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Early Citizenship Education

        Kyeonghwa Lee(李京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7 No.7

        The author explor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early citizenship education (ECE)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54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eachers frequently prepare young children for citizenship by using community-based rather than individualized goals. Furthermore, the majority cited knowledge related to a sustainable society, communal relationship-oriented values, and interpersonal skills to develop positive relationships as important content areas for ECE. The research identified the participants’ conceptions of citizenship with regard to their national identity as Koreans. Moreover, the pedagogical possibilities in transform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chieve a global citizen ident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Early Citizenship Education: Pedagogical Possibilities for Global Citizenship

        Lee, Kyeonghwa(이경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Since the 1990s, the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arriving for marriage and work in Korea has diversified the country’s population. This reshaping of the population has created a need for curriculum change in terms of how to prepare young children to become good citizens,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early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54 South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wo semesters in 2016.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eachers frequently prepare young children for citizenship by using community-based rather than individualized goals. Furthermore, the majority cited knowledge related to a sustainable society, communal relationship-oriented values, and interpersonal skills to develop positive relationships as important content areas for early citizenship education. The research identified the participants’ conceptions of citizenship with regard to their national identity as South Korean. Moreover, the pedagogical possibilities in transform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chieve a global citizen identit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유아시민교육에 대한 교사의 교수내용지식을 탐구하기 위하여 유아교사 54명을 대상으로 유아시민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인터뷰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사들은 개인 지향의 목표보다 공동체 기반 목표에 중점을 두고 유아시민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필요한 지식과 공동체적 관계의 가치 그리고 대인간 상호작용기술을 유아시민교육의 중요한 교육내용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한국인으로서의 시민정체성 개념을 도출하고, 유아기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적 전환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Challenges Facing South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rovid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coming a Cosmopolitan Citizen

        ( Kyeonghwa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2 No.2

        Since the 1990s, South Korea has been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change means young learners must be taught how to become region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citizens. This paper describes the notion of global citizenship by analyzing cosmopolitan citizens and the limita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Additionally, it suggests three methods through which pre/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come cosmopolitan citizens and can appropriately educate (future) children on global citizenship: (1) becoming a teacher with multiple identities, (2) becoming a socially aware teacher, and (3) becoming a teacher who is a participatory citizen. Lastly, this paper contains considerations o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olicy and future research in regard to global citizenship.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연구

        이경화(Lee, Ky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교과 학습에서 교과 내용과 문식성은 모두 중요하며 상호보완적 관계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 점에 주목하여 이원교육과정(dual-track curriculum)을 제안하였다. 교과 내용과 언어 기능이 연계될 때에 교과 학습이 향상되고, 언어가 사용되는 맥락이 풍부해지면서 언어 기능도 향상된다. 따라서 학생들이 과학 교과 시간에 교과 내용을 배울 때 언어 기능을 연계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내용과 이원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미국의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내용을 각각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 교과문식성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과학 교과서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 다. 첫째, 과학과 교육과정에 ‘이원교육과정’(dual-track curriculum)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둘째, 과학 교과서 개발 단계에 과학과 교육 전문가와 문식성 전문가가 공동으로 참여해야 한다. 셋째, 과학 교과 학습 주제에 관한 다양한 유형의 읽기 제재와 쓰기 과제를 과학 교과서에 제시해야 한다. 넷째, 과학 교과서에 ‘읽기와 과학 학습’ 코너, ‘과학 글쓰기’ 코너, ‘과학 글 읽기’ 코너를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과학 교과 서에 ‘과학 교과 특수 기능’ 코너를 마련해야 한다. The relation of Subject content and literacy is complementary. By giving attention to this relation, in this study I suggested dual-track curriculum. When the student study about the learning content of the Science subject class, it is necessary to connect subject content with the language function. By linking the subject learning content and literacy, the student’s subject learning ability can be improved and by the abundant language use in context, the student’s literacy is also improved. In this study I observed respectively, the subject literacy content which is reflected in Korean science textbook and subject literacy content which is reflected in American science textbook. I suggested desirable science textbook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science subject literacy on the ground of this study. 1. ‘Dual-track curriculum’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Science Studies curriculum. 2. Literacy specialist and Science Studies education specialist should be participate as core re-searchers at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Science subject textbook. 3. Various type of the reading materials and writing tasks about the Science Studies subject theme should be presented in Science Studies textbook. 4. In science textbooks, there should be a Read and Leaning corner and a science writing corner, and a science reading corner. 5. The science subject special skill corner should be provided in the science textbook.

      • KCI등재

        PCK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비판적 고찰 - 2009 개정 초등학교 1-2학년군을 중심으로 -

        이경화(Lee, KyeongHwa),최민영(Choi, MinYo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이 연구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가 새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안착을 견인하고 현장 교사들의 국어 수업 전문성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체제와 내용 구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과 교수 학습 현상 안에서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가 어떠한 위상과 기능을 갖는지를 정립하고, 최근 교과 수업 전문성의 핵심적인 개념으로 부상한 국어과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측면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 학습의 실제’ 부분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나아가 차기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서 PCK 측면의 제언을 덧붙이고자 하였다. PCK라는 분석 기준을 토대로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의 체제와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는 이전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비해 판형과 디자인과 같은 외형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내적으로도 현장 교사의 입장에서 수업에 필요한 실제적인 배경 지식과 참고 자료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하지만 몇 가지 측면에서는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교수 학습의 실제’ 부분의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 ‘대강화’와 ‘상세화’의 딜레마 속에서 선택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국어 수업의 성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안내가 필요하다. 셋째, 교수 학습 과정의 실제를 구성함에 있어 해당 단원 및 차시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관련된 정보를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수 학습의 과정 및 교수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 tried to build up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eacher’s guide book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examine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ual condition” of teacher’s guide book by an aspect of PCK and attached a suggestion for the next teacher’s guide book development by an aspect of PCK. By an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teacher’s guidebook I could have the implications as belows. The 2009 revised teacher’s guide books contained practical background knowledge and reference materials which are helpful for teaching as well as advanced format and design in external form. First it is necessary to reflect balance of both the process of elaboration and slimming in composition of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more concrete guidance of teaching’s direction is necessary in aspects of actual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Korean Language Subjec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i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s understanding among the PCK components in composition of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sent various teaching technique and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초등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교과 간 통합 방식을 중심으로

        이운영(Lee WoonYoung),이경화(Lee Ky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교과 간 통합 방식으로 운영한 초등학교 6학년 교사의 경험을 분석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교과 간 통합 방식이 갖는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교과 간 통합 방식으로 운영한 초등학교 6학년 교사 7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수업 관련 자료로 수업 계획서, 수업 활동지, 학생 산출물을 수집하여 수업의 설계⋅실행⋅반성의 3단계로 나누어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의 검토를 거쳐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과 <설계 단계> 미디어 리터러시를 교과 간 통합 방식으로 접근한 배경에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범교과적 성격을 고려하고, 충분한 시수를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이를 위해 교사가 가장 먼저 한 일은 관련 성취기준을 분석하는 것이었고,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된 교과로 국어과를 꼽았다. <실행 단계> 수업 자료로서 교과서의 활용은 낮은 편이었고, 수업 자료 수집의 경로는 다양했으며, 수업 자료의 체계적 정리 및 통합 사이트 운영을 통해 수업 자료의 접근성을 높일 것을 제안하였다. 수업 진행 방식으로는 모둠 협력 방식을 선호하였고, 학습자 중심 수업을 전개하였다. 수업의 실행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으로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와 의사 표현, 통합한 교과에 대한 학생의 호감 상승, 학생의 정보 검색 능력의 질적인 변화를 꼽았다. <반성 단계> 학생 평가는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상호 평가와 과정 평가가 용이하게 이루어졌으며, 교사의 역량에 대해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과 교과 간 통합 수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교과 간 통합 방식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 및 지원이 필요하고, 교과 간 통합 수업에 대한 연구 및 자료 공유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교과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경험과도 통합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tried to the experience of teachers who have operated media literacy classes in an integrated way between subjects, and to seek directions for integrated approach of media literacy classes.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operated media literacy classes in an integrated manner, class plans, class activity sheets, and student outputs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in three stages, and the analyzed data were reviewed by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plan step> The background of the integration of media literacy was to consider the pan-textural nature of media literacy and to secure enough time. To this end, the first thing the teacher did was to analyze the relevant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was selected as the subject most related to media literacy. <practice step> The use of textbooks as class materials was low, the paths for collecting class materials varied, and it was proposed to increase accessibility of class materials through systematic organization of class materials and the operation of integrated sites. As a way of conducting classes, the group cooperation method was preferred and the learner-centered class was developed. Among the most impressive scene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lass were student s active participation and expression of intentions, student s growing fondness for integrated subjects, and qualitative changes in student s ability to search information. <evaluation step> Student evaluation was facilitated by mutual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using the online platform, and it was derived that teachers competence requires efforts to improve media literacy class expertise and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tegrated class. Conclusions Successful interdisciplinary operation of media literacy classes requires efforts and support to strengthen teachers capabilities, enable research and data sharing on interdisciplinary classes, and integrate with learners experiences as well a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