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편측 질 폐쇄성 중복 자궁 1 예에서 보조적 자궁경검사 후 폐쇄 자궁측 임신의 치료적 유산 처치

        이제호,최두석,노정래,서용수,김보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7

        본 증례는 편측 질폐쇄 및 신 무형성증을 동반한 중복자궁의 경우로 폐쇄 자궁측에 임신이 되어 자궁외임신으로 의심되었으나 폐쇄 질 절개 및 자궁경을 사용하여 폐쇄 자궁측 경부를 확인하여 소파술을 가능하게 하여 개복술 및 편측 자궁적출술 등을 배제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에서는 대수술에 따른 이환율을 배제하고 산과적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We report a very rare case of a pregnancy which occurred in one side of uterus didelphys affected with ipsilateral obstructed hemivagina. The patient was referred to Samsung Medical Center after failure of 2 consecutive trials of elective abortion at 7th gestational week at private clinic under the impression of ectopic pregnancy. The presence of uterine anomaly was suspected during ultrasound guided sounding of uterus, and was confirmed as uterus didelphys and obstructive hemivagina with cervicovaginal fistula by MRI and HSG. Therapeutic abortion was performed by partial incision into vaginal septum and hysteroscopic evaluation followed by dilatation and curettage. The incised vaginal septum was left open. This patient became pregnant again in the same uterine side and delivered a female baby of 2.73 kg birthweight at term pregnancy by cesarean section due to breech presentation.

      • KCI등재

        쌍태임신에서 쌍태아간 출생체중 차이에 따른 주산기 예후의 비교

        정재현,노정래,양순하,박선혜,서용수,최세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9

        저자들은 임신 25주에서 37주 미만의 쌍태임신 119예를 대상으로 쌍생아간 출생체중 차이에 따라 대상군을 네 군으로 나눈 후 각 군간의 주산기 예후를 비교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구 대상이었던 238명의 쌍생아 중 10% 이하인 Ⅰ군은 128명(54%), 10∼20%인 Ⅱ군은 58명(24%), 20∼ 30%인 Ⅲ군은 32명(13%) 그리고 30% 초과인 Ⅳ군은 20 명(8%)이었다. 2. 각 군간 제태주령과 출생체중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나 저출생체중아 및 신생아 호흡부전 증후군이 Ⅳ군에서 유의하게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and p<0.05, respectively). 신생아 사망률과 주산기 사망률은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집중치료가 필요했던 경우가 Ⅳ군에서 많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의미가 없었으며, 신생아 중환자실 재원 기간도 각 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4. 출생체중이 큰 쌍태아와 작은 쌍태아의 주산기 예후를 비교해 보았을 때 저출생체중의 빈도를 제외하면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빈도 차이를 보이는 예후 인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5. 다른 주산기 예후의 예측인자들과 같이 multiple logi stic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한 결과 출생체중의 차이는 불량한 주산기 예후의 독립적 예측인자로 생각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쌍태임신에서 쌍태아간의 출생체중 차이 그 자체는 주산기 예후의 독립적 예후인자가 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 결과는 쌍생아간 체중불일치의 정의를 보다 엄격히 정함으로써 쌍태임신의 산전관리 및 신생아 처치에 오류를 범하지 않아야함을 시사한다. 이의 증명을 위하여는 향후 보다 많은 수의 쌍태임신을 대상으로 하여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scordant fetal growth on subsequent perinatal and neonatal outcome for different degrees of birth weight discordance in twin gestations. Study design: One hundred nineteen sets of twins delivered between 25 and 37 weeks` gestation were studied. They were stratifi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ercent difference in infant birth weight: ≤10%, 10% to 20%, 20% to 30%, and >30%, which was defined as ([Birth weight of larger twin - Birth weight of smaller twin]/Birth weight of larger twin)×100.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birth weight categories and the perinatal and neonatal outcome and the difference in outcome between the large and small infants were evaluat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or perinatal outcome and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Twin gestations with >30% birth weight discordance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incidence of small-for-gestational-age (SGA) infants an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f neonates (p<0.001 and p<0.05, respectively). Outcome of the large and small twi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incidence of SGA infant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birth weight discordance >30% was not an independent predictor for perinatal outcome. Conclusion: In twin gestations the use of a 30% birth weight difference to define twin discordance seems to be most clinically relevant in identifying those infants at risk for adverse perinatal outcome. However, birth weight discordane is not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perinatal mortality and morbidity. It suggests that the estimated fetal weight discordance by prenatal ultrasonography is not an indication of preterm delivery.

      • KCI등재

        산전초음파로 진단된 선천성 신경교모세포종 1 예

        정재현,서연림,노정래,양순하,박선혜,임소덕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4

        본 저자 등은 임신 제 28 주의 산모에서 산전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된 선천성 신경교모세포종 1 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We present a case of congenital cerebral glioblastoma. The prenatal ultrasound scan showed a hyperechoic mass occupying right hemisphere accompanied with contralateral ventriculomegaly and deviation of midline cerebral structures. Glioblastoma is one of the rarest congenital brain tumours and has the poorest prognosis with no recorded cases surviving beyond one year.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congenital cerebral glioblastoma at 28 weeks′gestation, which i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임산부 빈혈과 태아 적혈구 조혈인자 간의 연관성 관한 연구

        이제호,김승욱,정재현,노정래,양순하,오정미,서용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6

        1997년 1월부터 4월까지 서울삼성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37∼42주간에 질식 분만 혹은 제왕 절개를 시행받았던 임산부 82명을 대상으로 분만 직전에 산모의 정맥혈을 체취하고 분만시 태아의 제대 정맥혈을 채취하여 각각 적혈구 조혈인자와 전혈구 수치를 측정하였다. 임산부의 빈혈 유무(Hb 10mg/dl 기준)에 따라 2군으로 나누어 적혈구 조혈인자와 전혈구 수치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산부의 빈혈이 있는 군(n=23)에서 빈혈이 없는 군(n=59)에 비하여 임산부의 적혈구 용적률은 낮고, 혈소판 수치는 높게 관찰되었다. 2. 임산부의 빈혈이 있는 군에서 태아 제대 정맥혈의 적혈구 조혈인자 수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3. 임산부의 혈색소 농도와 임산부의 적혈구 조혈인 자 수치 사이에 또는 태아의 혈색소 농도와 태아의 적혈구 조혈인자 사이에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4. 임산부의 혈색소 농도와 태아의 혈색소 농도 사이에 혹은 임산부의 적혈구 조혈인자와 태아의 적혈구 조혈인자 사이에도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빈혈이 있는 임산부의 태아에게서 적혈 구 조혈인자 수치가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는데 이것은 태아가 임산부의 빈혈로 인하여 지속적인 저산소 상태에 처하였었음을 의미한다고 생각된다. Maternal anemia during pregnancy is associated with low birth weight, preterm delivery and increased perinatal mortality. The level of fetal erythropoietin has been regarded as an index of prolonged fetal hypoxia.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whether maternal anemia influences fetal hematologic index and fetal erythropoietin levels. We measured paired maternal and umbilical cord plasma immunoreactive erythropoietin levels and complete blood counts (CBC) at spontaneous vaginal and cesarean delivery at term. All singletone pregnant women were in 37∼42 weeks` gestation and without medical complications.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maternal hemoglobin (Hb) concentration; those with maternal Hb concentration <10 mg/dl to group 1 (n=23), and those with maternal Hb ≥10 mg/dl to group 2 (n=59).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maternal erythropoietin levels between group 1 (23.00±2.95 mU/mL) and group 2 (31.1±1.95 mU/mL). Maternal hemoglobin concentration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aternal erythropoietin levels.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etal hemoglobin concentration and fetal erythropoietin level. But fetal erythropoietin level (93.0±15.10 mU/mL) of group 1 with maternal anemi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oup 2.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hemoglobin concentration and fetal erythropoietin level (y=-20.396x+ 273.67, γ2=0.3751, p<0.05). The result of present study suggests that maternal anemia, causing relative fetal hypoxia, might have induced an increase in fetal plasma erythropoietin level.

      • KCI등재

        반복 자연유산아의 융모막융모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분석

        김정혜,이신영,서성숙,황혜란,박숙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12

        본 연구는 1992년 3월부터 1993년 1월까지 일신기독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진찰받은 환자중 2회 이상의 반복 자연유산된 환자를대상으로 유산아의 융모막융모세포의 염색체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30예중 11예 (36.7%)에서 염색체이상을 발견하였다. 2. 염색체의 숫적이상은 9예였으며 monosomy 3예(27.3%), trisomy 3예(27.3%), triploidy 3예 (27.3%) 등이 있었다. 염색체의 구조적이상은 2예였으며, inversion 1예(9.1%), deletion 1예(9.1%)등이 발견되었다. 3. 염색체이상을 보였던 군과 정상군에서의 환자의 연령, 유산횟수, 유산당시의 임신주수 비교에서는 두 군사이에 특별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반복 자연유산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부부의 염색체분석만 시행하는 것보다는 유산아의 융모막유모세포 염색체검사를 함께 시행해 봄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며 이런경우 차기 임신에 대하여 산전 세포유전학적 검사는 필수적 조건이라고 사료된다. Chromosomal analysis was done on abortus chorionic villi samples obtained 30 women with a history of two or more spontaneous abortions who were treated at Il Sin Christian Hospital between March 1992 and January 1993. 1. The overall incidence of chromosmal abnormalities was 36.7%(11 out of 30 cases). 2. Numerical abnormalities were detected in 9 women; 3 cases of monosomy(27.3%), 3 or trisomy(27.3%) and 3 of triploidy(27.3%). Structural abnormalities were present 2 women, one case of inversion (9.1%) and one case of deletion (9.1%). 3. No abnormalities were detected in the remaining 19 women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ose with normal and abnormal results in regard to age, number of abortions and abortus gestational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