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공간계획 수립을 위한 방문밀집도 및 중점관리지역 규명: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김윤정,김충기,김강선,Kim, Yoonjung,Kim, Choongki,Kim, Gangsun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0 환경영향평가 Vol.29 No.2

        해양공간계획은 생태계서비스 개념에 기초하며 최근 연안 및 해양지역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책개발자는 해양공간계획 개념에 기반을 둔 의사결정을 위해 각 해역별 자원의 이용현황과 그 특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해변관광은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자원 이용활동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활동이며 다수의 문화서비스 수혜를 유도하여 중요하다. 그러나 해변관광의 규모와 방문현황의 공간적 특성을 광역단위로 평가할 수 있는 정보가 부재하며, 현장조사의 경우 높은 비용과 노동력이 요구되어 적용이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신규 대안으로 소셜 빅데이터의 해양공간계획 적용방안을 제안하고 트위터, 플리커 정보에 기초한 중점관리지역 도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남해 연안육역 일대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소셜미디어에서 추출한 플리커, 트위터 정보를 대상으로 과다추정 방지 전처리, 적합 격자단위 규명 과정을 통해 광역단위 방문밀집도를 도출하였다. 더불어 공간통계분석 및 밀도분석을 통해 남해 일대의 집중관리가 필요한 연안육역 구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점관리구역, 보전구역 지정 등 해양공간계획의 수립과정에서 해변관광 및 문화서비스 규모의 고려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Marine Spatial Planning is an emerging strategy that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at coastal and marine areas based on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Regarding its methodology, usage rate of resources and its impac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spatial planning.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rapid increase of coastal tourism, visitation pattern is required to be identified across coastal areas. However, actions to quantify visitation pattern have been limited due to its required high cost and labor for conducting extensive field-stud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pose the usage of social big data in Marine Spatial Planning to identify spatial visitation density and critical management zone throughout coastal areas. We suggested the usage of GPS information from Flickr and Twitter, and evaluated the critical management zone by applying spatial statistics and density analysis. This study's results clearly showed the coastal areas having relatively high visitors in the southern sea of South Korea. Applied Flickr and Twitter information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field data, when proxy excluding over-estimation was applied and appropriate grid-scale was identified in assessment approach. Overall, this study offers insights to use social big data in Marine Spatial Planning for reflecting size and usage rate of coastal tourism, which can be used to designate conservation area and critical zones forintensive management to promote constant supply of cultural services.

      • 모델 단순화를 위한 오차 측정 방법

        김윤정,이병욱,Kim Yoonjung,Lee Byung-Uk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2 No.6

        이동 통신이나 인터넷 채널과 같이 전송용량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3차원 물체에 그래픽의 사용이 빈번해 지면서 3차원 모델을 단순화시켜야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삼각형으로 표현된 3차원 물체의 표면을 단순화시키는 경우, 3차원 공간에서의 꼭지점들 중에서 제일 가까운 점 두 개를 선택하여 반복적으로 데이터를 줄여가는 vertex contraction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단순화 된 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단순화시 발생하는 오차를 계산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오차 계산법을 제시하여 원 모델과의 오차가 작게 단순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3차원 모델 데이터에 적용하여 실제 개선결과를 확인한다. Simplification of 3D models is becoming necessary with popularity of 3D graphics over mobile or the internet channels with limited channel capacity. Surfaces of a 3D model are usually approximated by a series of triangular meshes, and vertex contraction method is employed widely to minimize the deviation from the original model. Determination of the best position after contraction depends on the calculation of simplification error. We propose a new measure for computing the error so that the simplified model represents the original faithfully. We demonstrate the improved results with real 3D models.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예측모형 구축 : 외상 후 스트레스 예측모형

        김윤정(Yoonjung Kim),배정이(Jeongyee Ba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5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설명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외상성 사건의 경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었다. 이 중 직무스트레스는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가장 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변수로 밝혀졌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외상 후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대처방식을 거쳐서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따라서 소방공무원의 외상성 사건의 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로 이행되는 것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대처전략을 향상시켜 외상성 사건의 경험에 의한 충격을 적절히 해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조직 내 친화성을 기반으로 직무스트레스를 경감하고 적절한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키는 전략개발과 제도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post-traumatic stress (PTS) of firefighters by developing a hypothetical model based on the stress-coping-adaptation model and applying it to the PTS of firefighters.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December 1-31, 2016 from 136 firefighters working in three fire stations in G province of Korea and analyzed using SPSS/WIN 21.0 and AMOS 21.0 programs. The fitness of the modified model was improved as X²/DF=1.56, RMSEA=.01, GFI=.99, AGFI=.99, CFI=.99, IFI=.99 and NFI=.99. In the modified model, the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directly affecting the PTS of firefighters were in the order of job-related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while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on PTS through coping strategies. In order to prevent and manage the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of firefighters with PTS, coping strategies should be improved to properly handle the traumatic experiences.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develop strategies and systems to reduce job-related stress and strengthe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based on the affinity of the organiz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캐나다 이민자의 삶의 질 관련요인

        김윤정(Yoonjung Kim),배정이(Jeongyee Ba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는 이민 한국인의 삶의 질 정도를 알아보고,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386명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외 6개 항목으로 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이민자들의 삶의 질은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가족응집력과는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우울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민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예측하기 위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 우울 및 사회적지지가 캐나다 한인 이민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는 삶의 질을 29.0% 설명하였다. 이들 연구를 토대로 캐나다 한인 이민자들의 삶의 질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며 나아가 이민자들의 삶의 질을 위협하는 문제들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민자 개인과 가족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이민국 관련 부서의 총체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에서 상호 협력할 수 있는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immigrants in Canada.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386 people in Canada (Vancouver and Toronto). The data collected was SPSS 17.0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as analyzed. Quality of lif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ollowing variables: self-esteem (r=?.43, p<.001), social support (r=?.38, p<.001), and family cohesion (r=?.20, p<.001).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following variables: depression (r=.44, p<.001).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predicting variables to quality of life showed that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self-esteem (β=?.19, p=.001), depression (β=.32, p<.001), and social support (β=?.22, p<.001) influence on to quality of life of Korean immigrants in Canada. Quality of life was accounted for 29.0% of variance by these factors. This result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at the following socio-demographic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quality of life: marital state, immigration life satisfaction and physical health status. Thus, the most effective promotion of quality of life must focus on improving immigration life satisfaction, physical health status,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prevention of depression. By addressing the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and comparing each influenc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designing an appropriate prevention strategy in further improve immigrants stress. (Korean J Str Res 2010;18:363∼370)

      • 성년후견제도의 운영에 관한 연구

        김윤정 ( Kim Yoonjung ),김정환,안문희,서용성 사법정책연구원 2017 연구보고서 Vol.2017 No.5

        사람의 행위능력을 일률적으로 제한하던 한정치산·금치산제도가 폐지되고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고 현존능력을 존중한다는 이념을 실현하기 위하여 성년후견제도가 도입된 지 4년이 지났다. 성년후견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하여 여러 기관이 후견인의 양성 및 교육 등에 힘써오고 있으나 성년후견제도 지원 기능을 총괄하는 시스템의 부재, 공공후견제도의 제한적 이용, 유관기관의 이해 부족 등으로 성년후견제도가 원활하게 운영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성년후견제도는 후견인의 양성, 교육부터 시작하여 후견인의 선임, 후견인을 위한 지원, 후견감독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어느 한 단계에서라도 적절하게 시스템이 가동되지 않으면 부적절한 후견인이 선임되고 그 후 후견감독에까지 문제가 생기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성년후견제도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는 전반적인 시스템을 관장하고, 유관기관과의 협업을 이끌어내며, 성년후견과 관련된 정보가 집중되고 축적되어 관리될 수 있는 ‘지원 조직’ 또는 ‘지원 역할의 수행’이 매우 중요하고 필요하다. 성년후견제도를 우리보다 앞서 도입한 나라들은, 후견인을 선임하는 기관과 별도의 ‘지원 조직’으로 후견청을 가지고 있는 나라와 후견청을 가지고 있지는 아니하나 여러 기관들이 ‘지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나라로 나눌 수 있다. 즉 나라마다 성년후견제도를 지원하는 태양이 다르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보다 먼저 성년후견제도를 도입한 국가들의 상황을 참고하여, 후견인 양성과 교육, 후견인 선임, 후견인의 업무 수행, 성년후견제도 지원, 후견감독 시스템 등 전반적인 성년후견제도의 운영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장에서 실현 가능하면서도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법원 관계자, 성년후견 관련 전문직 종사자, 후견법인이나 후견 관련 단체 등 관계기관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다만 이 연구는 성년후견제도의 운영상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통계나 운영의 결과물이 쌓인 법정후견제도의 운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성년후견제도의 이념을 실현하는 측면에서 임의후견제도의 운영 상황을 분석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과제일 것이나 현재까지 운영의 결과물이나 통계 등이 비교적 부족하므로 임의후견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앞으로 고령화가 더욱 급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성년후견제도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는 법원이나 정부뿐만 아니라 전문가단체, 민간단체에 이르기까지 협업을 이끌어내는 동력이 필요하고, 성년후견제도와 관련된 사회적 기반을 더욱 충실히 다지는 노력도 함께 더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방안들이 심도 있게 검토되어 성년후견제도가 이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안전하면서도 도움이 되는 제도로 정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our years have passed since Korea's incompetent/quasi-incompetent system― mechanisms that uniformly restricted a protected person’s capacity to act regardless of individual differences―was substituted by the adoption of an adult guardianship system. The aim of this new system was to enhanc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by respecting an individual’s residual capacity; however, despite several competent organizations' efforts in training and educating guardians for the successful operations of the new system, there is still much to be desired. In particular, it has been noted that there is no effective supporting institution to supervise the entire process of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and that there is a lack of effectiv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guardian-related institutions. Since each process (e.g., training, appointing, supporting, and monitoring adult guardians) of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is closely connected, if any one process is not properly implemented, then the entire operation of the system is negatively affected.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establish a supporting institution or system that can effectively supervise the entire operation of the system, build a cooper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vant authorities, and provide an information center where all related information is assembled, stored and managed. This research conducts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of different countries that adopted and employed adult guardianship systems to see how those countries have developed supporting institutions or systems for effectively training, appointing, supporting and monitoring adult guardians. Based on this comparative analysis, this research offers suggestions for improving Korea's management of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In order to provide practical and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this research includes an analysis of interviews with experts including judges, court officials, and various professionals from guardian-related institutions. It is, however, important to note that this research mainly examines issues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court-appointed (involuntary) adult guardianship system, and the question as to how we could encourage the use of voluntary guardianship contract that goes beyond the scope of this research. As Korea is rapidly becoming an aging society, national interest in adult guardianship will be rising. For devising a better way to successfully operate an adult guardianship system,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build a partnership between courts, the government, expert groups and private organizations to improve social infrastructure. This research hopes to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current practice of Korea's adult guardianship system and thereby help lead to meaningful improvements that provide adults who need guardianship service with a safe and trustworthy system.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 소통의 의미 - 독일 이주노동자의 미디어 활용사례에 관한 문화분석

        김윤정 ( Kim Yoonjung ) 한국브레히트학회 2021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 No.45

        본 논문은 다문화사회에서 소통의 의미를, 독일 이주노동자의 미디어 활용 사례에 대한 문화분석 Kulturanalyse을 통해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의례적 관점의 소통이라는 제임스 캐리 James Carey의 개념이 다문화사회에서 문화다양성의 복원과 보존을 모색하기 위한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는 소통 모델임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전체 연구를 관통하는 주요 방법론인 문화분석을 소개한다. 독일어권 문화학의 주요 연구 방법론인 문화분석의 특징과 의미를, 1970년부터 시작된 독일 문화학의 변환기라는 학문사의 맥락에서 밝힌다. 이를 통해 문화분석이라는 연구 방법론이 어떤 점에서 다문화사회에서의 소통의 의미를 탐구하는데 유용한 관점을 제시하는지 살피고자 한다. 이어지는 본문에서는 본 연구가 동원하고 있는 일련의 이론적 논의들을 소개한다. 기존의 주류 미디어 연구에서 간과된 요소들을 보충하는 대안적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문화학의 미디어 이론들을 개괄함으로써, 본 연구가 다문화사회의 소통의 의미를 어떤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는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상에서 수행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마지막 장에서는 독일 이주노동자의 미디어 활용이라는 경험적 사례의 한 단면을 분석한다. 독일 바이에른 주의 커뮤니티 미디어 라디오 방송국에서 방송을 직접 제작, 진행하는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심층인터뷰, 참여관찰, 현장노트 등의 일부를 제시함을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소통의 의미를 재구성한다. Der Beitrag untersucht die Bedeutungen von Kommunikation in einer multikulturellen Gesellschaft. Am ausgewählten empirischen Fallbeispiel der Medien nutzung von Migranten in Deutschland versucht dieser Beitrag Sinnstrukturen und Deutungen der Kommunikation in Alltagssituationen und -beziehungen zu rekonstruieren. In traditionellen Kommunikationsforschungen zu diesem Thema richtet sich das Hauptaugenmerk in der Regel auf die Funktion und Nutzung der Medien. Dabei bleibt die kulturwissenschaftliche Betrachtungsweise in vielen Forschungsfällen ausgeblendet. Anhand der Kulturanalyse wird zunächst der theoretische Teil der Arbeit im kulturwissenschaftlichen Kontext verortet und die empirische Vorgehensweise vorgestellt. Als Methoden zur empirischen Forschungen wurden Feldforschung, teilnehmende Beobachtung und narrative Interviews sowie Feldnotizen in den Mittelpunkt gestellt. Zum Schluss werden die empirischen Befunde im Bezug auf die theoretischen Diskussionen insbesondere auf die rituelle Sichtweise von Kommunikation erläutert.

      • KCI등재

        외상경험 횟수와 코로나19 사건충격의 관계에서 코로나19 이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대구지역 여성을 중심으로

        김윤정 ( Yoonjung Kim ),박규리 ( Gyuree Park ),김정원 ( Jungwon Kim ),이승호 ( Seungho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경험 횟수와 코로나19 사건충격의 관계에서 코로나19 이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대구에서 거주하는 외상 유경험자 26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외상경험 횟수를 묻는 질문지, 코로나19 사건 발생 이전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는 스트레스 반응척도, 코로나19 사건에 대한 충격 정도를 측정하는 한국판 사건충격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코로나19 이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코로나19 이전의 스트레스 정도가 외상경험 횟수와 코로나19 사건충격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코로나19 사건충격에 미치는 외상경험 횟수의 영향은 코로나19 사건을 경험하기 이전의 스트레스 상태를 완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친다. 이는 코로나19 사건과 같은 사회적 재난의 대처는 스트레스 관리 맥락에서 연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re-COVID 19 stress between the number of trauma experiences and the incident impact of COVID 19. This study measured the number of trauma experiences, the pre-COVID 19 stress, and the impact on COVID 19 in 262 women with trauma experiences living in Daegu.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e-COVID 19 stress fully mediated between the number of trauma experiences and the incident impact of COVID 19. This suggests that coping with social disasters such as COVID 19 should be studied in the context of stress management.

      • 시민과학의 자연환경조사 적용방안 연구

        김윤정 ( Yoonjung Kim ),이현우 ( Hyunwoo Lee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6 No.-

        우리나라는 자연환경조사에서 시민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한국생물다양성네트워크(K-BON)를 수립하고 『제3차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16-2025)』에 시민참여 자연환경 측정망 500개소를 구축할 것을 명시한 바 있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시민참여 자연환경조사 자료가 GBIF에 다량 게시되는 것과 달리 국내 시민참여 자연환경조사 자료의 양과 질은 아직 미흡하여 활성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시민과학의 자연환경조사 적용방안에 대하여 국제적 우수 사례 대비 국내 현황을 진단하고 활성화 및 활용 방안을 이론적으로 고찰한 연구 사례가 없어 관련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자연환경조사에서의 시민참여를 증진하기 위해 시민과학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해 국외 우수 사례의 시민과학 발전요인을 분석하고 국내 현황에 따른 시민과학 적용 유형의 도입방안 및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국외 우수 사례의 분석 결과, 시민과학의 발전요인으로 크게 4가지 요인을 들 수 있다. 먼저 기존에 자발적으로 자연환경조사에 참여하던 아마추어 과학자의 조사활동이 자연환경 조사 NGO로 확장되고 더 나아가 대중적인 일반 국민의 참여를 이끌어낸 바 있다. 즉, 자발적 자연환경조사 기반은 각 환경 관련 NGO의 설립과 단체 간 네트워킹으로 구축되었으며, 단체 간 공동 모니터링 및 교육활동 수행, 온라인상 자율적 정보 공개 및 교류는 기존 소수의 준전문가가 개별적으로 수행하던 조사를 대중적인 참여로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일반 국민의 유용한 생물동정을 위하여 ICT 기술을 활용한 각종 모바일 생물동정 앱, 웹 페이지가 개발된 바 있으며, 본 ICT 기술의 활용으로 대중적 생물다양성 모니터링이 가능해졌다고 판단된다. 더불어 ICT 기술의 도입에 따라 기존에 종이 대장으로 기록되던 생물종의 종출현 정보를 온라인 플랫폼상에서 공유할 수 있게 되어 각 단체 또는 개인의 자연환경조사 자료가 종합·공유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시민과학 활동 확장에 기여하였다. 셋째, 국가 자연환경조사에 시민참여를 도모하고 이를 위해 전문가의 과학기술적 지원아래 조사지점 및 조사 가이드라인이 구축된 바 있다. 특히 시민참여로 생성된 조사자료는 자료의 신뢰도와 일관성이 낮은 경우가 많아 국가적 정책자료로 활용되기에 부적합한 경우가 많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전문가의 개입하에 조사지점 및 조사 항목의 구축 시, 조사 난이도를 고려한 일관성 있는 조사체계를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민참여 조사활동은 그 조사 범위가 주로 거주·생활지역에서 인접한 지역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 일본, 호주 등은 지역 내 생태적 특징을 고려하여 지역단위의 조사활동을 장려하며 일본은 이를 위해 「지역의 다양한 주체의 연계에 의한 생물다양성 보전활동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한 바 있다. 결과적으로, 상위 4가지 발전요인을 통해 일부 아마추어 과학자, 지역 학자 등에 의해 분산되어 수행되어 오던 자연환경조사 활동이 대중적으로 확산되고 국가 및 국제적 생물다양성 정보로 활용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사료된다. 국내 현황의 조사 결과, 국내 자발적 자연환경조사의 기반이 될 수 있는 환경 관련 NGO 활동은 주로 거주·생활지역, 지역 내 중요 목표종을 대상으로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조사단체의 조사빈도, 조사범위는 전문조사자와 견줄만하나 조사결과의 공유, 조사단체 간 자료연계 및 공공정보로의 활용이 희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불어 시민참여를 대중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모바일 기반 생물동정 앱 등 ICT 지원도구의 부재로 준전문가 또는 전문가의 교육 없이 국내 비전문가가 자발적 생물동정을 원활히 수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3차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16-2025)』에 의해 국민참여 자연환경측정망 500개소가 구축되어야 하나 상기 내용이 진행된 바 없어 현재 국가적 시민참여 모니터링 지점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생물다양성전략` 수립 시, 시민참여 자연환경조사를 수행할 것을 명시한 바 있으나 전략의 수립 및 초기 시행 단계여서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시민참여 조사활동의 확산을 위한 지역조사지점 구축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민참여 자연환경조사체계 구축사례인 일본의 `모니터링 1000 사이트`를 대상으로 참여난이도에 따른 시민과학 도입 유형을 분석하고 자연환경조사에서의 시민참여 도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니터링 1000 사이트`에서의 준전문가, 비전문가의 조사활동이 주로 2차 자연(사토치-사토야마) 즉, 생활반경 내 접근성이 높은 도시지역과 지역 내 중요한 목표종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것에 주목하였으며 전문성·집약도에 따른 각 참여유형별 시민과학 적용 유형을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국내 시민참여 조사측 정망은 준전문가-전문가의 지원하에 수행되는 일회성 바이오블리츠, 생물동정 앱을 활용한 나비, 조류 등 동정 난도가 낮은 자발적 종 조사, 세부목표(목표종, 목표생태계)에 대한 지식을 함유한 집약적 시민참여 조사의 형태를 고려하여 구축될 필요가 있으며 주로 거주·생활지역, 접근성이 좋은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각 도시공원 관리소, 지방자치단체, 정부부처의 수요를 고려하여 조사지점의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목표종 및 목표생태계를 대상으로 기존에 진행되어오던 국내 환경 관련 민간단체의 조사활동 중 지방자치단체 및 정부의 자연환경보전정책에 활용될 수 있는 조사항목을 규명하고 본 조사활동을 일반 국민의 대중적 참여로 확장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생물다양성전략 개발 및 시행과 연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시민과학의 자연환경조사 적용은 기존에 각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자연환경조사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주요 방안으로 인식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생물다양성 인식 증진을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As there is a global need to enhance quantity and quality of data on species and diverse ecosystem, citizen science become major tool to be adopted in natural environment survey. That is, citizen science, the scientific activities involving citizens, is a theme that can raise participation of citizens including amateurs and non-expert into biodiversity monitoring. Recently, GBIF`s accumulated data illustrated the fact that citizen science was one of the major tool that boost monitoring activities for biodiversity. However, national implementation of citizen science is still at an early stag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can facilitate citizen science including citizen network to promote sustainable voluntary survey, implementation of ICT, and utilization citizen science in national survey. Through comparing the best practices of such factors and national status, this study aims to pose gaps and priorities on national implementation, and develop strategies to adopt citizen science. Through investigating national circumstances to adopt citizen science, this study discovered that quantities of NGOs, that involved in monitoring on species and ecosystem, were quite sufficient. 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promoting co-survey and sharing of data was not yet activated compared to BRC`s case. Furthermore, utilization of ICT was also at an early development stage. In specific, more than 90% of investigated NGOs was not accumulating the data through the online platform or geographical form. As such, geographical analyzation and use of data, produced through participation of citizens, were not activated in national ecological studies. Moreover, it was clear that bias of data could be reduced, when experts participate at the design stage of the project. Hence, to suggest application strategies, this study assesses the `monitoring 1000 site` in Japan to analyze implementation strategies on crowdsourced data. To conclude,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that can be adopted in national ecological survey. Furthermore, it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data management,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public and private domain.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mote broader participation of non-experts and amateurs among national surveys on biod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