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수학 신문활용교육 학습자료 개발 연구 : 문자와 식 영역을 중심으로

        손채영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letter and formula have many relations to everyday life, and the use of the letter and formula has strong points of simplifying complicated problems. Because newspaper reports new and various information, the NIE(Newspaper In Education) helps in educating the letter and formula in real life. In this thesis, we develop the NIE learning materials focusing on the letter and formula for middle school. The learning materials are made of seeking mathematical composition and solving practical problems. The NIE learning materials will help the students to use the letter and formula in their lives, and as a result, students will realize the usefulness of mathematics. 문자와 식 영역은 실생활에 많은 연관이 되어 있으며 문자와 식의 사용은 실생활에서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시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신문은 매일 새롭고 다양한 정보를 전해주므로 실생활 속의 문자와 식을 교육하는데 신문활용교육(NIE, Newspaper In Education)이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수학의 문자와 식 영역을 중심으로 신문활용교육 학습자료를 개발한다. 활동내용은 신문에서 수학적 요소를 찾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개발한 자료는 신문활용교육 수학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문자와 식을 실생활 속에서 다루게 하여 수학이 현실세계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게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한 효율적인 음악 학습 지도방안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박혜선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학생들의 각기 다양한 경험과 활동으로 창의성과 음악성을 향상시켜 주고, 개개인의 흥미를 고려한 통합적인 지도방안으로 코다이 교수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코다이 교수법은 학생들의 음악적 요구를 채워줄 뿐 아니라 음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개개인의 음악적 잠재력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준다. 따라서 이를 중학교 1학년의 음악 수업에 적용하여 지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음악적 기초능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음악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흥미와 창의적인 표현 능력 및 통합적인 음악적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코다이에 관한 문헌, 논문, 교육서, 월간지, 인터넷 등을 참고하여 코다이의 생애와 교육철학, 코다이 교수법을 제시하였고, 중학교 1학년 음악 제재곡을 선정하여 코다이의 대표적인 교수법 리듬지도, 이동도법, 손기호, 내청법, 시각적 보조기구 등을 적용하여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지도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리듬활동을 통해 리듬감을 증대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손기호의 활용으로 노래 연습을 쉽게, 흥미롭게 하여 음높이와 음정의 감각을 키울 수 있게 하였다. 셋째, 이동도법에 의한 계명창법으로 조성과 음정의 개념 및 악보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키면서 독보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시창법에만 국한하지 말고, 청장법으로 노래 부르기를 지도하였다. 피아노 반주 없이 교사의 노래를 귀로만 따라 부르게 하는 청장지도에 의해 청감각을 개발시킨다. 그리고 노래를 배울 때 노래 중간에 신호에 따라 속으로 음을 생각하면서 부르는 ?속으로 부르기?의 과정에서 내청훈련의 기회를 제공하여 음감을 개발시킨다. 이는 손기호와 함께 부를 때 음정감과 선율감이 더욱 신장될 수 있다. 다섯째, 리듬카드나 문자카드를 제시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시각적 자료를 활용함으로서 개념의 이해를 도왔으며, 나아가 암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하였다. 여섯째, 우리 민요 고유의 특징적인 리듬형을 직접 체험하게 하여 민속적 리듬과 친숙하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리듬지도와 가창활동을 병행하여 노래의 리듬적 특성을 직접 몸으로 체험하게 하였다. 코다이의 교수법을 우리나라 가창교육에 그대로 적용시킨다는 것은 다소 문제가 있으나,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 맞게 변형, 적용시킨다면 보다 좋은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학습지도방안이 우리나라 중학교 음악수업의 현장에서 학생들의 의미 있는 음악적 체험을 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적절히 활용되기를 바라며, 학생들의 효율적인 학습지도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꾸준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looked at Kodály method as a comprehensive teaching plan that improves creativity and musical ability of students through various experience and activities, and considers personal interests. Kodály method can improve an individual's potential in music by fulfilling his/her musical needs, and inducing each individual person interest in music. Accordingly, I have my purpose in improving students' basic musical abilities by presenting an instructional plan that could be applied to first-year middle school education, and assisting students with attaining interest in music and comprehensive musical growth through various musical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Kodály's life, his educational philosophy and Kodály Method with reference to literature, papers, textbooks, monthly magazines, and internet. It also presented instructional by applying Kodály's rhythm instruction, movable-do system, hand signs, inner-hearing method, and visual aids, etc by selecting first-year middle school music theme s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plan present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ressed the importance of rhythmic sense through various rhythm activities Second, allowed improvement in sense of key and pitch by conducting singing practices in an easier, more enjoyable manner through use of hand signs. Third, allowed improvement in music reading ability by accelerating comprehension of tonality and pitch through solmization of movable-do system. Fourth,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he poop deck, I led the students to sing by using rote-singing; then I focused on developing their sense of hearing by using rote-singing instruction, which makes them sing by ear when they follow the instructor. This improves their sense of pitch because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inner-hearing method training during the process of silent singing, in which they sing as they think of the notes, according to the signals. The sense of pitch and melody may be further extended when singing with hand signs. Fifth, presented rhythm cards and text cards in order to induce students' interest, used visual aids to facilitate comprehension of concepts and furthermore, they were able to develop ability to play from memory. Sixth, familiarized the students with folk rhythm by guiding them to experience the rhythmic form that is chara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 also helped them to experience the song's rhythmic traits physically, by using rhythm instruction and singing activities side-by-side. Even though there are some issues with direct application of Kodály Method to Korean singing education, it would result in betterment of instruction/learning if the method is first revised then applied to fit current state of Korea's education. I hope that the learning-instructional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properly utilized in Korea's middle school music education as a measure of giving students meaningful musical experience, and research on effective education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이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상수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시의 두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6세 유아 80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 40명씩 다른 유치원의 유아들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프로그램을 15주간 15회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전통적 유아체육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검사는 체크리스트를 통해, 자기효능감 검사는 개별면접 방법으로 실시하여 기록·채점하였다. 구성주의 교수법에 의한 유아동작교육이 자기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료 분석에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은 자기조절능력(자기통제, 주의집중, 충동성감소)에서 주의집중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은 자기효능감(인지적 자기효능감, 사회ㆍ정서적 자기효능감,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구성주의 교수법에 의한 유아동작교육은 자기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활동으로 활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movement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on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and self-efficacy. 80 6-year-old children in two kindergartens in Daegu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Eac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consists of 40 different children from the two kindergartens. The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rained through the young children's movem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nstructivism teaching method 15 times for 15 weeks, and the members of the control group did as traditional methods young children's physical education program. Before and after operating this activities, children's self-control test by checklists and self-efficacy test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ere done, and both tests were recorded and gra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movement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on self-control ability and self-efficacy, the data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Covariance Analysis (ANCOVA). The research results are in the followings: First, young children's movement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has positive effect on the self-control ability areas (self-control, paying concentrated attention & reduction of impulsiveness) except for paying concentrated attention. Second, young children's movement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has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cognitive self-efficacy, social and mental self-efficacy, physical self-efficacy). In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young children's movement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can be used as an activity to improve self-control ability and self-efficacy.

      • ICT를 활용한 미술 감상 교육 연구 : 사이버갤러리를 활용한 감상교육을 중심으로

        최지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21세기는 세계화·정보화의 시대로, 시대에 발 맞춰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교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요청을 수용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미술교육은 새로운 학습지도의 한 방향으로써 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교육 방법이며 또한, 다양한 미술 정보의 제공으로 폭넓은 미적체험을 할 수 있고 학습의 한계를 넓혀 장소, 시간 제약 없이 컴퓨터와 인터넷이 연결된 장소면 언제 어디서든지 학습이 가능한 형태의 교육이다. 정보통신의 발달은 미술교과에서도 새로운 교육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ICT를 활용한 교육의 목적은 학습자들의 창의적 사고를 통하여 학습활동을 촉진시키며, 학습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여러 매체와 방법을 활용하고 다양한 발상을 유도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이버갤러리를 통한 감상교육을 중심으로 학생들에게 새로운 학습의 기회를 통해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이버갤러리를 활용하여 미술 감상교육에 있어서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고 국내·외 미술관의 사이버갤러리의 이용방법과 미술과 관련된 여러 사이트 등을 안내하여 학습자의 ICT의 활용능력과 교육적 기대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자발적인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흥미를 유발시키고 폭 넓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기 주도적이고, 풍부한 학습의 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ICT를 활용한 균형 있는 미술 감상교육의 실현을 도모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는 미술교육에서의 감상교육의 중요함을 인식하고 ICT 활용교육을 적극 반영하여 미술교육의 ICT 활용방안에 대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뒷받침 되어져야 할 것이다. 21st century is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and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ctively used keeping pace with the age. The field of education is also receiving such demand of era. ICT applying arts education is a direction of new teaching instruction, a teaching method reflecting change actively, enables wide aesthetical experience with various artistic information provided and a form of education able to study whenever and wherever the computer and internet are linked without any limits of place and time expanding the boundary of learning.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repares a new field of education in the subject of arts as well. The purpose of ICT applying education is to promote the learning activity through learners' creative thought, to support the goal of study to be accomplished efficiently, to help use various media and method and to induce various cencept. Accordingly, this study will provide students with an efficient teaching plan through a new opportunity of study centering around the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cyber gall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uce interest through self-initiative learning in arts appreciation education using cyber gallery, and to raise students' ability to use ICT and the educational expectation by introducing how to use the cyber gallery of domestic and overseas arts gallery and arts-related sites. This study aimed at inducing interest so that students can study voluntarily and preparing a self-initiative and abundant field of study by providing a wide opportunity of education. To plot the realization of a balanced arts appreciation education using ICT, systematic and various researches should be backed about the ICT applying plan in arts education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education in arts education and reflecting the ICT applying education actively.

      • 상업경제 교과목의 내용 및 활용상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김윤정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analysing the contents of commercial economics subject in commercial high school and the problem in its application so that we can seek the improvement for the education of commercial economics. As a survey I used literature researches by examining theses and publications from KDI and government related to the text contents of commercial economics based on precedent studies. The problem of school education in commercial economics revealed by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e whole structure of the texts was similar but there were lots of different emphases according to the writers.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content to teach principle of the market economy was totally insufficient in the text of commercial economics. Third, in the text of commercial economics, most of the contents make economy fable and only suggest methods for conducting way so they are insufficient to make an effort for foundation. Fourth, the writers of the past text for the 6th curriculum also wrote the present text of the 7th curriculum so there are insufficient in the aspect of various kinds of edition and supplementary data. Fifth, there is insufficient address for financial market that is rising up as the important issue these days but also it is unspecific in its explanation. Sixth, it has less stress on the unit for environmental problem threatening existence of human race as the damage from global warming, desertification, and acid rain, which has been recognized internationally in recent days. And also there are problems for the text of commercial economics to be applied to the practical life because it consists of abstract theories and knowledge based contents so it is not useful to solve the problem in social economic situation that is rapidly changing. To improve the text contents of commercial economic and its application we have to develop programs for the students can participate and experience with interest and attention at their level or the ones which can plant right economic mind in them. As a plan to improve this situation this study suggested simulation economic education and also the education of economics through newspapers and broadcast. The education of commercial economics in the past was based on theory and the cramming education but now new one needs new lesson by escaping from those systems to select subjects of social issues and learn with the simulation method. And also it needs to be applied and generalized to the practical life so has to make students more understandable about of commercial economy through newspapers and broadcast, which are fit for their development stage, and in addition must contribute to fostering competent persons suitable to the age of information. 본 연구는 상업계 고등학교의 상업경제 교과목의 내용과 활용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상업경제교육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조사방법은 선행연구를 위주로 하여 상업경제교과서 내용과 관련된 연구논문을 통한 문헌연구 방법과 KDI(한국개발연구원), 정부간행물 등의 문헌을 통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학교 상업경제교육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전체 구성형식은 비슷하였지만, 집필진 개인별로 각기 다른 중점으로 서술한 부분이 많다. 둘째, 상업경제교과서에서 시장경제의 원리를 가르치는 내용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셋째, 상업경제교과서는 경제를 다룬 많은 부분이 경제를 우화시키거나 처세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만 제시되고, 그 기본부터 다지는 노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넷째, 과거 6차 교육과정 교과서 집필진이 그대로 7차 교육과정교과서에도 집필하고 있어 교과서의 다양한 편집과 보충자료가 미비하다는 것이다. 다섯째, 현재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금융시장에 대한 언급이 부족하며, 구체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여섯째, 최근 국제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온난화, 사막화, 산성비 피해 등 인류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 단원의 비중이 작다는 것이다. 또한 상업경제 교과서의 활용상의 문제점으로는, 추상적인 이론이나 지식 위주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실생활에서의 적용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어, 급변하고 있는 사회의 경제상황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유용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업경제 교과서의 내용과 활용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눈높이 수준에서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여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올바른 경제마인드를 심어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뮬레이션 경제교육과 신문·방송을 통한 경제교육을 제안하였다. 과거에는 상업경제교육이 이론 중심적이고 거의 주입식 교육에 의존하고 있어, 새로운 상업경제교육에 있어서는 이에서 탈피하고자 사회적 쟁점이 되는 주제를 선정하고 이를 시뮬레이션 교육방식으로 학습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적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하고 일반화 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그들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신문과 방송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상업경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게 하며 더 나아가서는 정보화 시대에 맞은 인재를 육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극음악의 통합적 음악수업방안 연구 : 고등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은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Music education in current system infers the general concept based on Reimer's aesthetical education and Elliot‘s practical music education and student's experience and activities. Depends on this, the 7th education system states that comprehending the understanding area and the activity area. This treatise tries to find a solution for th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which is using a drama divided by an opera and a musical for the theoretical research about the comprehended class and the essential suggestion for class. Through this, a student can experience the aesthetical sense and the musical sensibilities via a variety of musical experience. The ideologic background of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is a progressism. The progressive education thought is the comprehended music education system's ideological beginning and serves as a stepping stone for comprehended teaching-learning theory which is created by J. Froesth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Based on this background, a theory was researched about comprehended education system and therefore it helped to make a concept of the comprehended class. Also a researcher analysed the drama which is a subject matter of class so they deduced the musical education class guideline. The materials of guideline are the opera Le Nozze di Figaro and the musical cats which are most frequently used from 8 different high school textbooks. Using them, combined class guideline was researched as the understanding part and the listening part. As a result, the running of the comprehended class deduced from the understanding part and activity part which is composed singing, listening and creation. These parts induced the creation per group using the rhythm musical instrument presents in the class via drama's general listening, main aria's singing, the concept of musical understanding through the aria's song and the rhythm which covers the whole filed of the song. As a result for this research, there are many research papers and books about comprehended music class methodology. Therefore if a teacher has a continuous effort, he or she can provide a variety experience and run more efficient music class, however current education system and unit credit arrange 7th year 4units, 8~10th year 2units and 11~12 year elective unit. As a comprehended class, it makes difficult to run in practical even though the teacher prepare the high quality class guideline. The beginning of the musical education proved its importance from the ancient times no matter Eastern or Western. Platon(B.C 428~348) said that the music affects a training of harmonic characteristic and personal will therefore change the personality and action via supporting Ethos. Also salutation and music idea from Eastern musical education states that to understand the music is to understand the salutation. People try to control their mind through listening to the honest and calm music. Current education corse coordinators give undue value to so-called main units and ignore the importance of the art units. This fact is the task which have to solve for musical education. In this research, a drama limits the opera and the musical as possible the comprehended class, however there are more materials for comprehended class. For example, movie music, through the music in the movie, students can have audio-visual effect and aesthetical experience,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e summary and music using diverse academics comprehend with literature class, experience the variety method of music class to make the drama themselves using that music. This subject needs another successive research because of it is a desirable method of class for learner and intended by current education system. 현 교육과정에서의 음악교육은 리머의 심미적인 교육과 엘리엇의 실천주의적 음악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하여 개념적인 이해와 더불어 학생본인의 직접경험과 활동을 지향하고 있다. 그에 따라 제 7차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는 이해영역과 활동영역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기를 명시한다. 본 논문은 ‘통합적인 수업’에 관한 이론적인 연구와 본 수업을 위한 실질적인 제언을 위해 극음악을 오페라와 뮤지컬로 나누어 음악수업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생은 다양한 음악적 체험을 경험하여 음악을 통한 심미적인 안목과 음악적 감수성을 경험할 수 있다. 통합적 음악교육의 사상적 배경은 진보주의이다. 진보주의 교육사상은 통합적인 교육과정의 사상적 시초로서 미시건 대학의 프로세스(J. Froseth)가 개발한 통합적 음악 교수·학습이론의 발판이 되었다. 그 배경을 바탕으로 통합적 교육방법에 대한 이론을 연구하여 통합적 수업의 개념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또, 연구자는 수업의 제재가 되는 극음악을 분석하여 통합적 음악교육 수업 지도안을 도출 하였다. 지도안의 수업제재는 고등학교 8종 교과서를 분석하여 그중 빈도가 가장 높은 opera 「Le Nozze di Figaro」와 Musical 「Cats」를 제시하여 이해영역과 감상영역의 통합적 수업 지도안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극음악의 전반적인 감상, 주요아리아의 가창, 아리아의 곡 해석을 통한 음악적 개념 이해, 극음악 전반에 나오는 리듬을 통해 리듬악기로 모둠별 창작을 수업에 제시함으로써 이해영역과 가창, 감상, 창작에 이르는 활동영역의 통합적인 수업 운영에 대한 방법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통합적인 음악수업을 위한 방법론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물과 서적이 나와 있다. 그러므로 교사의 끊임없는 노력이 있다면 학생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고, 보다 질 높은 음악수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 교육과정의음악의 음악과 수업단위는 7학년 4단위, 8~10학년까지 2단위 그리고 11~12학년은 선택과목으로 편성이 되어있다. 이는 통합적인 수업으로 교사가 질 높은 수업방안을 준비해도, 실질적으로 운영하기 쉽지 않은 편성시간이다. 음악교육의 기원은 동서양을 막론하여 고대부터 그 중요성을 입증하고 있다. 플라톤(B.C428~348)은 ‘에토스’ 론을 내 세워 음악이 조화로운 인격의 육성, 개인의 의지에 영향을 주어 성격과 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또, 동양음악교육의 ‘예악사상’은 ‘음악을 아는 것은 예를 아는 것이다.’ 라고 하여 바르고 정한 음악을 들어 심성을 다스리고자 하였다. 현재 교육과정 개발자들은 이른바 주요과목에만 편제를 치중하고 있으며, 예술과목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음악교육의 과제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수업을 가능하게 할 극음악을 오페라와 뮤지컬에 한정하였다. 그러나 통합적인 수업을 할 수 있는 제재는 보다 다양하다. 예를 들어, 영화음악을 들 수 있는데, 영화속에 흐르는 음악을 통해서 학생은 시청각적인 효과를 누려 심미적인 경험을 할 수 있고, 그 영화 줄거리와 음악과의 관계를 문학수업과의 간학문적 통합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그 음악을 통해 학생들끼리 음악극을 구성해 봄으로써 좀 더 다양한 방법의 음악수업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주제는 현 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 있고, 학습자에게 있어 바람직한 수업의 방안이기 때문에 다양한 통합적 음악수업 지도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계속해서 필요하다고 본다.

      • 음악전공자의 직무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지향방안에 대한 연구 : 음악과 다른 학문과의 융합을 통한 고찰

        이나영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을 기대하는 음악전공자의 직업선택 기초자료 제공과 전문 직업창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부분의 음악대학 졸업생들은 전문연주가 또는 개인레슨, 학원경영이 아니면 사회의 직장이라는 직업현장에 진출하기가 어려울 만큼 진로선택의 범위가 좁다. 또한 사회의 구조상 합창, 합주, 각 분야의 지도자 등 개인보다 단체에 소속되어 음악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지만 이를 양성해내는 대학에서의 앙상블 교육시스템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음악대학 교육과정을 비교 ․ 분석하고, 다양한 연주가로의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앙상블 교과의 증설과 전공실기시험, 수업방법의 변화, 다양한 형태의 콩쿠르 앙상블부문 확대 등으로 전공영역의 다양성을 제안한다. 또한 전문 연주가 외에 음악전공자들이 진출할 수 있는 분야에도 직무에 적합한 기능적인 능력과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였다. 이는 복수전공 제도를 활용함으로 전문성을 보완할 수 있으며, 다른 학문과의 융합을 통해 직무도 다양하게 파생될 수 있다. 연구의 해결방안으로 전공중심 체제를 통한 실용 교과목의 다양화가 요구되며, 전공교육과 관련한 복수전공 제도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이는 음악 비즈니스의 인적 자원을 전문화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직업에 맞는 개인의 직무 적응력을 높일 수 있다. 동시에 대학은 학생들의 전문성을 향상시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정보화 ․ 전문화로 다변화 되는 21세기 현대사회에 직업현장에서 필요한 전문가로 나아가기 위하여 이에 대응하는 학생들은 창의적인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며, 음악예술이 사회에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가를 고민하여야 한다. 또한 학교에서는 학생 자신의 미래를 스스로 볼 수 있는 안목들이 생길 수 있게 각 학생들의 재능을 발견하고 그 전문성을 구체적으로 배양하여 사회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교육과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guidance data for job selection of the music majors expecting advance to various social fields and the directions of creating new professions in music. There are not so many paths of career for most music college students to choose after graduation. They can't have much chance to get a job in thess society except for running their own music academy, being professional player or providing private lessons. The ensemble education, one of the subjects suitable for nurturing students appropriately for group activities is less emphasized and implemented in universities than needed, while the opportunity for being engaged in institutional activities such as choirs, ensembles and other group activities is much larger than that for individual activities. This should be regarded as a systematical problem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based on the comparison and the analysis of musical curriculum of seven universities, that increase of the ensemble curriculum to support the students to advance on various musical career fields is necessary. And the extension of the scope of the ensemble curriculum, changes in major performance examinations and in teaching methods, and formation of various concours for ensemble area are necessary. In addition, the double major system will have to be reinforced and effectively utilized to supplement student's capability, as areas other than major performance fields require musical knowledge and practical capability at same time. The convergence with other science areas would create possibilities of generation of new professional job categories. To achieve these, the diversification of practical curriculum subjects with the specialty subject system focused and activation of double major system must be achieved to effectively get the specialization of the human resource of music business and to enhance individual adaptation capability to the specific business area. It should be contemplated that how and in what aspect musical art can contribute to the information-oriented and specialty-oriented society in twenty-first century. And school should motivate the students to get transformed to think creatively and to become the experts whom society needs. In addition, the school should provide more programs necessary for nurturing student's capability to see individual future in a long-term perspective. The system of school should be transformed to nurture student's specialty more concretely by identifying student's talent and ability as early as possible and providing necessary education through the system organized for that purpose.

      • 대구․경북 무용전공 대학생의 교육과정에 대한 수업만족도 분석

        김은정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무용(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과과정, 지도자, 진로결정, 수업내용에 대해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경북 지역의 대학무용(학)과 여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배포된 설문지를 회수한 후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시키고, 분석 가능한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 시킨 후 통계프로그램 SPSS 18.0 이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을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문항내적합치도의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학년, 경력, 전공)에 따른 무용전공 대학생의 교육과정에 대한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Turkey 방법을 사용하였다. 학년과 경력, 전공과 학년에 따른 수업만족도의 차이분석을 위하여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첫째, 학년에 따른 수업만족도 차이분석 결과,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 교과과정에서는 저학년이 고학년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지도자와 진로결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내용에서는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수업만족도 차이분석 결과,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 지도자, 진로결정, 수업내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교과과정에서는 발레와 현대무용이 한국무용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경력에 따른 수업만족도 차이분석 결과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 교과과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도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진로결정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내용에서는 6년 미만이 6년 이상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전공과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전공에서는 발레와 현대무용이 한국무용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주 효과 학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전공과 학년에 따른 지도자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학년과 전공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공과 학년에 따른 진로결정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학년과 전공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전공과 학년에 따른 수업내용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학년과 전공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학년과 경력에 따른 교과과정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경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주 효과 학년에서는 저학년이 고학년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과 경력에 따른 지도자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경력과 학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학년과 경력에 따른 진로결정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경력과 학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학년과 경력에 따른 수업내용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주 효과 경력과 학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현재 대구․경북 지역의 무용전공 대학생의 교육과정을 잘 파악하여 수업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수업 방법 및 수업 내용의 다양성과 이론 및 실기교육의 수업이 요구되어 진다. 그리고 고학년은 진로결정의 시기이기 때문에 진로관련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무용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instructors, career decision, and course work, which are the subordinate factors of class satisfaction with the dance curriculum. To achieve this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department of dance in the Daegu Gyeongbuk region. As the data processing of this research,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fter excluding the ones inadequately prepared, were inputted into computer individually and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processing method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re as follow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for verification of validit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for verification of reliability of item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chool year, career, major),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for posteriori tests, the turkey method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school year and career, and major and school year, two-way ANOVA was conducted with the significance level being set as .05.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school year showed that in the curriculum which is the subordinate factor of class satisfaction, those in lower grad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upper grades, and in the instructors and career deci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ass work, those in lower grad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upper grades.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major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structors, career decision, and class work which are the subordinate factors of class satisfaction, and in the curriculum, ballet and modern da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Korean dance.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career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which is the subordinate factor of class satisfaction, and also in the instruct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In the class work, those who were less than 6 yea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were over 6 years. Fourth,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major and school yea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major, ballet and modern da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Korean dance, and in the main effect school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instructors according to major and school yea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school year and maj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according to major and school yea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school year and maj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class work according to major and school yea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school year and maj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ifth,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school year and caree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care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in the main effect school year, those in the lower grad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upper grades, and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instructors according to school year and caree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career and school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career decision according to school year and caree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career and school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results of conducting two-way ANOVA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class work according to school year and career showed that in the main effect career and school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lusion, the current curriculum of dance major university students in the Daegu and Gyeongbuk region should be well comprehended, and the diversity of teaching methods and class work to raise class satisfaction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skill education class are required. And researches on the ways to vitalize dance education,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career for the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who are in the period of career decision, should be made.

      • 교육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는 기혼여성의 학업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선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married women who were majoring in counseling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ree married women who were majoring in counseling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arrative inquir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It is an effective method of understanding the story of participants' experiences deeply. As the results of Narrative inquiry, it have found the meaning of different or similar experiences in the learning experience of the three researchers. Based on this research, text was constructed. In this study, main theme was identified from the participants' narratives: To start with enthusiasm and to become counselors, an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expectations, disappointment, conflict, despair, reflection, and growth. At last, the study discussed significance of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development of counselors, an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and follow-up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는 기혼여성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고 있는 기혼여성 세 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그들의 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내러티브 분석결과, 세 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경험에서 서로 다른 또는 유사한 경험들을 포괄하는 의미를 찾아냈으며, 이를 중심으로 연구 텍스트를 생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육대학원 상담을 전공하는 기혼여성의 학업 경험은 ‘열정으로 시작하여 상담자 되어가기’로 표현 될 수 있었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대, 실망, 갈등, 절망, 성찰, 성장의 경험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논의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의의, 상담자 발달 시사점,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