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현황 및 전공 신설에 대한 기초 연구

        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is established with seven study courses such as kindergarten, elementary,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and visual impaired hearing impaired, mental retraded, and physical disability before 10 years. However the recent school environment is changed rapidly. One of the phenomena is full inclusion education. Because of the full inclusion all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nt to study at regular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atus and establishment of study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irty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5-Likert scale and two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xamples. Twenty eight questions among thirty question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twenty eight questions was .91.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regular school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five cities and provinces. Four hundred and fift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number of the candidates to study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has been decreased until now from 10 years; (b) the teachers want to open the study course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has to consider to open the study courses after calculation the break-even point with decreasing numbers of the candidates who are working for regular schools to study special education.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이 특수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을 실시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전문성과 일반교사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정원 조정 등을 구상하기 위함이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특수교육대학원을 지원한 인원과 입학생 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 교사들의 인원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에 근무하는 일반학교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인식 관련 변인 간 관계, 특수교육 전공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대구대학교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위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하는 교사들의 변인은 교직경력이 적은 여교사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할 경우에 선택할 전공은 초등특수교육,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정신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 개설할 전공의 타당성에 대한 시사점 등을 또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공학 연구동향 분석 : 2005~2014년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우정한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특수교육공학은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을 촉진하고 수행을 유지, 개선하기 위해 제공되는 공학기기, 교수전략 그리고 관련 서비스에 대한 이론과 실제로, 전반적인 공학의 발전을 수용·활용해 나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선행연구와의 연속선상에서 특수교육공학의 연구동향을 비교하기 위해 지난 10년간(2005~2014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게재된 특수교육공학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공학, 보조공학, 재활공학 등의 검색어를 사용하여 8개 학술지에 게재된 총 274편의 특수교육공학 관련 논문을 수집 후, 연구 형태, 장애영역, 대상 연령, 종속변인, 주제어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도별 특수교육공학 관련 논문 편수가 선행연구에 이어 전체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에 비해 연구 형태 및 종속변인, 대상 연령층이 폭 넓게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로봇과 SNS를 주제로 한 연구가 등장한 것도 새로운 변화 중 하나였다. 이를 통해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수성을 보완하고 대체하기 위한 특수교육공학의 다양한 연구도 필요하지만 특수교육 장면에서 새롭게 채택, 활용되고 있는 공학기기가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수한 교육적 목표를 성취하는 데 얼마나 기능적으로 작용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 역시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The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is an important means to complement·replace the distinctiveness of the students who have special education needs. Due to the universality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there is no choice but to accept the overall technology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on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research, published in scholar articles of special education from 2005 to 2014. Key words are used to collect of research are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assistive technology, rehabilitation technology. A total of 274 papers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research. Through this process, for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research status by year, research form, disability area, age, dependent variables and the key word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nual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papers appeared to be rising overall trend followed in previous studies. Second, research form, dependent variables and study the target age group were studied widely then preceding research. And new studies for robots and the SNS had founded. From the results, various studies of the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to facilitate learning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need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but new technology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ther it would be able to achieve special learning objectives of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 보조공학 실태 및 요구 탐색을 통한 관련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김영걸 ( Kim Young-gull ),우이구 ( Woo Yi-g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보조공학은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중 기본적인 서비스로서 장애아동의 기능적인 활동 증진을 위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래서 보조공학 기기와 서비스 관련 제반 업무를 시도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인적, 물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국가차원에서 이루어 지고 있다. 하지만 특수교육현장에서는 보조공학 관련 실제 요구를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제공받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각 시도교육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중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17개 특수교육지원센터를 목적 표집하여 보조공학 실태를 조사하였고 보조공학 관련 서비스를 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보조공학 실태를 조사한 결과 보조공학 업무 공간, 보조공학 관련 서류는 대부분 갖추고 있었으나 보조공학 전문가와 관련 정보제공 정책을 몇몇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는 가지지 못하고 있었다. 각 특수교육지원센터마다 보조공학 관련 예산, 보유기기 유형과 수는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냈었다. 둘째, 효과적인 교육지원을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담당해야 할 하는 당위성은 아주 높았으며, 보조공학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적절하게 관련 업무를 진행하기 위하여 보조공학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보조공학 관련 예상의 편성 및 집행 필요성도 높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다양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 환경 조성 측면, 전문성이 확보된 보조공학서비스 제공 체제 측면, 실제적인 보조공학 교육 및 프로그램 운영 측면, 국가수준의 보조공학 관리 체계 측면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Assistive technology is the basic services among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and must be considered for promoting functional activities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Therefor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s in charge of all task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s, and human and material support for this is continuously being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receive the actual need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n this study surveyed the 17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at are continuously performing the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tasks among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f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assistive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ssistive technology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most of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assistive technology work space and the assistive technology were provided, but the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policy were not provided. For eac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 AT budget, the type of equipment and number of devices were different. Second, there was a high degree of need for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work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effective educational support. It was recognized that an AT specialist was needed to systematically operate assistive technology and to carry out related tasks appropriately. Also, the need for budgeting and execution of AT budget was high. Third, in order to appropriately provide assistive technology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a variety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o provide professionaliz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nd to provide actual assistive technology education and programs.

      • KCI등재

        특수교육학개론을 수강한 예비교사의 특수교육 전문성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이신영 ( Lee Shin-young ),강경호 ( Kang Kyung-h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교직이수 필수과목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교사의 특수교육 전문성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전문성 확장을 위한 이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기초적인 제언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 경상북도 K시, 충청북도 J군에 소재한 대학의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원 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면 및 비대면 설문조사 결과와 연구참여자 11명의 포커스 그룹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은 예비교사의 특수교육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보통 수준보다 높고,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와 교사의 전문성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은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영역에서 학생보다 대학원생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포커스 그룹 면담 결과 교사의 전문성 확장을 위해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특수교육학개론의 확장, 통합교육 관련 필수 교직과목 개설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였고, 예비교사의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전문성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aking a course titled “Introduction of Special Education” changed the perceptions of general education pre-teachers regarding special education expertise and inclusive education. 107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e-teachers were recruited in the three municipal provinces of South Korea. They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a group of 11 attended multiple focus group interview session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urse affected the higher scores of pre-teachers’ perceptions on special education expertise than average-level as well as resulted in positive perspectives on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course improved the perception of pre-teachers regarding inclusive education, especially graduates showed the higher scores on the perceptions than undergraduates. Third, the focus group interviewees expressed the changes in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rovements of curriculum, and additional required courses in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author proposed suggestions for improving pre-teachers’ development in special education expertise and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서선진,박경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developing lesson pla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ven skill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for their expertise in teaching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low self-efficacy in writing lesson plans and often developed annual and weekly lesson schedules, rather than daily lesson plans which were written for special occasions. Skilled teachers noted that lesson plans used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failed to mirror the uniqueness of special education in addressing student diversity. There was a lack of coherence in lesson plans to curricula and other related papers such as IEPs. However, skilled teachers admitted that establishing lesson plans was a single core task of instruction and helped themselves promote their expertise in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considerations to improving lesson plan development in special education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숙련된 특수교사 7인과의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그들의 경험과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수 교사들이 그간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면서 가진 경험과 인식은 2개의 대주제, 6개의 중 주제로 집약되었다. 숙련된 특수교사들은 일상적인 수업과 보여주기를 목적으로 하는 수업 간의 괴리가 존재하며 교수ㆍ학습과정안의 분절성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한 교수ㆍ학습과정 안의 형식이나 내용이 특수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하여 낮은 효능감을 보이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교사들이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교수설계 관련 연구와 논의를 늘리고 교사들의 교수설계 관련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강력한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에서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개선방향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발표2 : 한국의 특수교육 전달체계: 학적 토대를 중심으로

        정용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3 No.2

        본 연구에서는 서구와 우리나라를 구분하여 특수교육전달체계를 학적 토대를 지적장애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고찰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서구 지적장애 전달체계에서 보면, 첫째 지적장애의 학적토대는 의학적 심리학적 모형에 기초한다. 둘째, 패러다임에 따른 학적 토대의 관점에서 보면, 미시적 관점의 주관주의에서는 통합과 분리교육 장소에 관계없이 개별화된 수업을 강조한다. 의학적 심리학적 모형의 접근 방법 또한 개별화된 접근임을 고려하면, 미시적 관점의 주관주의와 의학적 심리학적 모형은 개별화된 교육 모형에서는 공존가능하다. 거시적 관점에 관심을 가진 주관주의에 전달체계에서는 일반학급이 특수아동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장소로 제안된다. 거시적 관점의 주관주의는 의학적심리학적 모형과 공존하기 어렵다. 우리나라 특수교육학의 관점에서 보면, 지적장애 전달체계의 토대는 교육학에서 출발하였다. 특수아동에게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형태로 특수학교가 설립되었고, 일반교육의 걸림돌로서 분리되어 특수학급 교육이 만들어졌다. 둘째, 패러다임에 따른 학적 토대의 관점에서 보면, 병리학 의학적 모형은 우리나라의 특수교육학에 이식되지못하였다. 미시적 주관주의 학적 토대는 개별화 교육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학적 분리된 체계와 공존하였다. 거시적 주관주의는 포함교육 주장으로 이식되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의 일반학급을 전달체계로 구인하는데 기여하였다. 본고의 고찰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 지적장애 전달체계의 구축과 관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지적장애 전달체계에서는 의학적 심리학적 토대가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은 학적으로 교육학 일변이며, 특수아동에게 특별한 교육적 실제를 제공할 수 있는 학적 토대가 없다. 둘째, 우리나라의 분리교육은 차별이 내재하기 때문에 분리된 교육장소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차별을 넘어서는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특수교사 양성대학교에서는 실습환경을 구축하고 실제적 지식의 개발 및 전수에 많은 노력이 요망된다.

      • KCI등재

        공립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계획과 개별화교육계획의 연계

        이효신,남현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계획과 개별화교육계획의 연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특수학급 교육계획은 통합학급 교육계획과의 관련성을 유지해야 하고 또한 특수교육대상자 개개인의 개별화교육계획이 반영되어야 하는 특수성을 가진다. 따라서 통합학급 교사와의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하고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통합학급 교육계획안과 특수학급 교육계획안이 협의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고질적인 문제가 교육현장에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특수학급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현실적인 어려움과 개선방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특수학급 교육계획안과 개별화교육계획은 통합학급 교사 및 관리자의 협력 없이 전적으로 특수교사 단독으로 모든 과정이 이루어졌다. 특히 통합학급 교사의 많은 업무가 이러한 협력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고 특수교육대상자에 관련된 모든 업무가 특수교사의 몫이라는 인식의 영향도 컸다. 개선방안으로 관리자를 포함하는 개별화교육지원팀의 활성화와 평가를 통한 질적 향상 도모가 지적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special class education plan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and the status quo of forming such plans through the interview with 6 teachers responsible for special classes in some preschools in U-city. and analyzed the connection of general education plan with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of all, there are no collaborations between inclusion class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enhance the quality of special class,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 including administrator should be activated and evaluation system should be reviewed. By proposing a way to improve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th education pla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gave some practical help to teachers responsible for special classes in their preschool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특수교육공학의 방향

        김용욱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1

        The acceleration of social change i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is requiring stronger changes in education than before. The arrival of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utilizes the Interne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has brought about an overall change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variou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on the direction of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curriculum,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cannot be irrelevant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presently somewhat inadequate to cope with the changing social and educational paradigm. Particularly, even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where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fully utilized, there is little specific discussion. Therefore, this study deals with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review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change, the sub-category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counter measures of special edu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mmarizes educational philosophy and goals, curriculum,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welfarein considering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paper, proposes the direction for the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by critically reviewing the flow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In this process, it is a limitation that can’t point out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which is a subcategory of education but is a upper category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It is recommended that the future study should focus on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based on hierarchy and continuity of education, speci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This study will be considered as a foundation of a series of studies. IT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한 사회적 변화의 가속화는 교육에서의 변화를 이전보다는 더욱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는 교육 분야에서의 전반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현재 교육환경, 교육과정, 교육내용과 방법 등에 걸쳐 교육의 방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반면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절대 무관할 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변화하는 사회적, 교육적 패러다임에 견주어 다소 미흡하게 대처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이 온전하게 활용될 수 있는 특수교육공학 분야에서조차도 구체적인 논의가 거의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특수교육공학의 방향을 다루었다. 먼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개관해 보고, 이에 따른 교육 변화의 방향을 가늠해보고, 특수교육의 하위범주이며, 4차 산업혁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특수교육공학의 대응방안을 논의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 진행된 관련 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교육철학 및 목표,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복지의 방향을 정리하며 교육방향의 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 변화 방향이라는 큰 틀에 맞추어 컴퓨터를 중심에 놓고 한국 특수교육공학의 흐름을 정리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특수교육공학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육의 하위 영역이면서 특수교육공학의 상위 범주인 특수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지 못한 점은 한계임을 인정하며 향후 연구는 교육, 특수교육, 특수교육공학의 위계성과 연속성에 기초하여 체계적인 특수교육공학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으면 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일련의 연구에 대한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문헌들의 검토

        ( Choi Na-Ri ),( Chun Sun-Oa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4

        본 논문은 특수교육지원센터와 관련된 논문들을 살펴봄으로써 어떻게 국가의 특수교육 정책이 지방 자치에 적용되었는지 그리고 특수교육지원센터 이해 관련자들의 인식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Berman과 Goertz에 따르면 거시적 분석은 어떻게 정책이 지방차원에서 적용되고 결과는 어떤지를 자세히 알아 볼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관한 국가의 정책 적용과 실행을 거시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총 14개의 논문은 2가지의 카테고리로 분류가 되었는데 (a)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실행과 (b) 특수교육지원센터 이해 관련자들의 경험으로 나누어졌다. 문헌들의 검토 결과 특수교육지원센터운영은 자주 교체되는 정책에 기반하고 있었다. 더나아가, 특수교육지원센터가 지역의 실정 또는 통합교육환경에서 어떻게 학생에게 특수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관해 제한된 근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도된 정책과 제정되어진 정책 사이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서는 충분하고 경험이 있는 인력, 전문적인 수당, 업무 가이드라인, 감독에 대한 이슈를 해결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examine related research studi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ESCs) to determine how national special education policies have been adopted by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and how stakeholders perceive their effectiveness. According to Berman and Goertz, a macro analysis looks more closely at how policies are adapted to local practices and their outcomes. Thus, a macro analysis is used in this review to examine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government policies regarding SESCs. A total of 14 studies are reviewed and grouped into two categories, which address (a) the implementation of SESCs, and (b) stakeholders experiences with SESCs. This review found that SESC administration is based on frequently changing policies. In addition, these studies provided limited evidence of whether the SESCs reflected local conditions or how students in inclusive settings received SESC services. To close the gap between intended and enacted policy, concerns related to sufficient and experienced personnel, professional incentives, work guidelines, and supervision should be addressed.

      • KCI등재

        최근 10년간의 중등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고찰

        강종구,김영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2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전공과 포함)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환경별 진로직업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동안 ‘특수교육통계’에 나타난 중등특수교육의 진로교육 여건 및 취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은 중학교에서 전공과까지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 많이 특수학교에 배치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경력 특수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일반학교보다는 특수학교에 더 많이 배치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은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취업에서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전공과와 같은 추가적인 지원만으로는 이러한 어려움을 대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방법들로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안하였다. 첫째, 특수학교는 진로직업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학교는 보다 많은 경력 특수교사의 배치를 포함하여 진로직업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