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 19 관련된 정부재정지원정책과 중소기업 기술혁신 특성에 관한 연구

        김경아 ( Kim¸ Kyung-Ah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3

        본 연구는 CCVID-19와 관련된 정부의 재정지원정책을 조세지원정책, 직접자금지원, 금융지원 등 3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COVID-19와 관련된 재정지원정책 유형별 정책수혜여부와 중소기업 기술혁신활동 및 성과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분석데이터는 2020년 한국기업혁신조사(제조업)에 응답한 기업설문데이터이며, 이 중에서 계열사가 아닌 독립기업이면서 중소기업에 해당하는 2,933개 이다. 종속변수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공여부이며, 설명변수는 Covid-19와 관련된 정부의 재정지원정책(조세지원정책, 직접자금지원, 금융지원) 수혜여부이다. 통제변수로서 기업특성은 기업규모, 기업의 혁신역량, 기술혁신활동 등을 통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학문적 기여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와 관련된 중소기업 재정지원정책들이 그 유형별로 실제로 어떻게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에 영향을 주었는가를 실증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데, 처음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둘째, COVID-19와 관련된 정부지원정책이 중소기업 기술혁신성공에 미치는 영향이 기업이 입지한 지역특성 즉 수도권과 비수도권를 분리해서 비교분석하였다. 조세지원과 재정지원 등 지원정책 유형에 따라서 수도권 더미의 통계적 유의성이 다른 것은 주목할 점이다. 셋째, 사용된 데이터가 통계청 승인데이터로서 통계적으로 잘 설계되어 전국 중소기업의 산업유형별 및 입지지역별 모집단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어서 분석 결과의 일반화가 가능하다. This study classifies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olicies related to COVID-19 into three types: tax support policies, direct funding, and financial support, and demon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ovation activities and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and the benefit of each type of financial support policy related to COVID-19. The analysis samples are 2,933 firms which are independen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response to 「the 2020 Korea Business Innovation Survey(KI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about the impact of financial support policie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n innovation performance is very timely. Since the Covid-19 outbreak, there are very limited studi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financial support policies and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and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firm performance. Secon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statistically well designed, as the national data approved by Statistics Korea,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by industry type and loca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nationwide, enabling generaliz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Third,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 in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irms. In short, the study has discussed the impact of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related to COVID-19 on the succ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depending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irms by comparing the capital vs non-capital areas. The dependent variable is whether the innovation of SMEs is successful, and the explanatory variable is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olicies (i.e. tax support policies, direct funding and financial support) related to COVID-19. As a control variable, corporate characteristics used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the firm, firm size, and innovation activities.

      • KCI등재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기술혁신성공에 대한 정부지원정책 및 일본과의 기술격차 조절효과

        김경아 ( Kim¸ Kyung-ah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7 No.3

        본 연구는 소재·부품·장비 중소제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R&D활동(비용, 조직, 협업), 기업의 특성, 정부의 자금지원제도 및 일본과의 기술격차가 기술혁신성공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였다. 특히 한국의 소재·부품·장비 제조업의 상황적 특성을 고려하여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일본과의 기술격차 수준과 정부의 기술혁신 자금지원제도의 활용의 조절효과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부가 2019년 조사한 중소기업기술실태에 관한 원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소재·부품·장비 중소제조업체는 2,425개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혁신성공에 영향을 주는 기업별 기술혁신활동은 R&D비용의 지출규모, R&D 전담조직의 유형, 상생협력 정책대상인 R&D 파트너의 유형으로 구성하였다. 기술혁신활동 중에서 R&D를 전담하는 조직이 있는 기업들(R&D TF팀 286%, 기업부설 연구소 260%, 상시 전담부서 165%)의 기술혁신성공확률이 전담조직이 없는 기업들의 기술혁신 확률에 비해서 높았다. 대기업과 협업하는 중소기업이 기술혁신에 성공하는 확률이 일반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성공확률보다 10.6배나 높았다. 단, 대기업과 기술혁신 협력파트너로 선택되는 중소기업은 원래 혁신역량 또는 기술역량이 일반 중소기업보다 높을 가능성을 감안하여 통계적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일본과의 기술격차가 큰 기업들의 기술혁신 성공확률이 기술격차가 작거나 기술경쟁력이 앞서는 중소기업들의 기술혁신 성공확률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혁신의 정의가 ‘개별기업에게 새로운(Newness)’ 것이기 때문에, 기술추격 또는 모방이라는 관점에서 설명될 수도 있다. 정부의 기술혁신에 대한 자금지원제도의 활용은 기획단계(162%)와 개발단계(226%)에서 자금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성공확률이 그렇지 않은 중소기업 기술혁신 성공확률보다 더 높았다. 자금지원정책 수혜와 일본과 기술격차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기획단계에서 기술혁신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D activities(cost, organization, collabo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a technological gap with Japan’s one on the succ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industries of materials and components, and equipments. In particular,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level of the technological gap with Japan’s technology and the use of the government’s support for innovation are examined to derive future policy implications with considering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Korea’s manufacturing of materials, components and equipments. This study used the data on the actual state of technology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in 2019, and 2,425 SMEs in manufacturers of materials, components and equipments sectors were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novation activities of each enterprise that affect the success of innovation consisted of the scale of R&D expenditure, the type of organization dedicated to R&D, and the type of R&D partners subject to the policy of win-win cooperation. Among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286% of R&D TF teams, 260% of research institutes affiliated with companies, and 165% of departments dedicated to regular innovation were more likely than those without dedicated organizations. The probability of SMEs collaborating with large companies succeeding in technological innovation was 10.6 time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SMEs. However, SMEs selected as cooperative partners for innovation with large enterprises need to be paid attention to statistical analysis because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ir original innovation or technological capabilities may be higher than those of ordinary SMEs. Interestingly, companies with large technological gaps with Japan’s were more likely to succeed in technological innovation than SMEs with small technological gaps or ahead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ese results may be explained in terms of technology pursuit or imitation because the definition of innovation is ‘newness’ to individual companies. In terms of the use of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success rate of SMEs that received funding at the planning stage (162%) and the development stage (226%) was higher than SMEs that did not. On the benefits of funding policie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technological gap with Japan, it was confirmed that the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ucc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during the planning stage.

      • KCI등재

        사유주체의 주이상스와 정신분석 상담의 한계

        남경아 ( Nam¸ Kyung-ah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4 가톨릭철학 Vol.0 No.22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정신분석학은 그 고유한 방식의 상담을 통해 신경증 환자들을 치료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그는 신경증의 원인을 언어에 고착된 주체의 의식에서 찾는다. 그리고 사유주체가 사유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정함으로써 신경증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필자는 증상을 가진 주체가 또 다른 차원의 증상을 다시 경험한다는 점 다시 말해 신경증이 완치될 수 없다는 점에서 라캉의 정신분석 상담이 한계를 가진다고 본다. 그리고 필자는 그 이유를 주체 사유의 분열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라캉이 해명한 주체 분열의 구조는 한편에서는 기표에 대한 집착의 무용성을 역설해주지만, 증상의 재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을 시사하고 있기도 하다. 상실되고 있는 것에 주목한다면 분열되고 있는 사유는 무용한 것임에 틀림이 없다. 하지만 기표를 결코 떠날 수 없는 “말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에게 있어 실재를 경험할 수 있는 유일한 순간은 분열의 순간뿐이다. 따라서 인간은 상실을 감내하고서라도 분열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운명 속에 있는 존재이다. 이는 라캉이 말하는 주이상스의 구조와 일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필자는 주체의 분열을 상담을 통해 개선될 수 있는 대상으로 간주할 수 없다고 본다. 더불어 분열하는 주체, 곧 증상을 가진 주체를 ‘주체성을 회복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하는 것에도 반대한다. 오히려 주체는 분열할 수밖에 없는 구조 안에서 언어 바깥에 위치한 모종의 차원을 경험하기 위해서 무의식적으로 분열을 선택한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주체가 행한 일종의 ‘주체적인 결단’으로 보아야 마땅할 것이다. The psychoanalysis of Jacques Lacan expects that it can cure a neurotic patient by the psychoanalytic counseling. Lacan seeks a cause of the neurosi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stalled the language. In addition, he says that the split subject can be relieved from the neurosis by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thinking with subjectivity. However, I think the psychoanalysis of Lacan has a limitation because the subject who has a symptom suffers from the other symptoms again; the neurosis can never be completely cured. Moreover, I think that the cause of it can be found in the thought of the split subject. The structure of split subject explained by Lacan stresses uselessness of obsession over the signifier, meanwhile it also suggests why the symptom reoccurs again. The split thoughts of subject must be useless if we pay attention to something being lost, but we, human beings as the ‘speaking beings’ can only experience the realm of the “Real” when we face the moment of split. Thus human being have no option but to choose the way of split although he has to endure the alienation: this is the same to the structure of jouissance. In this sense, I think that we can not regard the split subject as a subject who has a symptom which can be overcome by counseling. In addition, I gainsay that the psychoanalysis regards a subject who suffers from a symptom as an object who has to recover his subjectivity. Rather, the subject unconsciously chooses the way of split to experience a certain dimension which is located the outside of language; it is appropriate for us to regard this as a kind of autonomous decision.

      • KCI등재SCOPUS
      • 대구지역 환경미화원의 근골격계질환 발생특성 및 예방에 관한 연구

        KyungAh Cho,MinHwan Cho,HyunHo Kim,JeungHo Kim 대한인간공학회 2012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5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waste collector worker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in Daegu area and presenting the prevention the WMSDs based on the field survey. Method: We conducted field survey concerning the musculoskeletal discomfort, understanding of WMSDs, symptom parts of the body, having the education of WMSDs, etc. at 48 enterprises, 196 waste collector workers in Daegu area. Results: Musculoskeletal symptoms on shoulder was the highest claimed from 26.7% of waste collector workers, legs/feet was 24.3%, and lower back was 19.2%. Work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musculoskeletal burdened work by the Minister of Employment and Labor in 2011 results were over 'high risk stage' of Task 2, Task 4, Task 7, Task 8, and Task 9 in most waste collecting work. The musculoskeletal discomfort in accordance with Borg's CR 10 scales of main tasks consisted of 7.75 recycle waste collectors, 7.54 living waste collectors, 7.19 large waste collectors, 6.33 food/drink waste collectors, 5.58 street cleaner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waste collector workers to carry out the prevention program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we need to improve their working environment and personal hygiene such as changing working shift, increasing automatic street sweepers operation, and safety and health education/trainning.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