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소년기 공복혈당장애와 관련된 요인

        강재헌,김규남,이선영,유선미 대한비만학회 2009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8 No.1

        연구배경: 공복혈당의 정상 상한치가 100mg/dL로 낮아지면서 공복혈당장애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청소년기 공복혈당장애를 조기 발견하여 관리한다면, 성인기 당뇨병의 발생을 줄이고 발현을 늦출 수 있다. 이에 청소년의 공복혈당장애 유병률과 관련 요인을 조사하였다. 방법: 2003년 4월 전국 14개 중학교 학생 2,850명(남학생 1,584명, 여학생 1,266명)을 대상으로 신장, 체중, 공복 혈당 등을 측정하였다. 위험요인으로 부모의 연령 및 체질량지수, 자녀수, 출생 시 체중, 신체활동량, 월 가구 수입 등을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결과: 공복혈당장애 유병률은 4.3%(남학생 5.3%, 여학생 3.0%)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공복혈당장애와 관련된 요인은 남학생에서 농촌 지역(교차곱비=1.67), 월 가구 수입(P=0.021), 아침 결식(교차곱비=3.33) 등이었으며, 여학생에서 농촌 지역(교차곱비=2.18), 비만(교차곱비=4.84)이었다. 다변량 로짓 회귀분석에서 남학생은 아침을 거를수록(교차곱비=3.50 [2.01~6.09]), 월 가구 수입이 높을수록(P=0.011), 여학생은 비만일수록(교차곱비=5.95 [2.58~13.75]) 공복혈당장애의 위험성이 높았다. 결론: 청소년기 공복혈당장애는 남학생에서 아침 결식, 여학생에서 비만과 강한 관련성을 보인다.

      • KCI등재

        橘山 李裕元 小樂府와 19世紀 士大夫 時調 享有의 特性 考察

        강재헌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연구 Vol.38 No.4

        In the Korean translation project of Sijo, called as Soahkbu, the share of Geulsan Lee Yu-Won’s works is the highest.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his Soahkbu carefully, identifying his own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the Sijo tasting of classic scholars of the late 19th century. Geulsan translated 45 Sijoes into Korean language, and included them into Gha-O-Gha-Rak, his anthology as the name of “Soahkbu.” The writer named 44 Sijoes with three characters except for ‘Jukji’. It was the general trend that Soahkbu is named with three characters, but naming with three characters intentionally is his distinct feature. In addition, his all works are composed with 7 syllable lines, and many of his works are usually works that included in various anthologies. According to the second epistle, Lee Yu-Won announced that he inherited the tradition of Soahkbu, following Lee Jhe-Hyeon and Shin We. However, an identity jumping over Shin We is found out. The identity links to the expression of the age. Lee Yu-Won selected the works that were loved among classic scholars. Tasting Sijoes of the classic scholars in those days is the settlement of Sijochang and the fashion of prolonged Sijoes in terms of formality. In terms of contents, the Sijoes include mainly depressed themes coming from the depressing time and circumstance. Lee Yu-Won translated these formal and content of Sijoe tasting into Korean language. 조선후기 소악부로 명칭되는 시조 한역화의 작업에서 귤산 이유원은 가장 많은 작품 수를 차지하는 작가이다. 본고는 그의 소악부를 면밀하게 살피고 대상만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통하여 19세기 말 사대부들의 시조 향유를 살피었다. 귤산은 총 45수의 시조를 한역하여 <소악부>라는 명칭으로 자신의 문집 『가오고략』에 수록하였다. 작자는 ‘죽지’를 제외한 44수에 세 글자의 제목을 붙이고 있는데 악부의 제목으로 세 글자가 대세이기는 하나 의식적으로 세 자로 맞추고자 한 것은 그만의 특징이다. 또한 작품은 모두 7언 절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작품들은 여러 가집에 실려 있는 작품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후서(後序)를 보면 이유원은 이제현과 신위를 잇는 소악부 전통의 계승을 천명한다. 하지만 신위를 넘어서려는 독자성도 발견된다. 독자성은 당대성의 표출로 이어진다. 이유원은 사대부들 사이에서 현재 향유되는 작품을 선별한 것이다. 당대 사대부들의 시조 향유는 형식적으로는 시조창(時調唱)의 정착, 장형시조의 유행을 들 수 있다. 내용적으로 시대 상황에서 오는 암울한 주제 의식을 나타내는 작품을 즐겨 노래하였고, 장르 교섭을 통하여 판소리계 소설을 시조로 옮겼음을 알 수 있다. 이유원은 당시의 이와 같은 형식적, 내용적 시조 향유의 모습을 모두 한역화한 것이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Socioeconomic Costs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n Adults

        강재헌,정백근,조영규,송혜령,김경아 대한의학회 2011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6 No.1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socioeconomic costs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 sample of Korean adults aged 20 yr and older in 2005. The socioeconomic costs of overweight and obesity include direct costs (inpatient care, outpatient care and medication) and indirect costs (loss of productivity due to premature deaths and inpatient care, time costs, traffic costs and nursing fees).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dyslipidemia, ischemic heart disease, stroke, colon cancer and osteoarthritis were selected as obesity-related diseases. The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PAF) of obesity was calculated from national representative data of Korea such a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cohort data and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Direct costs of overweight and obesity were estimated at approximately U$1,081 million equivalent (men: U$497 million,women: U$584 million) and indirect costs were estimated at approximately U$706 million (men: U$527 million, women: U$178 million). The estimated total socioeconomic costs of overweight and obesity were approximately U$1,787 million (men: U$1,081 million,women: U$706 million). These total costs represented about 0.22% of the gross domestic product (GDP) and 3.7% of the national health care expenditures in 2005. We found the socioeconomic costs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n adults aged 20 yr and older are substantial. In order to control the socioeconomic burden attributable to overweight and obesity, effective national strategie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besity should b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 현대인의 건강과 술의 상관관계 ; 음주와 비만은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

        강재헌 대한보건협회 2010 건강생활 Vol.- No.68

        우리나라는 과음을 하면서 식사량과 안주 섭취량이 같이 늘어나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간경화 등의 건강문제와 더불어 복부비만과 그 합병증인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등 열량의 과다 섭취와 관련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이유원 <해동악부> ‘시악(時樂)’의 유명 작가 시가 수용 양상

        강재헌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4 No.-

        The <Haedongakbu> contained in volume 38 of Imhapilgi , a book written by Lee Yu-won, is music poetry (樂府) made from the history of music instead of general history unlike other history reciting music poetry (詠史樂府). Unlike <Soakbu>, <Haedongakbu> was created not by translating works but by indicating the historical facts(史實) around songs (song story; 歌話) as poetry and adding related explanations. Through this creative method, Lee Yu-won created music poetry for the history of music, which is also history reciting music poetry. By the way, Lee Yu-won added songs in the Joseon Dynasty under the name contemporary music(時樂) to the end of <Haedongakbu>. Here, a notable fact is that five famous authors in the Joseon Dynasty are included in the book. The authors are Song Soon, Lee Hwang, Lee Ee, Jeong Cheol, Lee Hang-bok. Eight works of the authors are contained, which include <Hwangguksa>(Song Soon), <Dosangugokga>(Lee Hwang), <Seokdamgugokga>(Lee Ee), <Gwansan(seo)byeolgok>(Baek Gwanghong), <Gwandongbyeolgok>·<Samiingok>·<Jangjinjusa>(Jeong Cheol), and <Cheolryeongga>(Lee Hang-bok). What criteria did Lee Yu-won used to select them? According to the record of <Munheonjijang>, another record of Imhapilgi, there is a content under the title ‘Songs written by several wise men( 諸賢作歌).’ Here, Lee Hwang, Lee Ee, and Jeong Cheol appear one after another so that they match the authors in <Haedongakbu>. In the case of Song Soon, facts related to <Hwangguksa> were written in the part <Gagok> of <Munheonjijang> to indicate that he was sufficient as one of ‘several wise men.’ The last person, Lee Hang-bok is a wise man who sufficiently represents Joseon Dynasty. Nevertheless, he was not included in the ‘several wise men’ because Lee Hang-bok is an ancestor of Lee Yu-won. That is, Lee Yu-won could not overtly say Lee Hang-bok as ‘one of several wise men’ but he raised the status of Lee Hang-bok by letting Lee Hang-bok join other persons in the history of music.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ection of the authors was strictly based on the characters of the persons. These selected authors are persons who lived several hundred years earlier than Lee Yu-won. However, Lee Yu-won calls their music as contemporary music. When seen based on the meaning of ‘時 (now)’, a little sense of distance is formed. To eliminate this feeling, Lee Yu-won added several devices to consolidate the status of 'now' in the works. First, Lee Yu-won recorded <Dosangugokga> as Lee Hwang's work. However, this work has a name that is not found anywhere in the record of Lee Hwang. The name that had not been present was widely used as a general title 'Dosangug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is, the relevant name of the work is not a simple miswriting but is the reflection of the fact that the name ‘Dosangugok’ was widely spread in the times of Lee Yu-won. Through the foregoing, justification was given to the fact that although the relevant song was written a long time ago, its shape in the times of Lee Yu-won was accommodated. Second, in the part where <Jangjinjusa> was described, Lee Yu-won's efforts for an extended history of music are revealed.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song, Lee Yu-won presented the phrase of <Jangjinju> of Lee Baek (李白) of Tang Dynasty in China instead of the lyrics of the Korean song <Jangjinjusa>. Jeong Cheol's <Jangjinjusa> is a song that is present even now instead of being present only in the times of Lee Yu-won and sufficiently has the value of contemporary music. The reason Lee Yu-won presented a different content nevertheless is to contain his argument that the work is not just the most popular song among songs to offer wine but it succeeds the history of music of China. That is, he gave great historicity to contemporary music. Lee Yu-won contains authors and works hundreds of years ago as ‘contemporary music’. The reason why it is neve... 이유원의 저서 임하필기 권 38에 수록된 <해동악부>는 여타의 영사악부(詠史樂府)와 다르게 일반 역사가 아닌 음악사를 악부화한 것이다. <해동악부>는, <소악부>와 달리 작품을 번역한 것이 아니라 노래를 둘러싸고 있는 역사적 사실史實(가화, 歌話)을 시로 나타내고 또한 그에 따르는 관련 설명을 덧붙이는 창작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유원은 이 창작 방법을 통해 영사악부를 겸하는 음악사 악부를 창출한 것이다. 그런데 이유원은 <해동악부> 마지막에 시악(時樂, 지금의 노래)이라는 이름으로 조선의 노래를 덧붙였다.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그 중 조선의 이름있는 작가 6인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송순, 이황, 이이, 백광홍, 정철, 이항복이 그들이다. 작품으로는 <황국사>(송순), <도산구곡가>(이황), <석담구곡가>(이이), <관산(서)별곡>(백광홍), <관동별곡>ㆍ<사미인곡>ㆍ<장진주사>(이상 정철), <철령가>(이항복) 8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이유원은 이들을 어떤 기준으로 선발하였을까. 임하필기의 다른 기록인 <문헌지장>의 기록을 보면, ‘여러 현인(어진 이)가 지은 노래(제현작가, 諸賢作歌)’라는 내용이 있다. 여기에 이황, 이이, 정철이 차례로 등장해서 <해동악부>의 작자와 일치한다. 또한 송순의 경우도 <문헌지장> <가곡> 편에 <황국사> 관련 사실을 기록하여 그가 ‘여러 어진 이’로 충분하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마지막 인물인 이항복은 충분히 조선을 대표하는 현인이다. 그럼에도 ‘제현작가’에 싣지 못한 것은 이항복이 이유원의 조상이기 때문이다. 즉 이유원은 드러내놓고 이항복을 ‘제현’이라고 말할 수는 없었지만 음악사의 자리에 다른 인물들과 합류시켜 그 위상을 높인 것이다. 그러므로 작가 선발은 철저히 그 인물됨에 맞추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선발한 작가들은 이유원보다 몇 백 년 전의 인물들이다. 그런데 이유원은 이들을 시악이라고 부르고 있다. ‘時(지금)’이라는 의미로 볼 때, 조금의 거리감이 생기는 것이다. 이러한 느낌을 없애기 위해서 이유원은 몇 가지 장치를 덧붙여 작품들에 ‘지금’이라는 위상을 공고히 하였다. 우선 이유원은 <도산구곡가>를 이황의 작품으로 수록하였다. 그런데 이 작품은 이황의 기록 어디에도 없는 이름을 지니고 있다. 이 없던 이름이 조선 후기에 ‘도산구곡’이라는 범칭으로 널리 사용된다. 즉 해당 작품명은 단순한 오기(誤記)가 아니라 이유원 시대에 ‘도산구곡’이라는 명칭이 널리 퍼져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해당 노래가 오래 전에 지어졌지만 이유원 당대의 모습도 수용하였다는 부분에 당위성을 부여한 것이다. 둘째 <장진주사>를 설명한 부분에는 이보다도 확장된 음악사를 위한 이유원의 노력이 드러난다. 이유원은 해당 노래에 대한 설명에서 우리말 노래 <장진주사>의 가사가 아니라 당나라 이백(李白)의 <장진주>의 구절을 제시하였다. 정철의 <장진주사>는 이유원 시대가 아니라 지금도 그 노래가 전하는 노래로 시악의 가치를 충분히 갖는다. 그럼에도 이유원이 작품과 다른 내용을 제한 것은, 작품이 우리말 술 권하는 노래 중 가장 유행한 노래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음악사를 면면히 잇고 있다는 그의 주장을 담고 있는 것이다. 즉 시악에 큰 역사성을 부여한 것이다. 이유원은 ‘시악(지금의 노래)’로 몇 백 년 전의 작가와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그럼에도 이것이 의미를 지니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