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과 온라인 학습에서 과정 중심 피드백 지원 방법과 유형에 관한 고찰

        신윤경 ( Shin¸ Yunkyung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1 No.-

        초등학교 수업 방식의 전환 속에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자의 교육평가 지원에 관한 중요성은 구체적인 방향과 전략을 필요로 한다. 코로나 19의 장기화로, 국어과 온라인 학습에서 개별 학생의 성장과 지원을 촉진하기 위한 학생 중심 평가의 패러다임에서, 과정 중심 피드백을 어떻게 지원할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온라인 학습에서 학생의 과정 중심 피드백의 정의와 지원 방법, 유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국어과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온라인 학습에서 과정 중심 피드백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온라인 학습이라는 특수한 학습의 상황, 맥락 등을 반영하여 과정 중심 피드백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즉각적인 피드백 강화, 목적지 피드백, 현 수준 피드백, 다음 단계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강화, 피드백의 전달 방법에 대한 전환 시도’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국어과 온라인 학습에서 효과적인 과정 중심 피드백 모형을 제시하여 체계적인 피드백 제공의 주안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proportion of face-to-face classes has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online classes at school sites has increased. In the midst of the cessation of face-to-face classes at school sites and the transition to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learners’ educational evalu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concern in the educational field. With the prolonged COVID-19 outbreak,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how to support process-oriented feedback during student-centered evaluation to promote individual student growth and support in Korean language online learning.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support method, and type of student’s process-oriented feedback in Korean language online learning were explored. To this en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online class were examined, and the direction of process-oriented feedback in online learning was suggested. As specific methods of feedback support, we proposed reinforcemen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to provide immediate feedback reinforcement, destination feedback, current level feedback, and next-level feedback, and an attempt to change the feedback delivery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providing systematic feedback by presenting an effective process-oriented feedback model in Korean language online learning.

      • 시를 활용한 창의성 교육 -초현실주의 수사법을 중심으로

        조윤경 ( Cho¸ Yunkyung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2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2 No.-

        Cet article a pour but d'analyser les caractéristiques de la rhétorique surréaliste conçue pour explorer systématiquement les zones de l'inconscient, du rêve et de l'imagination, et d’en proposer ensuite de possibles applications dans le programme pour la formation de la créativité. L'écriture automatique reflète le paysage de l'inconscient, oublié ou méconnu en dehors de cette pratique. Le message automatique se déroule au moyen de l'association libre, phonétiquement et sémantiquement. L’association libre diffère de la logique qui enchaîne d’un seul mouvement l'introduction à la conclusion. Les jeux surréalistes et les techniques de trouvaille poétique par le hasard permettent une découverte nouvelle des potentialités imprévisibles cachées dans l'homme, le langage et le monde. Parmi ces moyens, "le cadavre exquis" consiste à composer une phrase ou un dessin à plusieurs personnes, chacune ignorant ce que les autres écrivent ou dessinent. Quant au "jeu des définitions", il s'agit d’une construction à deux personnes, où l'une pose une question et l'autre donne une réponse mais sans connaître la question. En participant à ces jeux qui exaltent non pas la création consciente mais le plaisir de la découverte imprévue, les apprenants ont le plaisir de s'exprimer sans ressentir la douleur ou la contrainte qui accompagnent généralement la création. "La métaphore filée" surréaliste et la technique de l'analogie provoquent le merveilleux par l'union subite entre des objets disparates. Différente de la simple métaphore, la métaphore filée amplifie l'effet de l'étrangeté des tropes par le système de l'association dérivant de la première image. L'analogie, qui est, selon Breton, “fulgurance” ou “déclic”, fonctionne comme un tremplin de l'imagination : en nous permettant de saisir la ressemblance entre choses différentes, elle provoque un choc à nos vues conventionnelles. "L'un dans l'autre" est un jeu surréaliste créé sur le principe de l'analogie. Dans ce jeu, un joueur sorti de la pièce se métamorphose mentalement en un objet de son choix tandis que ses compagnons décident en son absence de le voir en un objet de leur choix commun. Ensuite, à travers le dialogue, à mesure que les deux objets, a priori différents, se superposent, les participants font l'expérience de la philosophie surréaliste, celle de l'immanence : dans l'un on peut trouver l'autre, et réciproquement. Dans un programme de développement de la créativité, on peut créer une métaphore filée et jouer l'un dans l'autre. Par cette activité, on peut entraîner la pensée convergente ainsi que la pensée divergente. À travers le mécanisme de l'analogie, outil efficace pour la transformation, les apprenants peuvent découvrir la nouveauté dans ce qui est habituel et se familiariser avec l'étrangeté. Ils développent ainsi la souplesse et l'originalité de leurs pensées. Le jeu de langage surréaliste renverse l'ordre du logos en poétisant le principe de la contradiction ou le paradoxe. La poésie de Robert Desnos, notamment, change les catégories ou l'ordre des mots, ou bien substitue à des mots certains antonymes ou homonymes ; elle détruit ainsi méthodiquement la grammaire. Par une telle écriture, les apprenants peuvent développer leur capacité créative consistant à transformer le monde. Les surréalistes étaient eux-mêmes découvreurs et explorateurs du merveilleux. Les figures de rhétorique surréalistes permettent aux apprenants de déployer leur imagination et de multiplier leurs expérimentations sans ressentir le fardeau de la création. En maîtrisant la rhétorique surréaliste, ils peuvent apprendre à regarder le monde d'un point de vue différent et à le réinventer à leur gré.

      • KCI등재

        크베타 파코브스카(Květa Pacovská) 그림책의 실험적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김윤경 ( Kim¸ Yun Ky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4

        본 논문은 크베타 파코브스카(Květa Pacovská)의 그림책에 나타난 실험적 표현기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크베타 파코브스카 그림책의 스타일과 미학적 표현을 이해하기 위해 파울 클레(Paul Klee)의 작품들과 크베타 파코브스카 그림책의 조형 세계를 비교 분석하여 논문을 전개할 것이며, 파울 클레의 작품들의 조형원리와 음악적 이미지를 통해 크베타 파코브스카 그림책과 파울 클레의 작품의 연관성을 찾는 것이 주된 연구의 목적이다. 작가의 내적 탐구에서 비롯된 근원적 사고로부터 형성된 구조화된 조형과 색채, 선 그리고 운동과 리듬은 파울 클레 작품의 작품과 크베타 파코브스카 그림책에서 동시에 발견할 수 있는 요소들이다. 두 작가의 공통적인 조형미와 시각적 구성방식을 분석하기 위해 크베타 파코브스카 그림책 『모양놀이』, 『요일놀이』, 『성냥팔이 소녀』 세 작품과 파울 클레의 작품 「새로운 하모니」, 「보름달의 불」, 「지저귀는 기계」 등을 중심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기하학적인 형태의 실험적 화면구성기법, 강렬한 색채표현의 입체적 조형미, 리드미컬한 선과 운동감의 시각화의 세 가지 분류를 바탕으로 전개한다. 서론에서 보이지 않은 의미세계의 본질을 찾고자하는 파울 클레의 예술론이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이론과 만나는 점에 주목하여 2장에서 메를로퐁티의 미술이론을 바탕으로 파울 클레의 작품에 대해 논의하고 3장에서 크베타 파코브스카 그림책의 추상적 표현형식에 대해 다룰 것이다. 파울 클레의 사각형, 색과 선이 음악적 리듬과 결합한 지점을 중심으로 크베타 파코브스카의 그림책들에서 나타나는 음악의 시각적 이미지들을 연구할 것이다. 공감각적 특징을 활용하여 그림책의 표현 영역을 확장하고 다양한 재료와 실험적인 화면 기법을 시도한 대표적 그림책 작가 크베타 파코브스카의 작품들을 분석하는 것은 빠르게 변화하는 동시대의 시각예술 문화 현상 속에 그림책의 미학적 가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experimental expression technique shown in Květa Pacovská's picture book. To understand the style and aesthetic expression of Květa Pacovská's picture books, this paper will be developed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works of Paul Klee and Květa Pacovská's picture book. Through the formative principles and musical images of Paul Klee's works, we try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Květa Pacovská's picture book and Paul Klee's works. The structured form, color, line, movement and rhythm formed from the original thought stemming from the artist's inner exploration are elements that can be found simultaneously in the works of Paul Klee and the picture books of Květa Pacovská. In order to analyze the common formative beauty and visual composition of the two artists, three works of Květa Pacovská's picture books, 『Rund und eckig』, 『Rotrothorn』, 『The Little Match Girl』 nd Paul Klee's works 『New Harmony』, 『Fire of the Full Moon』, 『Tweaking Machine』. The research method is developed based on three classifications: an experimental frame composition technique in a geometric form, a three-dimensional formative beauty of intense color expression, and a visualization of rhythmic lines and movement. First, the point where Klee's art theory, which seeks to find the essence of the meaning world invisible in the introduction, meets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theory. In Chapter 2, Paul Klee's work will be discussed based on Merleau-Ponty's art theory, and in Chapter 3, we will deal with the abstract expression form of Květa Pacovská picture book. Focusing on Paul Klee's square, the point where color and line are combined with musical rhythm, visual images of music appearing in Květa Pacovská's picture books will be studied. Analyzing the works of Květa Pacovská, a representative picture book writer who expanded the expression of picture books using features of synesthesia and tried various materials and experimental screen techniques, is the aesthetic value of picture books in the rapidly changing contemporary visual art culture.

      • KCI등재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신윤경 ( Shin¸ Yun-kyung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7

        이 연구는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매체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인권 감수성의 개념을 고찰하였으며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가 함양해야 하는 인권 감수성의구성 요소가 담고 있어야 하는 세 가지 능력을 밝혔다. 이 능력은 디지털 상황맥락 인식하기,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도덕적 민감성으로 접근하기, 정보윤리 실천 의지를 다지고, 인권 이슈에 대한 책임감 지니기로 명명하였다. 본고에서는 배리 베이어(Barry K. Beyer)의 열 가지 비판적 사고 기능을 중심으로 디지털 매체 읽기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특징으로는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해 정보인권지수를 높일 수 있는 디지털 매체 읽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매체 읽기 교수·학습 모형은 글레이저(Glaser)의 교수·학습 모형을 준용하여, 각 세부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수업 목표는 인터넷 읽기 상황에서 인권 관련 상황과 디지털 맥락을 인식하고, 타인과 올바르게 소통·공감하며 도덕적 민감성을 실현하며 읽는 능력과 책임감, 실천 지향적인 인권 감수성을 함양하는 것에 두었다. 특히, 교수·학습 절차는1) 사회문화적 상황 접근 단계, 2) 타인의 정서 분석 단계, 3) 도덕적 민감성종합 단계, 4) 인권 감수성 성찰 단계로 명명하여 세부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 독서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a digital medium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improve readers’ sensitivity to human rights in a digital medium reading environment. To this end, the concept of sensitivity to human rights sensibility was reviewed, revealing the three components of sensibility to human rights that readers should cultivate in a digital medium reading environment. These components were termed recognizing the context of a digital context, recognizing the emotions of others and approaching them with moral sensitivity, strengthening one’s will to practice information ethics, and taking responsibility for human rights issues. In this paper, the direction of reading digital media was explored, focusing on the ten critical thinking skills defined by Barry K. Beyer. As a feature, it was suggested that digital media readi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the human rights index of information to improve readers’ sensitivity to human rights. For the digital media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improve readers’ human rights sensibilities, each detailed component was derived using Glaser’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objectives of the class were the following: recognize human rights-relatedsituations and digital contexts in an internet reading situation; correctly communicate and empathize with others; realize moral sensitivity; and cultivate reading ability, responsibility, and action-oriented sensitivity to human rights. In particular,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es were termed as follows: 1) the socio-cultural situation approach stage, 2) the emotional analysis of others stage, 3) the moral sensitivity synthesis stage, and 4) the sensitivity to human rights reflection stage. Detailed contents of each concept are presented within this paper. Through this discussion, an education plan for improving readers’ sensitivity to human rights in a digital medium reading environment was proposed; this plan should be pursued regarding reading education.

      • KCI등재

        Comparison of Speech Motor Function,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Palatine Tonsil Hypertrophy: A Follow-Up 7 Months after Tonsillectomy

        Yunkyung Song(송윤경)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4

        배경 및 목적: 1차 연구에서 구개편도비대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하여 길항반복운동 소요시간이 더 길고, 자음정확도가 더 낮으며, 음운변동을 더 다양하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도절제술 6주 후 결과에서도 자음정확도와 음운변동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이에 술 후 7개월이 흐른 후 이 변인들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보았다. 방법: 초기 평가 7개월 후, 선행연구에 참여하였던 구개편도비대 아동 27명과 일반 아동 29명을 대상으로 길항반복운동과 아동용 발음평가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평가 결과, 여전히 지체된 자음정확도를 보인 아동 세 명을 대상으로 조음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편도절제술 7개월 후 아동들은 길항반복운동 소요시간, 자음정확도, 음운변동에서 일반 아동들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음 치료 후 두 명의 아동은 개선을 보였으나, 한 명의 아동은 개선을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편도절제술 후 7개월이면 구개편도비대 아동은 일반 아동의 수준을 따라잡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개별적인 특성상 이 시기에도 지체된 아동이 있으며, 치료 후 특성도 개인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구개편도비대가 말소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편도절제술 후에도 일부 지속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편도절제술 시기 및 조음 치료의 필요성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Objectives: In a previous study, the diadochokinesis (DDK) and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PCC) of children with palatine tonsil hypertrophy (T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nd the number of children who produced phonological processes (P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 than in T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PCC and PP at 6 weeks after tonsillectom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alues (DDK, PCC, PP) in children 7 months after tonsillectomy (AT) and TD. Methods: Twenty-seven AT and 29 TD were measured for DDK and the 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for Children (APAC). An independent t-test and χ2-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ree children who had lower PCC than their peer group were given individual speech therap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DK, PCC, and PP between AT and TD. Except for one child, the children improved in PCC and PP after speech therapy.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AT can catch up with TD. But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mprovement of PCC and PP at 7 months after tonsillectomy and after speech therapy. It is necessary for a follow-up study to examine the timing of tonsillectomy and necessity of speech therapy after tonsillect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