species are one of most well known and commonly used medicinal materials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In this study, the variations in the DNA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ATPase8 and cytochrome-c oxidase I (COI) genes of Cervus elaphus from China, the Republic of Altai, and Canada were evaluated. In addition, the sequence variation among Sika deer, Rein deer and Cervus elaphus species was also evaluated. Although the DNA sequences of deer from the Republic of Altai and Canada were very similar, the polymorphisms conserved in each species were observed in the ATPase8 and COI genes. Therefore, these polymorphic markers could be used to distinguish Cervus elaphus antlers from different locations. Cervus elaphus 종의 녹용은 한국에서 가장 잘 알려지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한약재이다. 한국에서는 러시아 알타이 공화국산 녹용이 선호되면서 타 산지 녹용보다 비싸게 유통되는데, 녹용은 원산지가 달라도 형태학적으로 매우 유사하고 일반적으로 절편상태로 유통되어 관능검사로는 감별하기 힘들어 원산지를 속이는 불법적인 시도가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알타이공화국, 캐나다산 녹용의mitochondrial ATPase8 와 cytochrome?c oxidase I (COI)유전자의 DNA 염기서열의 변이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Sika deer, Rein deer 와 Cervus elaphus 종들 간의 염기서열의 변이도 평가하였다. 비록 알타이공화국산 녹용과 캐나다산 녹용의 염기서열이 매우 유사했지만, ATPase8 와 COI 유전자에서 각 종간에 보존된 유전자 다양성 (polymorphisms)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이들 다양성 표지자 (polymorphic markers)들은 Cervus elaphus 녹용의 산지 구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