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물실험수업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사례 연구

        황신영 ( Shinyoung Hwang ),정영란 ( Younglan Chung ) 韓國生物敎育學會 2017 생물교육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quire impli-cations concerned to experimental teaching expertise through the investigation on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in the bio-experiment clas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e inve-stigation on reflective thinking has been conducted through analyzing experiment report and interviewing one pre-service teacher and one in-service teach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flective thinking of the pre-service teacher and the in-service teacher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reflective thinking were various values such as individual values, experimental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science and experiment. Experimental education in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is important be-cause the aspect of the experiment class changes according to the teacher`s perception and value of the experiment, and it affects the students. Therefore, in the process of teacher training, the pre-service teachers should experience the in-quiry process directly, have a positive awareness of the experiment, and acquire knowledge about the experimental method and content so that they can develop confidence in the experimental class.

      • KCI등재
      • KCI등재

        STEAM 심화과정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한인식 ( Insik Hahn ),황신영 ( Shinyoung Hwang ),유정숙 ( Jungsook Yoo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3

        본 논문은 융합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지닌 인재 양성을 목표로 시작된 STEAM 교육의 현장확산을 위한 교사연수 중 심화과정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정 및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STEAM 교사연수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STEAM 심화과정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들의 STEAM 역량 강화를 위하여 개발되었다. 총 60시간(4학점)의 직무연수로, 집합연수 38시간, 온라인 12시간, 현장적용 5시간, 성과발표 5시간으로 구성(3차년도 기준)하였다. 집합연수는 강의, 멘토교사수업, 실험실습 및 랩탐방, STEAM 수업자료 개발을 위한 조별활동, 포스터발표회로 구성되었다. 온라인 연수는 추가 강의 이수와 지속적인 교사 커뮤니티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집합연수와 온라인 연수를 통해 개발된 STEAM 수업자료의 현장적용을 의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과발표는 우수 수업 사례 발표를 통해 교사들이 STEAM 교수 경험을 공유할 수있도록 하였다. 2012-2014 동안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제주 지역의 초중등교사 약 700명이 본 연수를 이수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 으로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 및 구성을 개선해나가면서 연수참여자들의 연수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본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들의 STEAM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료개발과 현장 적용을 통해 교사들의 STEAM 역량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수 있었다. 본 연수는 앞으로 이와 유사한 STEAM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mplications for future STEAM education by analyzing the surveys by the in-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Advanced STEAM Teacher Training Program(ASTTP) for raising interests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nurturing STEAM litera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ASTTP was developed for promoting ``teacher competence for STEAM.`` ASTTP is a 60-hour program(4 credits), which includes offline intensive course of 38 hours, online training course of 12 hours, a course of implementation at schools for 5 hours, and a workshop for 5 hours (based on the 2014 program). For the offline intensive course, teachers take various professional development classes and activities, such as open-laboratory tours, advanced experiments, mentoring programs, and team projects as well as lectures on diverse disciplines. For the online course, teachers take online classes freely while they are encouraged to work with other teachers in groups. After taking both online and offline courses, the teachers are required to implement their STEAM lesson plans in their classrooms. Finally at the workshop, some selected teachers share how successfully they have implemented STEAM education. About 700 teachers have successfully taken the program from 2012 to 2014. Based on the surveys by the teachers, the program has been modified and improved. Our analysis shows incre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TEAM education for the participating teachers. This study can provide some implication and helpful insights for people who need to develop and manag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STEAM education and other education programs in general.

      • KCI등재

        교사피드백이 포함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황신영,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 science writing program, including teacher feedback, on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16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gram consisted of twenty-one 10-minute sessions on two chapters (Stimulus and Response,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from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textbook. The students completed a worksheet in the class. We selected themes from science writing that could cultivate multiple facets of creativity in students: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Additionally, the format of the science writing was diverse for the above-mentioned reason.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traditional, lecture-based classe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1 were given the same lecture-based classes followed by a science writing program. Experimental Group 2, after receiving the same treatment as Experimental Group 1 (a lecture-based class followed by a science writing program), were given additional feedback from the teacher.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was tested using the TTCT. The students were also interviewed after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ents' creativity test revealed that the science writing program wasn't effective with respect to the student's creativity development. The science writing program, which included the teacher's feedback, however, had a meaningful effect on a sub-unit of creativity, originality(p<.01). Students will receive feedback from the teacher tried to creative thinking. Since the students were unfamiliar with scientific writing, the writing was considered by them to be difficult. We therefore need to develop a science writing program to improve students' creativity, a program which considers period, themes of science writing, and types of feedback. Again to reflect feedback from the teacher to be able to modify the science writing. Students who do not write a good science writing should provide enough feedback.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에게 교사의 피드백이 포함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과학시간에『자극과 반응』,『식물의 구조와 기능』단원의 총 21차시 분량의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이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은 과학 수업의 매 차시 정리 단계 10분 동안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활동지를 통해 진행되었다. 과학글쓰기의 주제는 실생활과 관련되며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의 창의적 사고가 신장될 수 있는 과학내용을 선정하였으며, 과학글쓰기 유형을 다양하게 구성하였다. 수업 정리 단계에서 비교반은 수업 내용을 정리한 강의식 수업을, 실험반 1은 과학글쓰기 프로그램 수업을, 실험반 2는 교사의 피드백이 포함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창의성은 창의적 사고력 검사지(TTCT)로 측정하였고, 사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적용결과,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에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교사의 피드백이 포함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은 창의성의 하위 요소 중 독창성(p<.01)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학생들은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독창적인 사고를 하려고 노력하고 과학글쓰기를 더 열심히 하려고 하였다. 다만 교사의 피드백이 포함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하는데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학생들이 과학글쓰기에 익숙하지 않은데다 짧은 시간동안 글을 완성해야 하므로 부담이 컸던 것이 이유로 생각된다. 따라서 과학글쓰기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적용 기간 및 과학글쓰기의 소재, 피드백의 유형 등을 고려하여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꾸준히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다시 과학글쓰기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과학글쓰기를 잘 쓰지 않는 학생에게도 충분한 피드백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2009 개정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

        정고은,황신영,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history of science section for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based on the 2009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analysis, five of the most common textbooks out of 17 science textbooks published by the 2009 Revised Science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various factors such as scientist,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method and science-technology-society related subjects. The research proceeded with reformed and complemented 'framework for nature of science',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Choi Yun-hee el.(2010) and Kim Ji-hye el.(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nature of science was reflected 223.6 times on average in the history section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Scientist' factor was most commonly indicated, with an average of 75.2 times, and 'Science-technology-society' factor shown least commonly, with an average of 18.6 times. Factors of the nature of science increased compared to the 7th Science Curriculum but the rate of the nature of science which related to contemporary-epistemological perspective is still in low level.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history section showed a tendency to be focused on the earth, with an average of 68 times and less in the category of energy, with an average of only 22.4, due to its concentration in specific chapters. In terms of the nature of science, existing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should be added or revised with more content related to the history of scienc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knowledge of science through the comprehensive approach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 과학의 본성요소가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2009 개정 중학교 과학교과서 17종 중 가장 많이 사용 되는 5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윤희 외(2010)와 김지혜 외(2013)가 개발한 과학의 본성 분석틀 을 수정 보완하여 과학자, 과학 지식, 과학적 방법, 과학-기술-사회의 관계의 요소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는 평균 223.6개의 과학의 본성 요소가 반영되어 있었다. 이 중 ‘과학자’ 요소가 평균 75.2개로 가장 많았으며, ‘과학-기술-사회의 관계’ 요소가 평균 18.6 개로 가장 적었다. 7차에 비해 과학의 본성 요소가 증가하였으나 현대 인식론적 입장과 관련된 과 학의 본성 요소 비율은 여전히 낮게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지구’ 영역의 과학사에서 평균 68개로 가장 많았으며, ‘에너지’ 영역은 평균 22.4개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영역별로 과학의 본성 빈도 차 이가 나는 것은 특정 단원의 과학사에 과학의 본성 요소가 몰려 있기 때문이다. 과학의 본성 측면에서 현재의 과학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사의 내용을 추가 및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교과서 개발 시 과학사에 다양한 과학의 본성 요소를 고르게 반영하고 현대 인식론적 입장과 관련된 과학의 본성 요소 내용을 보강한다면, 학생들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과 이해를 통해 과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STEAM 심화과정 교사연수에 참여한 초·중등교사들의 STEAM에 대한 인식 비교

        유정숙,황신영,한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STEAM교육을 이끌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STEAM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학교급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STEAM 심화과정 교사연수에 참여한 초·중등교사 326명을 대상으로 STEAM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정도, STEAM 교수효능감, STEAM의 현장적용의 수월성 정도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심화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임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초·중등교사들이 STEAM에 대해 표상적인 이해수준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중등 교사들이 이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다. 둘째, ‘STEAM 교수효능감’, ‘STEAM의 현장적용 수월성 정도’에 대한 인식 모두 초등교사가 중등교사보다 높게 나타나, 초등교사들이 중등교사들에 비해 STEAM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초·중등교사들 모두 STEAM 교수효능감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현장적용에 대한 수월성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나면서 효능감과 실행에서의 괴리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중등교사의 수월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바탕으로 학교급별 교사들이 STEAM 실행에 있어서 느끼는 어려움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TEAM교육의 현장 확산을 위해서는 교사교육의 필요성과 초중등 학교급의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며, STEAM 교수 실행을 위한 실제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할 수 있다. In an effort to better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Korean STEAM education and to provide some guidelines for future STEAM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n STEAM education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advanced STEAM teacher training program. These in-service teachers were expected to play leading roles in STEAM education. A total of 326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that inquired how they would define STEAM education, to what extent they had teaching efficacy about STEAM, and how they considered the expediency of applying STEAM in their class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the teachers were supposed to be pioneers for STEAM education, approximately 30% of the teachers did not have sufficient understanding about STEAM education, which is the case for the secondary teacher more than the primary teachers. Second, the primary teachers had higher “teaching efficacy about STEAM” and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applying STEAM education than the secondary teachers. And third, there was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bout STEAM. The scores of the teachers’ teaching efficacy were high, while the teachers evaluated that implementing STEAM into their own classes was not easy. As a result, it can be suggested that in order to improve STEAM in Korea, it is necessary to employ different approaches considering the level of schools and provide more practical supports for teachers who implement STEAM in their classes.

      • KCI등재

        과학의 본성 관련 국내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나현,황신영,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과학의 본성과 관련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별, 연구 방법별, 연구 대상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주제별로 분석하였을 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교과서와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의 본성에 관한 연구 순이었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는 양적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연구 대상은 학생, 그 중에서도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둘째,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경우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초반부터 현재까지 대체적으로 과학의 본성에 대해 전통적인 관점과 현대적인 관점의 중간적인 입장을 갖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반면 학생들은 연구 초반에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현대적인 관점을 갖지 못하였으나, 최근에는 비교적 현대적인 관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 방법은 명시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고, 수업의 소재로 과학사를 활용하고, 반성적 활동을 포함하였을 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의 본성과 관련한 연구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지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는 것이 쉽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과학의 본성을 올바르게 함양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 방법을 개발하는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amined research trends such as research topic,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subject for papers on the nature of science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by research topic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science's nature is the most popular topic, followed by the study on the class methods and programs to boost awareness of science's nature, and the study on the nature of science presented in textbooks and curriculum.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diverse methods were adopted, including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while quantitative research took the highest portion. In terms of study targets, many of them had studies on students, especiall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study targets. Second, an analysis of studies that examined the perceptions of science's nature showed that teachers generally have an intermediate view on science's nature between the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views. Students, on the other hand, did not have a contemporary view on the nature of science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but came to develop a relatively contemporary view over time. Third, when they adopted explicit approaches to improve perceptions of science's nature, use scientific history as teaching materials and include reflective activities in the class, it helped induce positive change on perceptions of science's nature.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despite the steady and continuous researches on the nature of science, it is not easy to help students have a proper per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ntinue researches to develop various teaching methods to help properly foster the nature of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