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학생 대학교육 지원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

        조지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perated based on the 'Manual for Operation of the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survey was designed based on the ‘Manual for Operation of the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revious studi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attending schools with relatively well-established support systems according to the ‘Manual for Operation of the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omputed for the analyses of the survey results, and through this, measurement to improve the support system were derived. The conclusions dra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generally not satisfied with the university education support system run by the operation manual. This result shows that the support is not efficiently delivered to the students even in the universities in the top rank at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welfare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as a result of the survey from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utilization of support is severely varied by the areas. In addition, there was also a severe variation in the use of the services within the area. The lower the utilization area, the fewer students used it because of its inconvenienc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erception of disabled college students by application area varies greatly, and that university education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centered on suppliers, not on student consum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ation of the support system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demand analysis for each operation manual support area must be required, and through this, the operation manual needs to be improved. Secon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manual should be provided and promoted to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practical studies dealing with various topics such as support,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ies related to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the university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ll be improv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Manual for Operation of the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학생지원센터 운영 매뉴얼’을 기반으로 장애학생 지원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학생지원센터 운영 매뉴얼’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지를 제작하였고, ‘장애학생지원센터 운영 매뉴얼’에 따라 지원제도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이를 통해 지원제도 개선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대학생들은 운영 매뉴얼에 따른 장애학생 대학교육 지원제도에 전반적으로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장애대학생 교육복지지원 실태평가에서 최우수·우수 판정을 받은 캠퍼스에서조차 운영 매뉴얼에 따른 지원이 실제 학생들에게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장애학생 대학교육 지원제도의 지원영역별 인식조사 결과 지원영역별 활용도의 편차가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식조사 결과 활용도가 높게 나온 지원영역 역시 세부 항목별 활용도의 편차가 심했으며, 지원영역별 활용도가 낮은 영역일수록 불편해서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장애 대학생들의 지원영역별 인식의 편차가 심하며, 장애학생 대학교육 지원이 학생 수요자 중심이 아닌 공급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 대학생들의 효율적인 지원제도 활용을 위해 운영 매뉴얼 지원영역별 요구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한 운영 매뉴얼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 대학생들에게 운영 매뉴얼에 대한 정보 제공 및 홍보를 진행하여야 한다. 셋째, 장애인 대학교육과 관련된 지원, 교육프로그램, 정책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실질적인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장애학생 대학교육 지원제도의 개선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본 연구결과가 ‘장애학생지원센터 운영 매뉴얼’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고교 및 대학 아이스하키 선수의 비합리적 신념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조지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교 및 대학 아이스하키 선수의 비합리적 신념과 인지된 경기력 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지도자 및 선수들에게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21년 대한아이스하키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소속된 아이스하키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비확률 표본추출 중 유목적적 표집법을 사용하여 총 183명의 표본을 수집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s용 SPSS 21 Ver.과 AMO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고등부 90명(49.2%), 대학부 93명(50.8%)이며, 선수경력은 5년 미만 3명(1.6%), 5년 이상 10년 미만 82명(44.8%), 10년 이상 15년 미만 85명(46.4%), 15년 이상 13명(7.1%)으로 나타났다. 포지션 구성은 레프트/라이트 윙이 69명(37.7%), 센터 포워드 28명(15.3%), 레프트/라이트 디펜스 63명(34.4%), 골리 23명(12.6%)이며 시작배경은 외부의 권유 100명(54.6%), 하키가 좋아서 83명(45.4%)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교 및 대학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비합리적 신념은 회복탄력성(r =.09)과 인지된 경기력(r =.09)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회복탄력성은 인지된 경기력(r =.58, p<.01)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교 및 대학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비합리적 신념과 인지된 경기력의 사이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회복탄력성의 수준이 낮음에서 중간 수준으로 변화함에 따라 낮은 인내가 높아진다고 하더라도 인지된 경기력 증가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완충하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ce hockey leaders and athletes with basic data for improving performance by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perceived performance among ice hockey athletes in high school and college. F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 population of high school and college ice hockey athletes registered in the 2021 Korea Ice Hockey Association was selected. As a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a total of 183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 purposeful sampling technique to derive results. Data was processed and analyzed with SPSS 21.0 and AMOS 21.0 u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ed in 90 (49.2%) high school and 93 (50.8%) college athletes. Of those athletes, 3 (1.6%) had less than 5 years' ice hockey experience, 82 (44.8%) with 5 to <10 years, 85 (46.4%) with 10 to <15 years, and 13 (7.1%) with ≥15 years’ experience. Their position comprises 69 (37.7%) left/right wingers , 28 (15.3%) center-forwards, 63 (34.4%) left/right defensemen, and 23 (12.6%) goalies. 100 (54.6%) athletes were introduced to hockey by others and 83 (45.4%) started because they liked hockey. Second, irrational beliefs of high school and college ice hockey athletes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resilience (r = .09) and perceived performance (r = .09),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perceived performance (r =.58, p<.01) and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high school and college ice hockey athletes. It mean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at buffers the negative (-) effect on the perceived increase in performance, even if low frustration tolerance increases as the level of resilience changes from low to medium.

      • 문학 작품배경 답사와 교육방안 :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조지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문학 작품배경 답사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문학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론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된 분야는 작품배경이 되는 문학공간의 범위와 특성 및 교육적 가치를 찾고, 이를 문학수업에 적용하여 실질적인 교수-학습 지도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교육적 활용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문학 작품배경을 활용한 답사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료선정 및 선정된 자료의 공간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고에서 텍스트로 선정한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은 현장성이 강하게 내표되어 있으며 현재 고등학교 문학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어 문학 작품배경 답사에 적합한 작품이다.문학 작품배경 답사활동 교수 - 학습지도안은 크게 체험 전 활동, 체험 중 활동, 체험 후 활동으로 나누어 각 영역별로 학습단계를 구성하였다. 이를 다시 주제 및 목표설정, 현장체험의 준비, 학습의 전개, 현장 체험 학습의 결과 정리 및 평가, 체험의 내면화 등의 5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절차 및 학습자․교수자 활동, 지도상 유의점 등을 세분화 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문학 작품배경 답사 학습이 일회성 행사로 그치지 않고 체험의 내면화를 통해 문학작품의 깊이 있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문학 작품배경 답사 학습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영역에는 특별활동, 수학여행, 수행평가, 통합교과 등의 교육 영역에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학습의 장점은 역동적이면서도 실천적인 문학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 자연의 아름다움과 지역문화를 표현한 문학작품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는 점, 자기 주도적인 학습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점, 작품의 이해를 심화 확대할 수 있다는 점 등 교육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본 연구는 문학 작품배경 답사를 문학교육에 적용하여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그 학습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a more efficient method of literature education. Mainly, the study investigated the scop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 of the space serving as a background in literature to apply on literature class, and thereby explore the strategies of educational application through the developed practical teaching-learning plan.For a field survey of literature background, selection of appropriate literary work and analysis of the space in the selected work must be done in the first place. When the Buckwheat Blooms by Lee Hyo Suk selected in this study as a text is fit for a field survey of literature background, as the novel is stronger in realism and included in the current curriculum of high school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The teaching-learning plan incorporating a field survey of literature background was composed of largely pre-exploration activity, activity during exploration, and post-exploration activity, with learning phase being established by area. In turn, the plan divided into 5 phases such as establishment of the central idea and goals, preparation of on-the-sport exploration, development of learning, summary of results of on-the-sport exploration class, and assessment and internalization of experiences, while procedures, student-teacher activity, and guidelines for teaching were presented in detail by phase, which was expected to help a field survey of literature background promote an in-depth understanding on literature through internalization of experiences, rather than ending in a one-time event.Field survey on background of literary work can be used for a special activity, field trip, performance evaluation, and integrated subject. Such a teaching method is advantageous in achieving educational effects; it enables dynamic and practical literature education, helps students enjoy the beauty of the nature and find attractiveness of the literature describing local culture, cultivates a self-driven learning ability, and allows in-depth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work.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designed a lesson model by applying a field survey on background of literary work to literature education and examined the educational effects.

      • 전신마취 수술 환자의 스트레스와 통증 및 회복실 간호요구

        조지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growing according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increasing life expectancy. Accordingly, growing number of population is experiencing operational treatment. For patients, operations are one of the chief reasons of physical and emotional stress in the process of treatment. The painful and stressful experiences during and after the operation influence on patients’ recovery and nursing nee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 assessment and nursing interventions at post-anaesthesia care unit (PACU). Following to changing concepts of health and increasing needs for quality of care, patient-centered care are getting more important. Also, increasing number of patients are experiencing the operational treatment and the importance of PACU are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patient’s needs of PACU care considering to patient’s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duce evidence of standardized and effective recovery in the PACU after the operation by evaluating the co-relation among patient’s pain, stress and nursing needs at a post-anaesthesia unit after general anaesthesia.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urvey for evaluating participants’ general demographics, stress, pain and nursing needs at a PACU. 145 Patients who are legally adult and experienced general anaesthesia for operational treatment in a hospital at Gyeonggi-do were recruited. The participants agreed with their participation before the operations. After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operation with general anaesthesia, patients’ post operational pain were assessed by numeric rating scale. Subsequently, within 48 hours after the participants transferred from the PACU to the general ward, their pains were assessed by modified perceived stress scale which was standardized in Korea by Lee, Yun-Hwan (2014) and Baek, Young-Myo (2010)’s translated tool which was developed by Cohen, S., Kamarck, T. and Mermelstein, R. (1983). Nursing needs at the PACU were assessed by the tool of Shin, Eun-Jeong (2015) which is the modified version of Kim, Eun-kyung (2002) and Im, Jeong-mi (2012).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into the percentage, frequency,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and correlation coefficient by SPSS v.23. The average score of perceived stress was 28.08±2.48 out of 10 to 50 score and the average post-operational pain was 5.31±2.48 out of 0 to 10 score. PACU nursing needs are divided into 4 sections which are physical needs, emotional needs, educational needs and environmental needs out of 33 to 165 scale. The average score of PACU nursing needs was 132.96±18.13 and 4 sections were 4.18±0.82 on environmental needs, 4.12±1.18 on educational needs, 3.96±0.86 on emotional needs and 3.87±1.39 on physical needs. According to participants’ general demographic traits, female patients (138.72±17.14) need higher PACU nursing needs (t=-4.115, p<.001) and patients with underline disease (29.52±6.10) have higher stress (t=-2.380, p=.019). Several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surveyed factors which are post-operational stress, pain and PACU nursing needs of participants. The positive correlations are post operational pain and duration of operation (r=.164, p=.048) and post operational pain and emotional nursing needs (r=.165, p=.048). On the other hand, perceived stress and educational support has negative correlation (r=-.170, p=.041). As a result, patients’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needs were the highest among PACU nursing needs. The results could be explained as a reflection of social perceptions which are increasing interest in hospital environment and emphasizing patient’s right to know. The expectations and demands for the quality of the hospital care are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build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the patient as well as to protect patients from infection and guarantee their privacy. Meanwhile, patients who experience long duration of operation are vulnerable to physical and emotional stress. Therefore, aggressive pain management and emo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PACU. Patients who have underline diseases experienced more post-operational stress and had less educational needs. In order to reduce patients’ stress, educa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before the operation. 급속한 경제성장 및 평균 수명 증가로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수술적 치료를 경험하는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수술은 질병을 치료하는 과정 중 환자가 느끼는 신체적, 심리적 부담이 매우 큰 스트레스 원 중 하나이며 수술과 관련하여 환자가 경험하게 되는 통증과 스트레스는 환자의 회복 및 간호요구에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사정 및 중재가 필요하다. 건강개념이 변화하고 질적 간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여 환자 요구 중심 간호가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수술적 치료를 받는 환자의 증가와 더불어 회복실 간호에 대한 중요성도 증가되고 있으므로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회복실 간호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신마취 하에 수술 받는 성인환자의 통증과 스트레스 및 회복실 간호요구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수술 후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회복을 위한 회복실 간호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2월 5일부터 2018년 3월 9일까지 경기도 소재 일개 종합병원 수술실에서 전신마취 하에 수술을 받는 성인환자 중 수술 전 연구참여에 동의한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스트레스와 통증 및 회복실 간호요구를 조사하였다. 전신 마취 하에 수술을 마치고 회복실에 도착한 환자에게 숫자통증등급(Nurmerical rating scale, NRS)으로 수술 후 급성 통증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대상자가 회복실에서 회복을 마친 후 병실에 이송된 후 48시간 이내에 Cohen, Kamarck & Mermelstein (1983)이 개발하고 백영묘(2010)가 번안한 도구와 이윤환(2014)이 표준화 한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Perceived Stress Scale, PSS)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회복실 간호요구는 김은경(2002)과 임정미(2012)의 도구를 수정 보완한 신은정(2015)의 도구로 측정하고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3을 이용하여 백분율과 빈도,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 평균 점수는 점수 구간 10-50점에 28.08±2.48점, 수술 후 통증의 평균 점수는 점수 구간 0-10점에 5.31±2.48점, 회복실 간호요구는 신체적 간호요구, 정서적 간호요구, 교육적 간호요구, 환경적 간호요구 4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점수 구간 33-165점에 총 평균 132.96±18.13점으로 나타났으며, 각 영역별 간호요구는 환경적 간호요구가 4.18±0.82점, 교육적 간호요구는 4.12±1.18점, 정서적 간호요구는 3.96±0.86점, 신체적 간호요구는 3.87±1.39점 순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요구는 여성(138.72±17.14)이 회복실 간호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t=-4.115, p<.001), 수술 및 마취 관련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는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29.52±6.10)가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t=-2.380, p=.019).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통증, 회복실 간호요구 간의 관계는 대상자의 수술 소요시간과 수술 후 통증 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164, p=.048), 수술 후 통증과 정서적 간호요구 간에도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165, p=.048). 한편, 지각된 스트레스와 교육적 간호요구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170, p=.041).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회복실 간호요구 중 환경적 간호요구와 교육적 간호요구가 높게 나타난 것은 최근 병원 환경에 대한 높아진 사회적 관심과 환자들의 알권리가 점점 강조되어 가고 있는 사회적 분위기와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의료의 질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환자가 회복을 하는 데 있어 충분한 안정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가장 필요하며 특히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환자의 프라이버시와 개인의 사적 정보를 보호하는 간호활동이 요구된다. 또한 장시간 수술을 받은 환자는 신체적〮정서적 스트레스가 가중되므로 장시간 수술을 경험한 환자에게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적극적 통증관리와 정서적 지지에 초점을 둔 회복실 간호가 제공되어야 한다.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가 더 많은 수술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스트레스가 클수록 교육적 간호요구는 낮아지므로 수술 전 교육을 통하여 수술과 관련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 보건소 간호직 공무원의 직무소진 예측모형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조지현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ructural model study investigated the conformity of a hypothetical model and tested the proposed hypotheses. The model was constructed by selecting factors that affect the burnout of public health center nursing officials based on the job burnout model of Bakker and Vries (2021), the job crafting model of Wrzesniewski and Dutton (2001), and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242 nursing public officials working at 27 public health centers. They were selected based on convenience sampling among 46 health centers in 31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gi-do.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MBI-GS), Korean Nurses’ Occupational Stress Scale (K-NOSS),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PCQ), Job Crafting Questionnaire (JCQ), and a job-related tension measurement tool.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PSS 27 and AMOS 20 programs were used to check the χ2, χ2/df, GFI, AGFI, CFI, TLI, NFI, IFI, RMSEA, and SRMR for the frequency analysis, normal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test, discriminant validity,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goodness-of-fit evaluation of the model data. Bootstrapping was conducted for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oodness-of-fit index was insufficient, so one physical work demand (job demand) and one social support (job resources), which are sub-factors with high modification index, were deleted. The error term of cynicism, which is a sub-domain of job burnout, and the error term of job efficacy reduction were connected. A path from job demand to job tension and a path fro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o job burnout were newly added to modify the hypothetical model. 2. As a result of the goodness-of-fit test of the modified model, only one item of AGFI had a goodness-of-fit of .874, not reaching the standard value of .9. The χ2/DF was 1.962, GFI was shown at .910, AGFI at .874, NFI at .904, TLI at .937, CFI at .950, RMSEA at .063, and GFI at .910, matching the recommended level. 3. The final modified model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job tension (β=.734, p<.001) and the low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β=-.327, p<.001), the higher the job burnou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2 factors was 82%. The higher the job demand (β=.373,p<.001) and the lower the job crafting (β=-.372,p<.001), the higher the job tens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wo factors was 32%. The high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β=.761, p<.001), the higher the job crafting, and the explanatory power at this time was 63.8%. In summary, the structural model of this study can be seen as a model that well explains the job burnout of nursing officials at public health cent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grally applies the job burnout model of Bakker and Vries (2021), the job crafting model of Wrzesniewski and Dutton (2001), and the literature reviews of previous studie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job burnout of such officials and to prepare measures to reduce and prevent job burnout. This study present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on the job burnout of public health center nursing officials and basic data for job burnout prevention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a pandemic situation. In oder to prevent job burnout of nursing officials at public health centers, it is proposed to apply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crafting to 80 hours of compulsory education for local officials and maintenance education for nurses. 본 연구는 Bakker & Vries(2021)의 직무소진 모델과 Wrzesniewski & Dutton (2001)의 잡 크래프팅 모델, 선행 연구 문헌 고찰을 기반으로 보건소 간호직 공무원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제시된 가설들을 검정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31개 시군 46개 보건소 중 편의 추출된 27개 보건소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직 공무원 2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직무소진-일반형(MBI-GS,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한국형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K-NOSS), 긍정심리자본척도(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PCQ), 잡 크래프팅 설문지(Job Cafting Qestionnaire;JCQ), 직무긴장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 AMO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정규성 검증, 기술통계,Pearson's Correlation, 확인적 요인분석, 수렴타당도 검증, 판별 타당도 검증, 최대우도법, 모형의 자료에 대한 적합도 평가를 위한 χ2, χ2/df, GFI, AGFI, CFI,TLI, NFI, IFI, RMSEA, SRMR을 확인하고, 직접 효과, 간접 효과, 총 효과는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적 모형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가 미달하여 수정지수가 높은 하위요인인 직무요구의 물리적 업무요구 1개와 직무자원의 사회적지지 1개를 삭제하고, 직무소진의 하위영역인 냉소의 오차항과 직업효능감 감소의 오차항을 연결하고, 직무요구에서 직무긴장으로 향하는 경로와 긍정심리자본에서 직무소진 으로 향하는 경로를 새롭게 추가하여 가설적 모형을 수정하였다. 2. 수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적합도는 AGFI 1개 항목만 .874로 기준치 .9에 미치지 못 하였고, χ2/DF 1.962, GFI .910, AGFI .874, NFI .904, TLI .937, CFI .950, RMSEA .063 GFI .910으로 권장 수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최종 수정모형 결과, 직무긴장이 높을수록(β=.734, p<.001), 긍정심리자본이 낮을수록(β=-.327, p<.001) 직무소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요인의 설명력은 82%였다. 직무요구가 높을수록(β=.373, p<.001), 잡 크래프팅이 낮을수록(β=-.372, p<.001) 직무긴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요인의 설명력은 32%이다. 긍정심리 자본이 높을수록 (β=.761, p<.001) 잡 크래프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때의 설명력은 63.8%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의 구조모형은 보건소 간호직 공무원의 직무 소진을 잘 설명한 모형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Bakker & Vries(2021)의 직무소진 모델과 Wrzesniewski & Dutton(2001)의 잡 크래프팅 모델, 선행연구를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보건소 간호직 공무원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직무소진을 감소시키고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팬데믹 상황에서 보건소 간호직 공무원의 직무소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고, 직무소진 예방 대책과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보건소 간호직 공무원의 직무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현재 지방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80시간 필수 의무교육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보수교육에 긍리심리자본과 잡 크래프팅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 제조업 사업장의 안전선행지표를 활용한 안전관리

        조지현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Safety leading indicators are unique, measurable factors that indicate the changing level of risk in a facility and can be used to predict when the likelihood of someone being injured at a facility increases. The higher the risk score and risk scale of the safety leading indicator,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a safety accident. And the risk score of the safety leading indicator continued before the safety incident occurred, which was effective in monitoring the risk variation. Safety leading indicators help improve the safety performance, the worker’s participation of safety activity and improve the safety program. The safety management using leading indicators is a new paradigm in the local manufacturing industry, and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nd use it as a safety program necessary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and injuries. If the following are considered to select safety leading indicators for manufacturing sites, it is expected to help eliminate potential risk factors and prevent accidents. First, In order to select leading indicators suitable for workplaces or processes, it is effective to use safety programs that can control workers' unsafe behavior by analyzing upset conditions in processes such as production, facilities, and quality. Second, Using the risk score of the safety leading indicator as an item of the organization's safety performance (KPI) is effective in managing the risk of the workplace and improving safety performance. Third, In order to use safety leading indicators as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of safety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afety program that can be applied in reality. Using safety programs that directly help safety management, such as the LOTO work compliance rate, as a leading indicator helps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improve the safety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특성과 MMSE-DS 영역에 따른 인지기능수준 비교

        조지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역사회 치매조기검진사업에서 인지저하자로 선별되어 2차 신경인지 검사를 완료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MMSE-DS결과 및 하위영역간의 차이 등을 파악함으로써 치매조기검진사업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경기도 U시 보건소 치매상담센터가 2013년 실시한 치매선별검사 자료 중, 2013년 1월~9월 동안 MMSE-DS 검사에서 인지기능저하자로 분류되고 2차 진단검사인 신경심리검사(CERAD-K)를 마친 대상자 320명의 검사결과 자료를 추출하여 이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1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성 33.1%, 여성 66.9%로 여성이 더 많았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74세 이하(전기고령자) 26.6%, 75세 이상 84세 이하(중기고령자)55%, 85세 이상(후기고령자) 18.4%로 나타났다. 교육 년수는 무학이 35.9%로 가장 많았고, 1-6년이 33.1%, 7–12년 26.3%, 13년 이상이 4.7%로 나타났다. 독거가 26.9%, 독거가 아닌 경우가 73.1%였으며 의료보장 형태는 의료보호가 21.6%, 건강보험이 78.4%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MMSE-DS 총점은 평균 17.5점으로 낮은 분포를 보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교육 년수가 낮을수록, 여자일 경우 인지기능이 낮았다. MMSE-DS 하위영역에서 연령에 따라 시간지남력, 장소지남력, 기억회상, 이름대기, 명령실행 영역에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라 장소지남력, 기억회상, 주의집중력, 따라 말하기, 구성능력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교육 년수에 따라 시간지남력, 장소 지남력, 기억등록, 기억회상, 주의집중력, 따라말하기, 명령실행, 구성능력, 이해판단 영역에서 차이를 보여, 이름대기를 제외한 전 영역에서 차이를 보였다. 의료보장 형태는 따라말하기에서, 독거여부는 구성능력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은 MMSE-DS 총점, 시간지남력, 장소지남력, 주의집중력, 기억회상, 이름대기, 구성능력, 이해판단 영역에서 유의하였다. 넷째, 대상자의 인지기능수준(치매군, 치매 의심군, 비 치매군)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교육 년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통해, 대상자의 교육 년수가 인지기능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므로 치매조기검진사업에서 인지저하자의 진단검사 의뢰 시 기준이 되고 있는 소득수준과 더불어 대상자의 교육 년수가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인지기능이 낮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