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동종골수이식 후 혈당 및 혈중 지질농도의 변화양상 및 관련인자

        이원영,강무일,오은숙,오기원,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신완식,민우성,김춘주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6

        연구배경:골수이식은 비교적 젊은 연령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면역억제제의 사용기간이 비교적 짧으므로, 주로 고령의 만성 질환 환자에서 시행되는 고형장기이식에서와는 달리 당대사 및 지단백 대사에 있어서 많은 차이점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저자들은 전향적 연구를 통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로 혈당 및 혈중지단백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임상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8년 10월부터 1999년 8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환자들 중 43명을 대상으로 이식 전 및 이식 후 1, 2, 3, 4주와 3개월, 6개월에 공복 혈당, 혈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을 측정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 변화를 관찰하고 여러 임상인자들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1. 공복혈당은 골수이식 수 첫4주 동안 상승하였고 이후 감소하였으나 이식 6개월 시점의 평균 공복혈당은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은 이식 후 1주에 최고치를 형성하였고 이후 기저수준으로 회복되었다가 이식 수 3,6개월에 다시 증가하여 기저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혈중 중성지방은 이식 후 1개월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후 감소하여, 3,6개월에는 기저치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중 고밀도지단백은 이식 후 2,3주에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후 이식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혈중 저밀도지단백은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와 매우 유사하였다. 2. 골수이식 후 6개월 시점에서 공복 혈당이 126㎎/dL이상인 환자는 7명(16%)이었다. 이들 환자들과 공복혈당 126㎎/dL 미만의 환자 36명을 비교한 결과, 공복혈당이 126㎎/dL 이상인 환자군에서 스테로이드 평균 투여량이 많았고 고밀도지단백이 유의하게 낮았다. 3. 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이 더 낮았고, 3개월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다. 혈연골수이식 환자군은 비혈연골수이식 환자에 비해 투여된 스테로이드 용량이 더 적음에도 불구하고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더 높았다. 스테로이드 고용량 투여군(하루 평균 7.5㎎기준)은 저용량군보다 이식 후 3개월 시점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으나 나머지 시점의 혈당, 혈중 지질농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골수이식 후 초기시기에 주로 당 대사 및 지질대사이상이 관찰되며 이는 면역억제제 투여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면역억제제가 고용량 투여되는 합병증 발생 시 이들 대사이상에 관심을 기울여 대처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In bone marrow transplantation(BMT), recipients are usually younger and immunosuppressants are open used in shorter period than in solid organ transplantation. Therefore, there might be a difference i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between BMT and solid organ transplantation. However, the serial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following BMT have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rial changes of blood glucose, lipids and the putative factors that are related with these changes after BMT. Methods: We have prospectively investigated 43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BMT. Fasting plasma glucose(FPG),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igh-density lipoprotein(HDL) were measured before BMT, and at 1, 2, 3, 4, 12 weeks and 6 months after BMT. The serial changes of these metabolic parameters according to clinical factors including type of BMT, mean daily steroid dosage, and occurrence of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were examined. Results: 1. Mean FPG level increased during 4 weeks after BMT and remained above basal value at post-transplant 6 months. Total 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and was above basal value at post-BMT of 3 and 6 months. Triglyceride level was progressively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2. Patients with FPG above 126 mg/dL and the other patients, the former received larger amounts of daily steroid and had lower HDL-cholesterol level. 3. The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BMT, steroid dose, and occurrence of GVHD. Conclusion: Although there was increase of FPG, TC, TG and decrease of HDL-C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these metabolic changes recovered slowly thereafter. Immunosuppressants are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these changes. Further observation will be needed for the long-term effect of BMT on metabolic changes(J Kor Diabetes Asso 24:689~698, 2000).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 2개 기생소자에 의한 사각형 패치 안테나의 대역폭 확장

        손태호,강상규,이병수,이용창,백경훈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2001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7 No.2

        This study is to extend bandwith for the microstrip antenna by parasitic patch devices. Applying two 1/4 wave length parasitic patches both side of microstrip patch, the bandwidth is able to be controlled by the parasitic couplings. We used the Tschebyscheff transformer for multisection matching network to give broadband transformation. It is designed for wireless MMDS CATV antenna and design antenna is fabricated by epoxy substrate of 1.2mm thickness, 4.4 relative permittivity. The theory is well agreed that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S11 has 2.88% band characteristic.

      • Recessed 마이크로스트립 급전 4소자 선형배열 안테나 설계

        손태호,강상규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2001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7 No.2

        In this paper, a 4 X 1 patch array antenna is designed for the basestation antenna to be applied the IMT-2000. Base element for the radiation is rectangular microstrip patch. We used inset fed method for the impedance matching. Feeding network is fabricated by the uniform spacing nonuniform amplitude. Impedance matching is adopted Tschebyscheff mutisection matching to obtain wide bandwidth realization. 1.2mm thickness Epoxy substrate is used to fabrication, and measured value are compared with simulated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n 1.92 ~ 1.98GHz range.

      • Splitter 급전 2소자 원편파 사각 패치 배열안테나의 설계

        손태호,강상규,이병수,이용창,백경훈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2001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7 No.2

        Dual-fed circulary polarized microstrip 1 by 2 array antenna is designed and fabricated. To have circular polarization, we applied power splitter with 90 degree phase shifter by the length exetension. A 1 by 2 uniformed array antenna was designed and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oretical values. The bandwidth characteristic is well coincided with the designed valued, but the center frequency for the GPS 1.575GHz differed sligthly by the reason of the substrate tolerance.

      • KCI등재

        수 종의 도재 수복물에 부착된 세라믹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에 열순환이 미치는 영향

        강상욱,손우성,박수병,김성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는 도재 수복물에 부착된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에 열순환과 도재 수복물의 종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도재전장관에 사용되는 재료들 중 Ceramco 3, Empress II, Zi-ceram/Vintage ZR 세 가지를 선택하여 각 20개씩 총 60개의 시편을 원반형태(두께 2 mm, 직경 12 mm)로 제작하였다. 동일한 접착 술식으로 세라믹 브라켓을 부착한 후 열순환을 시행한 실험군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두 군으로 나누어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을 평가하였다. 열순환을 하지 않은 대조군의 전단접착강도는 Ceramco 3는 7.06 ± 1.76 MPa, Empress II는 7.55 ± 2.38 MPa 그리고 Zi-ceram/Vintage ZR은 7.19 ± 1.38 MPa로 추천되는 전단접착강도(6 - 8 MPa)에 적합한 강도를 보였으나 열순환을 시행한 실험군은 전단접착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 < 0.05) 열순환 후의 전단접착강도는 Ceramco 3는 4.88 ± 1.00 MPa, Empress II는 5.46 ± 1.35 MPa 그리고 Zi-ceram/ Vintage ZR은 4.84 ± 1.01 MPa로 임상적으로 추천되는 것보다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도재의 종류에 따른 전단접착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파절양상은 대조군에서는 모두 브라켓 기저부와 접착제 사이에서 파절이 일어났으며, 실험군에서는 2개의 시편(Ceramco 3과 Zi-ceram/Vintage ZR군에서 각 1개)만이 접착제내 파절을 보였으며 28개의 시편은 브라켓 기저부와 접착제 사이에서 파절이 일어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보았을 때 도재 수복물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열순환에 의해 전단접착강도가 약화되므로 실제 임상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rmocycling and type of porcelain restoration on shear bond strength (SBS) and mode of failure of monocrystalline ceramic brackets. Methods: A total of 60 porcelain discs were made and divided into three equal groups as follows: Ceramco 3, IPS Empress II, Zi-ceram/Vintage ZR. ceramic brackets were bonded to the prepared porcelain surfaces in the same manner. Each group was divided randomly into two subgroups: thermocycled group and non-thermocycled group (control). All samples were tested in shear mode on an universal testing machine. Results: SBS of the non-thermocycled group was clinically acceptable (Ceramco 3: 7.06 ± 1.76 MPa, IPS Empress II: 7.55 ± 2.38 MPa, Zi-ceram/ Vintage ZR: 7.19 ± 1.38 MPa). But, SBS of the thermocycled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Ceramco 3: 4.88 ± 1.00 MPa, IPS Empress II: 5.46 ± 1.35 MPa, Zi-ceram/Vintage ZR: 4.84 ± 1.01 MPa, p < 0.05).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hear bond strength by type of porcelain restoration. All bonding failure occurred between bracket base and adhesive, except for 2 sampl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ype of porcelain restoration did not affect SBS, but thermocycling weakened SBS. Therefore, the effect of thermocycling should be considered when using ceramic brackets in practice.

      • 동적하중을 받는 콘크리트보의 파괴에너지 해석

        姜聲厚,柳井善,孫官哲 東新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1994 工業技術硏究 Vol.1 No.-

        In this study, after concrete cylinders were made on the condition of varying water-to-cement ratio, and cured 80 days compressive strength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were performed and modulus of elasticity is obtained. The fracture energy was obtained by acting three point bending on the 80cm in length. This test involved static loading test and dynamic loading test. In this work, the new interrelation of the material constants was obtained clearly and the property of the mixture was inspected, inclu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fracture energy and all kind of the material constants.

      • KCI등재후보

        상지 단순반복작업 근로자의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에 관한 조사

        손지언,장태원,김윤규,홍영습,정갑열,김동일,이강진,하남진,김상범,김준연 대한산업의학회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3

        목적 : 본 연구는 수근관 증후군의 발생위험이 높은 작업형태에 종사하는 상지 단순반복작업근로자로서 육류 및 어류 가공 사업장과 목재소 근로자에서 근전도검사를 이용하여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상지 단순반복작업근로자로서 육류 및 어류 가공 사업장 근로자 69명과 목재소 근로자 17명을 실험군으로, 관리직, 경리, 경비등 상지의 단순반복작업이 없는 근로자 28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작업적 및 병력조사, 이학적 검사와 근전도검사를 통해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률을 조사하였다. 결과 :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률은 육류 및 어류 가공 사업장과 목재소에서 각각 26.09 % (18명)와 29.41 %(5명)로 조사되었으며, 육류 및 어류가공사업장과 목재소 근로자를 '7년 이상과 미만의 작업기간'으로 층화하여 비교한 결과 '상지부위의 통증 호소 유무', 'Visual Analogue Scale(VAS: 총 10점) 4점 이상 여부', 'Tinel teat 양성 유무', 'Phalen test 양성 유무'는 모두 단기 작업근로자군에서 양성의 빈도가 증가되었고 '수근관 증후군 유무'는 장기작업근로자군에서 양성의 빈도가 증가되었다. 결론 : 육류 및 어류 가공 사업장과 목재소의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은 각각 26.09 %와 29.41 %로 육류 및 어류 가공 사업장과 목재소는 1996년 OSHA가 지정한 바와 같이 위험한 작업요인이 있는 작업장으로 분류하여 관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on the prevalence of Carpal Tunnel Syndrome(CTS) in high risk jobs(meat and fish processing plant and wood plant), by application of Nerve Conduction Study(NCS), a confirmatory diagnostic method. Methods : Experimental group was 69 workers sampled from meat and fish processing plants and 17 workers sampled from wood plants, who were simple, repetitive workers using upper extremities and control group was 28 workers sampled from managers, secretaries and keepers. All employees were examined through work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and NCS. Results : 18 workers(26.09%) in meat and fish processing plants, and 5 workers(29.41%) in wood plants had compatible findings to NIOSH diagnostic criteria for C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more symptoms (complaint of upper extremities, Visual Analogue Scale ≥4(VAS: total 10 point)), signs(Tinel and Phalen test) and prevalence of CTS than control group(p<0.05). The prevalence of symptoms and signs were higher in short term workers(<7 years), but the prevalence of CTS was higher in long term workers(≥7 years). Conclusions : The prevalence of CTS in meat and fish processing plant and wood plant were 26.09% and 29.41% respectively. Authors propose that meat and fish processing and wood plants should be managed as a risk job category which were designated by OSHA in 199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