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노화가 인체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백기현,태현정,오기원,이원영,조정기,권순용,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3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골다공증과 연관된 위험인자로는 연령, 폐경, 약물, 불충분한 칼슘섭취, 만성질환 및 운동부족 등이 있는데, 특히 노화가 진행할수록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노화와 관련하여 진행되는 골소실은 조골세포 및 전구조골세포의 기능적 결핍에 의한 골형성의 감소가 주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동안 연령이 조골모 세포의 양과 조골모 세포로부터 성숙조골세포로의 분화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부 보고들이 있었으나 아직 일치된 견해는 없는 형편이다. 방법: 다양한 연령의 사람으로부터 골수를 채취, 중간엽 줄기세포가 포함된 단핵세포를 분리한 후 조골세포로 분화하기 좋은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대상군은다시 젊은군과 노령군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일차배양에서는 CFU-F를 계수하여 골수내 중간엽 줄기세포의 수를 추산하였고, 칼슘측정을 통하여 기질의 무기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계대배양후 이차배양에서는 시기별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를 측정하고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을 관찰하여 젊은군과 노령군 사이의 증식능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차배양 시기별로 MTT 측정을 하여 양군간에 증식능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1. 일차배양 15일째에 평균 CFU-F의 수는 젊은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젊은군 148.3±28.9, 노령군 54.3±9.1, p=0.02). CFU-F의 평균면적은 젊은군에서 넓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일차배양 17일 경과 후 양군간에 기질 칼슘 침착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젊은군 103.6±50.6, 노령군: 114.0±56.5, p=NS). 3. 이차배양 10일째에 젊은군에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가 고령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젊은군: 935.5±115.0 U/mg, 노령군: 578.4±115.7U/mg,p.0.05). 고령군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미약했으며 전반적으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활성도가 젊은군에 비해 낮았다. 4. 이차배양도중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은 배양시기별로 젊은군에 비해 고령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이차배양 10일과 15일에 젊은군에서 노령군보다세포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10앓 젊은군 0.73±0.05, 노령군 0.58±0.04, p=0.05, 15일; 젊은군 0.80±0.05, 노령군 0.70±0.03, p=0.05).결론: 이상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노령군에서 젊은군보다 골수 내 중간엽줄기세포의 수가 적고, 노령군에서 유래한 전구조골세포의 성숙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가 젊은군 보다 감소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Background: Osteoblasts originate from osteoprogenitor cells in bone marrow stroma, term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r bone marrow stromal cells. Each MSC forms colonies (colony forming units-fibroblasts [CFL-Fs]) when cultured ex vivo. There are some reports about the age-related changes of the number and osteogenic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but any relationship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in humans. In this study, we counted MSCs using CFU-Fs count and examined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Finally, we analyzed how these parameters varied with donor age. Methods: Bone marrow was obtained from the iliac crest of young (n=6, 27.2±8.6 years old) and old (n= 10, 57.4k6.7 years old) healthy donors. Mononuclear cells, including MSC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osteogenic medium. In primary culture, we compared the colony-forming efficiency of MSCs between the two groups and determined the matrix calcification. When primary culture showed near confluence, the cells were subcultur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steocalcin expression by RT-PCR and proliferative potential by MTT assay were examined by the time course of secondary culture. Results: At the 15th day of primary culture, the mean number of CFU-F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younger donors (young: 148.3±28.9, old: 54.3±9.1, p=0.02) and the mean size of CFL-Fs was also larger in the younger donors than the older donors. However, matrix calcific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young: 103.6±50.6, old: 114.0±56.5, p=NS). In secondary cultur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lder donors. The younger donors showed peak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t day 10, while the older donors didn't showed a remarkable peak (young: 935.5±115.OU/mg, old: 578.4±115.7U/mg, p<0.05). Total cell number as a proliferative index increased progressively during the secondary culture and a significantly greater cell number was noted in the younger donors. Osteocalcin expression was generally upregulated in the younger donors,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osteoprogenitor cells is decreased during aging and that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seem to be reduced during aging (J Kor SOC Endocrinol 18:296-305, 2003).

      • 지역정보화의 실태와 지역주민의 정보접근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Citizens' Availability of Databases

        설광석,차성수,강상현 高麗大學校 社會學硏究會 1996 사회와문화 Vol.10 No.1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그러한 기술의 보급, 이용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화는 국가간, 지역간, 조직간, 개인간의 차이를 수반하고 이다. 그 결과 국가적 수준에서 정보화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각 단위 내에서 '정보수혜의 차별성'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별성은 정보화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한국사회에서 지역간의 정보수혜의 차별성은 심각하며, 이를 반영하듯 지방자치시대의 개막과 함께 지역정보화가 급격히 추진되고 있다. 이 논문은 지역정보화가 매우 중요한 정책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하드웨어 중심주의·공급자중심주의·중앙중심주의의 논리에 사로잡혀 왔으며, 그 결과 지역정보화 정책이 지역주민의 정보복지 별로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지역정보화정책에 대한 문헌연구, 부산지역 통신서비스의 DB분석, 지역정보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라는 세 가지 방식을 병행하였다. 이 논문은 지역정보화의 방향성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결론짓고 있는데 특히 정보에 대한 권리는 생존권적 권리로 승인할 것과 '정보복지'의 틀 속에서 지역 정보화가 기술적 하부구조의 구축을 넘어설 것을 요구하고 있다.

      • 조혈모세포이식 후 골성장인자의 변화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n Bone Mineral Metabolism

        백기현,오은숙,오기원,이원영,김혜수,권순용,한제호,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5

        연구배경: 각종 장기이식의 시행이 많아지고 이식 후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식 후 합병증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조혈모세포이식 후에도 다양한 내분비적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골격에 대한 합병증도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하는 골소실에는 이식 후 초기의 골형성 저하와 골흡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리라고 추측되는데 이러한 골재형성불일치(biochemical uncoupling)에 골 성장인자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 전, 후로 말초 혈액에서 IGF-I, FGF-2, M-CSF같은 성장인자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들 성장인자의 변화가 조혈모세포이식 후의 골형과 골흡수에 미치는 영향 및 이식 후 발생되는 골량 소실과의 연관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여러 가지 혈액질환으로 인해 동종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전향적으로 관찰하였으며 이식 전 및 이식 후 1주, 2주, 3주, 4주 및 3개월, 6개월 1년에 말초 혈액에서 골교체표지자를 측정하였다. 이식 전 및 이식1년 후에 요추골 및 대퇴골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었던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냉동 보관되어 있던 혈청을 이용하여 IGF-I, FGF-2 및 M-CSF를 시기별로 측정하였으며 이들 성장인자와 골교체표지자의 변화 및 골밀도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골흡수 표지자인 혈청 ICTP는 이식 전에 비해 이식 후 4주까지 점차 의의 있게 증가하다가 이후 6개월까지 더욱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골형성 표지자인 osteocalcin은 이식 후 3주까지는 점차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여 이식 후 3개월 및 6개월에 기저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혈청 IGF-I과 FGF-2는 각각 이식 후 3주 및 1주까지 의미있게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였으며 혈청 M-CSF는 이식 후 1주째에 기저치에 비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가 이후 기저치로 회복되었다. 이식 1년 후 평균 요추부 골밀도는 5.2% 감소하였고 평균 근위대퇴골 골밀도는 11.6% 감소하였다. 이식 전 및 이식 후 3주에 측정한 IGF-I과 같은 시기에 측정한 오스테오칼신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며 이식 후 3주째의 M-CSF와 골흡수표지자인 M-CSF 사이에서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식 후 3주 및 3개월에 IGF-I이 낮은 환자일수록 이식 1년 후 근위대퇴골에서의 골소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하는 골소실에는 기존에 알려진 기저질환의 영향, 성호르몬의 감소, 면역억제의 투여, 골수기질세포와 조골세포의 손상 및 이식초기 사이토카인의 변화이외에도 골성장인자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이식 후 발생되는 골량소실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Background: A loss of bone mass is usually detected after a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especially during the early post-transplant period. We recently reported that enhanced bone resorption following a BMT was related to both the steroid dose and the increase in IL-6. We also suggested damage to the marrow stromal microenvironment, by myoablation, partly explains the impaired bone formation following a BMT. It is well known that some growth factor play important role in bone growth and osteogenesis. However, the pathogenetic role of bone growth factors in post-BMT bone loss is unknown and data on the changes in the growth factors, in accordance with bone turnover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changes are scarce. We investigated changes in bone growth factors such as 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I), fibroblast growth factor-2 (FGF-2) and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 during the post-BMT period, and assessed whether the growth factor changes influenced the bone turnover and post-BMT bone loss.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prospective study to describe the changes in bone growth factors following a BMT. Methods: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110 patients undergoing a BMT, and analyzed 36 patients (32.4±1.3 years, 17 men and 19 women) whose BMDs were measured before, and 1 year after, the BMT. The serum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were measured before, 1, 2, 3 and 4 weeks, 3 and 6 months, and 1 year, after the BMT. The serum, FGF-2, IGF-I and M-CSF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1 and 3 weeks, and 3 months after the BM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growth factors and various bone parameters was analyzed. Results: The mean bone losses in the lumbar spine and total proximal femur,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change from the baseline to the level at 1 year, were 5.2(p<0.05) and 11.6%(p<0.01), respectively. the serum type I carboxyterminal telopeptide(ICTP), a bone resorption marker, increased progressively until 6 months after the BMT, but thereafter decreased, to the base value after 1 year. Serum osteocalcin, a bone formation marker, decreased progressively, until 3 weeks after the BMT but then increased transiently, and finally returned to the base level at 1 year. The serum IGF-I and FGF-2 also decreased progressively until 3 weeks 1 week after the BMT, respectively, then increased to the base values at 3 months. The serum M-CSF increased briskly at 1 week post-BMT, then decreased to the base level.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centage changes from the baseline proximal femur BMD and the IGF-I levels 3 weeks and 3 months (r=0.52, p<0.01, r=0.41, p<0.05) post BM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IGF-I and osteocalcin levels pre-BMT, and 3 weeks after the BMT. Another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CSF and the ICTP levels at 3 weeks post BMT (r=0.54,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serum IGF-I, FGF-2 and M-CSF levels in the immediate post-BMT period, which were related to a decrease in bone formation and loss in the proximal femoral BMD during the year following the BMT (J Kor Soc Endocrinol 17:664∼674, 2002).

      • KCI등재후보

        산업장 소음에 노출된 근로자들의 활동 중 혈압과 심박동수

        김영기,차태준,변주현,고광욱,이용환 大韓産業醫學會 2000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2 No.1

        목적 : 산업장 근무 근로자들에 있어서 소음 노출이 혈압과 심박동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부산시 소재 한 주물공장 근무 근로자로서 소음 작업장에 근무하는 102명에 대하여 1998년 3-6월, 1999년 3-6월에 걸쳐 안정시 혈압과 청력손실정도, 일반적 특성이 조사되었다. 소음노출 정도는 noise dosimeter를 사용하여 오전 8시-오후 4시까지 8시간동안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활동 중 혈압과 심박동수는 ambulatory blood pressure로 오전 8 시-오후 10시까지 30분 단위로 측정하였다. 결과 : 연령과 흡연, 신체비만지수의 영향을 고려하였을 때 저연령층에서 85dBA이상의 고소음에 노출된 군에서 소음과 수축기 혈압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이완기 혈압과 심박등수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연령의 구분없이 상관관계를 구하였을 때에는 수축기 혈압에서만 소음수준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오전 8시-오후 10시까지 측정한 활동 중 혈압과 심박동수의 일일 변화는 40세미만의 저연령층에서는 심박동수에서만 근무후의 오후시간부터 감소하는 양상이 있었고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서는 뚜렷한 변화를 발견할 수 없었다. 40세이상군에서는 수축기혈압과 이완기 혈압, 심박동수 모두 근무 중에는 비교적 높은 값을 유지하다가 오후부터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각 연령군별 소음노출수준에 따른 활동 중 혈압과 심박동수의 비교에서는 40세미만의 연령층에서만 85dBA이상의 고소음군에서 심박동수가 유의하게 더 높은 결과를 얻었다. 결론 : 저연령층인 40세피만에서 85dBA이상의 고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수축기 혈압이 증가되어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l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dustrial noise o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Methods Resting blood pressure, hearing los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102 subjects who were engaged In a factory in Pusan were measured from March to June for two years, in 1998 and 1999. With noise dosimeter, noise exposure level was measured from 8 A.M. to 4 P.M. Ambulatory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also measured every 30 minutes from 8 A. M. to 10 p. M. Results : Controlling for age, smoking, and Quetelet's index, in subjects of under 40 years old exposed to higher than 85dBA, noise exposure and systolic blood pressure had a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nd the same result was obtained in all subjects. The daily variability of ambulatory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observed in older than 40 years old group, but only heal·t rate in under 40 years old. Conclusions : The blood pressure and heart 1·ate would be elevated when the workers exposed to noise. And in under 40 years old, the systolic blood pressure was elevated to the workers exposed to higher than 85dBA.

      • 다채널 광정렬 장치에서의 다자유도 회전 스테이지 동작 특성에 관한 연구

        정상화,차경래,김현욱,최석봉,김광호,박준호 한국공작기계학회 2005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

        In recent years, as the demands of VBNS(Very high speed Backbone Network Service) and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increase, the development of kernel parts of optical communication such as PLC(Planar Light Circuit), Coupler, WDM elements increase. The alignment and the attachment technology are very important to fabricate the optical elements for communication. In this paper, the mechanism of rotational stage are studied. with the three different method and the results of them are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system. The performance test of resolution and travel is performed.

      • 12주 근력강화훈련 동안 표면근전도 신호의 특성

        신화경,조상현,차광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003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Vol.10 No.1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설계 3. 근력강화훈련 4. 최대 근력의 평가 5. 표면근전도 신호 수집 가. 장비 설정 나. 표면근전도 신호 수집 6. 신호 처리 가.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 나. 적분EMG 7. 통계분석 가. 정규화 나. 통계분석 Ⅲ. 결과 1. 근육 둘레의 변화 2. 적분EMG와 근수축력의 변화 가. 등척성 운동 나. 등장성 운동 다. 12주 동안 근력과 적분EMG의 변화 3. 초기중앙주파수의 변화 4. 피로지수의 변화 5. 회귀직선 기울기의 변화 Ⅳ. 고찰 Ⅴ. 결론 This study tested whether repeated measurement of median frequency (MDF)-related variables could express the muscle power changes during a 12-week DeLome strengthening program, by using consecutive overlapping FFT (Fast Fourier transformation) and integrated EMG (IEMG) from surface EMG data for isometric and isotonic exercise. To evaluate the effect of training, the following were recorded every 3 weeks for the elbow flexors and knee extensors of 5 healthy male volunteers: MVC, 1RM, limb circumference, and surface EMG during isometric MVC or isotonic contraction at 10RM load. From the EMG data, IEMG and variables from a regression analysis between MDF and time were obtained. MVC, 1RM, IEMG, and initial MDF increased linearly over the training period. The fatigue index and slope of the regression line increased temporarily until the 6th week and decreased thereafter. From these results, there appeared to be enhanced neural recruitment of fast twitch fibers in the first 6 weeks and continued enhancement in the recruitment and hypertrophy of fast twitch fibers, which led to increased fatigue resistance, over the last 6 weeks. Accordingly, the MDF and IEMG analysis technique could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detected significant changes in both isometric and isotonic contractions. EMG analysis methods can be used to estimate the electrophysiological and histological changes in skeletal muscles during a strengthening program.

      • 방사선을 조사한 생쥐 장기에서의 Superoxide Dismutase 분포에 대한 연구

        김양균,전현우,차종희,고광삼,이근배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1986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11 No.1

        The cytosolic and mitochondrial supreoxide dismutases (EC 1.15.1.1) were investigated in various organs, thyroid gland, lung, heart, liver, spleen and kidney, of normal and irradiated mice. The mouse organs were fractionated into cytosolic and mitochondrial fractions by differential centrifugation, and the supsroxidp dismutase was measured by the method of McCord and Fridovich. The mouse organs contain two types of superoxide dismutase ; one is localized in the cytosol and contains cupper and zinc, the other in the mitochondria and contains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c activity was found in all organs of mouse investigated, and maximal activity of enzyme was observed in liver. most of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79-86%, was present in the cytosolic fraction, and the rest was associated with mitochondria. The activity of cytosolic superoxide dismutase was most prominent in the liver among those tissues assayed. However, that of mitochoadrial enzyme was highest in the heart. Thc specific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in mitochondria was found about 2-5 folds greater than that of the enzyme in cytosol and cyanide inhibit the activity of cytosolic enzyme but not mitochondrial enzyme, In irradiatcd mice, the enzyme activity and the specific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in cytosol and mitochondna of various organs were decreased with minimal value on 7th and l4th day after exposured by whole body-irrad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