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승탑을 통해 본 북한산성 승영사찰 승려의 활약과 위상

        이서현(Lee Seohyun) 백산학회 2019 白山學報 Vol.0 No.115

        본 논문은 북한산성 축성 배경으로 축성에 직접적인 역할을 한 승려들의 활약을 주목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해 북한산 승탑의 현황과 주요 승탑의 양식 특징을 살펴보고 승영사찰과 관련된 승려들의 역할과 위상을 승탑의 미술사적 의의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북한산에 건립된 승탑은 12기가 확인되는데, 고려후기와 조선후기에 주로 건립되었다. 태고사, 봉성암, 승가사, 부왕사, 진관사, 국녕사 등 주로 승영사찰에 건립된 것으로 보아 승영사찰에서 활약한 승려의 부도임을 알 수 있다. 팔각원당형 승탑은 태고사 원증국사탑과 봉성암 성능대사탑이며 대부분 조선후기 석종형 승탑이다. 태고사 원증국사탑은 고려 말과 조선초기 석조미술의 특징이 반영되어 있어 시대성을 보여주고 있다. 팔각원당형 승탑 가운데 ‘석종형’ 탑신을 채택한 최초의 승탑으로 추정되는데, 당시 고승의 승탑으로 석종이 유행한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성능대사탑은 전반적으로 간략화된 치석 수법을 보이고 있어 조선후기 건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北漢誌』와 『重興遊記』 기록을 통해 당시 북한산성에 주둔했던 승려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사찰 관리를 위해 머물렀던 승려들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승영사찰 내 승려들의 활약을 살펴본 결과 계파 성능 외에도 보경 사일, 성월 철학 등 북한산성 도총섭을 지낸 승려들과 진국사의 승장 풍일은 당시 왕실사찰인 용주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인물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북한산성 축성 배경으로서 승려들의 활약과 위상을 승탑의 미술사적 의의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당대 승영사찰 승려의 높은 위상과 활약이 분사리 승탑의 건립배경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the monks who played a direc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the Bukhan mountain fortress. Currently, 12 stone stupas were built on Bukhansan Mountain, mostly in the late Goryeo and Late Joseon Dynasty. As it was built in military temples such as Taegosa Temple, Bongseongam, Seunggasa Temple, Buwangsa Temple, Jingwansa Temple, and Kuknyeongsa Temple, it can be seen that it is the default of monks who played an active part in the military temples. The stone stupa of Wonjeungguksa of Taegosa Temple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stone art, showing the Period. The stone stupa of Seongneungdaesa shows a simplified sculpture in general,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buil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cords of Bukhanji(『北漢誌』) and Jungheungyugi(『重興遊記』) confirm that there were monks who were stationed in Bukhan mountain fortress at that time, as well as monks who stayed for temple management. Lastly, the activities and status of the monks as the background of the Bukhan mountain fortress construction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tone stupa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built as distribution Sarira Stupa and were monks who showed the highest status and achievement at the time.

      • KCI등재

        Problems for Foreign Students in the Korean Languag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Focusing on the Intensive Korean Language Course (IKC) at Dankook University -

        Lee Seohyun(이서현),Han Jeonghan(한정한) 한국어학회 2019 한국어학 Vol.8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 강좌 수강에 필요한 한국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시적으로, 단국대학교 교양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개선 방안을 제안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국내 5개 대학의 사례분석을 통해, 학문 목적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한 한국어 교양 강좌의 현황을 조사해 보았다. 여기서 발견한 대표적인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와 표현’과 같은 과목에서 수준별 수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둘째, 외국인 학습자 전용 한국어 강좌의 교재 개발 수준이 매우 부진했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강좌의 연속성이 떨어졌다. 넷째, 한국어 교양 강좌의 전공별·계열별 구분이 없이 동일한 강좌 수강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한국어 담당 교강사와 외국인 유학생의 학사 및 생활관리를 실질적으로 담당하는 행정부처(국제처)와의 협력 관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위에 나열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2019년 2학기부터, 단국대학교는 교양학부에 산재 되어 있는 한국어 강좌들을 모두 한국어 집중과정(IKC)에 편입시켰다. 또 IKC 교강사들을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 학사 관리, 생활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국제처에 겸직 발령시킴으로써 외국인 유학생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렇게 한국어 교양 교육 강좌들을 하나의 교육과정(IKC)에 통합시킨 것은 앞에서 언급한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problems in Korean language undergraduate liberal arts curricula, taking Dankook University’s undergraduate program as an example,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foreign students’ Korean language skills, which are needed to take college courses. In looking a the situations at five universities, we first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courses aimed at foreign students. The typical problems found here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ew level-based classes taking place in the mixed classes of domestic and foreign students, such as ‘thoughts and expressions’. Second, the level of textbook development for Korean language courses for foreign students was very poor. Third, the degree of continuity in Korean language courses for foreign students was poor, and has in fact decreased. Fourth, the partnership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ructo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courses and the International Affairs Office that is in charge of academic and life management for foreign students does not work well. To solve these problems, starting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Dankook University has taken all Korean language classes scattered in the across the school of liberal arts and incorporated them into an Intensive Korean Language Course (IKC). In addition, IKC instructors were issued a double duty to DKU International Affairs Office to establish strong, integrated management for foreign students. This integration of existing classes into one single curriculum (IKC) helped eliminate many of the aforementioned problems.

      • KCI등재

        건강정보채널 선택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신뢰, 건강정보이해력, 건강지향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서현(Seohyun Lee),장종익(Jongick Jang) 한국보건사회학회 2022 보건과 사회과학 Vol.- No.59

        본 연구는 급증하고 있는 건강정보가 다수에게 시의적절하게 유통 및 보급되기 위한 효과적인 건강정보채널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건강정보채널의 유형 중에서 사회적 관계 외부에서의 수동적 노출 및 능동적 탐색, 사회적 관계 내부에서의 상호적 소통이라는 구분에 주목하여 각 채널별 주요 수요자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고,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신뢰, 건강정보이해력, 건강지향성,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이러한 다양한 건강정보채널 선택 유형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9개 지역 약 1,90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관계 외부-능동적 탐색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채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52.03%). 그리고 나머지 두 개 채널 유형 선호도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두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사회적 관계 내부-상호적 소통 유형은 서울, 수도권, 광역시를 제외한 기타지역 거주자, 직업군중에서도 주부, 학생, 무직인 경우 선호도가 높은 채널이었다. 또한 사적 신뢰 중 일반화된 신뢰 수준이 낮을수록, 반면 가족, 친구, 이웃 등에 대한 국부적 신뢰가 높을수록 사회적 관계 내부-상호적 소통 채널을 선호하였다. 둘째, 사회적 관계 외부-수동적 노출 채널의 경우 서울, 수도권, 광역시를 제외한 기타지역 거주자와 주부, 학생, 무직, 자영업, 농업, 판매, 서비스, 생산직이 더 높은 확률로 선호하였다. 또한 건강정보이해력의 수준이 높다고 보고할수록 사회적 관계 내부 채널을 선택할 확률이 높은 반면에 건강정보이해력 수준이 낮다고 스스로 판단할수록 사회적 관계 외부-수동적 노출 채널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0년 이전 미국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달리 건강지향성은 건강정보채널 선택 유형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지방중소도시 지역사회 네트워크, 특정 직업군 내의 온·오프라인커뮤니티, 국부적 신뢰 관계로 형성된 공동체 내 오피니언 리더, 지역방송 및 활자매체 등을 활용하여건강정보 수요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이 체감하는 건강정보이해력 수준은 건강정보채널 선택 유형에 영향을 미치지만 실제 건강정보 이해 및 활용 능력 수준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health information channel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imely and widesprea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mong various channels, passive exposure or active searching-outside social network,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inside social network were explored. In doing so, we examined how trust as social capital, health literacy, health orientation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ssociated with channel selection. To that end, One-Way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1,900 people in 19 regions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active searching-outside social network was most preferred (52.03%), and factors affecting the selection of the other two channels were examined. First, inside social network was preferred by residents outside Seoul or other metropolitan cities, housewives, students, and the unemployed. Also, this channel was preferred by those who have lower generalized trust and higher particularized trust for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Secondly, passive exposure-outside social network was preferred by residents outside Seoul or other metropolitan cities, housewives, students, the unemployed, self-employed, agriculture, sales, service, and manufacturing jobs. Also, higher level of self-reported health literacy was associated with inside social network channel while those who reported to have lower health literacy were more likely to prefer outside social network-passive exposure channel. In addition, unlike previous studies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before 2010, health orient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the health information channel selection. To summarize, it is necessary to meet the health information needs by utilizing community network in small cities or provinces, online and offline communities for specific jobs, opinion leaders in a group with particular trust relationships, local broadcasting system or print media. In addition, self-reported health literacy affected the health information channel selection but one’s actual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health information appropriately may not be in consistent with self-reported health literacy.

      • KCI등재
      • KCI등재

        전후방 투영법으로 획득한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재현도 평가

        이서현(Seohyun Lee),강성자(Sung-Ja Kang),임선영(Sun-Young Lim),조진형(Jin-Hyoung Ch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디지털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오차를 살펴보는 한편 이를 후전방 사진에서와 비교함으로써 임상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전후방 및 후전방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디지털 방식으로 채득한 후 각 영상에서 6개(Cg, ANS, Me, Lo, J, Ag)의 계측점을 5명의 조사자가 설정하는 한편 이중 한 명의 조사자는 2주후에 재설정을 하게 하였다. 조사자내 산포도, 조사자간 산포도를 작성하였으며, 전후방 사진에서의 오차를 후전방 사진에서의 오차와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오차 발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산포도를 작성한 결과 Crista galli, ANS는 수직 방향으로, Menton은 수평방향으로 그리고 Antegonion은 사선 방향의 오차를 보였다. 2. 조사자내 오차보다는 조사자간 오차가 다소 큰 경향을 보였다. 3.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오차를 후전방 사진에서와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조사자내 조사자간 오차 관계없이 어느 계측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전후방 정 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오차를 후전방 사진과 비교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경우에도, 조사자내 조사자간 오차 관계없이 모든 계측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 디지털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의 계측점 설정 재현도가 후전방 사진에 비해 떨어지지 않으므로 임상에서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the landmark identification in frontal cephalograms obtained with anteroposterior (AP) projection by comparing the errors in the AP cephalograms with those in the posteroanterior (PA) cephalograms. A couple of frontal cephalograms, one with AP projection and another with PA projection, were obtained in 20 adult individuals using a digital cephalometer. Five examiners identified 6 landmarks (Cg, ANS, Me, Lo, J, Ag) on the monitor-displayed radiographs. In order to assess the intra-examiner errors, the landmarks were identified twice with two weeks of time interval by one of the examiners. The intra- and inter-examiner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in AP cephalogram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ose in PA cephalograms. 1. Scattergrams illustrating the errors of landmark identification in frontal cephalograms obtained with AP projection showed characteristic noncircular envelope of error in both intra- and inter-examiner scattergrams. Crista galli and ANS showed vertical direction errors. Menton and Antegonion showed hirizontal and oblique direction errors respectively. 2. Inter-examiner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intra-examiner error. 3. Comparing the errors of AP cephalograms with those of PA cephalograms, none of landmarks wer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mage modalities. 4. Analyzing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ll landmarks were presen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pose that frontal cephalograms obtained with AP projection may be used clinically with the same landmark identification reproducibility as the conventional PA proj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