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미국 지역 대학생들의 환경 문제 인식에 대한 통계 분석적 비교연구

        황철원 ( Cher Won Hwa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환경교육과정의 차이에 따른 환경문제 인식수준을 통계적으로 비교분석 함으로써, 한국과 미국의 환경교육과정의 차이를 이해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한국은 초등학교를 제외하고 환경과목을 독립과목으로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대부분 중핵 교육과정(Core Curriculum)을 통한 통합적인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통계분석 비교결과 첫째, 미국과 한국 모두 환경교육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하는 수업을 하고 있지만, 미국의 경우 교과서 수업과 더불어 환경에 대한 호기심을 양성하는 체험학습 및 기타 영상·컴퓨터수업을 시행하고 있다. 둘째, 미국은 환경을 경험하는 기회와 그에 대한 포괄적인 배경을 제공하고, 다른 교과와 연결하여 이해시킴으로써, 미국지역 학생들은 환경수업에 대체로 만족하고 있지만, 교과서 중심의 단순한 수업을 받고 있는 한국 학생들은 환경수업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도와 참여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초·중·고 환경교육과정이 중핵 교육과정을 통한 통합적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area, also to find out the effects on thos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both Korean and American area in the statistics. The theoretical background shows that Korean area conducts environmental education by adopting a separated education excepting the elementary school, while American area conducts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core curriculum. The results of statistic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both Korea and America conduc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text book, but American area conduct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textbooks as well as experience study, video and computer classes. Secondly, the education of American area gives student high satisfaction of the environmental classes by offering various experiences, comprehensive backgrounds of environment and many chances that make students understand environment with other subjects, while Korean education did not offer satisfaction to students because the classes are mainly composed of the textbook. As a result, the interests and participations for environment are estimated to be low.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ies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Korea needs to be converted into the intergrated education through core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과 연구영역별 성과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심광택 ( Kwang 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지리학회지에 발표된 지리교육논문 102편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 및 연구영역별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영역별 비중을 살펴보면, 대한지리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63-2015년, 102편)은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재분석개발, 교실수업론, 교사전문성, 평가분석 영역 순이지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93-2015년, 406편)은 교재분석개발,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실수업론, 평가분석, 교사전문성 영역 순이다. 한국지리교육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서는 지리교사의 교실수업 설계, 분석 및 학생평가전문성 연구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 요청되고 있다. 영역별 연구주제를 범주화하여 연구 동향 및 연구성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한국의 지리교육학자가 교육과정연구 영역에서 비판지리교육, 도덕지리교육, 지속가능발전 교육 및 세계시민교육 연구에 도전하고, 교재분석 및 개발연구 영역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시선으로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성찰한 노력은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학교지리의 역할에 조응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synthesize the outcome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by 102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The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in the selected journal articles includes in turn curriculum studies, empirical research with learner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eories of instructional design,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and the analysis of assessment. During a similar period, there were 406 geography education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latter articles include in tur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urriculum studies, learners’ characteristic, theories of classrooms organization, analysis of assess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Future attention calls for further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classroom dynamics and analysi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assessment of students. Figure 5 shows the trends and categories of research themes based on each domain of research represented in the articles reviewed. The review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suggests a movement towards critical geography, moral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ention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evident i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omplements the role of geography education in attaining UNESCO goals.

      • KCI등재

        학교-사회 협력 환경교육 모델 개발을 위한 실행 연구

        권혜선(Hyeseon Kwon),김찬국(Chankook Kim),김수연(Suyoen Kim),현명주(Myeongju Hyeo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5 環境 敎育 Vol.28 No.2

        이 연구는 학교 교사가 주도하여 사회환경교육단체와 협력 환경교육을 수행한 과정 및 결과를 담은 실행연구로써, 수행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 협력 환경교육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협력 환경교육은 경기도 D초등학교와 같은 지역의 S단체를 중심으로 1) 파악, 2) 탐색, 3) 계획, 4) 실행, 5) 마무리의 단계로 실행되었고, 실행 결과를 바탕으로 1) 전제 조건의 확인, 2) 사전 조사, 3) 준비, 4) 실행, 5) 평가의 단계로 수정되어 학교와 사회의 협력 환경교육을 위한 모델이 개발되었다. 연구 결과, 학교 교사와 단체 교육 담당자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환경교육에 대한 서로의 장점과 단점이 보완되었으며, 학생의 교육 효과, 교사와 단체교육 담당자의 상호 학습, 협력 과정의 세 측면에서 성공적인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파트너십은 지속적인 의사소통 과정에서의 서로에 대한 이해와 공동 과업의 공유를 통해 형성되었다. 성공적인 협력 환경교육을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This study shares the experiences to develop a type of school-community EE collaboration model through an action research. The model is based on needs of school teachers who look for collaboration with EE organizations in civil society. The model includes rationale, characteristics, and step-by-step procedure of collaboration to provides those who initiate school-community collaboration with what to consider, how to prepare, when to start, why set common goals together, and so on. In this study, a group of teachers/researchers planned and implemented the EE collaboration model. For that, a teacher who are less experienced in EE joined in action research, from recruiting a community group and joint-planning a program, to describing procedural steps and guidelines for the model. The suggested EE collaboration can be implemented in following stages: Pre-requisite for collaboration, Planning, Preparation, Implementation, Reflection and evaluation, and Further collaboration. A well-designed school- community collaboration can be a great chance for mutual learning among school teachers and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ors while contributing to fostering citizens for sustainable society.

      • KCI등재

        Sustainability for What? The Orient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outh Korea

        Lee, Youngmin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1 No.3

        21세기 한국의 교육적 정향은 세계화, 지방화, 지식정보화, 환경화, 그리고 남북통일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급속한 근대화와 산업화를 경험하였던 한국사회는 이제 그 결과로써 확산되고 있는 환경문제에 대해 그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대책을 수립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환경관련문제와 대책들을 위한 가장 중요한 작업이 학교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재정립, 재구성하는 일이다. 소위“지속가능한 개발”로 요약되는 환경교육의 목표는 그 배경과 의미를 미래지향적으로 구체화되어야한다. 경제의 성장과 건전한 환경의 유지라는 당면 목표를 어느 선에서 균형있게 상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많은 고민들이 있어왔다. 독립교과로서의 환경교과의 신설은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선도적인 교육 사업임은 이미 알려져 있지만, 과연 그것이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검증된 바가 없다. 이에 대한 냉철한 분석과 공과에 대한 평가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Environmental problem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humans to solve in this new century. It is not the local problem any more because of wide-spread connection all over the earth. The origins and the results of an environmental problem do not nearly display in the same region in most cases. Also it is really hard to recover the deteriorated quality of environment, and to make us more troubled, it does diffuse quickly and widely to the neighboring regions. Probably, it is no exaggeration to maintain that the far-reaching environmental problems of this earth could be regarded as a kind of globalization in that it would make every regions of the earth to be bound to global scale system. It should be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that we most effectively cope with such problems concerning environment. Environmental education does not only deal with the answers of the problems, but also should more focus on the whole procedure of regional linkage of various elements within environmental system. South Korea began to consider environmental problem would be most serious one facing humans and to make practical efforts to solve the problem in a decade ago. She established an independent curriculum of ‘environment’ within secondary education in 1992, and continue to develop new and suitable contents. It is said to be the first trial in the world, and draws a lot of attention. But the issue is how much it works for the future generation, that is, what it should be oriented. This article discusses and evaluated the orientation and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outh Korea in recent years.

      • KCI등재

        마을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특징: 충청남도 환경교육 시범마을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유진,이재영 한국환경교육학회 2023 環境 敎育 Vol.36 No.3

        기후위기가 심각해지면서 환경재난이 빈번해질수록, 일상적 삶의 공간인 마을에서 출발하여 지구적 차원까지를 연결해서 다루는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개정된 환경교육법과 국가환경교육종합계획에서도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환경교육을 강조하고 있지만, 그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 동안 충청남도에서 진행된 환경교육 시범마을 사업을 진행한 마을의 활동 프로그램을 분석한 후, 마을에서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유형화해서 그 특징을 도출하여 마을 환경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발전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마을 환경교육 사업을 주체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34개 마을 중 50.0%(17개)가 마을주도형으로 가장 많았다. 활동 목표를 중심으로 구분하면 자연환경 보전 활동이 전체 44.4%(16개)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는데, 이 유형의 사업은 활동 주제도 자연환경이 가장 많았다. 생태계 유형은 골고루 분포된 편이지만, 충청남도의 다수 지자체가 해안을 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다와 갯벌 유형을 선택한 마을이 하나도 없었다는 점은 극복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가장 자주 사용된 교수학습방법은 ‘강의, 해설’, ‘견학, 체험’, ‘조사, 관찰’인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 내용으로 분석한 결과 소통과 협력 과정인 회의나 행사는 주민주도형이 단체주도형보다 높게 나왔다. 프로그램 대상은 성인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마을이라는 공간적 특성상 유아나 아동, 청소년보다 성인 대상 활동 내용이 많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주민주도형은 외부자원과 내부자원을 비슷한 비율로 이용했고, 단체주도형은 외부자원보다 내부자원을 더 이용한 걸로 나타났다. 마을 환경교육 현황을 더 깊이 이해하고 발전방향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계자가 참여하는 심층면담조사가 필요해 보이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고 성공사례와 실패사례를 비교하면서 마을 환경교육의 핵심 요소를 추출하기 위한 시계열적인 연구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환경확대법의 적용과 지역 기술 방식을 중심으로

        심승희 ( Seung Hee Sh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6 No.4

        오늘날 초등 지리교육과정에서 중요한 논의 중 하나는 환경확대법의 한계와 그에 대한 대안이며, 다른 하나는 지역을 어떻게 구분 또는 선정해야 하며, 초중등 간의 계열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이다. 이 논의를 진전시키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 지리교육과정의 변화를 환경확대법의 적용과 지역기술 방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주요 변화 내용과 그러한 변화가 갖는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교수요목기부터 7차교육과정기까지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 고장-우리 지역-우리 나라-세계> 순으로 전개되는 현행 7차교육과정의 환경확대법과는 달리, 4차교육과정까지는 다른 나라의 고장, 다른 나라의 지역, 다른 나라의 사례가 지리 영역과 비지리영역을 망라하여 기술되어 왔다. 따라서 5차교육과정기부터 교육과정의 지역화가 강화되면서 `우리 공동체` 중심의 환경확대법이 보다 철저히 적용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지역 기술 방식의 변화로는, 6차교육과정기까지 다뤄져온 한국 지지 단원이 7차교육과정기에 없어진 것이 가장 큰 변화이다. 이 원인 중 하나가 4학년 `우리 지역` 스케일에서 편제된 한국 지지 단원이 5학년 `우리 나라` 스케일보다 난이도가 높아지는 환경확대법의 한계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 결과 기존에 3학년에 편제되었던 `도시-촌락` 단원이 5학년에 편제되고 내용도 심화되었다. 세계 지지의 경우, 6차교육과정기부터 대단원이 아닌 중단원으로 편제되고 그 내용이 많이 줄어 들었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 중 하나는 세계 여러 나라의 지역 구분 및 선정 기준이 과거의 대륙별, 지지적 접근에서 우리나라와의 관계를 기준으로 주제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화했기 때문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of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elementary schools from Syllabus Curriculum to 7th Curriculum. These examination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wo issues. The one is the issue on the application of the widening horizons or moving beyond widening horizon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the other is the issue on the sequential framework from primary schools, to high schools focusing on regionalizing methods.

      • KCI등재

        초등학생의 환경정서가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민정 ( Kang Minjeong ),류재명 ( Jae Myong Ryu ),김종균 ( Jong Kyun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3

        환경문제가 세계적으로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이제, 환경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교육으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의 환경교육은 ‘정서(emotion)’의 개념이 중요하다. 환경교육이 교수학습방법으로 뉴스, 신문, 광고 등의 환경커뮤니케이션을 자주 활용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은 정서를 수단으로 하여 공감을 이끌어내는 경우가 많다. 이에 환경교육의 목표인 환경책임행동을 이끌어내는 데 적절한 정서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릇된 정서로 인해 자극적이고 편향된 시각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책임행동을 이끌 수 있는 환경정서를 발견하고자 실험연구를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의 5, 6학년을 대상으로 환경문제와 관련된 정서를 설문하고 문헌연구를 더하여, 환경정서인 경외, 동정, 공포, 죄책감을 대표적 정서로 선정하였다. 실험연구 대상으로 서울시 송파구 3개 초등학교의 399명에게 사전 환경책임행동을 설문하고, 개발된 정서별 텍스트를 읽도록 한 후 사후 설문을 하여, 정서가 초등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의 환경관련 정서를 대표적으로 경외, 동정, 공포, 죄책감으로 분류하였을 때, 환경정서가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었다. 정서를 활용한 환경교육은 모두 효과적이었으며, 하위범주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긍정적 정서가 부정적 정서보다 초등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 변화에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는 환경정서와 환경책임행동과의 상관관계를 밝혀 환경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정서선택을 돕고자하였다. 특히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커뮤니케이션에서, 정서를 효과적인 설득기제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환경정서와 환경책임행동의 하위범주별 영향관계를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As the world faces today a set of serious environmental issue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an option, it is rather a required education course. Currently, a concept of ‘emotion’ is the most crucial factor in recent environmental education attributed to the environmental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news, newspaper, advertisement, etc. that are often used in training. A diverse communication uses emotion to draw sympathy. It is, therefore, very important to find appropriate emotion to draw a goal of provocative and biased perspective. Therefore, this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nvironmental emotion that can lead th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Thus, the emotional reactions toward the environmental issues were investigated among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5th or 6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o literature study. A sense of reverence, sympathy, fear and sense of guilt were selected as a typical emotion. Then, 399 students attending in 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ongpa-gu, Seoul-si were selected as a participant in the experimental study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n th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s in tho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motion on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were shown to be different in the experimental study. The emotional educations were shown to have positive impact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upon the lower category. Second, the positive emotion was shown to positively effect th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n the negative emo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emotion and th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to help choosing an appropriate emotion in the environmental communication and education.

      • KCI등재

        참여적 시민 양성을 위한 장소기반 환경교육 탐색

        장진아,조수진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3

        The climate crisis and environmental problems have already emerged as major issues around the world,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transform people’s perceptions and lives and to make participatory citizens is grow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cases of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for participatory citizens through place-based education (PBE), and derived the significance of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this.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can find its value in terms of changing environmental awareness and sensitivity, cultivating empowerment through environmental practice, and fostering participatory citizens acting from the reg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discussion of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various angl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xpanded the perspective of place-based educ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기후위기와 환경문제는 이미 전 세계적인 주요 현안으로 등장하였으며, 생태환경보호 차원을 넘어 전 지구인의 인식 및삶의 전환을 이루어 낼 수 있는 환경교육과 이를 통한 참여적 시민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소기반교육의 접근을통해 참여적 시민을 위한 장소기반 환경교육의 의미와 특성, 실천사례를 탐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장소기반 환경교육의 의의를도출하였다. 장소기반 환경교육은 환경의식 및 환경감수성의 변화, 환경 실천을 통한 역량 함양, 지역에서부터 행동하는 참여적시민의 양성 측면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소기반 환경교육에 대한 기존 논의를 문헌연구를 통해 다각도로 탐색하고, 기존의 환경교육에서 장소기반교육을 바라보던 시각을 확장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 학교환경교육 현황 조사 연구

        이성희,조성화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environment education in Korea.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Does the school have enough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tise? Does the school provide enough opportuniti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s Korea well equipped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and policies?” The researchers sent questionnaires to 17 educational and support agencies for research. Korean elementary schools have more than 130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 teachers. Middle and high schools have 106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s. There is a need to systematize and elaborate environmental education by utilizing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 teachers in schools. There are 1,503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offline environment training course, and 2,160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course. This is less than 1% of all teachers in Korea. The percentage of students choosing environmental subjec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s very low, and that of high schools even lower than in 2016. Most Education Support Offices have independent environmental education plan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n implementation evaluation process and confirm the implementation. The number of people in char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and it is highly desirable that the number of personnel dedic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increases. Compared to the past, environmental education budget is also increasing gradually. 본 연구의 목적은 현 시점(2018년)에서 우리나라 학교환경교육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세 개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학교환경교육의 교육 전문성은 확보되었는가?, 학교환경교육의 기회는 충분한가?, 학교환경교육 정책은 어떠한가?” 연구 결과, 우리나라 초등 교사 중 약 130명 정도가 환경교육을 전공한 것으로 추정되며, 중등 교사의 경우 106명이 환경교육을 전공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간 환경교육 관련 연수에 참여한 교사는 오프라인 연수의 경우 1,503명, 온라인 연수의 경우 2,16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교사의 1% 미만으로, 연수를 통한 전문성 향상도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 고등학교에서 선택 교과를 통해 환경교육을 실시하는 비율 역시 8.4%로 낮게 나타났다. 16개 시, 도교육청에서 독립적인 환경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있어 환경교육 계획 수립은 잘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이후에는 환경교육 계획이 잘 이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환경교육을 담당하는 인력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환경교육 만을 전담하는 전담 인력 역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 비해 환경교육 예산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우리나라 학교환경교육의 교육 전문성은 아직까지 충분하게 확보되지 못하고 있고, 학교환경교육의 기회는 독립교과를 제외하고는 과거에 비해 늘어나고 있으며, 정책적 측면의 경우 인력과 예산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