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우측 대장에 발생한 연소성 용종 1예

        이준식,박성한,홍현진,안광순,김지연,배용목,이은영,박선자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7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2 No.2

        Juvenile polyp, also known as a retention polyp because they contain mucin cysts, is a relatively common hamartomatous lesion in chlidhood. It occurs in 1-2%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however it is uncommon in adulthood. Juvenile polyp is rare in the first year of life and is thus presumed to be acquired and not congenital. It is pedunculated, 2-3 cm in size, red-tan in colour, smooth and always shows fluid filled cystic spaces on cut surface. Histologically, Juvenile polyps are hamartomatous with distended, mucus-filled glands, often with cystic dilatation and edematous lamina propria containing abundant vasculature. The most common manifestation is rectal bleeding produced by auto-amputation of the polyp. Juvenile polyp has been considered not to be at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carcinoma. However, atypical epithelium is observed in some lesions, especially in larger polyps, which may give rise to adenoma and subsequent malignant transformation. Therefore the diagnosis of solitary juvenile polyp should not be made only with colonoscopy and biopsy, but should be totally resected endoscopically for pathologic evaluation. About 90% of the lesions are solitary and localized within 20cm from anal verge. In Korea, there are some reports of juvenile polyps located in the rectosigmoid colon. We report one case of juvenile polyp in adolescent that presented as a hematochezia & abdominal pain, which is located at right colon.

      • 내시경역행성담췌관조영술 후 발생한 종격동기종, 피하공기증, 긴장성 기흉 1예

        조용건,이현승,권균홍,김자영,김봉진,김지연,배용목,박선자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8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3 No.4

        However,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s still helpful procedure for the diagonosis of the pancreatobiliary disease and treatment through endoscopic sphinterectomy (EST) is relatively safe, these have possiblity of complications such as hemorrhage, infection, panceatitis, and perforation. ERCP related perforation was rarely reported in 0.3 to 1.1% of previous study, but most serious complication. A report of Pneumomediastinum, Tension Pneumothorax complicating perforation after ERCP and EST is very uncommon. In our hospital, we experienced case of pneumomediastinum, subcutaneous emphysema, and tension pneumothorax after ERCP and EST, and the patient (a 58 years old female with suspicious common bile duct stone)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conservative treatment.

      • 시 치료 이론과 실제

        배선윤(Seon-Yun Bae) 대한문학치료학회 2020 대한문학치료연구 Vol.10 No.1

        유명시인부터 신경정신과 심리치료사까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은 모든 사람은 시인이며, 시는 그 사람의 삶이 된다고 하였다. 하지만 시가 치료적 장면에서 활용될 때, 모든 시가 곧 치료적 효과를 내는 것은 아니다. 치 료사의 선택에 따라 혹은 치료사의 방향에 따라 어떤 작업은 특정 참여자의 경우 위험하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시는 감정의 고조와 의미의 함축성을 지니고 있고, 시어의 다양성과 불확실성, 풍부함과 유연성 등이 인 간의 잠재력과 반응들을 연구하는 데에 특별한 자료가 되며, 시어는 과거를 되찾고 현재를 수용하며 미래를 내다 볼 수 있게 해 준다. 시를 읽거나 쓰면서 날 것 그대로의 감정이 속수무책으로 범람되는 것이 치료는 아니다. 마 짜(2005)의 말대로 엄격함과 통제는 예술과 심리학을 관련짓는 데 필수적이다. 치료사의 전문성 아래 엄격함과 통제라는 안전 틀을 두르고 나면 시는 참여자가 느끼는 삶의 주관적 의미를 파악하는 아주 효과적인 매체가 될 것이다. Experts in various fields, from famous poets to neuropsychiatrists and psychotherapists, said that everyone is a poet, and that poetry becomes his life. However, when poetry is used in a therapeutic scene, not all poetry has a therapeutic effect. Depending on the therapist s choice or the therapist s direction, certain tasks can be dangerous for certain participants. Nevertheless, poetry has a heightened sense of emotion and implications of meaning, and the diversity and uncertainty of poetry, abundance and flexibility are special sources for studying human potential and responses, and poetry regains its past and accepts the present. And allows you to look into the future. When reading or writing poetry, it s not a cure that raw emotions are flooded with helplessness. As Mazza(2005) says, strictness and control are essential to link art and psychology. Under the professionalism of the therapist, a safety framework of strictness and control will be a very effective medium for grasping the subjective meaning of life felt by participants.

      • KCI등재

        생톰으로서의 시 쓰기와 의미-증상을 넘어 생톰으로 가는 길-

        배선윤 ( Bae Seon-y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라깡의 생톰 개념과 크리스테바의 코라 세미오틱 개념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이승훈의 시 쓰기를 생톰으로서 해석하면서 정신분석의 궁극적 목적을 다시 한 번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신분석적 측면에서 볼 때, 심리치료란 어떤 증상을 제거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증상을 그대로 즐길 수 있는 힘을 부여하는 것이 치료의 최종 목표라 할 수 있다. 이를 두고 라깡은 증상 즐기기라는 말을 썼으며, 그가 조이스에 관한 세미나를 진행하면서부터 증상과 구분된 생톰의 개념을 들어, 환상 가로지르기 이후 생톰을 증상 즐기기의 핵으로 설명했다. 초기 증상이 빚어내는 환상의 언어화를 분석 목표로 삼았던 라깡은 결국 한국을 비롯한 동양에서 말하는 물아일체의 상태, 다시 말해서 환상을 가로질러 대상과의 거리를 무화시키고 그 안에서 자기를 비울 때 비로소 치료의 궁극적 목표에 다다른다는 입장으로 전환한다. 이는 이승훈이 자아 찾기라는 명목을 내세워 종국에는 자아 소멸로 나아가 물아일체의 무화로 나아가는 시 쓰기의 과정과도 일치한다. 연구자는 이승훈의 시를 통해서 시 쓰기가 증상을 넘어 생톰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다. This Essay is based on the conception of Jaques Lacan` Sinthome and Julia Kristeva`s Cora Semiotic and analyzes poetry of Lee. And then I would search the ultimate aim of psychoanalysis. In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the aim of psychotherapy is not getting rid of some symptoms, but empowering one to enjoy one`s symptoms. Lacan says it, "Enjoying the symptoms". He explains it as sinthome, the kernel of enjoying symptoms after going through fantasy. Early, Lacan set verbalizing of fantasy as the aim of analysis but eventually he turns it over to being nothing, being empty that is becoming one with the object. That is the ultimate aim of psychoanalysis. The process is coincided with Lee`s poetry. Lee proceeds with writing poetry to look for self, but at last, he reaches at dissipating self and being nothing. I want to propose the process of writing poetry to sinthome beyond symptom through Lee`s poetry.

      • KCI등재

        아버지의 이름 고찰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를 중심으로-

        배선윤 ( Bae¸ Seon-y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1 문학치료연구 Vol.60 No.-

        본 연구는 서양에서 유입된 이론으로 우리 신화를 읽을 수 없다는 가설 아래 출발한다. 신화를 연구한다는 것은 인간 정신의 원형적 구조를 파고든다는 말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리스신화와 우리 시조신화를 비교하면서 그 차이성에 주목하였다. 그리스신화를 근간으로 하는 서양에서 아버지의 이름은 죽은 원초적 아버지의 이름으로 모든 향유를 소유하는 환상의 기표이다. 이 향유의 대상은 모성이 되고, 아들은 아버지에게서 모성을 찬탈하고자 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부친살해 욕망으로 이어진다. 우라노스에서 제우스로 이어지는 부친살해의 신화는 환인에서 단군으로, 천제인 해모수에서 주몽을 거쳐 유리로 이어지는 부자관계에서는 드러나지 않는다. 그리스신화 속 아버지에게 아들은 아무 상관없는 외적 존재이지만, 우리 신화 속 아버지에게 아들은 자신의 혈통을 이어가는 후계자이다. 이는 우리 신화 속 부자관계가 소통과 원조의 관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데서도 발견된다. 여성의 기표 또한 서양의 그것과는 다르다. 웅녀와 유화, 예씨부인으로 대표될 수 있는 우리 신화 속 여성은 아들의 조력자로서 서양에서 말하는 성적 대상과는 거리가 멀다. 본 연구는 그리스신화와 달리 우리 신화는 화합과 계승의 차원에서 아버지의 이름을 엿볼 수 있음을 고찰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starts is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Korean myths cannot be interpreted with theories developed in the West. To study myths is to discover the archetypal structure of the human mind. This study compared Greek myths to Korean myths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the West, drawing upon Greek mythology, The-Name-of-the-Father is the signifier of the dead original father and of the illusion of possessing everything. The object of this desire is the mother, and since the son is a being who wants to usurp his mother from his father, it leads to murdering his own father. The myth of the murder of father from Uranus to Zeus is not revealed in the father-son relationship from Hwanin to Dangun, from Heaven to Jumong. In Greek mythology, the son is an external being to the father that has nothing to do with himself. In contrast, in Korean mythology, the son is the heir to his lineage to the father. This is also found in the fact that the father-son relationship in Korean mythology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aid. The signifier of women is also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 The woman in Korean myth, who can be represented by Ungnyeo and Yuhwa, is a helper to her son, far from being a sexual object as in the West. In contrast to Greek mytholog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sidering that Korean myths can glimpse the Name-of-the-Father in terms of harmony and succession.

      • KCI등재

        히스테리 주체의 몰락 : 영화 〈기생충〉 주요 등장인물 분석

        배선윤(Bae, Seon-Yun)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1 현대정신분석 Vol.23 No.1

        봉준호 감독은 <기생충>의 아이디어를 처음 떠올릴 때부터 작정을 하고 부자와 가난한 집 이야기를 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또 많은 비평가들이 그의 영화는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사회문제를 구현하고 있다고 평한다. 이런 전제들은 그의 영화에 가시화된 크로노토프 기표들을 따라가는 한계점을 만든다. 봉준호 영화의 대표적 공간은 어두운 지하실과 계단이다. 이 공간들이 인간 무의식을 반영한다고 볼 때, 홀바인(Holbein, H.)의 그림 ‘대사들’의 해골처럼 봉준호 감독의 의도적 장치 아래 기억해야 할 지점들을 탐색해 보려는 시도를 해 볼 필요가 있다. <플란다스의 개>이후 20년 동안 봉준호 감독이 의도한 장치가 수직적 계급 갈등과 고착화된 현실 풍경의 재현이라면, 그 의도 아래 흐르고 있는 반쯤 누설된 내용은 고착화된 현실을 구성하는 개인 주체의 고착화로 보인다. <기생충>의 주요 등장인물들은 현실사회를 대변하는 기표들이기도 하지만, 각각 개별 주체로서의 의미도 지닌다. 봉준호 감독 영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계급 갈등이나 사회 문제 비판이라는 제한된 시선에 머물러 있었다면, 본 연구는 각각의 등장인물들을 미시적으로 들여다보는 입장을 취한다. 상징질서 내로 진입하여 신경증적 자리에서 분열된 주체가 소외와 분리를 거쳐 주체화되지 못하면 히스테리 담론에 갇힌다. <기생충>의 등장인물들은 구원받을 수 없는 히스테리 주체로서 무능을 드러낼 수밖에 없다. 한 시대의 문제는 결국 그 시대에 속한 인간들의 산물이다. 봉준호 감독의 의도된 장치 아래 숨은 주체의 진리에 무능한 인물들을 미시적인 시각으로 분석하여, 담론의 변화를 경험하지 못한 주체의 결정론적 비극을 보여주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Director Bong Joon-ho said, "From the first time I came up with the idea of Parasite, I decided to talk about the rich and the poor." In addition, many critics say that his films embody abstract and universal social problems. Due to these premise, there is a limit to following the chronotope signifiers visualized in his films. The space that regularly appears in Bong Joon-ho"s movies is a dark basement and stairs. This space reflects the human unconsciou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to explore points to remember under Bong Joon-ho"s intentional device, such as the skeleton of H Holbein"s painting "The Ambassadors." For 20 years after The Dog of Flanders, if the device intended by Bong Joon-ho is the representation of vertical class conflict and a fixed reality landscape, the half-revealed content flowing under that intention seems to be the fixation of the individual constituting the fixed reality. The main characters in Parasite are signifiers representing the reality of society, but each has a meaning as an individual subject. If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film directed by Bong Joon-ho has remained in the limited view of class conflict or criticism of social issues, this study takes a perspective to look into each character microscopically. If the subject that enters the symbolic order and is split in the neurotic position cannot become subject through alienation and separation, he is trapped in the hysterical discourse. The characters of Parasite have no choice but to show their incompetence as the subject of hysteria that cannot be saved. The problem of an era is, after all, the product of humans in that era. I analyze the characters incompetent to the truth of the subject hidden under the intended device of Bong Joon-ho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deterministic tragedy of the subject who has not experienced a shift in discourse.

      • 중년기 이혼여성의 생애사 연구 -정신분석적 관점으로-

        배선윤(Seon-yun Bae) 대한문학치료학회 2019 대한문학치료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중년기 이혼여성의 생애사를 해석하여 그 의미를 재구성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30대 중반에 이혼을 경험하고 50대에 들어서서 재혼을 한 후 다시 이혼을 경험한 한 여성의 생애사 자료에서 유년기 경험과의 관계성을 검토하여 참여자가 자기 생애 핵심 요인으로 꼽은 세 가지—아버지, 돈, 이성—와의 연관성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생애사 연구는 참여자의 경험을 자기반성적으로 성찰하고 기록하는 연구 방법이며, 이를 연구자가 재구성한다. 본 연구는 이 재구성의 과정을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참여자가 ‘다름 아닌(nicht anders)’ 바로 ‘그렇게 (so)’ 형성된 근본적 원인을 탐색함으로써 참여자의 자각을 돕고자 했다. 이러한 자각의 과정은 정신분석 이론 중 주체화과정과 상통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F. Schütze의 내러티브 인터뷰 분석 틀을 이용하였고, 재구성을 위해서는 J. Lacan이 말하는 주체화과정에서의 담론의 이동을 적용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fe history of middle-aged divorced woman from a psychoanalytic view.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of a middle-aged divorced woman and her childhood experience. In the process, the main themes are father, money, and man. Life history research is a research method that reflects and records participant’s experiences in a self-reflective way. The researcher reconstructs and interprets the record. This study approaches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And then, we help participant explores the causes of ‘not otherwise’, ‘just so’. This process of awareness in common with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of psychoanalys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F. Schütze’s Narrative-Interview analysis framework. In order to reconstruct life history data, we applied Lacan’s Subjectification theory and we help the participant moves her discourse.

      • KCI등재

        라스콜리니코프의 죄의식에 대한 정신분석적 분석

        배선윤(Bae, Seon-Yun)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19 현대정신분석 Vol.21 No.1

        라캉이 말하는 주체화 과정의 주체는 무의식의 주체이고, 주체화는 신경증적 주체로의 탄생과 윤리적 주체로의 탄생으로 나뉜다. 부성은유로 인해 신경증적 주체로 탄생한 주체는 환상을 가로질러 증상과의 동일시를 이루고 윤리적 주체로 다시 탄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도스토예프스키 『죄와 벌』***의 주인공 라스콜리니코프의 행위변화를 살펴보고, 그 변화의 과정을 주체화 과정에 대입시켜본다. 주체화 과정에서 병리적 증상으로 드러나던 죄의식이 어떻게 증상과의 동일시로 이행되는지, 그 이행의 고리가 되는 소냐는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탐색한다. 우선 병적 증상으로서의 죄의식에 시달리는 작품전반부의 라스콜리니코프와, 소냐와의 만남으로 증상과의 동일시를 이룬 후 윤리적 주체로 탄생한 작품 후반부의 라스콜리니코프를 비교한다. 이 과정에서 오브제 ɑ로서 분석가의 자리를 점한 소냐와 라스콜리니코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라스콜리니코프가 환상을 가로지르고 담론의 이동을 경험하여 윤리적 주체로 탄생하는 과정을 정신분석적 분석을 통해서 엿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In Lacan’s subjectification process the subject is the unconscious subject, and the subjectification is divided into the birth as a neurotic subject and of an ethical subject. The subject, who was born as a neurotic subject due to paternal metaphor, traversing the fantasy, identifies with symptom. And then the subject is reborn as an ethical subject. After the ethical subject has identified with a symptom, the symptom becomes the sinthome. In the process, I will examine how the guilt is interfering, and how pathological symptom and sinthome are different. How can the guilt become the sinthome from pathological symptom? This paper considers the transition to the analytic discourse as the answer to this problem, and offers as an example of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Raskollinikov and Sonya, Dostoevskii’ person ages of Sin and Punishment. In the first half of novel, Raskollinikov suffers from pathological symptom, in the second half he is reborn as the ethical subject after identification with the symptom. What made this possible was the relationship with Sonya who had taken the position of an analyst as an object ɑ. In this paper, I will look at the overall process and find out the link between the birth of ethical subject, sinthome, love, and analytic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