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TM ABR의 공평성들을 위한 새로운 스케쥴링 알고리즘

        정경택,박준성,박현,전병실,Chung, Kyung-Taek,Park, Jun-Seong,Park, Hyun,Chon, Byoung-Sil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9 No.4

        The WRR scheduling algorithm is widely used in ATM networks due to its simplicity and the low cost of hardware implementation. It guarantees minimum cell rate according to the weight of each queue. The fairness is a important factor for ABR service. That is, scheduling algorithm allocates network resources fairly to each VC. However, WRR algorithm shows worse performance on bursty traffic. Because it schedules input traffics according to predetermined weight, it can not satisfies fairness criteria, MCR plus equal share and Maximum of MCR or Max-Min share, defined by ATM Forum TM 4.1 specification. The Nabeshima et al algorithm is not adapt to network status rapidly because it is not compensate the weights of unused bandwidth to VCs and assign the unused bandwidth to VCs by RR method.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heduling algorithm for satisfying the two fairness criteria, MCR plus equal share and Maximum of MCR or Max-Min share, among the six criteria defined by ATM Forum TM 4.1 specification. The WRR, Nabeshima et al, and the proposed scheduling algorithms are compared with respect to fairness and convergence time throughout experimental simulation.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higher fairness and more rapid convergence than other algorithms. WRR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계산의 단순성과 저 비용 구현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고속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에서 널리 쓰이고 있지만 버스티한 트래픽에 대해서는 입력 트래픽을 일정 비율로 스케쥴링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WRR 알고리즘은 ABR 서비스 클래스의 공정성 기준인 MCR plus equal share와 Maximum of MCR or Max-Min share 공평성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또한 Nabeshima et al의 기법은 여분 대역에 대한 weight 값을 보정하지 않고 RR 방식으로 각 VC에 할당을 해주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변화에 신속하게 적응하지 못할 뿐 만 아니라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ABR 서비스를 위한 공평성 기준을 만족시키고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ABR 서비스를 위한 6가지 공평성 기준들 중 MCR plus equal share와 Maximum of MCR or Max-Min share 두 기준을 만족시키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이 공평성 기준을 만족시키고, 네트워크 자원을 각 ABR VC들에게 신속하고 공평하게 할당해 주는지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WRR, Nabeshima et al 알고리즘들과 비교, 분석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중앙아시아 5개국의 정체성 모색: 역사적 기원과 문자 전환을 중심으로

        정경택 ( Kyung Taek Ch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1 슬라브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5개국의 민족기원과 문자전환을 독립 이후 정체성의 부활과 창조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중앙아시아 5개국 대부분은 자신의 민족 기원을 아리아인에서 찾으면서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민족이고 융성한 문화를 창조했다는 것을 내세우지만, 아리아인과 투르크인의 특징 사이에서 혼란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자 전환의 경우 역시 민족 정체성 상징의 부활로서 우즈베키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은 독립 이후 라틴문자로 전환했지만, 나머지 3개국은 여전히 키릴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지정학적 상황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는데, 문자 전환은 해당 국가 내의 러시아어 사용자 비율과 러시아연방의 영향력 강도, 유럽 및 서구식 문화 정책 추진 여부에 따라 가변적이다. This paper aim to analyze formation of the ethnic identity. The ethnic identity differentiate one ethnic group from other. An ethnos, race, language, custom and script belong to the ethnic identity. The New Independent Nations in Central Asia have found the indigenous ethnic identity and chose ancient Aryan as their ancestors. Bu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ing that Central Asians succeeded to ancient Aryan as it is. Because Central Asians`s languages belong to Altaic language family, Turkic language group but Aryan language belongs to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And Uzbekistan and Turkmenistan switched Cyrillic Alphabet to Latin, this is also a formation of the ethnic identity. On the contrary, Kazakhstan and Kirgizstan, Tajikistan still use Cyrillic. This is caused by Central Asian geopolitics and Russian language speakers who living in Kazakhstan and Kirgizstan.

      • KCI등재

        중앙아시아에서의 문자 교체 논란 연구 : 키릴인가 라틴인가 아랍문자인가

        정경택(Chung, Kyung Taek) 한국사회언어학회 2019 사회언어학 Vol.27 No.4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ontroversy about the shift of writing systems in Azerbaijan and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The transition from Cyrillic to Latin alphabet is important as a symbol of elimination of Soviet traditions, independence from Russia, revival of national identity, facilitation of informations in the West, and contact with the Western civilization. Currently, Azerbaijan, Uzbekistan and Turkmenistan have implemented a transition to Latin alphabet. The shift of the writing system in Azerbaijan is the most successful, followed by Turkmenistan. Uzbekistan is regarded as having half success, since both of Latin and Cyrillic alphabets still co-exist. Among the remaining three central Asian countries, Kazakhstan has been actively promoting the conversion to Latin alphabet, planning to complete the conversion by 2025, but there will be many obstacles to its realization. In other words, they need to overcome the opposition of many Russians, Russian speakers, and the Russian Federation. Also an initiative of the second president Tokaev, who was appointed in March 2019, is uncertain. In Kyrgyzstan, there have been no attempts of conversion until recently, but it is also possible to begin discussions regarding the shift of the writing system by looking at geopolitical situations including Kazakhstan s experience. In Tajikistan, unlike other countries, the transition to the Arabic-Persian alphabet is discussed. A successful transition of the writing system in Kyrgyzstan and Tajikistan will depen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Russian government. As a result, the change of writing system depends on the external relationship with Russia, financial conditions, and agreement between the Russian-speaking and young generations.

      • 히트파이프형 이중진공관 태양열집열기의 배열 방식에 따른 열특성의 실험적 연구

        정경택(Chung Kyung-Taek),김병기(Kim Byoung-Gi),장환영(Jang Hwan-Young),서정세(Suh Jeong-Se)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6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The thermal performance of solar systems for hot water service usually depends on the solar collectors. Evacuated tube solar collector with heat pipe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of solar energy collector. In solar energy system, collector modules should be arranged in series and/or parallel pattern. The experiment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hermal performance for the module of solar collector in series and parallel, respectivel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be presented as the basic data for the arranging pattern of many solar collectors.

      • 러시아연방과 자치공화국에서의 러시아 어의 위상

        정경택(Chung, Kyung Taek) 고려대학교 러시아 CIS연구소 2011 Acta Russiana Vol.3 No.-

        Эта статья посвящена статусу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РФ и Республике Татарстан, которая одна из 21 субъектов(=республик) в стране. Русский язык как единственный 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в РФ и 21 субъеках в территории РФ утверждён в Конституции РФ и в Законе “О языках народ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Но в этой Конституции написаны следующие: Республики вправе устанавливать сво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е языки. В органах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власти, органах местного самоуправления, государственных учреждениях республик они употребляются наряду с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м языко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гарантирует всем её народам право на сохранение родного языка, создание условий для его изучения и развития. И в законе “о языках народ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содержано одно и то же. Кроме Конституции РФ и закона “О языках народ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у каждой республики свои республикансая конституция и закон 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м языке. Например, у Республики Татарстан тоже своя конституция и в этой утверждается, что татарский язык является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язык наряду с русским языком. И в договоре “о разграничении предметов ведения и полномочий между органам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власт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 органам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власти Республики Татарстан 2007 года”написано следующее содержание: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ми языками в Республике Татарстан являются русский и татарский языки, статус и порядок использования которых определяются Конституцией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Конституцией Республики Татарстан, федеральным законом и законом Республики Татарстан. Но такие утверждения ещё не реализируются в Татарстане, потому что многие русские живут в этой республике и они не довольны политикой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еспублики, хотя бы русские признают татарский язык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м языком республики. А Татары считают, татарский язык как государсьвенный является символом возрождения татарской народной сущности. Эта сложная ситуация, которая исходится из двух государственных языка в республике, не будет изменяться.

      • KCI등재

        소수민족에 대한 소련의 언어정책

        정경택 ( Kyung Taek Ch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2 슬라브연구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소련 시기에 진행된 언어정책을 살펴보았다. 1917년 소련 창건과 함께 유연한 민족정책을 편 레닌 덕분에, 그리고 토착화 정책으로 말미암아 1930년대 초까지 많은 소수민족의 언어들이 자율성을 가지게 되고 아랍문자를 사용하거나 표기체가 없었던 소수민족언어들이 라틴문자로 된 표기체를 얻거나 전환하여 해당 연방공화국, 자치공화국, 자치주, 자치관구에서 전면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스탈린이 집권한 이후 토착화 정책이 폐기되고 토착민족 출신들이 대량 숙청당하면서 소련화(러시아화) 정책의 추진으로 러시아어의 지위가 강화되고 그 사용이 확장되어 민족어와 러시아어의 이중언어 사용으로 전환되었다. 소련의 언어정책은 독자적인 정책이 아니라 민족정책의 일환으로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달랐는데, 소련 해체 전까지 민족 간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러시아어의 지위 확립이 명확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해체를 즈음하여 그 동안의 이중언어 사용으로 인한 민족어의 보전으로 현재 독립국이 된 14개 공화국들의 토착주도민족 언어의 국어 규정과 러시아어의 지위 하락 또는 배제라는 상황을 낳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소련의 민족·언어정책은 러시아어의 입장에서는 소련 당시에서 유리한 것이었지만, 소련 해체 후에는 구소련 지역에서의 지위하락, 사용영역 축소 및 배제를 초래했고 현재 러시아 연방 내의 민족·언어들도 부활할 수 있는 기반을 닦았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anguage policy of the Soviet Union. First, the elevation of the status of minority languages was carried out as a part of the indigenization(korenizacija) and the reinforcement of ethnic autonomy by Lenin after the communist revolution. At the same time, the conversion to Latin characters in terms of orthography was established for communization of the countries in Western Europe. Since the mid-1930s, communists employed policies towards unification of national languages for the communization, and one of them is to force Cyrillic instead of Latin orthography in a short time. Thus, the enforced education of Russian language was conducted in every federal republic until the end of the Soviet Union. As a language policy for the minority in the Soviet Union, dual language, in other words, Russian and a minority language, is allowed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f each individual federal republic and autonomous republic, states and provinces. However, the status of Russian language had been improved because it is an only means of communication in the multi-ethnic society, higher education, employment, entrance to leadership positions. As a result, the nearly 70 years of the language policy in the Soviet Union caused the use of dual language between Russian and a minority language. Russian and the minority languages coexist in the independent states and Russian Federation, and it results in a complex situation, such as expansion, contraction, recovery and loss of a minority language. Thus the language policy in the Soviet Union is unique in the history of the world that it contains compulsion as well as flexibility.

      • KCI등재

        캅카스 3개국 언어정책과 러시아어 상황 연구

        정경택 ( Kyung Taek Ch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슬라브연구 Vol.32 No.2

        캅카스 3개국은 각각 인도유럽어족의 아르메니아어, 카르트벨리어족의 조지아어, 그리고 알타이어족의 아제르바이잔어를 사용하는 토착주도민족들이 고유의 언어정책을 가지고 있지만, 독립초기부터 강력한 국어지위확립과 사용 확대, 상대적으로 러시아어의 지위 격하와 사용영역 축소, 결국 러시아어를 배제시키려 하는 것은 공통점이다. 그러나 3국의 여러 민족적, 언어적, 지정학적 원인에 의거 다음과 같은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아르메니아는 소련시기에도 러시아인들의 수가 가장 적었기에 독립초기부터 단일민족국가 창건 이념을 내세워 러시아어 지위 삭제와 사용 배제정책을 강력하게 폈지만, 아제르바이잔과의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에서 친 러시아 정책을 취해 1999년부터 국가계획으로 학교에서의 러시아어 교육의무, 심화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아르메니아인들이 러시아연방에 노동자로서 이주해있고 터키(무슬림)로부터의 오랜 기간 동안의 탄압, 러시아인들과 같은 종교를 신봉하는 등의 이유로 러시아어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다. 아제르바이잔은 독립초기에는 러시아와 러시아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유연한 입장을 보였지만, 점진적으로 러시아어를 배제시켜왔는데, 이는 역시 나고르노-카라바흐 문제에 대한 러시아연방의 친 아르메니아 정책에 대한 반발이고 친 서방정책의 결과이다. 또한 러시아키릴문자를 사용하던 소련공화국들 중 가장 먼저 라틴표기로 전환하여 러시아어 사용자들의 사회활동을 불편하게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조지아는 단일민족국가 창건을 이유로 독립초기부터 조지아어 유일 국어사용 정책 등을 내세워 민족적 소수를 자극했다. 특히 민족적 소수 중 압하스인들과 오세트인들은 소련시기 각각 모어와 러시아어 이중언어사용자로서 이들은 조지아정부의 민족-언어정책에 대해 불만을 가지게 되었다. 결국 2008년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아에서 분규가 발생하여 두 지역은 사실상의 독립국이 되었는데, 이 두 지역에서는 러시아어가 국어 또는 사실상의 공식어로 남아있다. 캅카스와 같이 작은 면적에 고유한 3개 어족, 40개 이상의 언어사용 공동체가 있는 곳은 세계에서 유일한데, 소련시기 동안 러시아인들의 유입은 작았지만 민족 간 의사소통 언어로서의 러시아어의 지위와 사용은 중요했다. 3개국이 독립 이후 언어정책에서의 변화를 보이고 서로 다른 상황을 맞이하고 러시아어의 상황도 서로 다른 것은 바로 이런 민족적, 언어적, 지정학적 원인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The three Caucasian countries, Armenia, Georgia and Azerbaijan, develop their own language policies for the sake of their titular languages, even though they established them in common such as indigenization of the titular languages and prohibition of using Russian language. The differences in the language policies of the three Caucasian countries can be found based on various ethnic, linguistic, geopolitical reasons. Armenia established strong de-Russification policies from the beginning of its independence, applying the ideology of an ethnically homogeneous country, because Armenia was the least populous state of Russian people among the Post-Soviet countries. However, they started enforcing a pro-Russian policy after the Nagorno-Karabakh conflict, and thus Russian language has been taught obligatorily in Armenian schools since 1999. On the other hand, Azerbaijan becomes gradually de-Russified as opposed to their flexible stance toward Russian language in the early 1990s. It is caused by their pro-Western policies resisting the pro-Armenian attitudes of the Russian government after the Nagorno-Karabakh conflict. Furthermore, Latinization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among the post-Soviet countries and the language rights of ethnic Russians were highly infringed. Finally, Georgia established a monolingual policy against ethnic minorities. Abkhazian and Ossetian minorities who are bilingual in Russian and their ethnic language expressed their complaints against the ethnic and language policies of the Georgian government. In 2008, Abkhazia and South Ossetia became recognized as independent nations, and Russian remains as their de-facto official language. The Caucasus region is a unique area in that it contains three language families and more than 40 language communities. The influx of Russians during the Soviet Union was not massive, but Russian language kept its status as a stable medium of communication. The difference in the language policies of the three countries are directly attributable to those linguistic and geopolitical reasons.

      • KCI등재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의 민족-언어상황 연구

        정경택 ( Chung Kyung Taek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1 슬라브연구 Vol.37 No.3

        이 연구에서 북캅카스의 아드그민족에 속하는 체르케스인이 토착주도민족인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의 언어상황을 공화국의 민족분포와 러시아어 영향을 분석하면서 살펴보았다. 아드그 민족은 19세기 초 캅카스지역이 러시아제국으로 병합된 이후 종교 및 민족 탄압으로 인해 터키로 강제 이주하거나 소련 시기에 들어와 민족 재배치 정책으로 세 행정 지역으로 분산되어 현재의 카바르다인, 체르케스인, 아드게이인으로 다른 민족 명칭을 가지게 되었고 이들의 언어도 러시아연방 내 지역의 지위에 따라 해당 거주지역에서 카바르다-체르케스어, 아드게이어로 나뉘어 3개 공화국의 국어로 규정되었지만, 그 외의 거주지역에서는 아무런 지위도 부여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하나의 언어였던 아드그어가 카바르다-체르케스어라는 명칭을 얻고선 카라차이-체르케시야에서 실제로 어떤 지위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공화국의 언어 상황들이 어떠한지를 알게 되었고, 체르케스인과 카바르다-체르케스어라는 명칭은 소련의 인위적인 국경설정과 강제 이주로 인한 민족 분산의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카라차이-체르케시야는 카라차이인과 체르케스인이 토착주도민족이지만, 투르크계 카라차이인이 더 많고, 체르케스인은 겨우 12%이다. 그 외 러시아인이 30%, 아드그 민족과 방계인 아바자인 7%, 투르크계 노가이인이 3%를 차지하는 다민족 공화국이다. 러시아어는 당연히 국어이고 아바자어와 노가이어도 공화국의 국어 지위를 가지고 있어 북캅카스에서 다게스탄 다음으로 국어의 수가 많고 민족적으로나 언어적으로 복잡한 지역이다. 이런 민족-언어분포의 다채로움과 상황은 인접 카바르다-발카리야, 그리고 아드게야와 비교하면 더욱 뚜렷히 나타난다. 러시아연방의 주체로서 카라차이-체르케시야는 연방 주체 지위 획득과 함께 각각 카라차이인 중심의 공화국 건설 지향으로 러시아인의 비율이 줄고 있지만 최근 다양한 유무형의 러시아 동화 정책이 집중된다는 점에서 볼 때, 점진적으로 민족-언어상황이 러시아인과 러시아어에 유리하도록 바뀔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 러시아연방 정부의 러시아어 지위 확립과 사용확장 정책의 강화, 그리고 카라차이인의 민족주의 강화와 투르크어 그룹의 세력 확장으로 인해 체르케스어는 다른 아드그민족 공화국보다 더 빨리 소멸할 수 있다는 위기에 빠져있다. 그렇지만 카라차이어도 이보다 더 늦기는 하겠지만 역시 민족-언어의 러시아화를 벗어날 수는 없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카라차이-체르케시야 민족-언어연구는 두 토착주도민족 외에 아바자인과 노가이인과 이들의 언어연구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Karachay-Cherkess Republic of North Caucasus is a republic of indigenous ethnic groups, Turkic Karachay and Adyghe Cherkess. Although the two ethnic groups are indigenous, the number of Karachay is about 40%, which is less than half, and the Cherkess is only 12%, the population of the these two ethnic groups is only over half of the total population. In addition, Russians make up 30%, but Nogay and Abazins, who belong to ethnic groups such as Karachay and Cherkess, account for 3% and 7%, respectively. The three ethnic groups are forming a republic. The Adyghe Cherkess of Karachai-Cherkessia is an indigenous ethnic group, but it is a minority, and it is the most disadvantageous situation to preserve and develop the tradition and language of the Adyghe people, compared to the Kabardino-Balkaria. Moreover, like all the ethinc republics of the Russian Federation, the language of so-called “Titular nation”(Титульная нация) is the state language of the republic, but the status of Russian, the state language of the Federation, is solid and the use area is continuously expanding. In addition to these three languages, Russian language will also be stronger because Abazain and Nogay languages have state language of republic. The division of the Adyghe people due to the establishment of artificial ethnic-territorial boundaries in the Soviet period, the appearance of different ethnic names, the coexistence of several ethnic groups with different origins and languages in one republic, and the still superiority of Russian are common phenomenon in the North Caucasian national republics. In the previous study, I research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digenous republics, Adygea and Kavardino-Balkariya and in this study, I studied that the Soviet Union formed an artificial ethnic names and Karachay people is Titular nation and that the users of Abazin and Nogay languages were also minorities, but they are the people who make up the republic. Karachay, Cherkess, Avazain, Nogay, and Russians show distictive features in their densely populated residences and use their mother tongue in their homes, but young people speak Russian through education and media and in the city, they are bilingual speakers who speak Russian as lingua franca in communication with other minorities, which is found to be in common with the North Caucasus, furthermore, all ethnic republics in the Russian Federation. In addition, the Russian government’s strengthening of Russian language status and expansion of use, and the strengthening of Karachai’s nationalism and the expansion of the Turkic group are in danger of extinction of Cherkess language faster than other Adyghe ethnic republics. But even Karachay language will be later, but it will not be able to escape the Russianization of ethnic-language. Finally, the study the ethnic-language of the Karachai-Cherkessia should be conducted in addition to the two indigenous peoples, as well as the study of the language of Avazin and Nog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