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anguage Situation, Attitude, and Practice in Kenya

        Seol Byung-Soo(설병수) 한국아프리카학회 2009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29 No.-

        본고의 목적은 케냐의 언어 상황이 화자들의 언어 태도와 언어 실천에 어떻게 영향을 미쳐 왔는지를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첫째, 주 조사지인 우모자와 부루부루의 역사, 인구학적 특징, 사회·경제적 배경 등을 소개하였다. 둘째, 케냐의 언어 상황을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셋째, 상이한 사회적 정체성을 가진 화자들의 언어 태도와 언어 실천을 고찰하였다. 1970년대 초반 경부터 나이로비는 현저한 인구 증가로 인해 급속도로 팽창하기 시작했다. 부루부루와 우모자가 건설된 것은 이러한 팽창의 결과였다. 우모자는 주로 중하층의 사람들이 사는 주거 지역이기 때문에 기반시설의 상태가 양호하지 못하다. 이에 비해, 부루부루는 주로 중산층의 사람들이 사는 주거 지역이기 때문에 현대식 쇼핑센터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반시설의 상태도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케냐의 언어 상황의 복잡성은 이 국가의 사회사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현재 스와힐리어와 영어는 공식적 인정을 받고 있지만, 토착어들은 결코 정당한 관심을 획득하지 못하고 있다. 영어와 더불어 스와힐리어는 종족 간의 의사소통, 교육, 정치 회합, 대중매체, 공공 서비스, 상업 활동 등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영어는 학교 교육 전반에서 수업 매체로 사용되고 있는 반면, 스와힐리어는 단지 하나의 과목으로만 가르쳐지고 있다. 영어는 스와힐리어와 함께 공식어이긴 하나, 가장 위신있는 언어로 간주된다. 스와힐리어는 1974년에 국가어로 지정되긴 했으나, 그간 이 언어는 국가 수준에서 일관성 있게 검토되지 못했다. 오늘날 케냐의 언어 상황은 '복잡성'과 '정신분열증'이라는 단어들로 특징 지어진다. 이러한 상황은 화자들의 언어 태도와 언어 실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왔다. 대다수의 케냐인들은 모어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는 하나, 사회·경제적 이점을 지니고 있는 영어나 스와힐리어를 선호한다. 즉, 그들은 영어, 스와힐리어 및 모어에 대해 모순된 태도를 취하고 있다. 그 결과, 소수 종족 집단의 언어들은 사멸의 위기에 직면해 왔다. 또한, 상이한 사회적 정체성을 가진 화자들 간의 언어 실천 과정에서는 힘의 논리가 작용하고 있다. 그들 간의 갈등을 초래하는 이러한 현상은 종족 집단간 및 세대 간의 언어 실천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언어적 위계질서는 사회적 위계질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케냐 사회의 문화적 규범으로 인해, 양성(兩性) 간의 언어 사용에서도 차이가 발견된다. 이 사실은 언어 실천 과정에서 남성은 남성답게 되는 것을, 그리고 여성은 여성답게 되는 것을 배운다는 것을 보여준다. 요약하자면, 그들의 모순된 감정과 그들 간의 갈등이 종종 드러나는 화자들의 언어 태도와 언어 실천은 복잡하고 정신분열적인 케냐의 언어 상황을 반영한다.

      • KCI등재후보

        Land Tenure and Transaction Practices in Ghana

        설병수(Seol, Byung-Soo)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2012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31 No.-

        오늘날 아프리카의 여타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가나는 급속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인구 압박은 증대하고, 그 결과 토지 경쟁은 더욱 더 격렬해지고 있다. 또한 도시 이주지들은 농지를 잠식하고 농촌 지역의 청년들을 유인하면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많은 곳에서 지역 생산 체계는 농업 경제의 상업화와 환금 작물의 도입을 촉진하는 세계 경제로 편입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지역의 토지 관계뿐만 아니라 관습적 보유 체계의 작동 방식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쳐 왔다. 이 글의 목적은 가나의 토지 문제를 보유, 이용 및 거래 관행의 맥락에서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조사지와 제보자에 대해 기술하고, 관습적 토지 보유 체계의 일반적 특징과 조사지에서의 토지 보유 상황을 살펴보고, 토지 이용과 거래 관행 및 그들의 함의를 고찰했다. 이 글에서 사용된 일차 자료는 필자가 2011년 7월 14일부터 8월 4일까지 아샨티 주(州)의 에지수?주아빈 지자체(Ejisu-Juaben Municipal) 지역에서 행산 현지조사에서 수집되었다. 현지조사 과정에서는 참여관찰과 48명을 대상으로 한 개별 면접이 행해졌다. 이 글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아프리카의 여타 국가들처럼 가나에서도 토지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민감한 사안이다. 지역 수준에서 볼 때 토지 보유 및 토지 거래와 관련된 많은 분쟁은 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인다. 하나는 대추장과 지역민들은 토지 소유권에 대해 상이한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농촌 사람들 일반은 적절한 토지 문서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한편, 공동 토지가 지역의 경제적 독립을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되어 왔을지라도, 오늘날의 추장들은 지주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그 결과 그들은 착취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가나 사회에서 도시화, 토지의 사유화 및 농업 경제의 상업화가 진행될수록, 토지 소유권에 대한 대추장과 지역민들 간의 상이한 인식 및 토지 문서의 부재는 더욱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나에서 토지 문제의 미래는 그 누구도 아닌 가나 사람들 자신의 의지와 판단에 전적으로 달려 있다. Today, Ghana just like many other African countries is undergoing rapid socioeconomic transformations. Population pressure is increasing, and consequently competition over land is becoming intense more and more. Urban settlements are growing fast, encroaching on agricultural land and attracting youths from rural areas. In many places, local production systems are being incorporated into the global economy which has promoted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agricultural economy and the introduction of cash crops. These phenomena have greatly influenced on local land relations and are influencing on the way customary tenure systems operate. The purpose of the present article is to discuss land issues in Ghana in the context of land tenure, use and transaction practices, focusing on the Ejisu-Juaben Municipal area, Ashanti Region. As discussed in this paper, land issues in Ghana, just like in many other African countries, are very complex and subtle. It seems that many disputes related to land tenure and transaction in the local level have chiefly derived from the following two reasons. One is that the paramount chief and common people have different recognitions of land ownership. The other is that Ghanaian rural people in general have no proper land documentation.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communal land has been utilized as the most important source for the maintenance of local economic independence, contemporary chiefs have become landowners, and hence have exploitative attribute. Clearly, different recognitions of land ownership between the chief and his people and the absence of land documentation will bring about much more troubles as urbanization, the privatization of land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agricultural economy are advanced in Ghanaian society. Nevertheless, it is also true that the future of the land issues in the country is entirely dependent on Ghanaian people"s own will and judgement, and any outsiders should not intervene in them.

      • KCI등재

        에티오피아의 종족 간 역학과 사회·문화적 혼종성

        설병수(Seol, Byung-Soo) 한국아프리카학회 2015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6 No.-

        이 글은 본 연구자가 2015년 1월 15일부터 2월 8일까지 오로미아 주의즈와이 타운에서 실시한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에 근거하여, 에티오피아의 종족 간 역학과 사회·문화적 혼종성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즈와이 타운에는 지배 종족인 오로모족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족이 섞여살고 있다. 이로 인해 이들 간에는 개인적·집단적 수준의 상호 작용이 일상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상이한 종족 집단 간―특히 오로모족과 여타 종족―에는 여러 가지 이해관계를 둘러싼 갈등이 만연해 있다. 이러한 갈등 과정에서는 대규모 유혈 사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런 가운데 대개의 사람들―특히 소수 종족 구성원들―은 종족 정체성을 유지하길 원한다. 그러나 급변하는 사회 환경으로 인해 그들의 바람은 한계에 직면하기 일쑤다. 다른 한편, 이 타운에서 광범하게 발견되는 종족 외혼은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종족 외혼은 사회 통합이라는 긍정적 측면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종족 외혼은 종족 연대를 약화시키고, 부모와 자식 간의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즈와이 타운의 비오로모족 구성원들 중 상당수는 (비)자발적으로 오로모화를 선택했다. 그들은 이미 오로모화되었거나 오로모화되고 있다. 대개의 사람들이 종족 정체성을 유지하길 원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이러한 현상은 아주 역설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들에게 오로모화는 불가피한 생존 전략의 의미를 지닌다. 종족 외혼이 ‘사회적 혼종’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데 비해, 오로모화는 ‘문화적 혼종’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처럼 즈와이 타운에서는 종족 현상이 매우 복잡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양한 층위를 구성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가 종족 현상이나 종족관계를 검토할 때, 개별 종족의 구성원들이 처해 있는 개인적·집단적 생존조건을 면밀히 고려해야 함을 일깨워 준다. 세계화 시대라 불리는 21세기에 종족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는 것은 매우 역설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세계화가 ‘획일성’과 ‘균질성’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종족 현상은 ‘다양성’과 ‘특수성’의 속성을 지닌 지역화의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dynamics and sociocultural hybridity among ethnic groups in Ethiopia, focusing on the case of Zway town.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y fieldwork, which was carried out between 15 January and 8 February of 2015 in Zway town, Oromia Region. Zway is a town where diverse ethnic groups, including Oromo, are living together. As a result, interaction among them are daily happening at both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levels. Conflicts among different ethnic groups―especially, the Oromo and other ethnic groups―over diverse interests are widespread in the town. A large scale bloodshed has sometimes taken place in such a process. In the middle of such conflicts and situations, most people―in particular, members of minority ethnic groups―want to maintain their own ethnic identity. This aspiration, however, is often faced with limitations due to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On the other hand, ethnic intermarriage broadly found in the town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Ethnic intermarriage is positive in that it contributes to social integration. However, ethnic intermarriage weakens ethnic bond and causes conflicts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Many members of non-Oromo ethnic groups have chosen Oromonization either voluntary or involuntary. They were already Oromonized or are being Oromonized. This phenomenon seems to be quite paradoxical, given that most people want to keep their own ethnic identity. However, for them Oromonization has the meaning of an inescapable survival strategy. Ethnic intermarriage has the character of social hybridity, while Oromonization takes on the character of cultural hybridity. The ethnic phenomenon in Zway is very complicated and forms diverse layers. This implies that we have to scrupulously consider individual and collective conditions of existence when we examine ethnic phenomena or ethnic relations.

      • KCI등재

        남아프리카의 일부다처제에 관한 소고: 전통의 실체와 변화

        설병수 ( Seol Byung-soo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7 No.-

        본 연구의 목적은 남아프리카의 일부다처제가 역사적 궤적과 노동 이주의 맥락에서 어떤 식으로 존재해 왔는지를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사회ㆍ경제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문화적 관성’과 ‘실제적 필요성’ 때문에 일부다처제가 쉽게 소멸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을 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프리카 전통 사회에서 일부다처제가 만연했다는 일반적 인식은 ‘신화’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남아프리카의 일부다처제와 성적 관행은 개별 집단의 존재 조건과 행위 주체의 사회ㆍ경제적 배경에 따라 그 실천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셋째,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대규모 노동 이주는 전통적 가족과 공동체 구조의 균열을 초래했다. 넷째,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남아공의 경기 침체는 일부다처제의 존속을 더욱더 위태롭게 하고 있다. 다섯째, 이런 상황에서도 남아공 사람 중 상당수는 일부다처제가 존속되길 원한다. 여섯째, 남성과 여성이 일부다처혼을 통해 획득하는 상징성은 각기 다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polygyny in southern Africa has existed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trajectory and labor migration. Through it all, the study tried to argue that, despite socioeconomic changes, polygyny will not easily disappear, because of cultural inertia and practical necessity. The points discussed in the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perception that polygyny prevailed in traditional southern African societies is close to a myth. Second, polygyny and sexual practices in the area manifest different aspects according to each group’s existential conditions and the ag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Third, large-scale labor migration starti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resulted in the fissure of the traditional family and community structures. Fourth, the economic recession in South Africa that began in the 1970s has endangered the survival of polygyny more and more. Fifth, despite such a situation, most South African people want the institution to survive. Finally, men and women obtain different symbolic meanings from polygynous marriage.

      • KCI등재

        인류세 시대의 아프리카 토착 지식에 관한 재고

        설병수(Seol, Byung-Soo) 한국아프리카학회 2021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64 No.-

        이 글은 토착 지식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토착 지식이 인류세 시대의 생태·환경 위기를 극복하는 데 어떤 함의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인류세는 21세기를 특징짓는 핵심어 중 하나다. 인류세는 인간 행위가 지질학적·환경적 변화의 주요인이 되는 시대다. 인류세의 파국적 현상은 생태론적·존재론적 위기에 대한 비판적 성찰, 그리고 이러한 위기를 타개할 실천적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 토착 지식에 관한 개념적 정의는 다양하다. 개별 공동체의 존재 조건과 학문적 전통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러 학문 분야의 연구자들은 각자의 관점에서 토착 지식에 의미를 부여한다. 토착 지식과 서구 지식 간의 상이성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지식은 유사성을 공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통합할 필요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오늘날 우리 인류가 처한 사회·환경 위기의 뿌리는 인간 사회와 자연을 분리한 인간 중심적 세계관이다. 사회와 자연이라는 이분법에 인식론적 토대를 둔 경제 체제는 건강성을 상실할 수밖에 없다. 착취와 약탈에 기반한 자본주의가 더는 지속 가능하지 않은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현재의 생태 위기를 내버려 둔다면 인류는 생존 자체를 계속 위협받을 뿐만 아니라 멀지 않은 장래에 인간 사회는 그 누구도 감당할 수 없는 파국을 맞이할 수도 있다. 아프리카 지역에 관한 몇몇 사례가 명확히 보여주듯이, 토착 지식은 ‘오래된 지혜’ 또는 ‘오래된 미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뿐만 아니라 세상 만물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다시 한번 환기해준다. 이제 우리는 사회와 자연 또는 인간과 비인간(사물)의 관계를 획일적으로 단정하고 구분하는 사고의 틀을 깨트리고, 자연을 지배의 대상으로 보는 인간중심적 세계관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는 인간이 ‘자연의 일부이자 자연에 세들어 사는 존재’라는 사실을 다시금 지각하는 일이기도 하다.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에 내재한 모순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집단적 노력도 마땅히 경주되어야 한다. This paper is aiming to consider theoretical discussions on indigenous knowledge and examine its implications in overcoming th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crisis in the Anthropocene epoch. The Anthropocene is one of key words, which characterize the twenty-first century. It is a period that human behavior is the main factor of ge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nges. Its catastrophic phenomena is urging critical reflections on the ecological and ontological crisis, and further practical action for pulling through it. The conceptual definitions of indigenous knowledge are diverse. This is because both each community’s conditions of existence and academic traditions are different. Hence, scholars in various disciplines give meanings to indigenous knowledge in their own perspectives. It is clear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indigenous knowledge and western knowledge are cannot be denied.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se two knowledge shares similarities, as well as they are needed to be integrated. Nowadays, the root of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risis is the anthropocentric worldview, which separates human society and nature. The economic system based epistemologically upon the dichotomy of society and nature cannot but loose its soundness. Capitalism grounded on exploitation and plunder is not sustainable any longer because of such a reason. If we leave the current ecological crisis, mankind’s survival itself will continue to be threatened, as well as human society may confront with catastrophe in a near future, which no one can be capable of carrying out. As can be seen from the case studies of some local areas in Africa, indigenous knowledge can be regarded as ancient wisdom or ancient future. Such a fact awakens us once more that past, present and future, as well as all things in the world are interconnected. Now, we should break the frame of thinking, which judge thoughtlessly and distinguish society and nature or humans and non-humans (things), and escape from anthropocentric worldview, which regards nature as the object of control. We have to perceive once more that humans are both part of nature and tenants living in nature. The collective efforts for solving fundamentally contradiction inherent in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should be also invested justly.

      • KCI등재후보

        농촌 정기시장의 사회ㆍ문화적 의미

        설병수(Seol Byung-soo) 역사문화학회 200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8 No.1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cerned with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periodic market in the Sangju region. Marketplace is a site, which is naturally formed for the transaction or trade of commodities. The periodic market in Korean society has long played a pivotal role in traditional trade. In particular, it has been a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enter in rural area. The periodic market in Korea has declined since the mid-1970s when industralization and urbanization began to be proceeded more conspicuously. Its number diminished 750 in the late 1980s and 500 in 2002. Besides, its functions have also weakened. The decline of the market has been, of course, greatly influenced by the expansion of world-wide capitalism. Nonetheles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periodic market in rural society is still playing an important role. That is to say, the market provides locals and merchants with a place, which enables their meanings and values to be practic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1980s the periodic market in the Sangju region has undergone a significant change in terms of its system. Such a change has resulted from both general and regional factors, which accelerated the integrat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market and the appearance of a new market system. Second, the periodic market in rural area is being still utilized as an important place. which enables diverse people to establish their social relationships, even if such a phenomenon was somewhat weakened, compared with the past days. Third, the cultural function of the periodic market is also still identified, although such a function has nearly disappear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odern mass media. Such merchants as taffy sellers provide locals with exciting performances, selling their commodities. Finally. traders and consumers have maintained diverse cultural norms and inertia. Hence, in spite of their objective conditions of existence, periodic markets will not be banished in a short-term. even though they show a continuous decrease in their number as time passes. There can be no doubtful that the problem of the periodic market has a direct relation with that of rural communities. Its solution should be also discussed in the same context.

      • KCI등재

        The Dynamics of Ethnic Relations in Ethiopia

        Seol, Byung-Soo(설병수) 한국아프리카학회 2014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2 No.-

        메네릭 2세가 영토를 확장하기 시작한 19세기 말부터, 에티오피아는 오늘날의 국경과 종족 구성을 가지게 되었다. 에티오피아 사회에서 다양한 갈등이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주된 이유는 배타적인 정치 관행이 만연해 있고, 상이한 사람들을 지배하기 위해 무력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황제 시대와 더그 정권 때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991년에 집권한 에티오피아 인민혁명전선은 부당한 종족 관계를 바로잡기위해 노력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에서 비롯되는 종족 갈등은 여전히 에티오피아 전역에 만연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메키 타운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를 통해 에티오피아의 종족 관계의 역동성을 상호 작용과 갈등의 맥락에서 검토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타운에서 발견되는 종족 갈등은 하일레 셀라시에 시대의 강요된 개종 및 더그 정권시대의 토지 개혁과 오로모족의 잔학 행위에 그 뿌리를 두고 있었다. 둘째, 이 타운의 지배 종족인 오로모족은 장기간의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여전히 암하라족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셋째, 오로모족과 여타 종족 간에는 개인적?집단적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종족 차별이 존재하고 있었다. 넷째, 비(非)오로모 종족 집단들의 상당수 구성원은 그 공동체에서 생존하기 위해 이미 오로모화되었다. 다섯째, 그 공동체의 상이한 종족 집단은 다양한 형태로 경제적 상호 작용을 하고 있으며, 구라게족의 상권 장악은 종족 집단 간 잠재적 갈등을 유발해 왔다. 메키 사람들 간의 종족적 상호 작용과 갈등은 수 세대에 걸친 그들의 사회문화적?경제적?정치적 존재 조건을 반영하는 역사적 경험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그 공동체의 종족 관계는 본질적으로 유동적이고 역동적이며, 그 관계는 상이한 집단의 내?외적 존재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도 강조될 필요가 있다. It was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Ethiopia appeared with its current borders and ethnic formation owing to the territorial expansion launched by Emperor Menelik Ⅱ. The everlasting nature of conflicts in the state can be primarily explained by its exclusive political practices and the use of cruel force to control different people. It is clear that such a tendency was more remarkable during the periods of the Ethiopian Emperors and the Derg government. The Ethiopian People’s Revolutionary Democratic Front, which was established in 1991, has endeavored to redress unreasonable ethnic relations. Ethnic conflicts deriving from diverse interests are, nonetheless, still rampant in the different corners of the stat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dynamics of ethnic relations in Meki Town in the context of interaction and conflicts, based on my fieldwork, which was executed in the communit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thnic conflicts in the Meki community have resulted from three significant events: ⅰ) the forced religious conversion during the Haile Sellassie period; ⅱ) the land reform during the Derg government; and ⅲ) the Oromo’s atrocities against other ethnic groups during the Derg epoch. Second, the Oromo were being still dominated psychologically by the Amhara because of their long historical experiences. Third, there have been diverse forms of ethnic discrimination between the Oromo and other ethnic groups at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levels. Fourth, many members of non-Oromo ethnic groups have been Oromonized for their survival in the community. Finally, there has been economic interaction among different ethnic groups, and latent conflicts have taken place among them due to the Gurage’s domination of the commercial hegemony of the community. The ethnic interaction and conflicts among Meki people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which reflect their socio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onditions of existence over generations. It should be also noted that ethnic relations in the community are essentially fluid and dynamic, depending upon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of existence of different groups.

      • KCI등재

        에티오피아의 종족 연방주의와 종족 갈등

        설병수(Seol, Byung-Soo) 한국아프리카학회 2014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ethnic federalism in Ethiopia and ethnic conflicts. More concretely, the present paper explor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thnic federalism and the ethnic conflicts under it, after reviewing its bases such as ethnic and religious diversity, linguistic pluralism and administrative autonomy. Modernization of Ethiopia was begun by Emperor Menelik Ⅱ who expanded its territory to the south in the late 19th century. Both Menelik Ⅱ and Haile Selassie Ⅰ forced other ethnic groups to adopt the dominant culture of the Amhara. The military government, came to power in 1991, did not properly deal with the ethnic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rather made worse the issue by depending on extreme violence. It was in 1991 when the Tigray People’s Liberation Front-led Ethiopian People’s Revolutionary Democratic Front came to power. The new government adopted ethnic federalism to manage linguistic and cultural diversity and to resolve ethnic conflicts. Ethnic federalism in Ethiopia is based on ethnic and religious diversity, linguistic pluralism and administrative autonomy. Concerned with ethnic federalism under the democratic government, there have been two contrary views. Some scholars argue that ethnic federalism has been comparatively successful because unlike the past days, large scale civil wars or ethnic movements are little found nowadays. However, others contend that ethnic federalism has not been worked because ethnic conflicts or struggles are still happening frequently. The reasons why ethnic conflicts have continuously occurred under ethnic federalism can be explained by the following five factors. First, ethnic-based federalism instigates competition among ethnic groups over land (territory), ethnic identity, political power and administrative dominance. Second, the Tigray People’s Liberation Front-led Ethiopian People’s Revolutionary Democratic Front government has an inherent limitation which can bring out inequalities in carrying out diverse state policies related to ethnic groups. Third, even though ethnic federalism recognizes cultural and linguistic rights, the federal government does not take responsibility for the ethnic conflicts at the local level. Fourth, there are the imbalances of power and sources between the federal and regional governments. Finally, there are the diverse imbalances among different regional states as well.

      • KCI등재

        에티오피아의 토지 보유 체계와 토지 정책

        설병수(Seol, Byung-Soo) 한국아프리카학회 2015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4 No.-

        이 글의 목적은 19세기 후반 이래 에티오피아의 토지 문제를 고찰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목적 하에 이 글은 세 개의 상이한 시대 즉, 황제 시대, 더그 시대, 에티오피아 인민혁명민주전선 시대의 토지 보유 체계를 살펴본 후에, 토지 정책의 주요 쟁점과 문제를 검토하였다. 황제 시대에는 다양한 형태의 토지 보유 체계-예컨대 리스트, 세몬, 마데리아, 게바르 등-가 존재했다. 황제들과 엘리트 집단은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고 영속화하기 위해 토지를 통제했다. 지배 계급 구성원들은 토지를 통해 많은 혜택을 누렸으나, 대다수의 민중은 소작인의 삶을 살면서 불안정한 토지권 때문에 고통을 받았다. 1974년에 집권한 더그 정권은 그 이듬해인 1975년에 토지를 국유화하고, ‘토지는 경작자에게로’라는 슬로건 하에 토지 개혁을 단행하여, 수세기 동안 존속했던 봉건 체제를 철폐했다. 1991년에 집권한 현 정부는 국민에게 토지 소유권을 부여함으로써, 구시대의 토지 보유 체계를 청산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현 정부는 더그 정부와 마찬가지로 농촌과 도시의 모든 토지와 천연자원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농촌 주민은 보유권(사용권)을, 그리고 도시 주민은 차지권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현상은 현 정권의 토지 정책이 더그 정권의 토지 정책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음을 보여 준다. 그간 에티오피아에서는 토지 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논쟁이 발생해 왔다. 주된 논쟁은 토지를 누가 소유하는 것이 국가 발전에 도움이 되느냐 하는 것이었다. 정부의 입장에 따르면 토지는 ‘사회적 평등’과 ‘보유의 안정성’을 위해 국유 재산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정부는 국가의 토지 소유권이야말로 농민을 시장의 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최상의 기제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에티오피아의 토지 문제를 연구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토지 이용자들이 보유의 불안에 시달리게 되면, 토지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토지 정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부패 문제도 에티오피아 사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인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부패 현상은 토지 관련 제도와 정책 자체의 문제뿐만 아니라 이것들을 시행하는 데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의 문제에서 비롯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land tenure systems and land policies in Ethiopia since the late 19th century. The present paper explored the issues and problems of land policy, after reviewing the land tenure systems of three different periods, i.e., the imperial, Derg and Ethiopian People’s Revolutionary Democratic Front periods. During the imperial regime, there were diverse forms of land tenure systems-e.g., rist, semon, maderia and gebar-in Ethiopia. Emperors and the elite controlled land in order to maintain and perpetuate their power. The dominant class members enjoyed a lot of benefits from land, whereas the majority of common people suffered from insecure rights to land while living a life as tenants. It was in 1974 when the military government called the Derg came to power. The Derg regime nationalized all land in Ethiopia and carried out land reform under the slogan of “Land to the Tiller” in 1975 so as to abolish the feudal system which had survived over several centuries. When the Ethiopian People’s Revolutionary Democratic Front came to power in 1991, it was expected that it will abolish the old land tenure system, by providing ownership of land to people. However, the present government, just like the Derg government, has owned all land in rural and urban areas and natural resources. As a result, rural people have had only land holding rights and urban people have just leasehold rights. This phenomenon shows that the Derg regime and the present regime are not different essentially in terms of land policy. There have been diverse debates in Ethiopia concerned with land policy. The major debate is related to ownership of land. The government argues that state ownership of land is the best mechanism which enables peasants to protect against market forces. However, many students assert that, if land users suffer from insecurity of tenure, land productivity cannot be expected. In addition, various forms of corruption, which are found in the process of executing land policy, have been one of the major factors which hinder the development of Ethiopian society. It is no doubt that such corruption has been derived from the problem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s well as that of institutions and policies related 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