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룹 음악치료가 농촌 소규모 중학교 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정윤아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그룹 음악치료가 농촌 소규모 중학교 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충청북도 옥천군에 소재한 I 중학교 1학년 및 2학년 전체 학생 35명이다. 실험집단은 2학년 전체 학생 18명, 통제집단은 1학년 전체 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에는 2020년 7월 24일부터 8월 6일까지 각 회기 90분씩 악기 연주, 노래 심리치료 기법 위주로 구성된 총 5회기 그룹 음악치료를 시행했으며, 통제집단에는 사전-사후 검사만 동일하게 진행하고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 도구로는 김아영, 차정은(1996)의 자기효능감 척도, 김여진(2004)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가설에 따라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의 두 집단 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자기효능감 전체 및 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자신감과 과제 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변화량에도 차이가 있는 모습을 보였다. 집단 내 실험 전후의 점수 비교 결과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 전체 및 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자신감과 과제 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통제집단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두 집단 간에 변화량에도 차이가 있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두 집단 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로는 스트레스 대처방식 전체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 영역인 정서 완화적, 소망적 사고, 문제 중심적, 사회적 지지 추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집단의 각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정서 완화적, 소망적 사고, 문제 중심적, 사회적 지지 추구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집단 내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전체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 영역인 정서 완화적, 소망적 사고, 문제 중심적, 사회적 지지 추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통제집단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점수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자신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모든 하위 영역인 정서 완화적, 소망적 사고, 문제 중심적, 사회적지지 추구 및 스트레스 대처 방식 전체점수에 상관관계가 성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 소규모 중학교 학생들이 그룹 음악치료에서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향상된 결과를 탐구하였으며, 그간의 선행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농촌 청소년이 지닌 사회심리적 요인을 분석하여 그들의 욕구와 문제에 초점을 두고 그룹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런 관점에서 연구의 결과는 농촌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중재에서 활용될 수 있는 치료전략 관련 방안들을 제시하며 대상자의 필요에 따른 치료적 접근과 대상자의 변화에 이해를 돕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숨; 결’의 이미지를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정윤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번 연구에서는 전통공예 및 장인정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숨; 결’의 이미지를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를 통해 한국의 고유한 특성이 반영된 소재 및 디자인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우선, ‘숨; 결’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 의미에서 연상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를 통해 소재, 색채, 표현기법 및 디테일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한글 단어인 숨결이 숨과 결의 합성어인 점을 고려하여 ‘숨; 결’을 숨, 결, 숨결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하였다. 실제로 숨은 공기를 들이마시고 내쉬는 기운이나 행위를 의미하며, 결은 조직의 짜임새를 나타내거나 물체 표면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문양이나 패턴을 의미하는데 대부분 선의 반복으로 표현되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숨결은 숨을 쉴 때의 상태, 또는 숨의 속도나 높낮이 어떤 형상의 기운이나 느낌 등을 의미하고 있어 한결 생동감을 느낄 수 있는데, 전통의 숨결이나 장인의 숨결 등과 연관하여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연결되는 전통적 혹은 수공예 작업과 현대적인 작업이 공존하는 이미지가 연상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연상 과정을 통해 현대적 시각에서 과거의 전통적 요소를 재해석하여 활용한다는 의미로 숨결을 재정의하였다. 한편, 연구 주제인 ‘숨; 결’을 숨과 결, 숨결 및 패턴의 4가지 테마로 제안하였다. 수공예로 진행한 숨과 결, 그리고 현대적인 디자인 감각에 수공예 감성의 디테일이 추가된 숨결, 마지막으로 앞서 진행한 디자인을 단순화, 디지털화하여 상업화 및 대량생산을 고려한 테마인 패턴으로 나누어 디자인 및 작품 제작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제 및 테마는 작품 제작에 있어 다양한 소재 및 표현기법을 반영하는 데 이바지하였는데 숨이 느껴지는 얇고 비치는 소재로는 삼베, 모시, 린넨, 거즈 등을 활용하였으며, 숨결에서는 천연 섬유 외에 합성 섬유인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 망사, 쉬폰, 메쉬 등의 소재를 추가하여 다양한 소재를 믹스 & 매치하였다. 표현기법에서도 결의 표현이 용이한 줄누비와 색동에서 보여지는 길게 덧대진 구조를 재봉질로 구현하였다. 또한, 시·촉각적으로 노출된 바느질이나 오버로크를 적용하였다. 시각적으로 연상된 ‘숨;결’ 의 이미지를 조형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전통 조각보에서 보이는 기하학적 면 구성을 활용하였는데, 이는 시대를 초월하는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형태로 ‘숨; 결’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조형적 형태로서의 좋은 짜임새 및 틀을 구성하였다. 반면, 숨과 결에서 연상되어 시각적으로 형상화된 이미지는 소재의 선택 시 촉감, 혹은 질감, 짜임의 구조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디지털 아트워크에서는 디자인의 패턴에 영향을 주었는데, 숨의 성긴 이미지와 결의 선적이고 반복적인 이미지를 활용하여 반복적인 선이 교차하여 겹쳐져 보이는 ‘숨; 결’의 패턴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작품 제작에 앞서 아이디어 전개단계에서부터 아트워크 샘플을 제작하고 섬유공예 기법의 응용을 통해 전통 수공예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따라서 숨과 결에 대한 이미지를 조형화한 수작업에서부터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디지털 아트워크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한국적 전통성과 독창성을 기반으로 한 고감성의 텍스타일 디자인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윤아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라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The Panel Study on Korea Children[PSKC] 10차년도(2017)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초등학교 3학년 아동 1,180명이다.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Cronbach's α, t-test, F-test, Duncan test,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V3.5의 Model 4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을 매개변수로 고려하지 않은 경우, 어머니의 권위적인 양육행동만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을 매개변수로 고려한 경우에도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만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봤을 때는 어머니의 권위적, 권위주의적, 허용적 양육행동 모두 미디어기기 중독을 매개로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에 부적 영향을 주었고,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허용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넷째,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은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있어서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이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어머니가 올바른 권위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ability, and to confirm whether children's addiction to media device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se relationships. To this end, The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 Children [PSKC] 10th year (2017)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were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180 children in the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ronbach’s α, t-test, F-test, and duncan test, and correlation by using SPSS 23.0 program.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Model 4 of PROCESS MACRO V3.5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ability, when children's addiction to media devices was not considered as a parameter, only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ability. Second, in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ability, only the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ability even when children's addiction to media devices was considered as a parameter. However, in examining the indirect effects, mothers' authoritativ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behaviors all affected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ability through addiction to media devices. Third,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addiction to media devices, mother's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addiction to media devices. Fourth, children's addiction to media devices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ability. In conclusion, it was proven in this study that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addiction to media devices are important factors in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ability. Therefore,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children and their parents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ability. In addition, a parent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focus on helping mothers have a right sense of authority.

      • 미술시장과 미술품 경매에 관한 연구 : 경매의 사회적 역할을 중심으로

        정윤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미술시장과 미술품 경매의 역할에 대한 연구이다. 이에 본고는 오늘날과 같은 순수예술 개념이 정립되기 시작한 18세기 중엽 이후부터 최근까지 미술시장의 전개 과정과 구조적 측면을 살펴보면서 경매의 사회적 위상 변화 및 부상의 배경과 원인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서 경매의 역할과 기능, 경매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의 비판 및 제도적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고찰한다. 이로써 미술시장의 대중화에 기여해 온 경매가 향후 더욱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social ramifications and the role of art auctions. It studies background causes of the rapid growth of art auctions by examining the systematic structure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art market since the mid-18th century when the social conception of ‘fine art’ as today was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addresses the positive functions of art auctions in the market and grasps their institutional problems including the sociological critiques on them. As a conclusion, this thesis will suggest practical remedies to improve these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how to enhance their positive influences in popularizing the art market.

      • 임상경력에 따른 음악치료사 발달수준과 소진의 관계 :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정윤아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임상 경력에 따라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발달수준과 적응유연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임상 경력에 따라 경험하는 소진의 차이와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발달수준에서 적응유연성을 변인으로 하여 조절효과를 가져오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음악치료학회에 등록된 음악치료사 151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척도, 소진척도, 예술치료사 발달수준척도, 적응유연성 척도를 사용하여 변인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변인간의 차이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발달수준의 영역 및 음악치료사의 적응유연성 영역과 음악치료사의 소진 경험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별 음악치료사의 소진, 적응유연성, 발달수준을 살펴본 결과 경력 1-3년 미만인 경우에 소진을 가장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년 미만이거나 5년 이상 경력의 치료사 집단의 적응유연성이 경력 3-5년 미만의 집단 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발달수준의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발달수준과 적응유연성은 소진과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발달수준 변인과 전체 음악치료사 집단에서는 치료관계 영역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3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음악치료사 집단에게 역전이 관리가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적응유연성과 음악치료사 전체집단에서는 대인관계효용성과 낙관적 태도가 소진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별 집단에서는 1년 미만의 경우 대인관계효율성이 소진에 부적 상관의 영향을 보이며 1-3년 미만, 3-5년 미만의 경우에서는 낙관적 태도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체집단에서 적응유연성이 발달수준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경력별 집단에서는 1년 미만의 경력집단에서만 유의한 조절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발달수준이 임상경력에 따라 소진에 차이가 있음을 세부적으로 밝혔으며 경력 1년 미만의 집단에서는 발달수준과 적응유연성이 소진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사들의 소진을 예방하고 대처하도록 교육과 전략의 필요성을 점검하였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 문제표상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방안 개발 연구

        정윤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refore,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analyze the difference of between the normal student and the lower student in mathematics and try to find guidance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problem represent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is study, first, it is needed to know what the verbal problem and problem solving in verbal problem context is by referring to records. Verbal problem is defined as mathematics problem involving several sentences. Although lots of factors work to solve verbal problem, this study will focus on two factors: cognitive knowledge in the both processes of problem representation and problem solving, and comparing the power of problem solving in the aspect of attitude of problem solving. In addition, Understanding the problem, the first step for solving verbal problem, is related with problem representation. Greeno(1978) mentioned whether problem solvers understand the story or statement is possible to know from his/her cognitive representation. Greeno(1978) gave three properties of cognitive representation as a criterion to decide whether understand or not: coherence, connectedness and correspondence about the representation. This study try to make framework of guidance which develop three cognitive properties of Greeno(1978). The sampling frame for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40 freshmen from H middle school in Seoul. This project investigates what makes student difficult and confuse an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normal student and backward student. Moreover, the project plans to study the way of guidance improving the ability of representation that is necessary and significant. To make students represent effectively and find the solution from this representation, this instructive guidance is developed by adding sub-problem in proper stages. And then this guidance is applied to poor degree student to prove effectiveness of this guidance. As examination tools, verbal problem solving attitude test is taken, and verbal problem solving ability test-paper and question-set for before and after the guided instructio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guidance, and materials used in class are used. These examination tools a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of SPSS 11.0 for windows. At the study of Problem 1 with a linear equ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is investigated in three aspects: attitude, the level of achievement and representation to study the difference of between normal student and lower degree student. The result shows that backward students are more passive than normal student, tend to give up easily and have lack of confidence. Furthermore, it was detected that the reason why these students try to avoid verbal problem is because of lack of representation capability. The investigation about the level of achievement showed that normal students are better than lower degree student at general area: understanding problem, solving and the exactness of expression. Particularly, comparing each correlation of areas, understanding-solving problem relationship is related higher than other relations. In the aspect of problem representation, general student tried to represent the problem to solve it and in this process, they used strategies properly like picture and table. On the other hand, when backward student faced verbal problem, they intended to try to solve the problem directly without representation considering only superficial similarity. At study of Problem 2, base on the analysis from Problem 1 that problem representation skill is necessary to improve poor-degree student’s ability to solve verbal problem, instruction guidance is created in the frame of three cognitive property of Greeno(1978). This creation developed by injecting sub-problems into original problem that are madden in the viewpoint of internal coherence, connectedness and correspondence. To exam he efficiency of the guidance suggested in this study, sample group was divided as two different groups as controlled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 of experiment proved that the creation is effective in all area of understanding, solving, and expression. Especially, the effect of the guidance is remarkable at process of problem understanding and solving. Concrete solu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realized the importance of problem representation and tried to understand first to solve verbal problem. Moreover, following the guided instruction was proceeding, students’s representation ability was so developed that they can represent properly without sub-problem. At the last, questionnaire was given to figure out how student feel about the instructive guidance. Student said that they fell this creation was effective to solve problem, particularly, to make representation. The present study is limited only the lowest degree student. To bring up representation ability, various verbal problems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not only for backward students but also for general student, tendency to try to avoid verbal problem should be investigated and instructive guidance should be developed. 1980년대 NCTM에서 학교 교육의 목적은 문제 해결(problem solving)이 되어야 한다는 권고가 있은 이후부터 전 세계적으로 수학 교육의 목표를 문제 해결에 두고, 단순한 지식이나 연산 기술보다는 응용문제와 실생활에 적용되는 문제를 강조하게 되었다(우정호, 1998). 특히, 문장제는 수학적인 능력이 종합적으로 발휘되고, 특히 수학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문제 해결의 장이라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수학 교육의 중요한 목표인 문제해결력의 효과적인 신장을 위해서 많은 학자들은 수학에서의 문제해결을 문장제 맥락 안에서 해석하려고 한다. 문장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장제에서 제시하는 의도와 조건을 여러 가지 전략을 사용하여 정확히 이해하고 구조화 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문제표상능력이 필요한데, 선행연구를 통하여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은 이 문제표상능력이 부족하여 문장제를 해결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일반학생과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은 문장제를 해결하는 데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분석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가장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문제표상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선행연구로서 일차방정식에서 일반학생과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 간의 문장제 문제해결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위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일차방정식에서 수학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의 문제표상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방안은 어떠한가? 2.1 문제표상능력 향상을 위해 개발된 지도방안은 어떠한가? 2.2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도방안의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우선 문헌조사로 문장제와 문장제에서의 문제해결에 대해 알아보았다. 문장제는 수를 포함한 여러 문장으로 구성된 수학문제를 말하는 것으로, 문장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작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문제표상과정과 문제해결과정의 인지적 지식, 문제해결태도의 측면에서 문장제의 문제해결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장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단계인 문제 이해는 문제표상과 연결되는데, Greeno(1978)는 문제 해결자가 이야기나 문장을 이해했는지를 그가 구성한 인지적 표상의 특성으로 알 수 있다고 하였다. 그는 이해를 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세 가지 인지적 표상의 특성을 들었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은 표상에 대한 내적 일관성(coherence)과 연결성(connectedness), 그리고 표상과의 일치성(correspondence)이다. 본 연구는 Greeno(1978)의 세 가지 인지적 특성을 개발하고자 하는 지도방안의 틀로 구성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는 일차방정식의 학습이 끝난 서울시 H중학교 1학년 40명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이 문장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느끼는 혼란과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는 일반학생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았고, 문제해결에 가장 선행되고 차이점이 두드러진 문제표상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도방안 연구을 계획하였다. 이 때 개발하는 지도방안은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문제를 표상하고 이로부터 해결과정을 찾아낼 수 있도록 기존의 문제에 단계적인 보조 질문들을 추가하여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지도방안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검사도구로 문장제 문제해결태도와 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지, 개발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사전, 사후 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지와 설문지, 수업시간에 사용된 학습지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spss 11.0 for windows의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연구문제 1의 일차방정식에서 일반학생과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 간의 문장제 문제해결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제해결력을 태도, 성취도, 표상과정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집단은 일반학생집단의 학생들보다 수동적이고, 쉽게 포기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감이 결여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집단의 학생들이 문장제를 기피하는 이유는 문제를 표상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문제해결 성취도 조사에서는 일반학생이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에 비하여 문제이해, 해결, 표현의 적절성의 모든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각 영역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문제이해-문제해결의 관계에서 문제해결-표현의 적절성, 문제이해-표현의 적절성의 관계보다 더욱 상관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문제표상과정 면에서 일반학생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단 문제를 표상하려는 시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이 과정에서 문제를 표상하기 위해 그림이나 표 등의 전략을 적절하게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의 경우, 문장제를 접했을 때의 표면적 유사성만을 생각하여 문제를 표상하지 않고 바로 해결과정으로 들어가려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연구문제 1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문장제해결을 위해서는 문제표상능력향상이 필수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연구문제2에서는 표상능력향상을 위한 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해결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문제표상능력이 요구된다는 연구문제 1의 분석을 토대로 문제 표상에 필요한 지식을 제시한 Greeno(1978)의 세가지 인지적 특성을 개발틀로 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개발물은 문제을 효과적으로 표상하기 위하여 기존의 문장제에 내적 일관성, 연결성, 일치성의 관점에서 만든 보조 질문을 삽입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도방안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대상을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고 두 집단의 검사를 통계 분석한 결과, 이해, 해결, 표현의 적절성 영역 모두에서 개발물의 효과를 입증할 수 있었다. 특히, 개발물의 효과는 문제이해와 문제해결과정에서 더욱 두각을 나타냈다. 구체적인 학생들의 답안분석을 통하여 실험수업 도중에 학생들은 문제표상의 필요성을 깨닫고, 문장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문제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학생들의 문제표상능력은 제시된 보조문제의 단계들보다 더욱 큰 범주로 축약되어, 개발물에서 제시된 보조문제들 중 일부분을 뛰어넘어서도 올바른 문제표상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개발물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개발물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효과가 있고, 그 중 특히 문제를 표상하는 과정에 효과가 있다고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지도방안의 효과는 지극히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한된다는 점에서 연구의 제한점을 가진다. 나아가 학생들의 문제표상능력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문장제의 표면적 유사성에 혼동을 주지 않도록 여러 소재의 다양한 문장제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이 아닌, 일반학생들의 문장제 기피성향에 대한 분석과 함께 일반학생들을 위한 문장제 지도방안의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제언한다.

      • 교사들의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정윤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is perceived as a simple project or a village-experience program at most educational sites because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was promoted as a top-down project without consensus or agreement within the educational field. Precedent researches also recognized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as a village-based program, so they focused on the village rather than the students and evaluated whether the village-based program was well conducted at the education site. This study defines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as an educational community where teachers and volunteers together reconstruct the curriculum for the learning and growth of th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eachers’ experience of running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reasons,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s' experience of running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have experienced in running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Thir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eachers’ experience running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In order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qualitative case study. The teachers' concerns and complaints about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were not simple phenomenon but due to the context and situation experienced by the teacher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explore the teachers' experiences deeply. Two cases were selected. One was a case of restructuring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ith volunteers and the other was a case of restructuring the paractical curriculum with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eatured that they were restructuring their curriculum with villages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diverse and rich experiences by enriching their curriculum. Kang Hee-yeon, a teacher with six volunteers in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class, drew the theme of the 21st century female figure to link the lives of students living as women in our society. Volunteers conducted board games, creative works, and movie appreciation. The students were able to get a chance to think about women's human rights and their lives again. Community was the educational subjects that broadened the learning horizons of students' in a more creative way. On the other hand, Lee Soo-yeong, a teacher who reconstructed the curriculum with parents, gave children a long board and tools such as saws and hammer for lessons based on the children’s spontaneity. Children were able to get a sense of accomplishment. The constant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based on the philosophy of children spread to the whole school philosophy through this class. However, the teachers experienced the following three difficulties. First, the teachers were burdened with the tasks and responsibilities related to the villages such as various administrative tasks and village events, not to the class. Second, there was a risk of a superficial experience if the village did not have sufficient content, and concerns and mistrust about the lessons taught by volunteers. Third, teachers' sympathy and understanding about reconfiguring the curriculum with volunteers were different in the situation where the third person' s voice about the class could be heard as an attack.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and diffusion of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needs preparation and competence. Some criticize the stubborn attitude of the school that does not open the door, saying that it must overcome the obstacles created by professionalism. However, because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is ultimately a class for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community to raise the level and capacity of the village. In addition, in the reality that all the responsibilities, roles, and tasks of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are given only to the school, we should not blame school alone.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a community that can shar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given only to the school. Second, it must change from support for village businesses to student-centered and field-centered support. In a situation where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has fallen into a project to share the school's budget with the village, the conflicts in the education field are intensifying and the students' learning is drifting. Moreover, community is not created by conducting a project like a village festival. Therefore, it is not a form to drive the projects devis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but rather to help each school and community voluntarily form a local education community, and to support students when they ask for school and village needs.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operation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was ultimately for the learning of the students, so the students were not alienated.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could enrich their classes based on the curriculum. In addition, the community showed that it is the foundation that can enrich the curriculum and that it is the educational subject who takes charge of the education together with the teacher. This study emphasizes that teachers and community make efforts to establish a lasting relationship so that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can be a daily life of school and community. 본 연구는 마을교육공동체가 교육현장 내의 공감이나 합의 없이 탑다운(top-down) 방식의 사업으로 추진된 탓에 대부분의 교육현장에서 마을교육공동체가 마을 탐색 혹은 마을 체험 프로그램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들 역시 마을교육공동체를 마을 연계 프로그램으로 인식한 채 학생보다는 마을에 중심을 두고, 마을을 담은 프로그램이 일선 교육현장에서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평가하고 있었으며, 더욱이 마을 탐색 혹은 마을 체험 프로그램이 교육과정 안으로 들어와야 한다면서 교육과정을 수단화하거나 이에 공감하지 못하는 교사들을 개혁의 대상으로 삼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을교육공동체를 학생의 배움을 위해 교사와 마을이 함께 교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며 공교육의 경계를 확장해가는 교육공동체라 정의하고, 이를 실천하고 있는 교사의 관점에서 마을교육공동체의 실제를 심층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마을교육공동체를 운영하게 된 동기 및 방법,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교사들이 마을교육공동체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이것이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및 확산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마을과 함께하는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우려와 불만은 단순한 현상이 아닌 교사들이 경험하는 교육 현장의 맥락과 상황 속에 기인하는 것이기에 교사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해 볼 필요가 있었다. 이에 마을과 함께 교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교사 경험을 사례로 선정하였으며, 마을이 전담하는 형태의 학교 밖 체험활동이나 교과가 아닌 마을이 교육내용인 마을 탐색 혹은 마을 체험 프로그램과 같은 운영 형태는 사례에서 제외하였다. 사례가 가진 구성단위를 고려해 마을 전문가와 국어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사례와 학부모와 함께 실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사례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교사들의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경험의 특징과 난점, 이것이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및 확산에 줄 수 있는 시사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교사들은 자신의 교과 교육과정을 풍성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제공해주고자 마을과 함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있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였다. 중학교 국어 교과 시간에 여섯 명의 마을 전문가들과 함께 한 강희연 교사의 경우, 우리 사회에서 여자로 살아가는 아이들의 삶과 연결 짓고자 박씨전을 소재로 21세기 여성상이라는 주제를 도출하였고, 여성상과 관련한 만화, 보드게임, 창작, 영화감상 등의 프로그램을 마을 전문가들과 함께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여성의 인권 문제나 자신의 삶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고, 교사에게 마을이란 더 창의적인 방식으로 학생들의 배움의 지평을 넓혀주는 교육주체였다. 한편 초등학교 창의적체험활동 시간에 학부모 목공 전문가와 함께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이수영 교사의 경우, 아이들의 자발성에 바탕을 둔 수업 진행을 위해 긴 판재와 톱, 망치 등의 공구를 주어 학생들이 6가지의 작품 중 하나를 선택하여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아이들은 주어진 목재를 조립하는 식의 키트 수업 대신 자기에게 주어진 긴 판재를 가지고 자신의 능력껏 작품으로 만들며 성취감을 얻을 수 있었다. 아이에 대한 철학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교사와 학부모 간의 끊임없는 소통과 관계는 이번 수업을 통해 학교 전체의 철학으로 확산되었다. 하지만 이를 실천한 교사들은 다음 세 가지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첫째, 교사들은 수업 외적으로 지워진 각종 행정업무나 마을 행사 등 마을 관련 업무 및 책임에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마을의 충분한 컨텐츠가 전제되지 않을 경우 자칫 피상적인 체험으로 그칠 위험이 있었고, 마을 전문가가 가르치는 수업에 대한 우려와 불신은 이 같은 수업을 추진하는 것조차 어렵게 하기도 했다. 셋째, 수업에 대한 제3자의 목소리가 자칫 공격으로 들릴 수 있는 상황에서 마을과 함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일에 대한 교육현장 내 교사들 간의 공감 수준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및 확산을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마을의 준비와 역량이 필요하다. 일각에서는 전문가주의가 만든 폐쇄성을 극복해야 한다며 학교의 문을 개방하지 않는 학교의 완고한 태도만을 비난한다. 하지만 마을교육공동체는 결국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이기에 마을의 수준과 역량을 높이기 위한 마을의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마을교육공동체를 진행하는 모든 책임과 역할, 업무가 학교에만 주어져 있는 현 상황에서 학교만 비난할 수 없다. 학교에게만 주어진 역할과 책임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마을의 역량 또한 필요하다. 둘째, 사업을 위한 지원에서 학생 중심, 현장 중심의 지원으로 변화해야 한다. 마을교육공동체가 학교에 지원되는 예산을 마을과 함께 나눠 쓰기 위한 사업으로만 전락한 상황에서, 교육현장 내 갈등은 심화되고 있으며 학생들의 배움은 표류하고 있다. 더욱이 마을축제와 같은 사업 하나를 진행한다고 해서 공동체가 만들어지는 것 역시 아니다. 따라서 교육청 차원에서 구상한 사업들을 학교 현장에서 추진하도록 하는 형태가 아니라, 각 학교와 마을이 지속적인 관계맺음 속에서 자발적으로 마을교육공동체를 결성할 수 있도록 돕고, 학생들의 배움을 위해 학교와 마을이 필요한 것들을 요청하면 지원해 줄 수 있는 행정지원체제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학교와 마을의 협력이 궁극적으로 학생의 배움을 위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학생이 소외되지 않고, 교사는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자신의 수업을 풍성하게 할 수 있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마을은 교육과정을 풍부하게 해줄 수 있는 기반이자 교사와 함께 학생의 교육을 책임지고 실천하는 교육주체임을 보여주었다. 이에 학생을 중심으로 학교와 마을이 교육주체로 서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것이 학교와 마을의 일상이 될 수 있도록 둘 간의 지속적인 관계맺음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주제 및 어휘 연구

        정윤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비즈니스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업무 경험이 없거나, 혹은 경력 초기의 일반 사무직에 종사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현재 국내에 출간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학습 주제와 어휘, 나아가 주제별 어휘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비즈니스 한국어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기 위해, 국내에 취업을 위해 출입한 외국인의 수, 해외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수와 그 기업에서 현지 고용을 한 외국인의 수 통계 자료를 살피고, 비즈니스 한국어 연구의 선행 연구를 연구 주제별로 검토하였다. 비즈니스 한국어 선행 연구 동향 분석 결과, 교재 개발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 점에 착안하여,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제시할 주제와 어휘를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삼고자 하였다. 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우선 비즈니스 한국어의 개념에 대해 살펴본 후,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서의 내용과 어휘 이론을 각각 살펴보았다. 비즈니스 한국어의 내용은 보통 업무와 관련된 내용이 많았고, 비즈니스 한국어의 어휘는 선행 연구가 거의 어휘 선정 연구에 편향된 바, 어휘의 개념을 상위의 개념인 특수 목적 어휘, 직업 목적 어휘의 개념으로 대신하여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용 주제와 어휘를 알아보기 위해, 세부적인 분석 대상 선정과 절차,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주제 분석은 크게 일반적 주제 분류와 비즈니스 내용적 주제 분류 두 가지로 진행하였는데, 일반적 주제 분류는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주제를 기준으로 삼고, 비즈니스 내용적 주제 분류는 정명숙(2003)의 비즈니스 내용을 중심으로 일부 다른 선행 연구 내용을 보충한 주제틀을 기준으로 삼았다. 어휘 분석은 교재의 ‘목표 어휘’만 가지고 기본 분석을 한 후, ‘목표 어휘’ 중에서도 실질 내용어만 골라 개별 어휘의 교재 간 중복도 분석 및 등급별 난이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끝으로 주제와 어휘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한 주제별 어휘 목록을 도출하기 위해, 주제 분석에서 일반적 주제 분류를 통해 도출한 주제 중 가장 많이 나타난 주제에 해당하는 어휘를 난이도 분석과 연결하여 최종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서의 주제별 등급별 어휘 목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크게 주제, 어휘, 주제별 어휘의 상관성 3가지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첫째,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주제 분석 결과, 일반적 주제 분류에 따르면 <일과 직업>, <전문 분야> 주제 범주가 가장 많이 다루어짐을 확인하고, 세부 주제 항목으로는 “업무”가 가장 많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비즈니스 내용적 주제 분류에 따르면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들은 <취직 후 - 업무> 주제 범주가 가장 많이 다루어진 반면, 개별 주제 항목으로는 “직장 내 일상 대화”가 가장 많이 나타나, 주제 범주와 주제 항목 간 비율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비즈니스 한국어 어휘 분석 결과는 크게 어휘 기본 분석과 교재 간 중복도 분석, 등급별 난이도 분석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어휘 기본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서 교재별 제시하는 ‘목표 어휘’ 수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목표 어휘’가 제시되는 구분에 따른 차이도 살펴보았다. 또한 교재 간 중복도 분석을 통해서는 여러 교재에서 많이 제시된 어휘일수록 중요한 어휘임을 가정에 따라 교재 간 중복 어휘를 여러 번 중복된 순으로 정리하여 살펴보았다. 이어진 등급별 난이도 분석에서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들이 어떤 등급의 어휘를 많이 제시하는지 살펴보고, 앞의 중복도 분석을 통해 도출한 한 번 이상 중복하여 이루어진 어휘 목록에 추가로 등급을 매김으로써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등급별 중요 어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셋째, 비즈니스 한국어 주제별 어휘의 상관성 분석에서는 우선 본고의 일반 주제 분류를 기준으로 주제 항목별 등급별 어휘 목록을 추출하였고, 이를 통해 총 4가지의 특징을 발견하였다. 이후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수학습샘터의 어휘 목록과 비교하여 중요 어휘를 다시 한번 살펴보고, 없는 어휘에 대해서는 추가 보완하고자 하였다. 5장에서는 앞선 연구를 전체적으로 요약하고, 4장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주제 항목별 어휘 제시보다는 <취직/취업 전>과 <취직/취업 후>로 나누어 최종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서의 주제별 등급별 어휘 및 중요 어휘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살피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 일반병동과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병동에 입원한 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 병원 몰입 및 재이용의사 비교

        정윤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atients’ between general care unit and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as to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and hospital commitment and revisit intention. The subject were 201 hospitalized patients(101 of general care unit patients, 100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patients) who tertiary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in J City, Gyeongnam province from August 1th 2016 to April 30th 2017.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χ²-tes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Fisher’s Z test analysis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nursing service between general care unit and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t=14.73, p<.001).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ospital commitment between general care unit and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t=7.52, p<.001).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visit intention between general care unit and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t=6.01, p<.001). 4)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tudy variables at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hospital commitment and revisit intention. 5) The reason why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users are satisfied with nursing service was confirmed as ‘Intimacy to medical staff’, ‘Satisfied with hospitalized environment facilities’, ‘Positive image for hospital’, ‘Confidence in the medical staff’, ‘Direct nursing care increase’, ‘Disease improvement’.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atients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the hospital commitment, and revisit intention than the general care unit patients.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and hospital commitment were factors affecting hospital revisit intention. Therefore, it will be important data for complementing and expanding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system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nursing service and hospital commitment to increase hospital revisit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