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화 <5일의 마중(归来)>을 활용한 문혁 역사와 중국어 교육 방안

        李和穎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运用电影<归来>的文革历史与汉语教学方案 本论文的目的是通过电影<归来>,提出文革历史及汉语的教学方案。本文设定的学习对象是,主要面向按每周2~4个小时进度学习汉语两年以上,并掌握2,500多个词汇及相关知识的新HSK五级水平的中级学习者。并且为学习文革历史知识,需要具备大学生以上的成人学习者标准的思考能力。 第一章,阐述了研究方向、研究方法和目的。 第二章,将文化大革命这一历史题材分为文革的起因、经过、结果三部分进行了叙述,分析电影<归来>中的人物形象,寻找内容中的主题思想,提出“反面教训”和“积极教训”。通过反面教训,可以看到“极左情况下的罪人”、“血肉相残与人伦破坏”以及“批判与觉悟意识的泯灭”;通过积极教训,可以看到“宽恕”与“牺牲”。 第三章,以得出的主题思想为基础,选定了15个教学场面。而选出这15个场面中反映主题的句子,分析词汇,可找到其语言教学的价值。并且分析的词汇,再加以例句,使其能够灵活运用到沟通当中。 第四章,对于如何通过分析的场面和词汇,在实际教学现场使用电影<归来>,我们通过四个语言功能,提出了可灵活运用的活动方案和指导方案。指导方案分为起因、经过、得出结果三个方面,后又细分为观看前、观看中、观看后三个阶段。

      •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업무기력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이화영 선문대학교 상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업무기력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이화영 교육상담학과 교육상담전공 선문대학교 상담대학원 본 연구는 학업무기력과 삶의 의미의 관계를 탐색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충청권 인문계 고등학생 474명으로 학업무기력과 삶의 의미, 인지적 유연성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자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통계 및 단순 상관 분석, 각 변인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 회귀 분석, 학업무기력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aron 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를 거쳐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무기력은 삶의 의미 및 인지적 유연성과 부적 상관을, 인지적 유연성은 삶의 의미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학업무기력은 삶의 의미의 하위요인 중 목적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인지적 유연성의 하위요인 중 대안 요인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통제 요인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학업무기력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학업무기력이 높을수록 인지적 유연성이 낮아져 삶의 의미 수준도 낮아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지금까지 문헌 연구 또는 변인의 하위 개념들과의 관계로만 짐작해왔던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경험적으로 밝혔다. 둘째, 학업무기력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인지적 유연성이 학업 무기력을 예방하고, 삶의 의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밝혀 상담 개입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셋째,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 그동안 대학생 및 성인에 비해 비교적 적은 연구가 이루어졌던 청소년의 삶의 의미 경험을 연구함으로써 발달적 관점에서 연령대 별로 삶의 의미에 관한 논의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가장 최근에 합의된 삶의 의미 개념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된 도구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제어 : 학업무기력, 삶의 의미, 인지적 유연성, 인문계 고등학생

      • 왕겨 실리카와 VSB-5를 이용한 Biginelli 반응 및 크롬산음이온 흡착

        이화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Cl3, CoCl2, FeCl3-impregnated microporous catalysts were prepared by impregnating InCl3, CoCl2, FeCl3 dissolved in acetonitrile to various microporous materials. Biginelli reactions under solvent-fre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microwave by the method of one-pot three-component condensation of urea, benzaldehyde and ethyl acetoacetate. Nanopore Silica was prepared by using Korean rice husk. The porous materials or Lewis acid modified porous materials, such as VSB-5, Nanopore Silica, InCl3/VSB-5, InCl3/Nanopore Silica, CoCl2/VSB-5, CoCl2/Nanopore Silica, FeCl3/VSB-5 and FeCl3/Nanopore Silica were used as catalysts. The Biginell reaction results of Nanopore Silica, InCl3/Nanopore Silica, CoCl2/Nanopore Silica and FeCl3/Nanopore Silica catalysts were compared. When Nanopore Silica was used as a catalyst, the yield of the Biginelli product was in the range of 65~68%. The sorption of chromate an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CTABr modified Silica and VSB-5. Since cetyltrimethylammonium(CTA) ion is too large to enter into the internal surface of Silica, the sorption of CTA ion seems to be only occurred on the external and wide internal surfaces. However since the pore size of VSB-5 is too small, only externed surface of VSB-5 could be occupied by the cationic surfactant. While the unmodified Silica and VSB-5 had no affinity for the chromate anion, the surfactant modified porous materials showed the moderately enhanced sorption of the oxyanion from aqueous solution. The sorption of chromate seems to be due to entropic, Coulombic and hydrophobic effects.

      • 가족이 참여하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애 아동의 가족과 부모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들 중의 하나는 문제행동을 다루는 것이다.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의 가족들은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가 공공 장소에서 사용할 수 없거나 가족 각자의 일과와 선호를 충족시킬 수 없어서 사회적 고립을 자주 경험하게 된다. 최근에는 문제행동 자체의 감소나 적합한 행동의 교수에만 초점을 두기보다는 전반적인 생활 양식에서 지원해 줄 수 있는 문제행동의 기능평가와 개인의 요구에 맞는 포괄적인 지원계획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는데, 이것을 긍정적 행동지원이라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와 가족들을 긍정적 행동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한 후에 학생의 문제행동이 감소하는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문제행동의 감소가 일반화되는지, 그리고 계속 유지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K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초등부 저학년에 재학하는 장애 학생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중재의 실시에 앞서 저학년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 절차에 대한 연수를 실시하고 전반적인 내용을 숙지시킨 후, 긍정적 행동지원 절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가족들과 함께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가족들이 각각의 가정에서 가장 문제가 된다고 결정한 행동을 목표행동으로 설정한 후,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기능평가의 방법으로 면담과 ABC 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가를 통해 수집한 자료들을 기초로 하여 문제행동 발생과 관련된 가설을 개발하고 각 대상아동의 가정과 문제행동에 적합한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특별한 중재를 실시하지 않고,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던 달래기, 비난, 무시, 신체적 체벌, 원하는 대로 들어주기 등의 일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다요소 중재를 제공하였다. 중재 종료 후에는 가족들 중의 다른 대상에게도 일반화되는지 7회기 동안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중재 효과의 유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종결 4주 후에 4회기 동안의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는 세 명의 대상학생 모두의 문제행동을 감소시켰다. 둘째,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의 효과는 가족 중의 다른 사람이 중재를 실시하는 상황으로 일반화되었다. 셋째,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감소된 문제행동 발생률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다른 사람에게 일반화되었으며,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와 장애학생의 가족이 협력하여 가족지원의 한 형태로서 긍정적 행동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지도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which families participate in to reduce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at home. In this study, three students showing problem behavior at home and their families participated in functional assessment process designed to yield a useful understanding of their problem behavior. Structured interviews and direct observations were conducted to identify various variables which were functionally related to problem behaviors at home. Based on Hypotheses derived from functional assessment,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as designed. To measure the frequency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ty and follow-up sessions using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were reduced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hich families participated in. Secondly,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were generalized to different person of the family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hich families participated in. Thirdly,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were maintained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hich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data from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at functional assessment identified variables that were functionally related to each participants' problem and appropriate behaviors. This data contributes to the growing recognition of how positive behavior support which families participated in can expert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problem behavior. And this study may offer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family perspectives as they experience and participate in positive behavior support.

      • 청소년의 SNS 활동이 집단지성에 미치는 영향 :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이화영 광운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활동이 집단지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청소년의 SNS 활동과 집단지성 간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청소년수련관 중학교 2~3학년, 경기도 부천 소재의 고등학교 1~2학년 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05개의 자료를 SPSS 18.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주요변인과 각각의 하위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별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검증을 위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 사후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른 매개경로의 유의성과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obel Test, 3단계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하위요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SNS 이용 강도, 이용 동기, 공동체의식, 집단지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성적, 경제수준, 접속빈도, 연계된 친구의 수가 높은 집단이 높은 수준을 나타낸 반면, 하루 이용시간은 3시간~4시간 미만으로 이용하는 집단이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둘째, SNS에 수시로 접속하는 청소년과 100명 이상의 친구를 보유하고 있는 청소년이 가장 많은 반면, 80% 이상의 청소년이 3개 이하의 SNS를 4시간 미만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SNS 이용 강도와 이용 동기, 공동체의식, 집단지성은 모두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청소년의 SNS 이용 강도와 이용 동기는 집단지성에 유의미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이용 강도와 집단지성, SNS 이용 동기와 집단지성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집단지성에 대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이용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 동기의 하위요인 중에서도 정보추구 동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에게 SNS는 짧은 시간, 수시로 접속하여 자신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일상적 행위가 되었으며, 그러한 이용행태로 다수의 구성원과 상호작용할 때 강한 감정적 연계를 느끼며 분명한 목적을 인식하고 높은 공동체의식을 갖춤으로써 집단지성 발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정보를 목적으로 SNS를 이용하는 청소년이 집단지성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활동과 집단지성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집단지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 공동체의식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집단지성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둔 시점에서 사회적 자본 형성의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공동체의식을 통한 집단지성의 향상은 앞으로 사회적 자본의 양과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를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유아의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 실태

        이화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해 유치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부모교육의 실태 및 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살펴 볼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1-1. 부모교육의 실시, 횟수, 시기는 어떠한가? 1-2. 부모교육의 내용, 유형은 어떠한가? 1-3. 부모교육의 효과는 어떠한가? 1-4. 부모교육의 장애요인은 무엇인가? 2.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으며 부모교육을 계획하거나 진행하는 원감 또는 만 5세 담임을 맡은 경험이 있는 교사 149명과 서울시에 소재한 공립 초등학교에 다니는 1학년 자녀를 둔 부모 중 취학 전 유치원에 자녀를 보낸 경험이 있는 부모 222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유아의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 실태 및 교사와 부모의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교사용, 부모용 설문지이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설문지 결과를 각 항목에 의거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또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요구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의 실태 1)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의 실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하는 횟수는 연 1회 실시되는 곳이 많았으며 주로 학년 말에 실시되었다.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사람은 원장 또는 원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유형은 강의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가정통신문, 개인면담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내용으로 기본생활습관 지도를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으며, 입학 시기 결정, 학습지도, 또래관계의 형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 시 대부분 유치원에서 부모에게 유인물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시 부모들은 교사에게 유아의 또래관계, 유아의 학습능력, 학습지도에 대한 조언, 자녀의 초등학교 적응 여부에 대해 많이 질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의 평가를 분석한 결과 부모교육의 실시가 부모에게 비교적 도움이 되거나 보통이라고 효과를 인식하였다.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부모교육 자료의 부족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2.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 1)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교사와 부모가 필요하다고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부모들은 자녀를 초등학교에 보내면서 궁금하거나 곤란했던 적이 보통이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녀의 또래관계 형성에 대해 가장 궁금하고 곤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를 초등학교에 보내면서 어려움이 있을 때 부모들이 제일 많이 참고로 한 자원은 다른 자녀를 초등학교에 보내 본 경험이었다. 2)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실시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알아보면 부모들은 연 2회, 학년 말에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을 받기 원하고 있다. 부모들은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실시자로 초등학교 교사를 가장 선호하였다. 부모들은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유형 중 부모들은 강의를 가장 원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집단 토론 모임과 개인면담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 시 자료가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주로 소책자를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부모는 교사보다 유아의 건강점검과 입학 준비물 안내에 대한 부모교육 내용이 더 필요하다고 본 반면, 교사는 입학시기 결정에 대한 부모교육 내용이 더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 외에 교사들은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내용으로 부모들의 마음가짐과 자세를 가장 많이 요구하고, 부모들은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내용으로 인성교육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었다. 3)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개선방안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시 부모의 잘못된 인식과 비전공자의 부모교육 실시를 문제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개선점으로는 경험있는 부모교육 실시자의 활용과 부모교육 자료의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부모들은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시 대집단 형태의 강의에 대한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첫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에 대한 개선점으로 집단토론 모임의 활성화를 높게 요구하였다. This thesis is aimed to determine the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given to parents by kindergartens and the request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education,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The topics of researches to accomplish such an aim include the following: 1.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given to parents by kindergarten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1-1. What are the frequency and time of education given to parents by kindergartens? 1-2. What are the contents and types of the education? 1-3. What ar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1-4. What are the obstacles to the education? 2. What are the request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education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49 head teachers and teachers previously in charge of 5-year old infants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who are planning or conducting the education for parents, and 222 parents whose children have finished the kindergarten education and are the first graders in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teachers and parents,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and t-tested to get relevant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clude the following: 1.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ducation given to parents by kindergarten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1) It is reported that most kindergartens are providing education to parent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The education is preferably conducted once a year at the end of a semester by the head or head teacher of a kindergarten. The education is implemented the most frequently through lectures, followed by correspondences delivered to homes and personal interviews. The most favored teaching subject is the guidance for the basic practices of children's life, followed by the decision of the time to send children to an elementary school, and the guidance for learning. Most kindergartens supply printed matters to parents, who often ask teachers questions about the peer relationship and learning abilities of infants. 2) It is recognized that parents are usually or relatively helped by the education given to them by kindergarten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Lack in appropriate materials is the greatest obstacle to the education. 2. The request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education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1) Both teachers and parents acknowledge the great need for education given to parents by kindergarten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In particular, parents are often or sometimes faced with difficulties or anxiety in sending their children to an elementary school, and they are wondering the most about the peer relationship formed among infants. Confronted with such difficulties, parents refer to the most frequently to the experiences of others who have already sent their children to an elementary school. 2) Parents want to be trained two times a year at the end of a semester in the education given by kindergarten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Parents prefer the most to be trained by teachers of an elementary school. The most favored type of the training is a lecture, followed by a group discussion and a personal interview. Most parents recognize the need for appropriate materials to be distributed during the training, and booklets are the most wanted learning material. Parents recognize a more urgent need for the guidance about the health examination of infants and things to be prepared for sending children to school, while teachers a more urgent need for the guidance for parents about deciding the time of sending their children to school. 3)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given to parents by kindergarten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and the improvement of parents' wrong recognition of the education and the change in inefficient trainers for the education. Accordingly, it is highly required that practical instructors should be invited and the materials for the education developed and fully utilized. Parents are recognizing the problems of lectures delivered in front of a large audience. As such, it is considerably needed that group discussions be activated to enhance the education given to parents by kindergartens to help infants adapt themselves to the first step in their elementary school.

      • 沈從文鄕土文學之硏究

        이화영 香港珠海大學 1991 해외박사

        RANK : 247631

        심종문은 일찌기 두 가지 筆墨으로 창작을 하였다고 이야기 하였다. 하나는냉정하고 사실적이 며 풍자적인 필묵으로 도시 상류사회의 비굴하고 가증스런생활을 묘사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서필묵으로 자신의 고향 상서지방의삶을 그린 전원문학이다. 이 두 가지 상이한 작품세계에서 후자의 대부분을차지하며, 가장 성공한 작품들로 평가받고 있다. 이 작품들은 모두 그의 고향인 상서응�だ�배경으로 하고, 원수유역사람들의 소박한 삶을 묘사한 것이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향토� 그 자신은향토문학작가라 일컬어진다. 심종문의 향토문학작품은 소재에서 주제. 사상. 예술형식엽瘦沮�모든 분야에서 자기의 독특한 풍격을 창조 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의독특한 문학풍격은 홧�현대향토문학에 적지않은 영향을 주었으며, 또 중국의많은 현대 향토문학 작가들이 심종문의 받았다고 공언하고 있다. 본 논문은 심종문의 대표적인 향토문학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제1에서는 논문의 연구목적. 의의. 범위. 방법등을 제기하였고; 제2장 중국의향토문학에서는 향토문학염⊙�의견과 주장을 모아, 그 정의에 대하여논의하였으며, 중국 향토문학의 발전에 대하여 알아봐�장 심종문의 향토문학과 상서에서는 심종문의 향토문학 배경인 상서의 역사와지리. 민족의 특섦淪臼�살펴보았으며, 또한 심종문의 향토문학에 나타난상서의 모습, 심종문은 자신이 '시골사람강조하였는데 그 심리 동기와그가 주장하는 "시골사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제4장 심종문의 향키�에서는 그의 향토문학작품을 소설과 산문으로나누어 분석하였다. 제5장 심종문 향토문학의 예는 작품에 나타난낭만주의와 현실주의와의 조화, 향토특색, 작중인물의 소박한 인생, 향토언어,염篇瑢낯�등에 대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제6장 결론에서는 심종문 향토문학의 성취와 그 영향등을여 결론을 지었다.

      • 옛길의 보존관리 및 보호활용 개선방안 연구

        이화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옛길은 2007년 문화재의 범주에 포함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문화재로 지정하는 단계에 그쳤으며 관리나 활용의 분야에서는 별다른 움직임이 없었다. 최근 연구에서 문화재로 지정된 옛길 활용프로그램 개발이 진전되었으나 그 실행은 미비하였고 옛길을 문화재로 지정 후 보존관리나 보호활용에 관한 통합적 연구나 방향이 없다는 문제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옛길의 보존관리와 보호활용 개선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옛길의 보존관리 및 보호활용의 이론으로 국제협약인 이코모스 버라 헌장과 이코모스 문화루트 헌장에서 길 유산의 인식에 대해 고찰하였고, 국내의 옛길 관련 법령과 제도를 검토하였다. 보존관리 및 보호활용의 현황파악을 위해 국제협약인 이코모스 문화루트 헌장에서 제시된 문화루트 관리를 위한 방법론을 분석틀로 국내·외 옛길의 보존관리 및 보호활용을 비교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옛길은 오랜 역사성과 인간의 문화적 과정으로 형성된 유형과 무형의 요소를 지닌 지역 고유의 유산이다. 문화루트가 인간의 문화적 과정이 쌓인 길이라는 점에서 옛길과 일부 정의를 동일시하였다. 이코모스의 문화루트 헌장의 방법에서 제시된 관리, 보호, 지속가능한 이용, 대중 참여의 항목으로 옛길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실크로드와 국내 문화재 옛길인 문경새재, 문경토끼비리, 대관령 옛길, 비지정문화재 옛길인 경기 옛길의 보존관리 및 보호활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재 옛길의 관리에 있어서 다른 사례에 비해 관련 연구나 국가 중심의 사업이 미비했다. 옛길의 보호에서는 문화재의 경우 문화재보호법상에서 명승의 범주에서 보호를 받고 있었지만 조례에서는 보호에 관한 항목은 미비했다. 옛길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있어서 관광 활동과 연계는 문화재 옛길에서는 다른 영역에 비해 현저히 부족했다. 옛길 관리에 대한 대중 참여 또한 미흡했다. 사례분석을 통한 옛길의 보존관리 및 보호활용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옛길 보존관리의 개선방안으로 유·무형요소의 통합적 연구와 유·무형요소의 통합 모니터링을 제안한다. 기존의 보존관리는 주로 유형요소에만 제한되어 있었다. 따라서 유형과 무형을 통합적으로 관리에 포함하여야 한다. 둘째, 옛길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해 유·무형요소의 통합 활용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옛길은 길에서 일어난 문화적 과정이 유산이기 때문에 유·무형이 통합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옛길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옛길의 관리에 지역공동체 참여를 제안한다. 옛길은 지역의 고유한 자산으로 민·관 협의체를 구성하여 옛길의 관리에 지역의 공동체를 포함한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도록 지속가능한 활용과 관리를 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Since it wa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heritage in 2007, the Old Road has only been designated as a cultural property, and there has been little movement in the fields of management or utilization. In recent studies,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utilize the Old Road of cultural heritage was advanced, but the practice was inadequate, and there was no integrated research or direction on management for conservation or utilization for safeguarding after designating the Old Road as a cultural property. Therefore,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for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for the safeguarding of Old Road has been raised.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cultural route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ICOMOS Burra Charter’ and the‘ICOMOS Cultural Route Charter’, and reviewed laws and systems related to Old Road in the Republic of Korea.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management for conservation or utilization for safeguarding, the methodology for cultural route management 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ICOMOS Cultural Route Charter’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servation and safeguarding of Old Road in home and abroad. The Old Road is a local heritage with a long history and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formed by the cultural process of humanity. The cultural route equates some definitions with the Old Road in that the cultural process of humanity is a built-up path. It derived implications by analyzing Old Road cases with items of management, safeguarding, sustainable use, and public participation presented in the methodology of ‘ICOMOS Cultural Route Charter’. The subject of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management for conservation or utiliza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Silk Road of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Mungyeong Saejae, Mungyeong Tokkibiri, Daegwallyeong Old Road, and Gyeonggi Old Road of an undesignated cultural heritag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lated research and state-centered projects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cases in the management of the Old Road. In the safeguarding of the Old Road, cultural heritage was protected under the category of scenic sites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aw,' but the provisions of the ordinance were inadequate. In the sustainable use of the Old Road, tourism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acking in the old road of cultural heritage compared to other cases. Public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of the Old Road was insufficient in the Old Road of cultural heritage. Measures to improve the conservation, management, safeguarding, and utilization of the Old Road through case study are the following as: Firstly, the integrated research and monitoring of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are proposed as a way to improve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Old Road. Existing management for conservation was mainly limited to tangible elements. Therefore, tangible and intangible types should be included in an integrated system. Secondly, utilization programs which are integrated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are proposed for the sustainable utilization of the Old Road. The Old Road should be dealt with in an integrated manner, as the cultural process that took place on the road is heritage. Thirdly, for the sustainable use of the Old Road,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of the Old Road is proposed. The Old Road is a unique asset of the locals and needs to provide a system for sustainable utilization and management so that various subjects can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of the Old Road by the public-private consultative body.

      • 바람의 멜로디

        이화영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할머니는 내가 심부름을 잘 하거나 마음에 드는 행동을 하면 ‘너는 터를 잘 팔아 예쁘고 착하다’는 이해하기 어려운 칭찬을 했다. 반면 둘째 언니는 뭔가 조금만 잘못을 해도 ‘너는 터도 못 팔고 고집도 세다’며 혼이 났다. 둘째 언니가 터를 잘못 팔아 태어난 사람은 나고, 내가 터를 잘 팔아 태어난 사람은 남동생이었다. 할머니의 이론대로라면 나는 잘못 태어났지만 터를 잘 팔아 남동생을 낳게 했으니 잘못 태어난 것에 대한 구제를 받은 셈이다. 그러나 터를 잘못 판 둘째 언니는 영원한 죄를 지었기 때문에 구제받을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언니는 늘 고집이 세다는 누명을 쓰고 나는 늘 착하다는 단어에 억눌린 가면을 쓰게 되었다. 가장 가까운 가족이 특별한 악의 없이 한 말들이 언니와 나를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하게 만든 것이다.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건 남동생도 마찬가지였다. ‘장남’이라는 굴레는 늘 아버지를 대신해야 하는 막중한 임무였기에 모든 것을 누릴 수 있었지만 뭐든지 잘해서 부끄럽지 않은 ‘장남’이 되어야 했다. 결국, 우리 모두 가족이 만들어 놓은 굴레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아동문학을 시작하면서 가족서사에 가장 많은 관심을 갖게 된 이유도 바로 이런 굴레들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는 생각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굴레의 대부분은 우리 가족 스스로가 만든 것이 아니라 가부장제가 만든 모순이었다. 가부장제는 남성가장이 아내와 자식들을 지배하는 가족제도로서, 농경시대부터 시작하여 근대까지 견고하게 이어져오고 있는 것이다. 결국 따지고 보면 인류 역사의 가족 제도는 모권 사회의 붕괴 이후 줄곧 가부장제의 지배를 받아왔다고 할 수 있다. 근대가 표방하는 평등과 자유라는 가치도 역시 가정 내에서 통용되지 않았고, 오히려 가족이 가부장제라는 사회적 이데올로기를 유지시키는 도구로 작동하면서 여성과 아이에게는 억압과 질곡이 된 측면이 있다. 이러한 억압은 여성에게는 강요된 ‘모성애’로 아이에게는 ‘동심 천사주의’로 재탄생 되었다. 여성은 ‘모성애’를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자신의 모든 것을 희생해서라도 아이를 돌보고 지킬 수 있다는 억지스런 ‘모성애’ 이론은 여성에게 직업과 가정이라는 두 개의 짐을 안겨 주었다. 더군다나 ‘모성애’를 느끼지 못하는 여성들은 죄책감에 시달려야 했다. 어린이도 ‘동심 천사주의’라는 왜곡된 이데올로기에 시달려야 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우리는 흔히 어린이를 순수하며 정직한 존재라고 기대한다. 이 점에서 어린이는 ‘인간’이라는 현실적 실체이기보다는 ‘천사’라는 이념적 가상물에 근접해 있는 것처럼 여겨진다. 그 때문에 어른들은 현실의 어린이가 영악하고 때로는 교활하기까지 하며 잔인하면서 무신경한 태도를 보임으로써 자신들에게 친숙한 ‘어른’의 모습을 보여줄 때, 도리어 그들을 낯설어하고 어색해하며 놀라움과 거부감이 교차된 감정 속에서 배신감마저 느끼곤 한다. 이 모든 것은 어린이에게 투영된 ‘어린이라는 관념’에 강박된 결과로서, 어린이의 세계는 더러움과 악, 잔인함과 불순함으로부터 표백된 세계라는 어른들의 관념은 어린이를 옥죄고 죄책감에 시달리게 한다. 어른들이 만든 ‘동심천사주의’는 아이들이 시기, 질투, 미움 등의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을 느낄 때, 마치 해서는 안 되는 무언가를 한 것처럼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지 못하게 하는 또 하나의 굴레이다. 특히 부모에게 억압을 받은 아이일수록 더욱 감정을 숨기고 어른들이 생각하는 착한 어린이의 가면을 쓰게 된다. ‘착한 사람들’은 누군가로부터 많은 억압을 당했다는 뜻이며, 그 억압에 제대로 저항하지 못했다는 의미도 된다. 아이가 어른의 말을 잘 듣는다는 것은 그가 ‘순응적’ 이고 ‘순종적’ 이라는 것이지, 도덕성과는 무관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 잘 듣는 아이를 착한 아이라고 길들이는 것은 이러한 모든 사실을 분별해낼 수 없는 아이에 대한 어른들의 거짓말이다. 어른들은 아이들이 말을 잘 들어 통제 가능한 존재가 되기를 바란다. 통제 가능한 존재는 어린이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국가는 ‘가부장제적 가족’을 행복한 가족의 밑그림처럼 제시하고 통제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개인의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야 말로 얼마나 통제 가능한 사회인가. 이렇게 자신도 모르게 통제된 사람들은 통제되지 않은 사람들에게 불안감을 느낀다. 말 잘 듣고 착한 아이는 반항하는 아이에게 불안감을 느끼고 가부장적 질서로 이뤄진 가족은 한 부모 가족이나 다문화 가족, 소년, 소녀가족에게 불안감을 느끼며 폭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아이들은 학교에서 조금만 달라도 왕따로 몰리고, 제도권에 들어가지 못한 가족은 그들의 폭력을 피하기 위해 비밀리에 가정을 유지하는 경우도 많다. 나는 많은 아이들이 자신과 다른 환경의 아이들에게 쉽게 폭력을 행사하고 다름에 주눅 들어 하는 모습에 주목했다. 그런 아이들의 대부분은 어른들이 만들어준 틀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 때문에 죄책감을 느끼지 못한다. 당하는 아이들 역시 자신이 그 틀 안으로 들어가지 못한 자격지심으로 폭력을 받아들인다. 당당하게 폭력과 맞서는 아이들도 많이 있지만 그 아이들 역시 사회적 편견과 폭력이 힘든 건 마찬 가지이다. 가족이 조금이라도 사회가 만든 틀을 지워버리고 아빠, 엄마, 남편, 부인, 자식이 아닌 ‘인간’대 ‘인간’의 만남으로 소통하길 바라며 7편의 작품을 묶었다. 「내 푸름이」, 「엄마 곰, 아기 곰」, 「날지 못하는 새」, 「천사의 음성」, 「바람의 멜로디」 5편은 미혼모 가족의 은지와 입양가족의 영서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연작동화이고 「잠긴 문」, 「아빠가 돌아왔다」 2편은 고학년 소설이다. 모두 가족에 대한 왜곡된 편견과 사랑으로 괴로워하는 아이들의 이야기며, 주제에 따라 세 부분으로 분류했다. 첫 번째, ‘가족, 관계의 양상’에서는 미혼모 가족, 입양 가족, 한 부모 가족, 사고로 신체와 뇌의 일부를 인공 이식한 아버지와 가족이 되어가는 ‘AI가족’의 모습 등 다양한 가족의 모습을 그렸다. 두 번째, ‘폭력과 상흔’에서는 가부장제와 모성애, 가족에 대한 사회의 편견이 폭력이 되는 모습과 상흔이 되는 과정을 썼다. 세 번째, ‘사랑, 그리고 희망’에서는 사회 편견과 틀을 벗어나 사랑이라는 주제를 통해 ‘희망’을 담아 보았다. I started “Children's Literature” because of the expectation that I could find my true self in my childhood. However, as time went by, I felt that even my childhood self was not my genuine self. There was no me in my personality, choices and, actions. How did myself as this person, come to be? When I was young, the fairy tales I read were “Cinderella”, “Snow White”, or folklore like “Kongjwi and Patjwi”. The main characters in these tales all had pretty faces and kind hearts and were dreaming of knights in shining armor to come rescue them. I despaired while reading them because unlike pretty Snow White or kind Kongjwi, I could not wait to be saved from my reality. Furthermore, my parents had too many daughters that they were ashamed of me for being a girl. They dressed me in boy’s clothes every time we went out. My family and I were constantly changed and sacrificed to the ideology that someone else had created. How I grew up became a starting point of my writing seven works. My five-part series, “My Blue”, “Mother Bear, Baby Bear”, “The Voice of the Angels” and “Melody of Wind” has children from an adoptive family and a single parent family as main characters. The other two books, Locked Door and Daddy's back are for upper elementary students. All my novels portray children suffering from prejudice and distorted love, and I divided them into three parts based on the main themes. The first theme, “Family and Relationships” depicts a variety of families, including single mothers, adoptive families, one parent families, and an “AI Family” family with a father whose body and brain are artificially transplanted after an accident. Second, “Violence and Scars”. This theme is about the patriarchal system, maternal love, and social prejudices against family members becoming violence and trauma. Third, "People and Hope" depicts hope through the idea of love, going beyond social prejudices and stereotypes. I left a lot of regrets when organizing my work. In the five-part series, I wrote that Eun-ji understood her mother and dreamt of happiness with her stepdad, but I couldn't get over the idea that writing her like this was of itself an act of violence. Also, in “Locked Door” I didn't like the way Min-gi justified his mother’s violence. Anna's behavior in "Daddy's Back" is also too passive. Anna's portrayal did not make headway above understanding her abusive mother and hating her father. At the end, Eunji, Young-seo, Min-gi, Anna and their families were myself in ideology. I couldn't deny that they were no longer a portrayal of myself, no matter what role they had in their work. Imagination in my works doesn't allow me to go beyond what I've ever experienced. And to write unique stories I will need way more experience in life, reading, and constant thinking out of the box. If you don’t endeavor, you will have to be content with writing within your boundaries. I will constantly ask the child in my stories whether that is how you really want to be, in hopes I don't have to struggle with my passive image anymore. My literature will always be progressive and growing with my expectation that someday I will meet the real 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