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휘주지역 전통주택의 공간구성 특성

        박선희,Park, Sunhee 한국주거학회 2015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interior space which effects the basic floor plan of traditional houses, in Huizhou, CHINA. The field study for the content analysis of a interior space of traditional houses were conducted from August 16 to 21, 2015, in Xidicun & Hongcun village.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ang' interior were as follows; Firstly, all of traditional houses in a skylight that front of 'tang'. Several types of floor plan were fixed by a combination of the space layout and numbers between 'tang' and skylights. Secondly, 'Tang' is from 3,250 to 6,000 mm in width, from 3,800 to 7,800 mm in depth. All skylights are more length than 'tang' in width. So all of spacious 'tang' were very bright without any lighting fixtutes. Thirdly, the patterns of woodcuts were the major settings of interior decorations. All of a window and door, capital has a detail woodcuts that are flowers, animals, plants, peoples, vases, and geometric patterns. In the last analysis, the traditional housing designs in Huizhoui old villages were planned for family that everlasting life, made a functional and rational decision.

      • ADDIE 모형기반의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

        박선희(Sunhee Park),김선환(Sunhwan Kim)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ADDIE모형을 적용하여 진로교육 교과목을 개발하는 것이다. 분석, 설계, 개발 단계에 따라 교과목 개발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이후 2013년 2학기 진로교육 교과목 수강생 61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진로교육 교과목 적용 후 학생들의 만족도는 4.5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만족도에 대한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은 긍정적인 평가로는 유익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었고, 스스로 계획을 기획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스스로 변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꿈과 목표를 다시 고민하게 되었으며 직업에 대해 많이 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이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제언을 하면 진로교육은 교과목만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비교과 과정에서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현장체험, 현장견학 등 진로교육 연계프로그램도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areer Education’ course based on ADDIE. The development of this subject is accompanied by analysis, design, development stage. Application stage, the target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are 61 students at H university who registered for career education course during the second semester in 2013.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ly, the satisfaction level of career education scored 4.5, highly favored scored, from the participants. Secondly, from the analysis of open-ended questions,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were able to produce useful and specific plans. Moreover, they reported that conducting the course allowed them to come up with their career plan independently as well as self-resolution. Also, they were able to consider their dream and career goal, ultimately, seek their potential career profes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make connect Career Education Course and intra-curriculum with field learning.

      • KCI등재

        복합문화시설을 대상으로 한 유니버설디자인 평가 연구 - 서울암사유적지 시설군을 중심으로 -

        박선희 ( Park Sunhee ),장영호 ( Jang Youngho ),이재규 ( Lee Jae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문화생활은 모든 사람이 공평하게 누릴 수 있어야 하며, 모두가 문화를 즐기고 삶의 질을 향상할 권리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현시점에서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문화공간인지를 한 번쯤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이 복합문화시설공간에 어떤 형태로 반영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반대로 유니버설디자인 평가방법이 복합문화시설에 적용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복합문화시설 적용대상지를 새롭게 재정비된 서울암사동유적지 시설군을 대상으로 하여 유니버설디자인 적용현황을 파악, 분석하고, 모두가 편하게 이용하고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향후 유니버설디자인의 전개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크고 다양한 이용자들의 방문 가능성이 큰 서울암사동유적지 시설군을 연구의 범위로 하고 있다. 전술의 연구범위를 대상으로 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한 현황분석과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에 대한 분석틀 추출을 통해 본 연구의 핵심인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에 대한 기본분석틀을 제시한다. 최종적으로는 현장조사 및 분석을 하여 서울시 체크리스트가 복합문화시설에 얼마큼 적용이 가능한지를 파악한다. 또한 공간이 사람들의 다양성을 포용하는 디자인으로 적용되어 있는지와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향후 복합문화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인 평가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본 연구의 현장조사결과는 유니버설디자인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이 적용된 것으로 보이나, 상대적으로 시각이나 청각 정보, 다국적 안내체계 등이 아직 부족하다. 한편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에 있어서도 조사과정에서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을 통해 보완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대상인 문화공간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드러나, 적용범위를 확대하거나 문화공간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를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조사과정에서 발견된 몇 가지 문제점을 보완하여 복합문화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결론) 본 연구는 현장조사를 통해 서울암사동유적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현재 서울시의 체크리스트가 복합기능이 있는 문화공간에 어떻게 적용 가능한지를 파악하고, 동류의 체크리스트가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데 필요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유니버설디자인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암사동유적에 적용하여 실증적인 평가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상기의 한계점을 극복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아직은 국내의 유니버설디자인 평가 사례가 다양하지 않다는 점에서도 향후 영역을 심화시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Background and Purposes) Everybody must be able to enjoy a fair cultural life and has a right to enjoy cultur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we need to think at least once if the cultural space is where everybody enjoys. In this study, we tried to check how the universal design has been reflected on the space for the complex cultural facilities and, on the contrary, if its evaluation method has been applied to the facilities. Henc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universal design in the future as a space for everybody can use and enjoy comfortably through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its application on the facility group at Amsa-dong Prehistoric Site in Seoul.where the eligible complex cultural facilities were newly refurbished. (Method) This study has a great potential for development in the future and its scope is the facility group at Amsa-dong Prehistoric Site in Seoul that a wide range of users have a better chance of visit. A current state analysis on the above-mentioned scope of the stud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n analysis framework extraction of the integrated guidelines and checklist of the universal design in Seoul present a basic analysis framework for its applicability as a core of this study. A field investigation and its analysis are carried out in order to figure out how much the checklist can be applied to the facilities in the end. In addition, we intend to figure out if the space has been applied as a design which embraces the people’s diversity and what is lacking and then present as basic data for the evaluation of the desig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future. (Results) The field investigation results of this study look as if a universal design and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have been applied, but visual or hearing information and a multinational guidance system are still lacking relatively. Meanwhile, the checklist for evaluation also appeared necessary to be complemented through some problems from its investigation process. Hence,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a checklist which can be applied to the complex cultural facilities after some problems found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have been complemented. (Conclusion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its empirical evaluation by utilizing the existing materials of the universal design and applying them to Amsa-dong Prehistoric Site in Seoul, but failing to overcome such limitation remains as a regret. We hope that diverse studies with their domains deepened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because the domestic cases of the universal design evaluation lack of diversity.

      • KCI등재

        자극과 맥락의 정서성이 기억 부호화에 미치는 영향 : ERP 연구

        박선희(Sunhee Park),박태진(Taejin Park) 한국인지과학회 2010 인지과학 Vol.21 No.2

        이 연구는 자극의 정서성에 따른 부호화 기전의 차이와 맥락의 정서성이 중립 단어의 부호화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특히 정서자극의 우수한 기억 수행이 주의자원 배분에 기인한 것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서자극과 비정서적 단어를 연속으로 제시하여 자극과 맥락의 정서성이 기억 수행과 ERP 평균 진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정서자극으로는 IAPS(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자극을 사용하였으며, 긍정, 중립, 부정자극을 제시하였다. 행동 분석결과, 정서자극이 중립자극보다 우수한 기억 수행을 보인 반면, 정서맥락 내 단어는 중립맥락 내 단어에 비해 저조한 기억 수행을 보였다. 또한 ERP의 LPC(Late Positive Complex) 진폭분석 결과, 정서자극이 중립자극에 비해 높은 진폭을 보인 반면, 정서맥락 내 단어는 중립맥락 내 단어에 비해 낮은 진폭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정서자극에 대한 주의 선점이 정서맥락 내 단어의 기억 수행을 방해한다는 자원할당 모형의 설명에 부합하는 것으로서, 정서자극에 대한 주의자원 배분 설명을 지지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motional content on the encoding process of emotional stimuli and the effects of emotional context on those of neutral stimuli. It was examined whether the superior memory of emotional stimuli is due to attentional resource allocation. This study were performed an emotional picture and a neutral word were presented in succession at every trials. The results of recognition judgement showed superior memory of emotional pictures than neutral pictures, but showed poorer memory of neutral words in emotional context than those in neutral context. LPC(Late Positive Complex) of ERP results showed the similar pattern: higher amplitude by emotional pictures than neutral pictures, and lower amplitude by neutral words in emotional context than those in neutral context. This result is considered to support attention allocation hypothesis.

      • KCI등재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무기간 경력에 따른 직무수행도와 중요도

        박선희(Park Sunhee),강현숙(Kang Hyun-Sook),현경선(Hyun Kyung-Sun),김원옥(Kim Won-Ok),석소현(Sok Sohyune R.),이지아(Lee Jia) 기본간호학회 2010 기본간호학회지 Vol.17 No.2

        Purpose: In this study differences in levels of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nursing jobs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levels of work experience. Method: The sample was chosen by convenient sampling (N=363) and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was utilized to examine differences in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nursing jobs among three groups of nurses, divided based on levels of work experience (less than 1 year, 1 to 4 years, and 5 or more years). Results: Regarding performance of nursing jobs, novice nurses provided more support for patients, but provided less assessment of patients (i.e., investigation of levels of nutrition and exercise, and observation of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 and levels of cogni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nursing jobs, nursing linked to exercise and activities, and post-operative and excretion care were considered to be less important among novice nurses than among experienced nurses. Conclusion: Different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nurses according to levels of work experience. By doing so, it will be feasible to minimize differences in quality of nursing care triggered by different levels of work experience.

      • KCI등재

        여성공학도 진로장벽에 관한 남녀 인식 비교

        박선희(Sunhee Park),신동은(Dong Eun Shin),최금진(Keumjin Choi) 한국공학교육학회 2010 공학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공학도의 진로장벽에 관한 남녀 학생 인식비교이다. 이를 위해 진로장벽 인식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 고, 이성식(2007) 박사학위논문에서 사용한 내용을 교육학박사 2인이 수정 · 보완하여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대상은 수도권 소재 4학년 재학 중인 공과대학생 691명이다. 연구결과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여성의 진로장벽인식(상호작용적, 태도, 사회적· 대인적 진로장벽)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들은 태도장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하여 상호작 용적 장벽을 부정적으로 자각하고 있었다. 여학생들이 인식한 태도장벽과 상호작용적 장벽의 구체적인 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초점그룹 인터뷰 결과에서 여성공학도들은 학점을 근거로 자신들을 준비된 공학도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고, 여성의 진로개발과 유지에서의 애로사항은 잘 이해하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대응 전략에 대한 인식은 미흡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en and women s different perceptions on Women engineers career barri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we initially analyzed various references on perception of career barrier, and organized survey questions. We used the context from Sung sik Lee s doctoral dissertation(2007) and modified it for making survey questions. We conducted a survey with 691 senior students of engineering department around the capital. As a result of the study, male students seemed to be more positive about women s career barriers (social/interpersonal, attitudinal, and interactional barriers). It represents that male students evaluate highly on women s ability and also feel less sensitive about social discrimination toward women s position. In consequence of group interview, it is also revealed that women engineers understand well about difficulties of being female at any workplace.

      • KCI등재

        고대 발굴자료에 나타난 복식문화의 정체성 인식

        朴仙姬(Park Sunhee)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40

        고조선에서는 직물의 발달과 함께 장식양식이 보다 화려해져, 뼈나 뿔, 조개껍질 등으로 만들어진 것보다 옥과 청동, 철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것들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뼈와 뿔, 조개껍질, 옥은 다양한 장신구의 재료가 되었고, 청동과 철은 주로 둥근 모양과 나뭇잎모양의 장식단추로 만들어져 의복 위에 달아매어 화려하게 장식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직물 발달은 의복에 다는 장식단추와 장식품의 사용도 직물의 성격과 아울리게 변화시키는 구실을 하였다. 고조선유적에서 출토되는 청동장식단추는 그 양식이 주로 원형과 나뭇잎모양으로 나타난다. 청동장식단추는 표면에 문양을 나타내는 경우와 문양이 없는 소면 상태의 두 종류로 크게 구분된다. 표현된 문양은 대부분 신석기시대의 문양양식을 그대로 계승하여 새김무늬질그릇이나 가락바퀴 등에 보이는 양식과 같다. 청동장식단추의 형태는 크기와 양식에서 매우 다양하다. 고조선 사람들은 청동장식단추를 의복뿐만 아니라 모자나 신발 또는 활집 등 복식의 여러 부분에 자유롭게 사용했다. 한민족의 여러나라에서는 모자에 새깃을 꽂는 것 이외에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에서 금과 은, 옥 등으로 장식단추를 만들어 장식했다. 이러한 고급 장식재료는 중국이나 북방지역에서 볼 수 없는 것으로 고조선의 전통을 계승한 화려하고 높은 수준의 관모 양식이다. 고조선사람들이 의복에 장식했던 청동장식단추의 양식은 고조선이 붕괴된 이후 여러나라시대로 이어져 나라마다 조금씩 특색을 달리하여 발전해 나간다. 예에서 일반적으로 남자들이 입는 웃옷에 약 5cm 이상 되는 은화를 꿰매어 장식했다. 부여사람들은 금과 은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모자를 썼다. 동옥저와 고구려 사람들도 청동장식단추로 화려하게 장식했다. 마한 사람들은 북방지역에서 청동장식단추를 많이 사용한 것과 달리 의복에 주로 구슬을 장식했다. 이러한 내용들은 일반인의 의복에서도 화려한 장식이 가능했던 한민족 복식의 특징으로 중국이나 북방지역과의 차이점이다. Since the early periods of the Neolithic era, people who were living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attached ornamental buttons and beads on their cloths to close up the gapand threaded decorations in harmony with the buttons to complete liberal beauty in shape. In the Neolithic era, people often used not only decorations made of bones, horns, seashells, and mud, but also decorations made delicately out of jade. In that time, the forms of ornamental buttons and decoration techniques have hugely developed with the expansion of textile production and improvement in sewing skills. Ornamental buttons were mainly made in circular shapes out of mud or stone, and jade buttons had newly appeared. In Gojoseon period, the forms of decorations became fancier with the development of textile. Jade, bronze, or steel were used actively rather than bones, horns, or seashells. Bones, horns, seashells, and jade were materials tor various decorations while bronze and steel were usually used to make circular or leaf-shaped ornamental buttons to be attached to clothes as fancy decorations. The development of textile has also brought change to ornamental buttons and decorations so it would better fit the nature of the fabric. Naturally, new decorative techniques were added to the ornamental buttons making them mote bold and dynamic. The people of Gojoseon used bronze ornamental buttons on nor only their clothes bur also other parts of their clothing such as hats, shoes, and bow cases. People of many ancient countries of Korea pur feathers on their hats while gold, silver, and jade were used to decorate hats in countries such as Buyeo, Goguryeo, Baekje, Shilla, and Gaya. These advanced decorative materials were unseen in China or northern regions and allowed the achievement of fancy and high-quality forms as well as the inheritance of Gojoseon tradition in the making of official hars. In Gojoseon, bronze ornamental buttons were used nor only on general clothing bur also on armors and bronze helmets which were classified as special clothing. Bronze ornamental buttons must have naturally been applied to armors because they were already being widely used to decorate ordinary clothes. In addition, with the utilization of bronze, leather and bones are thought to be replaced by bronze for armor-making because stones and bones had been replaced by bronze for making tools and weapons during this rime. The bronze ornamental buttons that were used as decorations for clothes since before the Gojoseon period and were passed on to many countries after the breakdown of Gojoseon as well as to the age of the Three Stares becoming a foundation of decoration forms for Koreans. H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mparative analysis of ornamental buttons in ancient Korean costumes and its diachronic transmission, we came to a basis for modifying the traditional view of Korean clothing being originated from or influenced by China or northern Chinese garment. Therefore, being the elements of our culture presenting our will of design as well as the vibrant and dynamic national sentiment of Koreans, the identity of circular and leaf-shaped ornamental buttons must be positioned in a corrective manner.

      • KCI등재

        창의성 증진을 위한 맥락학습기반 영상자료 활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박선희(Park. Sunhee),신동은(Shin, DongE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맥락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영상자료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유아들의 창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맥락학습과 유아 창의성의 개념을 고찰하고, 맥락학습기반의 영상자료를 발굴하여 이를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전략과 수업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세상과 사물에 대한 호기심이 많고 사물에 대한 지식을 처음 접하게 되는 유아기의 창의성은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증진시킬 것인가의 문제에 대하여 미니 창의성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미니 창의성은 유아 개인의 경험과 행동이 자신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해석될 때 나타나는 창의성으로서 결과물이 아닌 과정을 중시하는 관점의 창의성이다. 둘째, 맥락학습은 지식이 활용되는 맥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알고 있는 지식을 일상의 삶과 연결시키는 연습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창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실제적, 참여, 활동, 협력, 토의라는 5가지의 교수전략을 통해 더욱 증진된다. 셋째, 맥락학습 기반의 영상자료는 이야기 방식인 스토리 포맷을 가지고 있다. 유아들이 좋아하는 ‘뽀롱뽀롱 뽀로로’나 ‘신기한 스쿨버스’는 풍부한 맥락학습을 지원하는 영상자료로서, 이는 유아들이 지식을 구체적인 활용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스토리를 통해 제시된 상황에 자신의 경험을 적용하거나 간접 체험자가 되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보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넷째, 교사는 맥락학습 기반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유아들이 직접 활동에 참여하고 토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느끼는 흥미나 새로운 시도에 대한 자기 인식을 나누고 격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이러한 활동과정에서 유아들은 주의집중, 정교한 부호화, 지식 조직, 지식 참조, 감정 유발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인지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맥락기반 영상학습을 통한 유아들의 창의성 증진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의 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맥락 학습은 유아의 인식에 있어서 실제 삶의 맥락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영상자료에서 제시하는 상황에 지식을 적용해 보는 등의 다양한 새로운 시도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교사는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들이 느끼는 흥미나 새로운 시도에 대한 유아 자신의 의미부여를 인식함으로써 이를 적극적으로 격려해주어야 하며, 지식과 흥미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해 줄 때 유아들의 창의성은 증진될 수 있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cept of child creativity and contextual learning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contextual learning based moving image materials and child creativity, and suggested the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and teaching methods.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 of “mini-creativity”, which focuses on the process, personal experience, and potential of child creativity. Second, contextual learning can enhance child creativity by providing the understanding of context of knowledge, and opportunity to apply the knowledge in the real world or possible(or imaginary) situation. These traits can be enhanced by proper teaching strategies such as realistic, participation, activity, cooperation, and discussion. Third, the most popular moving image materials such as Pororo, and Magic School Bus, are composed on the story format, which support the children to comprehend knowledge based on the context, and apply it in the real-like situation. Fourth, the authors supposed the teaching guide, in which the teacher encourage children to learn the nature of magnet on the context, talk about their experience, and explore more on the basis of context. During the class, children could experience the cognitive strategies such as attention, elaborate encoding, self reference, emotion induction. In conclusion, the important thing in child creativity education on the context learning based moving image materials is the quality of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teacher. The strength of context based teaching is not sufficient, and it would be more important to recognize the interest of children, give encouragement and provide children relevant learning contents to cultivate latent creativity of children.

      • KCI등재

        화학실험 교과목에서 ARCS 동기모형을 적용한 교수자료 개발

        박선희(Sunhee Park),김형수(Hyungsu Kim),윤기종(Keejong Yoon) 한국공학교육학회 2010 공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화학실험 교과목에서 ARCS 동기모형을 적용한 교수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요구분석(교수, 학생, 실험조교), 교과내용분석, ARCS 이론을 적용한 교수자료 설계, 개발, 적용, 효과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자료를 적용한 결과, 실험에 대한 이해, 흥미, 동기부여, 집중정도, 실험과 이론을 연결하여 이해하는 능력이 증가하였고 실험시간은 단축되었으며 실험의 오차 범위가 줄어들었다. 그리고 안전사고 예방, 학생들이 실험에 대한 막연함 등을 해결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make applications of the teaching materials that are based on the ARCS motivation model for experiments in chemistr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researched on the needs of professors, learners, and teacher-assistants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subject. Then we designed and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utilizing the ARCS theory, and made the applications and analyzed their effects.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the applications of the newly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positively affected the understanding, interest, and concentration of the experiments, and helped the students comprehend various theories better through experiments. The new teaching materials shortened the duration of experiments and reduced the margin of error. They were also helpful preventing accidents and gave students clear ideas about experim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