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그림책을 활용한 성인대상 문학치료에서 치료사의 자기탐색적 질문과 삶의 의미의 연관성

        백민선(Back, Min-Sun) 대한문학치료학회 2022 대한문학치료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성인대상 문학치료에서 치료사의 자기탐색적 질문과 삶의 의미의 연관성’를 알아보는데 있다. 그림책이 가진 치유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림책을 활용해서 성인 대상 문학치료를 실시할 때 치료사가 그림책을 통해서 내담자에게 던지는 자기탐색적 질문이 내담자가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데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22년 대한문학치료학회 동계 워크샵에 참여한 참여자 20명의 성인이었고 그들을 대상으로 하루 3시간의 비대면 프로그램으로서 그림책을 활용하여 치료사가 자기탐색적 질문을 던지고 참여자가 삶의 의미를 생각 해 보게 하는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연구자가 성인 참여자들에게 3권의 그림책을 매체로 제시하였고 치료사가 제시하는 자기탐색적 질문에 참여자들이 자신의 ‘오늘’을 생각해보았다. 더 넓은 의미로는 삶 자체를 돌아보고 은유(metaphor) 를 통해 자신의 상처나 그림자와 직면하면서 그들의 삶에 조금 더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성인대상 문학치료에서 치료사의 자기탐색적 질문과 삶의 의미의 연관성은 있다’ 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 s self-explored questions and the meaning of life in literary therapy for adults using Picture 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ing properties of picture books and to find out whether the self-exploratory questions posed by the therapist to clients through picture books when using picture books to provide literary therapy for adults are related to the client s ability to find the meaning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Winter Workshop of the Korean Society for Literature Therapy in 2022. Using picture books as a non-face-to-face program for 3 hours a day, the therapist asked self-exploring questions and asked the participants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life. program was planned. The researcher presented three picture books to the adult participants as a medium, and the participants thought about their own today in response to the self-exploration questions posed by the therapist. In a broader sense, it is a time to reflect on life itself and to focus on their lives a little more while facing their wounds and shadows through a metapho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 s self-exploration questions and the meaning of life in literary therapy for adults using picture books .

      • 기혼 직장여성의 심리적·신체적 안녕을 위한 문학치료

        조영미,조현춘 대한문학치료학회 2010 대한문학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문학치료를 통해 기혼 직장여성들의 자존감과 심리적·신체적 안녕에 관한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대구시 수성구에서 독서지도사 일을 하고 있는 1년 이하의 신입교사 20명으 로 이들 중 참여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을 무선 배치하였다. 문학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 로그램 실시 전과 후 자존감, 정서경험, 신체증상을 실시하고 약 두 달 후에는 추검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분산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치료는 기혼 직장여성들의 심리적 안녕을 향상시킨다. 1. 문학치료는 기혼 직장여성들의 자존감을 향상시킨 다. 2. 문학치료는 기혼 직장여성들의 정적정서를 향상시킨다. 3. 문학치료는 기혼 직장여성들의 부적 정서를 감소시킨다. 둘째, 문학치료는 기혼 직장여성들의 신체증상을 감소시킨다. 점차 직장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나고 있는 때에 기혼 직장여성의 심리적, 신체적 안녕을 도모하는 것은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일이다. 문학치료가 앞으로 다양한 계층, 다양한 문제들에 더욱 효과적인 치료전략이 되기 위해서는 대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중요하다.

      • 정서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 정서지능,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진현숙,박찬부 대한문학치료학회 2011 대한문학치료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아동의 우울 증상 감소와 정서지능 및 자기존중감을 높이기 위하여 정서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 감소와 정서지능 및 자기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 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소재의 한 초등학교 4학년 216명 아동에게 우울 검사를 실시하여 우울정도 가 심한 고위험군 33명을 선정하였다. 그 중 참여의사를 밝힌 아동과 교사의 추천을 받은 20명을 다 시 각 10명씩 무선 배치하여 치료실시 집단과 비실시 집단으로 나누었고, 각 집단의 남녀 비율은 남 학생 5명, 여학생 5명으로 성비가 유사하였다. 치료실시 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정서중심 문학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실시 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은 2010년 5월 17일∼6월 24일까지 주 2회, 매회기 60분씩 12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 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각 집단별로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았다. 자료분석은 사회과학통계꾸러미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사전검사 점수 를 공변수로,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점수, 추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아동우울, 정서지능, 자기존중감 척도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아동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문학치료의 역할을 밝혔고 또한 정서지능과 자기존중감을 향 상시키는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 었다.

      • 해결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개념과 희망 증진에 미치는 효과

        최수진,조현춘 대한문학치료학회 2015 대한문학치료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해결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개념과 희망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다. 이를 위하여 포항시 소재 00중학교 방과 후 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2, 3학년 중 사회복지사의 추천을 받은 100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념과 희망을 측정하여 하위범주에 들고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24명을 실시 집단과 비실시 집단에 각각 12명을 배치하였다. 실시 집단에게는 2012년 1월 3일부터 주 2회, 매회기 90분으로 총 10회기 동안 해결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하였고, 비실시집단에게는 해결중심 문학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집단 과 비실시집단 동시에 해결중심 문학치료프로그램 사전, 사후, 추후 총 3번에 걸쳐 측정하여 공분산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해결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자기개념을 높이고 이 효과는 추후에도 유지되었다. 또한 해결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희망을 높였고 이 효과는 추후에도 유지되었다. 따라서 해결중심 문학치료프 로그램은 중학생의 자기개념과 희망 증진에 적합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기개념과 희망의 증진을 위한 해결중심 문학치료를 적용한 연구이며, 학교 현장에서 중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단 기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조민규,김춘경 대한문학치료학회 2015 대한문학치료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자아존중감을 향상 하는데 있다. 연구문제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것 이다. 둘째,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본 연구는 대구시 동구에 소재하 는 OO초등학교 5학년 아동 192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통해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가지고 있는 24명을 프로그램 에 참여 시켰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하였으며, 각각 12명씩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프로그램은 일주일에 2번 실시하였으며, 각 회기당 45분씩 총 12회기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켰으며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다. 첫째,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게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켰으며, 그 효과는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도 지속되었다. 둘째,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으며, 그 효과는 지속되었다. 이는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감소와 자아존중감 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 정서중심 글쓰기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환자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윤민준(Yun, Minjun) 대한문학치료학회 2022 대한문학치료연구 Vol.11 No.1

        정신과 병원 입원 환자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질환이 조현병이다. 조현병의 특성상 초기에 발견과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면, 만성화로 진행되기가 쉽다. 규칙적인 약물투여로 양성증상의 강도는 조절되고 있다. 그러나 음성증상은 그 정도를 조절하지 못한다. 조현병 환자들은 음성증상 중에서도, 특히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이런 점은 약물치료 만으로 조절되는 증상이 아니어서 치료의 목적에 맞는 치료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글쓰기 치료는 조현병 환자에게 내재된 자신의 힘을 발견 하게 하고, 스스로 증상을 조절할 수 있는 긍정적 에너지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를 중심으로 한 글쓰기 치료를 활용하여 만성 조현병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한 단어 글쓰기 프로그램과 시 쓰기 프로그램 두 가지 프로그램을 합쳐 ‘정서중심 글쓰기’라고 명명하였다. ‘정서중심 글쓰기’는 단순한 쓰기활동인 아닌 내재된 정서를 알아차리고 표현하여, 변화의 힘을 알아차리도록 하는 글쓰기치료이다. 연구대상은 경남 소재 B정신 병원의 폐쇄병동에 입원 치료중인 주호소가 불안이며 발병기간이 2년 이상 된 만성조현병 환자 20명이다. 글쓰기치료 실시집단과 비실시 집단으로 각각 10명씩 배치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정서중심 글쓰기가 만성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정서중심 글쓰기가 만성 조현병 환자의 불안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chizophrenia is the most common disease among psychiatric hospital admissions. Due to the nature of schizophrenia, if the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time is missed, it is easy to progress to chronic disease. The intensity of positive symptoms is being controlled by regular drug administration. However, negative symptoms cannot control the severity. People with schizophrenia do not show emotions well, especially among negative symptoms. This is not a symptom that can be controlled by medication alone, so a treatment method that suits the purpose of treatment must be selected. Writing therapy helps patients with schizophrenia discover their own power and provides positive energy to control their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writing therapy focusing on emotions to reduce anxiety and improve self-esteem in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The two programs, the one-word writing program and the poetry writing program, were combined and named ‘emotion-oriented writing’. ‘Emotional-focused writing’ is not a simple writing activity, but a writing therapy that recognizes and expresses the underlying emotions and makes them aware of the power of chan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who were hospitalized and treated in a closed ward of psychiatric hospital B in Gyeongnam and had an onset period of more than 2 years. 10 people were assigned to the writing treatment group and the non-conducting group, respectively.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s, first, emotion-focused writ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in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emotion-focused writ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nxiety reduction of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 은유치료 : 문학치료에 대한 은유적 접근

        배선윤,박찬부 대한문학치료학회 2011 대한문학치료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은유치료의 실제 치료적 가능성 검증에 있다. 은유를 통한 심리치료가 대개의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에서 부분적으로 행해지고는 있으나 은유의 실제적 의미에 대한 성찰은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은유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면밀히 살펴보고, 은유가 심리치료에 미칠 수 있는 실제적 효과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은유는 원래 수사학적 개념으로, 문학적 의미를 지닌 용어이므로, 은유의 본뜻과 그 변화 과정을 먼저 살펴보고, 은유의 활용 범위를 재검토한다. 은유라는 개념이 상담이나 심리치료에 활용되기 시 작한 것은 정신분석의 탄생과 함께 하므로, 정신분석학적인 은유의 의미를 탐색한 후, 언어와 은유와 정신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서 인간 정신과 은유의 속성 비교를 한다. 철학과 정신분석학 관련 학자들의 이론 탐색 과정을 거치면서 은유가 인간 정신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검토한 후, 심리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은유적 도구를 소개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 사례에서 은유의 효과를 검증하고, 사례분석을 통해서 은유의 활용범위를 확인하고, 은유치료의 나아갈 바를 탐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다.

      • 문학치료 연구 패러다임 -국내학위논문을 중심으로(2004-2014)

        허선아(Heo, Seon-Ah) 대한문학치료학회 2020 대한문학치료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국내 문학치료 관련 학위 논문을 분석하여 문학치료 연구 동향(動向)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4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문학치료 관련 학위 논문 164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방법, 연구 내용, 주요 키워드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가 44.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혼합연구(20.1%), 양적연구(17.7%), 질적연구(15.2%)순이었다. 연구 대상으로는 청소년이 62.7%로 가장 많았으며, 성인(25.3%), 유아(3%), 노인(2.&%)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문학치료 프로그램 분석에서는 자존감과 표현력 향상, 스트레스감소와 우울 감소를 위한 목적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문학치료가 학제간 융복합 학문임을 알 수 있는 교육학, 국문학, 상담학, 예술치료학, 신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특히 교육학(국어교육전공) 전공의 연구자들이 문학치료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한 수업모형 탐색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research status and trends in literature therapy and establish one of the foundations for upcoming research based on domestic dissertation. For this research, 164 dissertations, which are published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14, in literature therapy are used as sample. The coverage of research includes year-by-year trends analysis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main contents of research, keyword, etc. According to the analysis, 44.5% of research uses ‘literature research’ as a research methodology followed by ‘mixed research’ (20.1%), ‘quantitative research’ (17.7%) and ‘qualitative research’ (15.2%). Majority of the researches are done with the teenager (62.7%), and also done with the adult (25.3%), infant (3%) and old people (2.7%). The purpose of analysis on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is found mainly for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and the relief of stress and depression. Also, the research on literature therapy is appearing in various academic domains such as the pedagogy, Korean literature, counseling, art therapeutics and theology. Particularly, in pedagogy (Korean language education) many studies try to explore a class model by seeking educational use of the literature therapy. Based on the finding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summarized.

      • 한국 현대 소설의 병리와 치유적 성격을 통한 문학치료 가능성 연구

        류희서 대한문학치료학회 2019 대한문학치료연구 Vol.9 No.1

        본 논문은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난 병리성과 치유적 성격에 주목을 하여 이를 문학 치료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소설 텍스 트의 치유 및 치료적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한국 현대 소설 속의 정신 병리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으며 병리의 유형들 또한 다양하다. 근대적 주체로서 개인화된 인간은 실존적 삶에의 조건들에 대항하여 운명적으로 불안과 고독, 히스테리 등의 신경증적 증상들을 앓는다. 이러한 증상들의 완화와 통과를 위해 한국 현대소설의 문학치료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소설 작품이 가지는 병리와 치유적 성격들을 먼저 살펴보았다. 질병의 역사라고도 할 수 있는 현대소설사의 흐름 안에서 작품 속 병리와 치유적 성격은 어떤 양상으로 표출되어 왔는가 를 알아보고, 이러한 상반된 두 가지 성격들을 통해 문학치료 가능성의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즉 한국 현대 문학 속의 정신병리는 정신 건강학적 측면도 동시에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것은 역으로 병리의 파악이 치유에의 가능성을 열어 주는 것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말하며 나아가 작품 고유의 건강한 측면의 파악과 활용으로서 문학치료 가능성을 열어 볼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설 작품 속 치유적 성격은 우선 건강과 고통의 의미에 대한 입장부터 새롭게 하는 것을 요구하는데 건강은 고통이 제거 된 상태가 아니며, 상처의 치유란 고통에 대항하는 태도 그 자체로 본다. 이러한 건강과 고통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서부터 소설 작품 속 병리와 치유적 성격을 통한 문학치료적 가능성은 논의될 수 있다. 그리고 치유로서의 문학 Literature as Therapy 이 가지는 기능에 유용한 매트릭스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앞으로 한국 현대소설의 문학치료 적용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대안의 제시는 이러한 기본 인식 위에서 만이 가능하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athological and healing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novels, and by approaching it literally, I tried to explore the healing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novel texts. Psychopathology in modern Korean novels is incalculable and the types of pathology are also diverse. As a modern subject, personalized human beings are destined to suffer from neurotic symptoms such as anxiety, loneliness, and hysteria, against the conditions of existential life.In order to alleviate and pass these symptoms, I examined the pathology and healing characteristics of novels in the light of the possibility of literary therapy in Korean modern novels. In the course of modern novels, which can be called the history of diseases, we examine the pathology and the healing personality in the works. And through these two conflicting personalities, we can find ways of literary therapy. In other words, psychological pathology in Korean modern literature is characterized by the simultaneous mental health aspects. This, in turn, means that the identification of pathology opens up the possibility of healing, Furtherm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possible to open the possibility of literary treatment by grasping and utilizing the healthy aspect of the work. In the novel, the healing personality first calls for renewing from the standpoint of the meaning of health and suffering, but health is not a condition of elimination of pain, and healing of a wound is an attitude itself against pain. From this new perspective on health and suffering, the possibility of literary therapy through pathology and healing nature in novels can be discussed. And it can be a useful matrix for the function of Literature as Therapy . In the future, various approaches to the application of literary therapy in Korean modern novels and the presentation of alternatives are possible only on the basis of these basic perceptions.

      • 동화구연기법 활용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이정도(Jeong-do Lee) 대한문학치료학회 2019 대한문학치료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노년기의 삶이 더욱 가치 있고 행복해 질 수 있는 동화구연기법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본 프로그램으로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험 연구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대구시 수성구 노인을 대상으로 00문화센터에 프로그램 참여를 신청한 노인 20명 중 무작위로 실험 집단 10명, 통제 집단 10명을 배치하였다. 그 중 실험 집단 10명은 2016년 4월 8일부터 6월 24일까지 주 1회, 매회기 80분씩 총 10회기를 통해 동화구연기법을 활용한 문학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같은 기간 동안 통제 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연구절차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노인의 자아존중감 척도,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검사, 사후 검사를 공분산 분석하였고, 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참여자들의 반응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구연기법을 활용한 문학치료프로그램은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동화구연기법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노인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동화구연기법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과 관련된 문학치료 프로그램으로 동화구연기법을 처음으로 시도하였다. 동화구연기법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을 증진시켜 노인의 삶을 더욱 가치 있고 행복해지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Happiness of the elderly of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utilizing Storytelling Techniqu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20 volunteered elderly people who applied for the program in 00 Cultural Center, living Suseong-gu, Daegu, were selected. Among them, 10 were randomly assigned and conducted the Literature Therapy and the others were not. The program was performed to 10 of experimental group, once a week from April 8th to June 24th in 2016 for 80 minutes in each time and 10 times in total. No program was done to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same perio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earch procedure did analysis of covariance for the pre and post-test which uses Self-esteem criteria and Happiness criteria of the elderly. And we conducted an analysis of content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responses to the effects of thi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utilizing Storytelling Technique worked well to promote Self-Esteem of the elderly. Second,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utilizing Fairy Storytelling Technique worked well to improve of happiness of the elderly as well. Through this result, Literature Therapy Program utilizing Storytelling Technique is sai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the Self-Esteem and Happiness of the Elderly. This study attempted Storytelling Technique with Literature Therapy Program related to the elderly for the first time and I hope that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utilizing Storytelling Technique will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by enhancing the elderly s self-esteem and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