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정법을 이용한 치과치료 시 편도선의 크기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현지,백광우,마연주,정영정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진정법을 이용한 치과치료에서 소아환자의 편도선 크기가 진정법 중 환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진정법으로 치과치료를 받은 소아환자 35명의 진정기록지를 분석하였다. 진정법은 chloral hydrate 50 mg/kg, hydroxyzine 1 mg/kg를 경구투여하고, 치료 중 50% 아산화질소-산소 흡입 진정 및 필요에 따라 midazolam의 점막하투여(0~0.3 mg/kg)를 병행하는 방법으로 시행되었으며, 편도선의 크기는 Brodsky 분류법을 이용하여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환자의 진정 기록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진정법 중 행동 반응은 수면, 움직임, 울음, 전반적 행동 모두에서 편도선 크기가 클수록 낮은 지수(negative behavior)를 보였다(p<0.05). 2. 편도선의 크기는 진정법 중 구호흡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나(p<0.05), 진정법 중 코골이, 기침과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3. 편도선의 크기가 큰 환자일수록 midazolam의 점막하투여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hildren's tonsil size on the behavior during pediatric dental sedation. The sedation records of thirty five children were examined in this study. All the sedations had been performed using chloral hydrate/hydroxyzine, nitrous oxide/oxygen or/and submucosal midazolam,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tonsil size using Brodsky's tonsil classif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atients with enlarged tonsils showed negative behaviors in all behavior rating aspects(sleep, movement, crying, overall behavior) during sedation than those with normal tonsils(p<0.05). 2. Enlarged tonsils were correlated with mouth breathing(p<0.05) but not with snoring and coughing(p>0.05) during sedation. 3. For the patients with enlarged tonsils, significantly higher doses of midazolam were administered during sedation than for those with normal tonsils(p<0.05).

      • KCI등재

        하악 절치부에 발생한 과잉치

        마연주,이제호,송제선,최병재,김성오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4

        소아치과 영역에서 치아수의 이상은 흔히 관찰할 수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의 하나가 과잉치이다. 과잉치의 발생원인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가설이 있으며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치배 형성기의 정상 치판이 과도하게 증식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잉치가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부위는 상악에서는 절치부로 그 빈도는 80-94% 정도로 보고되고 있고 그 다음으로는 구치부와 소구치부 순서로 나타난다. 상악에 비해 하악에서는 대부분 소구치 부위에서 발생되며 절치부에서는 전체 과잉치 발생빈도 중 단지 1-2% 이하로 매우 낮은 빈도로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증례는 드물게 나타나는 하악 절치부에 2개의 과잉치가 있다는 주소로 내원한 만 6세 남아에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하악 절치부에 정상치와 크기와 형태가 비슷한 정상치형의 과잉치 2개를 포함하여 6개의 절치가 존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발치할 치아의 정확한 진단 및 결정을 위해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고 발치 후 하악 전치부의 정상적인 배열을 위해 치아 맹출에 대한 주기적 정기 검진 후 교정적 평가와 치료를 진행할 예정이다. Pediatric dentists often meet children with abnormal in number of tooth. Presence of supernumerary teeth is frequent cause of malocclusion. Etiology for supernumerary teeth is not yet clearly defined, but it is thought to be caused by excessive proliferation of dental lamina by hereditary and environmental factors. Supernumerary teeth occur in the maxilla nine times more frequently than in the mandible. Most common supernumerary tooth is the mesiodens in the maxilla, and some are observed in the maxillary molar and mandibular premolar. It occurs rarely in the mandibular incisor region with the incidence of 1-2% among all supernumerary teeth. A six-year old boy visited the department of the pediatric dentistry,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with the chief complaint of crowded supernumerary teeth on the mandibular incisor region.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revealed six permanent mandibular incisors similar in size, shape, and length. Further investigation using computed tomography(CT) was proceeded on the mandible to measure and compare morphologic features and positions of the six incisors. Then, we decided to remove two incisors which were already erupted. Periodic check-up was followed to monitor the dental development and spontaneous positional enhancement of the remaining four incisors in the mandible.

      • KCI등재

        설측으로 수평 맹출한 하악 측절치의 교정적 견인

        김성오,마연주,손흥규,최병재,이제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1

        Tooth eruption is the movement of the tooth from the developing place in the alveolar bone to the functional position in the oral cavity. The permanent incisors originate from the dental lamina on the lingual side of preceding deciduous tooth and erupt to the level of the occlusion through the well developed gubernacular cord. Ectopic eruption is a developmental disturbance in the eruption pattern of the permanent dentition. Most of the ectopically erupted lower incisor has been found in lingual side. The ectopically erupted tooth could be repositioned by orthodontic force in the early mixed dentition, which could help preventing the problems of loss of space and the lingual tilting of the lower anterior teeth. An eight-year-old girl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Yonsei Dental University Hospital, for the evaluation and the treatment of the lower right lateral incisor, which was horizontally erupted in the lingual side, parallel to the mouth floor. Her tongue was placed on the labial side of that tooth. There was no previous dental history of dental caries or trauma on the pre-occupied primary incisor.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including the computed tomography(CT), showed no evidence of dilacerations on root. Therefore, we decided to start active orthodontic traction of the lower right lateral incisor. We designed the fixed type of buccal arch wire and the lip bumper with hook for the traction. Button was attached to the lingual side of the ectopically positioned tooth. Elastic was used between the appliance and the button on that tooth. After the tooth become upright over the tongue level, appliance was change to the removable type and periodic check-up with occlusal guidance was followed to monitor the position of the tooth. In this case using the fixed appliance with modified form of lip bumper and hook embedded in acrylic part instead of extraction was very efficient up-righting the ectopically erupted tooth toward the occlusal plane. 치아 맹출이란 치아가 치조골 내의 발생 장소에서부터 교합면쪽으로 이동하여 구강 내로 출현한 후 치아의 기능적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유치의 치근부에서 발육하는 영구치배는 천천히 유치의 치근과 지지하는 치조골 부위를 흡수하면서 맹출하고, 이와 동시에 영구 치배의 치근과 치조골 및 기저골을 성장시킴으로써 영구치의 지지부위가 확립된다. 대개 영구전치의 치배는 유전치의 치근단 설측에 위치하는데 잘 발달된 도대삭(gubernacular cord)을 따라서 교합면상으로 맹출하게된다. 이소 맹출이란 일반적으로 치배가 본래 발생 위치에서부터 예상되는 정상 맹출경로에 이상이 있는 것을 말한다. 즉, 치아가 치조골 내 발생 위치에서 예측되는 정상맹출 경로를 벗어나 맹출하는 것이다. 그 중 하악 측절치의 이소 맹출의 경우 치아의 위치를 바로잡는데 있어서, 그 치료 시기가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는데 일반적으로 혼합치열기 초기가 바람직한 치료시기이다. 하악전치가 이소 맹출한 경우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공간 소실의 문제나 하악 전치부의 설측경사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증례는 만 8세 여아에서 혀 아래쪽의 구강저 부근에 수평방향으로 이소 맹출하는 하악 우측 측절치를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컴퓨터 단층촬영(CT)을 이용하여 문제 치아의 치근 만곡 정도를 확인한 후, 혼합 치열기 초기에 lip bumper와 buccal arch를 이용하여 26주간 적극적인 견인적 처치를 시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이소 맹출한 측절치를 본래 위치로 이동시켰으며 나머지 영구치의 맹출에 대한 관찰 및 평가 후 전반적인 교정치료를 진행하기로 계획하였다.

      • KCI등재

        치수절제술 시 고려해야 할 유구치 치근과 근관

        마연주,MAH, YON-JOO 대한치과의사협회 2019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7 No.8

        The purpose of the pulp treatment is to make the function of the primary molar in the oral cavity possible for as long as possible until the exfoliation of the tooth or the development of the occlusion is as long as possible. The pulpectomy is a relatively common procedure for the pediatric dentist in the clinic with dental care of the children nowadays. Primary molar is morphologically more susceptible to dental caries than permanent tooth, and the dental pulp treatment is frequently performed. Furthermore, unlike permanent teeth, the root canal has a large degree of curvature and morphological diversity and complexity, careful consideration is need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of the root and root canals for the successful pulp treatment of the primary molars.

      • 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Study on Adaptability of Rubber Dam Clamps on Primary Second Molars in Korean Children

        Mirae Park,Yon-Joo Mah,Byung Duk Ahn 大韓小兒齒科學會 201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siodistal widths at the cervical level of primary second molars in Korean childrea, and to compare them with commercial rubber dam clamps commonly used in pediatric dentisty. Dental casts of 115 primary and mixed dentition children were studied. Cervical mesiodistal width (C-MD) was measured at the clinical cervical level of each primary second molar from buccal and lingual sides using a digial caliper (Absoulate, Mitutoyo, Kawasaki, Japan). The data were compared with mesiodistal widths of rubber dam clamps #203/204, #10/11, and #205 (Dentech, Japan). C-MDs of primary mandibular second molars were larger than those of primary maxillary second molars, and C-MDs at buccal sides were larger than those of lingual sides. All C-MD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repancies to corresponding widths on clamps (p<0.05). However the amount of discrepancy was mild in maxillary teeth, while up to 1 mm of discrepancy was shown in mandibular teeth. In conclusion, C-MDs measured in this study imply a relatively fair fit of #10/#11 or #203/#204 clamps on primary maxillary second molars, while suggesting our need for a better clamp with proper size for primary mandibular second molars. 질 높은 치료를 제공하고 안전한 치료환경을 만들기 위한 러버댐 사용의 중요성은 소아치과에서 더욱 강조된다. 한편 잘못된 클램프의 장착으로 발생하는 통증과 불완전한 방습은 협조도를 떨어뜨리고 진정 치료 중 방해가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치열기 아동 110명의 경석고 모형을 통해 제2유구치의 치경부 근원심 폭경을 측정하고 이를 #203/204, #10/11, #205 클램프(Dentech, Japan)의 근원심 폭경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2유구치의 치경부 근원심 폭경은 하악이 상악보다 크고, 협측이 설측 보다 컸다. 모든 위치의 계측값이 클램프 폭경과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값이 상악 제2유구치에서는 작은 반면, 하악 제2유구치에서는 1 mm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상악 제2유구치는 #203/204 및 #10/11 클램프와 비교적 잘 맞는 반면 하악 제2유그치를 위해서는 보다 적절한 크기의 클램프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한국인 소아의 하악공 위치에 대한 연구

        홍소이,정서영,마연주,정영정,안병덕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in panoramic radiographs of Korean children to provide information for successful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240 panoramic radiographs of 7 to 15-year-old boys and girls were analyz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in boys and girls according to their age.; 7-8, 9-10, 11-12 and 13-15 years old. The shortest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mandibular foramen to the anterior border of ramus, to the posterior border of ramus, to the antegonial notch and to the mandibular notch and the perpendicular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mandibular foramen to the occlusal plane were measu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lthough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in the ramus of mandible tended to move anteriorly for both genders with age, the vertical position did not correlate with age. 2) The mandibular foramen moved upward in relation to the occlusal plane with age,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p<0.05). 3) The mandibular foramina of boys, when compared to those of girls, were located more superiorly in relation to the occlusal plane and more superiorly and posteriorly in the ramus of mandible. 본 연구는 소아에서의 성공적인 하치조신경 전달 마취를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한국인 소아의 하악공 위치를 분석하였다. 총 240명의 7-15세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수집하여, 연령에 따라 7-8세, 9-10세, 11-12세, 13-15세의 하위 그룹으 로 나누었으며 각 그룹은 남녀 각 30명씩을 포함하였다. 좌우측의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절흔, 악각전절흔, 하악지 전연, 하악 지 후연까지의 최단거리와 교합평면까지의 수직거리를 측정하였으며,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절흔과 악각전절흔의 거리의 비와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지 전연과 하악지 후연의 비를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악공의 하악지 내 상대적 위치는 남녀 모두에서 연령 증가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관찰되나, 수직적인 위치 는 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2) 하악공의 교합평면과의 상대적인 위치는 연령 증가에 따라 교합평면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하였으며, 연령과 높은 상 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3) 여자보다 남자에서 하악공이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더 상방에, 하악지 내 전후방 및 수직적으로는 하악지의 후상방에 위 치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05).

      • KCI등재

        STUDY ON ADAPTABILITY OF RUBBER DAM CLAMPS ON PRIMARY SECOND MOLARS IN KOREAN CHILDREN

        박미래,마연주,안병덕,Park, Mirae,Mah, Yon-Joo,Ahn, Byung Duk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1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0 No.2

        질 높은 치료를 제공하고 안전한 치료환경을 만들기 위한 러버댐 사용의 중요성은 소아치과에서 더욱 강조된다. 한편 잘못된 클램프의 장착으로 발생하는 통증과 불완전한 방습은 협조도를 떨어뜨리고 진정 치료 중 방해가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치열기 아동 110명의 경석고 모형을 통해 제2유구치의 치경부 근원심 폭경을 측정하고 이를 #203/204, #10/11, #205 클램프(Dentech, Japan)의 근원심 폭경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2유구치의 치경부 근원심 폭경은 하악이 상악보다 크고, 협측이 설측 보다 컸다. 모든 위치의 계측값이 클램프 폭경과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값이 상악 제2유구치에서는 작은 반면 하악 제2유구치에서는 1 mm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상악 제2유구치는 #203/204 및 #10/11 클램프와 비교적 잘 맞는 반면 하악 제2유구치를 위해서는 보다 적절한 크기의 클램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siodistal widths at the cervical level of primary second molars in Korean children, and to compare them with commercial rubber dam clamps commonly used in pediatric dentistry. Dental casts of 115 primary and mixed dentition children were studied. Cervical mesiodistal width (C-MD) was measured at the clinical cervical level of each primary second molar from buccal and lingual sides using a digital caliper (Absolute, Mitutoyo, Kawasaki, Japan). The data were compared with mesiodistal widths of rubber dam clamps #203/204, #10/11, and #205 (Dentech, Japan). C-MDs of primary mandibular second molars were larger than those of primary maxillary second molars, and C-MDs at buccal sides were larger than those of lingual sides. All C-MD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repancies to corresponding widths on clamps (p < 0.05). However the amount of discrepancy was mild in maxillary teeth, while up to 1 mm of discrepancy was shown in mandibular teeth. In conclusion, C-MDs measured in this study imply a relatively fair fit of #10/#11 or #203/#204 clamps on primary maxillary second molars, while suggesting our need for a better clamp with proper size for primary mandibular second molars.

      • KCI등재

        상악 유중절치 재근관 치료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합병증에 대한 증례 보고

        홍소이,김진우,김지연,마연주,안병덕,Hong, So-Yi,Kim, Jin-Woo,Kim, Ji-Youn,Mah, Yon-Joo,Ahn, Byung-Duk 대한소아치과학회 201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9 No.2

        차아염소산나트륨은 근관 세척 시 널리 쓰이는 약제이다. 근관계의 멸균에는 효과적이나, 부작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으며 특히 유치에서 근관세척제로 사용 시 부작용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었다. 본 증례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유치의 치근단을 통과하였을 때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만 4세 여아가 치과의원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한 상악 유중절치의 재근관 치료 중 급격한 안면 부종과 통증으로 본원 응급실로 의뢰되었다. 전신적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및 진통제를 투여하고, 해당 치아는 2차 감염 예방을 위해 발거하였다. 2일 후 부종이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차아염소산나트륨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검사 결과 음성을 나타내었다. 유치의 근관 세척 시에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치주조직으로 압출되지 않도록 철저히 주의해야 하며, 부작용이 일어날 경우 통증 및 부종 완화와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The sodium hypochlorite is widely used in endodontic treatment. While it is effective solution for disinfection of root canal system, complications during canal irrigation are rarely reported, especially in primary teeth. This report demonstrates that sodium hypochlorite extruding through the root apex might cause severe complications. A 4-year-old female patient was referred from local dental clinic to the emergency room for the management of sudden facial swelling and pain during re-endodontic treatment of the maxillary primary central incisor using sodium hypochlorite. The patient was given systemic steroids, antihistamines, antibiotics and analgesics and the maxillary primary central incisor was extracted to prevent secondary infection. Swelling began to subside after 2 days. A negative result was obtained from skin patch test with sodium hypochlorite. Thorough care must be taken in primary teeth to prevent the inadvertent injection of sodium hypochlorite to periapical tissues during root canal irrigation. When adverse reaction occurs, proper management such as analgesia, cold compression and adequate medication should be d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