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수교육 관련 교과서의 연구 동향 분석

        신서영(Seoyoung Shin),이효휘(Xiaohui Li),박창언(Changun Park)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용 자료이고,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가 상호작용하여 교육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개체에 해당한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함과 동시에 교육 활동을 전개하는 당사자들에게 유용성이 있어야 한다. 그간 특수교육은 교육과정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국정교과서 체제가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교과서의 개발과 사용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문제를 진단하고, 향후 개선을 위한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학술연구정보원(RISS)에서 제공하는 ‘특수교육’, ‘교과서’를 검색어로 하여 중복되거나 무관한 저작물을 제외한 18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시기별·장애영역별·교과별·연구방법별 저작물의 빈도수를 알아보는 한편, Textom, UCINET, Netdraw를 이용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으로 키워드의 밀도를 이용해 3중 언어 중심성, 집단성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빈도분석에 있어서 교육과정시기별 연구물의 수는 점차 많아지다가, 2015 개정교육과정 시기 이후 다시 줄어들었다. 장애영역별로는 기본교육과정 및 지적장애가 가장 많았고, 교과별로는 국어과와 음악과가, 연구방법별로는 내용분석이 가장 많았다. 키워드 밀도를 이용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의 경우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은 기본교육과정, 분석, 초등학교가 상위 3위를, 매개중심성은 분석, 초등학교, 특수학교가 상위 3위를 차지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개발, 사용, 평가 측면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절실하다. 둘째, 밀도나 중심성, 연결성이 상대적으로 뒤떨어지는 영역에 관한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고, 학습자의 교육적 불이익이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특수교육 대상자가 가진 개별적 학습 요구의 독특성과 다양성을 고려했을 때, 국정 단일교과서는 많은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의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기본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수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탐구

        신서영(Shin, Seoyoung),박창언(Park, Changun)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2020년 상반기 코로나 19로 인해 진행되었던 온라인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향후 온라인 수업이 재개된다면 선결되어야 할 과제를 모색하고자 특수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을 탐구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를 위한 질문지는 Bateman(1994)의 특수교육 쟁점 분석기준을 바탕으로 개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의 특수교사 5인이며, 온라인 개학 준비단계, 온라인 수업 실행 중, 등교 개학 이후 등 3차례 이상씩 개별적 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시간의 순서에 따라 축을 분류한 후, 공간성, 상호작용성의 의미 단위로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들은 기본교육과정 대상 학생에게 온라인으로 수업을 한다는 것에 처음에는 ‘온라인이라는 공간의 낯섦에 대한 거부감’과 ‘새로운 형태의 상호작용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로 인한 불안감’을 느꼈으나 온라인 공간에서 콘텐츠 제작이나 기기 조작 등을 통한 학생들과 새로운 상호작용에 의외의 재미와 반응을 경험하였고, 자신의 교수 전문성이 향상되었음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 향후 온라인 수업이 원만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환경구축, 학생 학습지원 인력과 양질의 온라인 콘텐츠 개발·보급, 교육과정 시수 편제 조정 및 제도 보완 등이 필요함을 말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 플랫폼 구축, 기본교육과정형 LMS, 학습지원 바우처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online class experienc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explore their awareness of online class and their future challenges in learning. Th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explore narratives, and the questionnaire for the research was developed based on Bateman s special education issue analysis criteria.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f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data was collected by interviewing and divided into scenes according to the order of time, and the stories were organized in semantic units. As a result of the stud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itially anxious about online to students in the basic curriculum, but experienced unexpected fun and online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positively evaluated their improved teaching expertise. In addition, online schools were required to build up the environment, develop and distribute quality content with support personnel, adjust the number of curriculum timelines, and supplement the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establishment of a textbook platform, basic curriculum LMS, and learning support vouchers were proposed.

      • KCI등재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질 관리를 위한 사용성 평가 및 환류 체제 제안

        신서영 ( Shin Seoyoung ),박창언 ( Park Changu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 교과서 질 관리를 위해 사용성을 평가하고 그를 바탕으로 환류 체제를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사용성 평가를 위한 조사 도구는 델파이 전문가 20인를 통해 3차에 거친 의견수렴을 한 결과, 교과서의 사용성은 효과성, 효율성, 심미성, 흥미성, 수정요구사항 5가지로 선정되었으며, 문항의 개수는 리커트 척도형 문항 5개와 개방형 문항 10개로 최종 확정되었다. 이는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일반적인 사용자로서 특수교사가 교과서의 사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질 관리에 환류하고자 하는 평가의 성격을 고려할 때, 복잡한 요인구조를 가지는 측정도구와 차별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전제로 도출된 것이다. 연구결과: 설문조사는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유효한 응답지 316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리커트 척도형 응답은 기술통계분석(빈도분석 및 평균분석)을 실시하였고, 개방형 응답은 언어분석(워드클라우드분석, 언어밀도분석, 언어중심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성의 모든 항목은 평균 4점을 넘지 못하는 보통 수준의 점수를 보였고, 효과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개방형 응답의 경우 서책형 교과서와 전자저작물 각각이 다른 요구사항을 보였다. 또 언어밀도는 0.738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언어의 연결중심성에 있어서 ‘자료’, ‘학생’, ‘내용’ 중심으로 교과서의 효과성을 가장 많이 논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질 관리는 사용성 평가 및 환류 체제로 이루어져야 할 것, 사용성 평가를 위한 평가문항은 간단한 리커트 척도형 문항과 개방형 문항을 병행할 것, 마지막으로 교과서의 사용자 평가 환류 체제는 기본교육과정 교과서 플랫폼과 일원화된 통합 플랫폼으로 개발하여 교사들이 제작한 다양한 수준의 관련 온라인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 기능까지 갖출 것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usability and propose a reflux system based on it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basic curriculum textbooks. Method: The survey tool for usability evaluation was developed through the third round of collecting opinions through 20 Delphi experts. The usability of textbooks was selected in five categories: effectiveness, efficiency, aesthetics, interest, and revision requirements, and the number of questions was finally confirmed as 5 Likert scale questions and 10 open questions. This is because any special teacher would like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textbook and return the results to quality management, so a non-complex question is good. Result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316 valid responses were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average analysis) was performed for Likert scale responses, and language analysis (word cloud analysis, language density analysis, and language centrality analysis) were performed for open response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all items of usability showed an average score of less than 4 points, and in the case of open responses focusing on effectiveness, book-type textbooks and electronic works showed different requirements. In addition, the language density was high at 0.738, a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iveness of textbooks was discussed centering on 'data', 'student', and 'content' in terms of language connection centralit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quality management of basic curriculum textbooks should consist of a usability evaluation and reflux system, and that the teachers’ user evaluation feedback system should be developed as an integrated platform.

      • 농산물 중 잔류 네레이스톡신 시험법 개선

        신서영 ( Seoyoung Shin ),박인주 ( Inju Park ),이정미 ( Jung Mi Lee ),장귀현 ( Gui-hyun Jang ),김현경 ( Hyun-kyung Kim ),허수정 ( Soojung Hu ),남봉현 ( Bonghyeon Nam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Nereistoxin is a natural toxin found in lugworms. Bensultap, cartap, thiocyclam and thiosultap, which are insecticides derived from the molecular structure of nereistoxin, are rapidly converted into nereistoxin in vivo and in the environment after spraying the drug, which binds to nicotinic acetycholine receptor of insects. It shows an insecticidal activity by inhibition of the Na+ and K+ conduction at the end plate membrane, which causes paralysis of central nervous system of insects. In Korea, the definition of residues of bensultap, cartap and thiocyclam is managed as nereistoxin. Currently, the analytical method of nereistoxin residue has a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process. Therefore, we tried to improve the usability and efficiency with the QuEChERS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method so that it can be safely converted to nereistoxin. In this study, the validation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nereistoxin was performed, which was verifi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ive agricultural products (mandarin, potato, soybean, hulled rice, and chili pepper) showing group representatives were chosen for experiments. In order to extract, L-cysteine was added into the samples and mixed thoroughly. The samples were heated at 70℃ with 3% nickel chloride and 28% ammonium hydroxide to convert into the nereistoxin rapidly. After addition of sodium chloride and acetonitrile, centrifugation was performed followed by purification using dispersive solid-phase extraction (d-SPE) with anhydrous magnesium sulfate and primary and secondary amine (PSA) to remove the interferences in samples. The results of LC-MS/MS analysis using amide column show the linear standard calibration curves with r-square values higher than 0.99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ith calibration range) and mean recovery rates of nereistoxin ranged at 84.4~106.2%, the precision less than 12.6% in all five samples. These results are suitable for CODEX guideline for residue analysis (CAC/GL 40). In summary, the propose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nereistoxin residue in foods could be included in the Korean Food Code for enabling the safety management of pesticides.

      • KCI등재
      • 경계 오류를 최소화한 동영상 블렌딩

        신서영(Seoyoung Shin),윤서현(Seohyeon Yoon),정희민(Heemin Jung),김준식(Junsik Kim),김규헌(Kyuheon Ki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8 No.6

        현재 기술의 블렌딩 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기법은 각각의 이미지들을 스티칭 후 동영상을 재생하므로 이전 프레임의 경계를 고려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에서 움직임이 동일한 경계 부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연결하지 못하는 오류가 발생하여 자연스러운 영상 재생이 불가능하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각 영상의 frame 을 추출하여 경계의 가중치를 비교한 후 차이가 클 경우 새로운 경계를 생성하여 적용하는 과정을 고안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블렌딩 된 동영상의 초기 오류가 크게 감소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해당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다양한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오류를 최소화한 동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 특수교육 교과서의 변천과정 고찰과 발전방안 연구

        신서영(Seoyoung Shin) 교과와 교과서학회 2022 교과와교과서연구 Vol.2 No.2

        이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 고시를 2022 앞두고 특수교육 교과서의 발전 과제를 제안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본 이후, 교과용도서의 변천 과정을 내용적 기준, 외형적 기준, 제도적 기준, 예산적 기준, 질 관리 기준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장애영역별로 개발되다가 7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장애영역이 통합되고 감각장애 및 지체부자유 학생들을 위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지적장애 및 정서장애 학생들을 위한 기본교육과정으로 나뉘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교과서가 본격적으로 개발된 것은 2008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시기부터였으며, 지속적으로 국정발행제를 유지하면서 점차 책수를 늘이고 자료 유형을 다양화하였으며 예산을 증액해왔다. 또 질 관리 체제 면에서 개발단계의 질 관리에 비해 사용단계의 질 관리 참여자가 소수로 제한되어 현장의 사용성 평가 시스템이 취약하다고 볼 수 있었다. 이에 특수교육 교과용도서는 국정단일종으로 개발되는 교육과정 자료로서의 위상이 높은만큼 현장의 요구, 시장의 실태를 반영한 예산 확보로 자료의 질 담보와 자료 유형 및 수준의 다양화를 통해 맞춤형 교육과정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과 교과서의 사용자들이 사용 단계에서 접근하기 쉽고 평가하기 용이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현장의 요구가 차기 개발에서 주요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대안이 필요함을 발전 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development task of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head of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notice. To this end, after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process of changing textbooks was divided into content standards, external standards, institutional standards, budget standards, and quality management standards.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ad been developed for each disability area, and the disability area was integrated from the 7th curriculum period. From those time, it began to be developed by dividing it into a basic nation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nsory and physical disabilities and a basic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emotional disabilities. Textbooks were developed in earnest from the 2008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 has been continuously published under state-issued system, the number of books has been increased, the data types has been diversified, and the budget has been increased. In addition, in terms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quality management in the use stage was weaker than quality management in the development stage.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re a single national textbook and have a high status as curriculum materi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budget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field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market so that customized curriculum can be provided through data quality security and diversification of data types and level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is easy for users of textbooks to access and evaluate at the stage of use. Such a policy could reflect the needs of the field in the next development.

      • Sickness absence indicating depressive symptoms of working population in South Korea

        Shin, Cheolmin,Ko, Young-Hoon,Yoon, Seoyoung,Jeon, Sang Won,Pae, Chi-Un,Kim, Yong-Ku,Patkar, Ashwin A.,Han, Changsu Elsevier 2018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227 No.-

        <P><B>Abstract</B></P> <P><B>Background</B></P> <P>Sickness absence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workers' health and work productivity.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ickness absence in workers of South Korea.</P> <P><B>Methods</B></P> <P>We used nationwide cross-sectional survey data from 2889 individuals in the working population aged over 19 years in South Korea. Depressive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Those respondents who scored above 10 on PHQ-9 were regarded as having depressive symptoms. Sickness absence was considered a binary variable with an absence of at least 1 day in the past month. The survey instrument contained questions about sociodemographic factors, lifestyle, work-related factors, and chronic illnesses.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find odds ratios and confidence intervals.</P> <P><B>Results</B></P> <P>The prevalence of sickness absence was found to be overall 4.6%. The adjusted odds ratio of sickness absence with depressive symptoms (PHQ-9 score ≥ 10) was 3.63 (Confidence Interval: 2.13–6.20) after controlling of possible confounders. Compared to minimal depressive symptoms (PHQ-9 < 5), the differences between other types of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mild, moderate, and moderately severe) in terms of mean of all sickness absences were more significant.</P> <P><B>Limitation</B></P> <P>The sickness absence based on the memory of the respondent in this study may result in a recall bias.</P> <P><B>Conclusions</B></P> <P>Incidence of at least 1 day of sickness absence per month increased the risk of depressive symptoms after controlling for the possible confounding factors in general working population. It may be necessary to consider strategies for assessing depression in the workers who take sick leaves.</P> <P><B>Highlights</B></P> <P> <UL> <LI> We examined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ickness absence in Korean workers. </LI> <LI> Self-employed and unpaid family workers were included as the study population. </LI> <LI> Incidence of sickness absence increased the risk of depressive symptoms. </LI> <LI> Long duration of sickness absence tended to imake depressive symptoms severe. </LI> </UL> </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