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역분화성 방골성 골육종 - 증례 보고 -

        성기선,장문종,임경섭,Sung, Ki-Sun,Chang, Moon-Jong,Lim, Kyung-Sub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Dedifferentiated parosteal osteosarcoma is an uncommon variant of osteosarcoma. Dedifferentiation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 greater metastatic potential and a more rapid lethal clinical course. Thus recognition of dedifferentiation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treatment strategy. But there may be few significant clinical clues to distinguish between dedifferentiated parosteal osteosarcoma and conventional one. A 29-year-old woman presented with 2-year history of discomfort and swelling in her proximal thigh. Examination showed a large, hard, non-mobile mass. Radiographs revealed a large ossified mass attached to the proximal femur. Diagnosis of parosteal osteosarcoma was established by MRI and needle biopsy. But she had a history of abrupt severe thigh pain and increased swelling before surgery. Follow up MRI showed enlargement of mass with invasion to muscle around tumor. The patient underwent an en-bloc resection of tumor and reconstruction. Histological examination showed parosteal sarcoma with dedifferentiation. The patient expired due to local recurrence of tumor and distant lung metastasis 2 months after the surgery. In case with rapid growth of a lesion or unusual severe pain, one must have a high index of suspicion with regard to dedifferentiation. 역분화성 방골성 골육종은 골육종의 드문 변이로서,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와 관련하여 불량한 예후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종양의 역분화성을 진단하는 것은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9세 여자 환자로 2년 전부터 발생한 좌측 대퇴 근위부의 종창 및 불편감으로 내원하여 시행한 검사상 방골성 골육종으로 진단되어, 종괴 절제 및 재건술 시행하였다. 환자 병력상 수술 2주 전부터 대퇴부 통증이 심해졌고, 종괴 크기의 증가가 있었으며, 이에 수술직전 시행한 자기공명영상(MRI) 상 종괴의 크기 증가 및 인접 근육으로의 침범 소견 관찰되었고, 술 후 시행한 절제 표본의 조직검사 상 미분화성 방골성 골육종으로 진단되어 결국 환자는 수술적인 절제 후 불량한 병의 경과로 사망하게 되었다. 술전 조직 검사상 방골성 골육종으로 진단된 경우라도 급격한 통증의 증가나 종괴 크기의 증가 등의 임상양상의 변화가 있을 때는 종양의 역분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선천성 쇄골 가관절증

        심종섭(Jong Sup Shim),장문종(Moon Jong Ch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3

        선천성 쇄골의 가관절증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서 가관절 부위에 동통을 호소하거나 경미한 견관절 근력 약화를 호소하는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 외관상 보기 흉한 가관절 부위의 융기를 제외하고는 기능적 이상을 초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그 치료 방법 및 시기에 있어서는 이견이 있다. 그러나 성장함에 따라 가관절 융기부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견관절의 늘어짐과 단축으로 인한 미용상의 문제 및 치료하지 않은 군에서 드물게 흉곽 출구 증후군 등이 보고 되고 있다. 저자들은 편측 선천성 쇄골 가관절증 3예와 양측 선천선 쇄골 가관절증 1예를 대상으로 하여 자가 골 이식 및 내 고정의 방법을 통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4예 모두에서 부작용 없이 완전한 골 유합을 얻었으며 미용적으로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Congenital pseudarthrosis of the clavicle is a rare condition, and optimal treatment strategies are controversial because this benign condition rarely produces functional disabilities except for an unsightly lump and occasional mild weakness of muscle strength around the shoulder girdle. Nevertheless, its prominence increases with age and it can cause cosmetic problems by drooping and shortening of the shoulder. Thoracic outlet syndromes have been reported in a few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treatment. The authors here report on congenital pseudarthrosis of a unilateral clavicle in 3 patients and bilateral clavicles in 1 patient.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autogenous iliac bone grafts and internal fixation, with a complete union and cosmetically satisfying results.

      • 대퇴골 근위부 전이성 종양 환자의 종양 대치물 삽입술

        성기선,장문종,Sung, Ki-Sun,Chang, Moon-J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1

        목적: 대퇴골 근위부의 광범위 골 파괴를 보이는, 전이성 골 종양에 의한 병적 골절 환자들을 대상으로 종양 대치물 삽입술 시행 후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전이성 골 종양에 의한 병적 골절로 진단 받은 환자 중 대퇴골 근위부에 광범위 전이를 보여 근위부 절제술 및 종양 대치물 삽입술을 시행한 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1세(범위, 48~77)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0.5개월(범위, 6~16)이었다. 원발 종양으로는 다발성 골수종이 2예, 폐암이 1예, 유방암이 1예, 신장암이 1예, 원발 종양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가 1예였다. 6예 모두에서 $MUTARS^{(R)}$ proximal femur system (Implantcast, Munster, Germany)를 이용하여 재건을 시행하였다. 하지 기능평가에는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1993 score를 사용하였으며, 수술 전 후 동통의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s (VAS)로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에 모든 환자들이 생존하였으며 하지 기능 점수는 평균 17.8(59.3%)점(범위, 12~25)이었다. VAS는 수술 전 평균 8.5에서 수술 후 최종 추시 시 평균 2.5로 호전되었다. 수술 후 가능한 한 조기 보행을 독려하여 수술 후 평균 7.3일(범위, 3~16)에 보행이 가능하였다. 수술 후 삽입물 주위 골절, 치환물의 해리 또는 감염은 없었으며, 1예에서 수술 후 재발성 탈구가 발생하였다. 결론: 전이성 골 종양의 대퇴골 근위부 광범위 침범 소견이 있는 병적 골절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 삽입술은 조기에 동통의 경감 및 하지 기능 회복을 기대할 수 있으면서도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이 적어 상대적으로 안전한 술식으로 전이성 골 종양의 치료 취지에 부합되는 적절한 치료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results of the tumor prosthetic replacement for pathologic fracture of the proximal femur with extensive bony destruction due to metastatic bon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5 October to 2006 October, resection of proximal femur and tumor prosthesis replacement was performed for metastatic bone tumors extensively involving trochanteric area in 6 patients. The mean age of overall patients was 61(range, 48~77). Mean clinical follow up was 10.5 months (range, 6~16). Primary tumor consisted with multiple myeloma in 2 patients, lung cancer in 1, breast cancer in 1,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renal pelvis in 1, unknown origin in 1 patient. $MUTARS^{(R)}$ proximal femur (Implantcast, Munster, Germany) were used in all cases. The functional evaluation in the lower extremities was performed with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1993 scores. The degree of pain relief after surgical treatment was assessed with Visual Analogue Scale (VAS). Results: At the final follow up, all of the patients survived. The mean lower extremities functional score of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1993 was 17.8(59.3%)(range, 12~25). VAS was improved to 2.5 from 8.5 after the surgical treatment. Ambulation was encouraged as soon as possible and mean duration after surgery for ambulation was 7.3(range, 3~16) days. Post-operatively, there was no surgical infection, periprosthetic fracture or loosening. Dislocation occurred in one out of six cases. Conclusion: Resection of proximal femur and tumor prosthesis replacement for metastatic bone tumors around proximal femur extensively involving trochanteric area seems to be safe procedure in view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effective for functional restoration as well as pain relief. Thus, it is accordant to the treatment principle of the metastatic bone tumors.

      • 관절경적 Inside-Out 반월상 연골 봉합술에서 비흡수성 봉합사의 운명 - 1예 보고 -

        안진환,이동훈,장문종,서희수,Ahn, Jin-Hwan,Lee, Dong-Hoon,Chang, Moon-Jong,Seo, Hee-Soo 대한관절경학회 200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1 No.1

        반월상 연골 봉합술 시 여러 종류의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봉합사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술자에 따라 비흡수성 봉합사가 흡수성 봉합사에 비해 안정된 고정력을 제공한다고 하여 비흡수성 봉합사를 선호하기도 한다. 그러나 봉합사가 봉합부위에 지속적으로 남아있을 경우 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저자들은 Inside-Out 반월상 연골 봉합술에서 비흡수성 봉합사가 반월상 연골 실질부를 관통하여 후내측 관절막 밖으로 밀려나온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Either absorbable or nonabsorbable sutures can be used in meniscal repair. Some surgeons prefer nonabsorbable sutures because they believe that nonabsorbable sutures improve meniscal healing as compared with absorbable sutures. But, permanent existence of sutures in the lesion could make problems. We report a case of Inside-Out meniscus repair that nonabsorbable sutures came out of the joint capsule tearing the substance of the meniscus.

      • 외측 반월상 연골 경골 후방 부착부 파열의 관절경적 All-Inside 봉합술 - 수술술기 -

        안진환,이동훈,장문종,Ahn, Jin-Hwan,Lee, Dong-Hoon,Chang, Moon-Jong 대한관절경학회 200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1 No.1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손상과 동반된 외측 반월상 연골 경골 후방 부착부 완전 방사상 파열 환자에서 전외측 및 전내측 도달법을 통한 all-inside 봉합 술기를 시술하여 온 바,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관절경을 전내측 도달법으로, 봉합용 갈고리(suture hook, $Linvatec^{TM}$, Largo, Florida, USA)를 전외측 도달법으로 관절에 삽입한 상태에서 봉합용 갈고리를 틀어서 외측으로 전위된 외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파열단의 대퇴골측 면에서 경골측 면으로 수직으로 통과시킨다. 갈고리 내로 PDS No. 1 ($Ethicon^{TM}$, Somerville, NJ, USA)를 통과시킨 후 봉합용 갈고리를 빼내고 전외측 도달법 입구로 봉합사의 양끝을 뽑아낸다. MAXON 2-0 ($Syneture^{TM}$, Norwalk, Connecticut, USA)를 봉합용 갈고리를 이용하여 경골 부착부 파열단 경골측 면에서 대퇴골측 면으로 봉합사를 수직으로 통과시켜 양끝을 전외측 도달법 입구로 빼내어 두 봉합사의 경골 측 끝 중 PDS를 MAXON에 결찰하여 MAXON의 대퇴골측 끝을 전외측 도달법으로 당겨 이를 PDS로 교체한 뒤 SMC(Samsung Medical Center) knot를 이용하여 결찰한다. 결론: 본 술기를 시행하여 외측 반월상 연골 후방 부착부 파열을 해부학적으로 봉합할 수 있으며 또한 반월상 연골의 연골 장력(hoop tension)을 효과적으로 회복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uthors introduce a new technique of arthroscopic all inside repair using anterolateral and anteromedial portals for lateral meniscus root complete radial tear in patients who underwent concurrent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Operative technique: Arthroscope is placed through anteromedial portal and suture hook ($Linvatec^{TM}$, Largo, Florida, USA) is delivered through anterolateral portal. By rotating the suture hook, it penetrates posterior horn of the torn meniscus from femoral to tibial surface for vertical orientation. PDS No. 1 ($Ethicon^{TM}$, Somerville, NJ, USA) is delivered through the suture hook, and then it is withdrawn. Both end of PDS No. 1 are taken out through the anterolateral portal. MAXON 2-0 ($Syneture^{TM}$, Norwalk, Connecticut, USA) is used to penetrates remnant of tibial attachment of the torn meniscus from tibial to femoral surface in a same manner. MAXON 2-0 is changed for PDS No. 1 from tibial to femoral surface by shuttle relay technique. PDS No. 1 is tied using SMC (Samsung Medical Center) knot. Conclusion: All inside repair is a useful technique to achieve anatomical repair and to restore the hoop tension in lateral meniscus root complete radial tear.

      •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에 동반된 회전근 개 병변

        유재철,안진환,김재훈,장문종,서희수,설은진,Yoo, Jae-Chul,Ahn, Jin-Hwan,Kim, Jae-Hoon,Chang, Moon-Jong,Seo, Hee-Soo,Sul, Eun-Jin 대한관절경학회 200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1 No.1

        목적: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으로 진단된 환자들에서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 정도를 자기 공명 관절 조영술(magnetic resonance arthrography, MRA) 및 초음파 (ultrasonography, USG)를 이용해 평가해 보았으며, 검사 소견에 있어서 MRA 및 USG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6월부터 12월까지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으로 진단한 연속된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무작위로 나누어 MRA 혹은 USG를 시행하였으며,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에서 극상근을 중심으로 한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여섯 예(MRA 4, USG 2, 8%)에서 극상근에 소규모(1cm 이하)의 전층 파열을 보였으며 극상근의 부분 파열은 21예(MRA 12, USG 9, 26%)에서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극상근의 건 병증(tendinopathy)이 15예(MRA 7, USG 8, 19%)에서 관찰되어, 총 42예(53%)에서 극상근 병변을 동반하고 있었다(MRA 23, 68% USG 19, 41%). 견갑하근의 부분 파열을 동반한 경우는 9예(MRA 6, USG 3, 11%)로 관찰되었다. 두 군간 극상근 병변의 동반 정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결론: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시행한 MRA 또는 USG검사 상, 약 반 수(53%)의 환자들에서 극상근의 병변이 동반된 소견을 보였다.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USG군 보다 MRA군에서 다소 높은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소견을 보였으며 이는 MRA가 USG보다 해상도가 더 뛰어 난 데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any combined rotator cuff pathologies in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with magnetic resonance arthrography (MRA) or ultrasonography (USG), and to see any differences in findings between MRA and USG.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to December 2005, 80 consecutive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were prospectively evaluated with either MRA or USG. Two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for examination. Evaluation were focused on any combined rotator cuff pathologies especially supraspinatus tendon. Results: Small (less than 1 cm) full-thickness SSP tendon tear were seen in 6 patients (MRA 4, USG 2, 8%) and partial-thickness SSP tendon tears in 21 (MRA 12, USG 9, 26%). In addition, supraspinatus tendinopathy were seen in 15 patients (MRA 7, USG 8, 19%). Overall, various SSP pathologies were reported in 42 patients (53%) of the study objects (MRA 23, 68% and USG 19, 41%). Subscapularis tendon partial tears were reported in 9 patients (MRA 6, USG 3, 11%).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findings between MRA and USG in detecting rotator cuff pathologies (p>0.5). Conclusion: Nearly one half of the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showed various supraspinatus tendon pathology in MRA or USG. Although MRA group showed slight higher percentage of associated rotator cuff pathology than USG grou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could be attributed to better resolution capacity of MRA than USG.

      • 자가 아킬레스 건과 장력 부하 기법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한 이식건의 평가

        서재곤,문영완,유재철,장문종,김승연,김무현,Seo, Jai-Gon,Moon, Young-Wan,Yoo, Jae-Chul,Chang, Moon-Jong,Kim, Seung-Yeon,Kim, Mu-Hyun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3

        목적: 장력부하기법과 자가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이식한 전방십자인대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분석하고 이를 정상전방십자인대의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6년 11월까지 장력부하기법과 자가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추시 자기공명영상을 검사한 21명 21예(그룹 A)의 자기공명영상을 분석하였다. 대조군(그룹 B)은 반월상 연골 파열로 관절경적 수술을 받은 환자 중 관절경적 소견상 정상 전방십자인대가 확인된 50명으로 구성되었다. 자기공명영상의 시상면 및 관상면에서 이식건의 위치를 측정하여 이를 정상 십자인대와 비교하였다. 결과: 그룹 A의 평균 전방십자인대 시상면 각도($55.7^{\circ}{\pm}5.6^{\circ}$, 범위, $47.2{\sim}68.8^{\circ}$)는 그룹 B의 각도($58.7^{\circ}{\pm}3.8^{\circ}$, 범위, $50.4{\sim}67.5^{\circ}$)보다 작았다(p=0.036). 그러나 평균 전방십자인대-Blumensaat 선 사이의 각도(그룹 A: $8.1^{\circ}{\pm}4.9^{\circ}$, 범위, $1.7{\sim}22.0^{\circ}$, 그룹 B: $8.6^{\circ}{\pm}3.6^{\circ}$, 범위, $2.6{\sim}18.1^{\circ}$)와 평균 전방십자인대 관상면 각도(그룹 A: $64.9^{\circ}{\pm}9.1^{\circ}$, 범위, $46.9{\sim}76.4^{\circ}$, 그룹 B: $65.9^{\circ}{\pm}4.4^{\circ}$, 범위, $57.7{\sim}75.2^{\circ}$)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8) (p=0.62). 시상면에서 그룹 A의 평균 경골 터널 위치($31.9{\pm}7.1%$, 범위, $22.4{\sim}47.9%$)는 그룹 B의 위치($37.0{\pm}4.9%$, 범위, $18.5{\sim}44.7%$)보다 더 앞쪽에 위치하였다(p=0.005). 하지만 관상면에서의 위치는 두 군(그룹 A: $46.3{\pm}2.8%, 범위, $42.1{\sim}52.5%, 그룹 B: $45.7{\pm}2.8%, 범위, $41.0{\sim}49.1%)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92). 결론: 장력부하기법과 자가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제건술을 시행하였으며 추시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통해 이식건이 정상 전방십자인대와 비슷하게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finding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ed with a tension load technique using auto-Achilles tendon,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knees with a native ACL.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21 postoperative MRI scan of 21 patients (group A) who had undergone ACL reconstruction between January 1995 and November 1996. The control group (group B) consisted of 50 patients whose meniscus tear had been operated by arthroscopy and whose ACL was intact. We measured the orientation of the graft in the sagittal and coronal planes and compared it with that of the native ACL. Results: The mean sagittal angle of the ACL angle in group A ($55.7{\pm}5.6^{\circ}$, range $47.2{\sim}68.8^{\circ}$) was statistically lesser than group B ($58.7{\pm}3.8^{\circ}$, range $50.4{\sim}67.5^{\circ}$) (p=0.036).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 to the mean ACL-Blumensaat line angle (group A: $8.1^{\circ}{\pm}4.9^{\circ}$, range $1.7^{\circ}{\sim}22.0^{\circ}$, group B: $8.6^{\circ}{\pm}3.6^{\circ}$, range $2.6^{\circ}-18.1^{\circ}$) and the mean coronal angle of the ACL (group A: $64.9^{\circ}{\pm}9.1^{\circ}$, range $46.9^{\circ}{\sim}76.4^{\circ}$, group B: $65.9^{\circ}{\pm}4.4^{\circ}$, range $57.7^{\circ}{\sim}75.2^{\circ}$)(p=0.88, p= 0.62). In the sagittal plane, the mean center of tibial insertion of the ACL graft in group A ($31.9{\pm}7.1%$, range 22.4-47.9%) was positioned more anteriorly than group B ($37.0{\pm}4.9%$, range $18.5{\sim}44.7%$)(p=0.005). But in the coronal plan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group A: $46.3{\pm}2.8%$, range $42.1{\sim}52.5%$, group B: $45.7{\pm}2.8%$, range $41.0{\sim}49.1%$)(p=0.392). Conclusion: We performed an ACL reconstruction with the tension load technique using auto-Achilles tendon and we found that the graft orientation in MRI was as good as that of the native ACL.

      • 자동화 시스템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기술

        이성우(Sung-Woo Lee),하복남(Bok-Nam Ha),서인용(In-Yong Seo),장문종(Moon-Jong Jang),신창훈(Chang-Hoon Shin)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DMS(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나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시스템은 에서의 데이터양은 데이터의 홍수라 말을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양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현장 기기의 상태 데이터나 이벤트 데이터 등으로 전송된다. 또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MR(Automatic meter reading) 등이 통합 될 경우 처리해야 할 실시간 데이터는 상상을 초월 할 정도로 많이 늘어나게 된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Single Thread방식의 데이터 처리 기술을 통해서는 시스템이 추가되거나 현장의 설비 증가에 따른 데이터양의 증가를 감당 할 수 없을 정도이다. 하지만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있어 LF-POOL(Leader Follower-POOL)을 이용한 Multi Thread기술을 적용하면 대용량의 데이터를 짧은 시간과 서버의 부하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 LF POOL기술의 실제 구현과 성능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 조류계산을 이용한 IVVC 시뮬레이션

        이성우(Sung-Woo Lee),하복남(Bok-Nam Ha),서인용(In-Yong Seo),신창훈(Chang-Hoon Shin),장문종(Moon-Jong Jang),이정철(Jung Chul Lee),이정인(Jeong In Lee)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IVVC(Integrated Voltage/Var Control)는 전압제어와 무효전력 제어 기능을 통합적으로 운영함으로써 배전계통의 조상설비의 투입이나 개방 명령, 전압조절장치의 탭 조절을 미리 예측하고 원격으로 제어를 시행하여 지속적으로 부하가 변할 때라도 허용 전압변동 범위를 유지하고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전압제어는 배전선로의 전압을 올리거나 낮추기 위해서 변전소의 주변압기 탭 절환 장치(OLTC: On-Load Tap Changer)와 단계별 전압 조절장치(SVR: Step Voltage Regulators)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하며, 무효전력제어는 Shunt 콘덴서(SC: Shunt Condenser)등의 조상설비를 통하여 투입이나 개방 명령을 통해 무효전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배전계통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류계산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구성과 IVVC를 위한 노력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였다. Forward Sweep 방법과 Backward Sweep 방법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조류계산하고, IVVC 프로그램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조류계산을 통하여 선로의 말단은 물론 각 노드의 전압, 전류, 무효전력, 역율값 등을 계산함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들에 대한 타당성 검증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