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소집단 활동 진흥 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구일섭,김태성,이강인 남서울대학교 2005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policy making for the effective promotion of Quality Small-Group activity. Since 1975, variety of organizations in Korea have widely the implemented Quality Small-Group activities for their management systems. Today, Companies are facing the harsh realities of a competitive environment. This is no time for revolutionary change. Instead, Companies are instituting revolutionary change meant to have impact within a very short time frame. Bold steps are required to lead the industry into a future of improved efficiency and significant productivity gains. The Worker's Quality Small-Group activity is, essentially, a trouble shooting oriented voluntary small group within their working place to improve the surroundings creatively. The industries have enthusiastically used Quality Small-Group activities and were influenced from them. The Quality Small-Group activities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Knowledge Management where new knowledge is created and knowledge is shared in the economy. However, the academics were less interested in this subject, as a result, there were no systematic guidances for Quality Circle activities. Also, the government was less interested in these activities, as a result, there were no systematic policy making for Quality Small-Group activities. Thus, in this research, the effective policy making for Quality Small-Group activities were suggested which were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Questionnaires. As a results of this research, to maximize the effect of TQM in the nationwide, Quality Small-Group activity as a bottom-up management should be more expanded and revitalized.

      • KCI등재

        사회공포증의 아형 분류와 가해형 사회공포증의 임상적 의의

        오강섭,임세원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8 신경정신의학 Vol.47 No.3

        The prevalence rate of Social Phobia (Social anxiety disorder) varies among cultures and patient populations. Possible reasons for this differences are that the expression of social anxiety may differ according to cultur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offensive type of social phobia (which is similar with taijin kyofusho ; a kind of culture-bound syndrome in DSM-Ⅳ) exist in east-asian countries, especially Korea and Japan, and it shares many common aspect with the western concept of social phobia. It is important to consider cultural influences of social phobia and understand various clinical presentations of this disorder. In this paper, the authors reviewed current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diverse social phobia subtype and relationship among subtypes and also suggested the offensive type as a subtype of social phobia.

      • KCI등재

        인도메타신이 개의 유치 치근 흡수에 미치는 영향

        신강섭,강윤구,이기수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2

        이 연구는 흡수중인 유치를 대상으로 인도메타신이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치근흡수에 관련된 주위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시행되었다. 인도메타신은파골세표의 수를 감소시키고 골흡수를 감소시키며, 골형성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형태와 기능이 유사하다는 파치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희소하다. 생후 12-13주된 잡견 6마리를 통상적으로 복용량인 인도메타신 2㎎/㎏/day를 14일간 투여한 군과 과량의 8㎎/㎏/day를 14일간 투여한 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였으며 흡수중인 하악 절치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치아는 5㎛ 두께의 절편을 만들고, H & E 중염색. Masson의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고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하였으며,파치세포의 수와 핵의 수를 비교하였다. 관찰 결과 유치 치근 흡수 조직은 골개조 소견과 함께 염증 소견과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흡수중인 유치의 치수는 치근흡수부위에 가까운 조상아세포층은 변성의 소견을 보이나 멀리 떨어진 치수는 정상인 소견을 보였으며 인도메타신이 투여된 실험군에서는 파치세포의 수적 감소와 핵의 수적 감소를 미약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인도메타신이 흡수중인 치아의 치수에 미치는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인도메타신은 파치세포의 수적 감소를 미약하게 일으키며, 장기간의 인도메타신 투여는 유치 치근흡수의 지연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study was aimed to invesigate the effects of indomethacin on physiologic root resorption and to examine the dental pulp and tissue changes around the resotbing teeth. 13-14 week old six mongrel dogs were divided into 3 groups: two experimental groups administered indomethacin 2㎎/㎏/day and 8㎎/㎏/day orally two times a day for 14 days respectively, and control group administered a placebo. The deciduous incisors showing root resorption were selected, fixed for 24hrs in 10% formalin solution, demineralized in 10%EDTA solution, invested in paraffin and sectioned in 5㎛ thick sections. The preparations were staine with H & E staining and Masson's trichrome staining and examined unger the light microscope. Observation revealed that deciduous root resorbing tissue resembles inflammatory tissue and accmpanies bone remodelling. The dental pulp was normal except the area near root resorption, well organized columnar odontoblasts layer under the predentin, and the odontoblasts near root resorption were cuboidal or flat cells in the disrupted layer under the predentin. Indomethacin administered group showed a partial decrease in the number of odontoclasts and nucleus. But there was no sign of pulp change by indomethac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omethacin inhibits recruitment of odontoclasts partially and that of osteoclasts more, and so when it is administered for long periods, deciduous root resorption can be delayed and eruption of the successor can be delayed for a short period.

      • KCI등재

        대인불안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상관관계

        오강섭,허묘연,이시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1

        연구목적 : 한국 일반인들에 대한 사회공포 증상의 정도와 양상, 기능의 손상정도 등을 알아보고, 대인불안과 성격특성, 부모의 양육태도, 대인관계에서의 특징들간의 상관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및 성인 1087명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안과 회피 정도, 증상과 상황, 대처방법, 가해의식, 일상생활에의 영향을 조사하였고, 내-외향성 검사, 부모양육태도 검사와 대인관계태도 검사를 이용하여 대인 불안과 관련된 성격과 사회적인 요인을 평가하였다. 결 과 : 대인불안 증상은 정시곤란, 실수공포, 표정공포, 횡시공포, 타인시선공포가 전 연령에 걸쳐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기는 전반적으로 대인상황에 대한 불안 수준이 올라가 있고,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경우 남자가 여자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정도의 대인불안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의식은 성인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 대인불안의 상황은 모든 연령에서 연단이나 면접상황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이 호소하였으며, 대처방식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럴 수 있다’ 건강한 대처방식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향성에 대한 자신의 평가와 타인의 평가를 비교해보면, 모든 연령집단에서 타인이 평가하는 것보다는 자신이 스스로를 더 내성적인 것으로 생각하였다. 양육태도의 경우에는 아버지나 어머니 모두, 거부나 높은 기대, 불안, 통제적인 태도는 대인불안이 높은 것과 관련되어 있는 반면에 감정적인 지지를 나타내는 태도는 낮은 대인불안과 관련되어 있었다. 대인관계태도에서 자기 바하나, 은근성, 타인의 의견을 지나치게 염려하는 태도, 체면 등은 대인불안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사교성이나 응석은 대인불안과 부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대인불안의 정도, 내향성, 대인불안 및 회피 정도와 일상생활에서의 지장 정도간에 서로 깊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대인불안의 정도와 내향성이 높을수록 일상생활에의 지장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모의 양육태도에서는 거부, 높은 기대, 불안, 통제적 태도 등이, 대인관계태도에서는 자기비하, 은근성, 타인의견 염려, 체면 등이 대인불안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 We examined the degree of social anxiety and physical symptoms, situations, maneuvers in phobic situations, the degree of offending others, disability in normal Korean sample. And We also studied the correlations of social anxiety and socio-cultural factor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interpersonal attitudes). Methods : The subjects were total of 1087 includi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 population living in Seoul. We administered the following scales : SAD(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ocial Anxiety Symptom and Situation, Maneuvers in Phobic situations, Offending others, SDS(Sheehan's Disability Scale), EPQ(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Child Rearing Scale and Interpersonal Attitude Scale. Results : Among social phobic symptoms, fear of eye to eye contact, fear of mistake, fear of facial expression, fear of side glancing and fear of other's gazing were prevalent in decreasing order. The level of general social anxiety were high in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male subjects reported more social anxiety. the degree of offending others decreased with age. The most difficult social anxiety situations were public speaking and interviewing. The frequently used maneuver in phobic situations was reasoning. All subjects perceived themselves more introverted than others did. On the Child rearing attitude, rejection, high expectation, anxious, control subscales of both parent were correlated with high level of social anxiety, and the emotional care was correlated with low level of social anxiety. On the interpersonal attitudes, self-devaluation, indirectedness, overconcern of other's opinion, face saving subsca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and the socialization and eungseok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Conclusion : The social anxiety and the introversion were associated with the disability of daily activity. Some subscales of child rearing attitudes and interpersonal attitudes were also associated with the social anxiety.

      • KCI등재

        사회공포증 환자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오강섭,안영균,이시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6

        연구목적 : 사회공포증 환자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징, 사회공포증상, 주관적 감정상태를 고려하여 어떤 요인이 자살사고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DSM-IV에 의하여 사회공포증으로 진단된 34명을 대상으로 사회공포증상, 우울감, 절망감, 기능장애를 평가하였으며 자살사고 측정을 위해 Suicide Ideation Scale(SIS)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인구학적 특성과 사회공포증의 유형별 특성은 T검정 또는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자가평가 척도들의 점수는 SIS점수와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1) 결혼 경험이 없는 경우, 나이가 어린 경우, 자살시도의 과거력이 있었던 경우 자살 사고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2) 각 척도 점수들과 SIS 점수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우울감, 절망감의 정도가 커질수록 자살사고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회공포증의 증상정도를 평가하는 척도점수와 SIS점수와의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발견할수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결과 사회공포증 환자의 자살사고에는 사회공포증상 자체보다 우울감, 절망감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icide ideation considering sociodemographic factor and degree of symptoms, subjective emotional state of the social phobia patients. Methods : Study subjects consisted of 34 social phobia patients diagnosed with the criteria of DSM-IV. The authors evaluated the degree of symptomes, depression, hopelessness, disability. For the evaluation of suicide ideation, Beck Suicide Ideation Scale(SIS) was applied to the patients. Sociodemographic data and Clinical characterictics was analyzed by t test of Oneway ANOVA. We employed the correlation test for the evaluation of reationship between suicide ideation and self reported scale score. Results : 1) Suicide ideation was higher in the young aged, unmarried patients, and past suicide attemptors. 2)In the correlation test, Suicide ideat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hopelessness. 3)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uicide ideation and degree of symptomes.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conclud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suicide ideation in social phobia is not the degree of symptomes itself but the depression and hopelessness.

      • SCOPUSSCIEKCI등재

        법랑질의 표면처리가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신강섭,이기수 대한치과교정학회 199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5 No.2

        이 연구는 법랑질의 표면처리가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전단결합강도와 치과교정용 레진접착제의 그것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발거된 사람소구치의 법랑질표면을 10% 폴리아크릴산용액, 38% 인산용액과 퍼미스로 처리한 후,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일종, 화학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일종 및 화학중합형 치과교정용 레진 접착제의 일종으로 법랑질표면에 금속브라켓을 접착하고, 37℃의 증류수속에 24시간 침지시킨후, 브라켓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파정패턴을 관찰하였으며, 표면처리된 법랑질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와 결론을 얻었다. 1. 표면처리방법에 관계없이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전단결합강도는 화학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그것보다 높았다. 2. 38% 인산용액과 10% 폴리아크릴산용액은 퍼미스보다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전단결합강도를 높였다. 3.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10% 폴리아크릴산용액은 법랑질표면을 미약하게 부식시키고 청결하게 하였으며, 38% 인산용액은 법랑질을 심하게 부식시켰고, 퍼미스를 이용한 세마는 법랑질표면에 불규칙한 흠집을 만들고 청결하지 못한 표면을 만들었다. 4. 10% 폴리아크릴산용액으로 표면조건화된 법랑질에 대한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 전단 결합강도는 38% 인산용액으로 부식된 법랑질에 대한 치과교정용 레진접착제의 그것과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10% 폴리아크릴산용액으로 표면조건화시킨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에 의한 브라켓 접착은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온 치과교정용 레진접착제에 의한 브라켓 접착을 대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rface conditioning with 10% polyacrylic acid, etching with 38% phosphoric acid, and polishing with a slurry of pumice on shear bond strengths of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chemically cured glass ionomer cement, and a composite resin to enamel, and to observe the failure patterns of bracket bondings. Shear bond strengths of glass ionomer cemen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a composite resin. Metal brackets were bonded on the extracted human bicuspids after enamel surface treatments, and samples were immersed in the 37℃ distilled water bath, and shear bond strengths of glass ionomer cements and a composite resin were measured on the Instron machine after 24hrs passed, and the deboned samples were measured in respect of adhesive remnant index.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were taken of enamel surfaces after various treatments. The data were evaluated and tested b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those results were as follows. 1. Shear bond strength of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showe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chemically cured glass ionomer cement. 2. Shear bond strengths of light-cured and chemically cured glass ionomer cements to enamel treated with 10% polyacrylic acid and 38% phosphoric acid showe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with a slurry of pumice. 3. According to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enamel surface conditioned with 10% polyacrylic acid is slightly etched and cleaned, that etched with 38% phosphoric acid is severely etched, and that polished with a slurry of pumice is irregulary scretched and not completely cleaned. 4. After debonding,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to enamel treated with 10% polyacrylic acid showed less residual materials on the enamel surface than composite resin to enamel etched with 38% phosphoric acid.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ear bond strength of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to enamel treated with 10% polyacrylic acid and that of composite resin to enamel etched with 38% phosphoric acid.

      • KCI등재
      • 남성 동성애자와 남성 이성애자의 삶의 질과 정신 건강 비교

        공성욱,오강섭,노경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동성애자와 이성애자의 삶의 질과 정신 건강-우울, 자살 등-에 대해서 비교하였으며, 동성애자의 삶의 질이 여러 정신 건강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방법: 20∼30대의 남성 동성애자 129명과 남성 이성애자 114명을 대상으로 횡단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동성애자와 이성애자 모두 삶의 질(소외감), 우울감, 자살 생각, 무망감, 자아 존중감, 대처 방식, 사회적 지지와 갈등, 가족의 적응력과 결손력에 대해서 자기 보고식 척도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동서애자군과 이성애자군 간에 연령, 학력, 월수입, 음주, 흡연, 종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동성애자군이 이성애자군에 비해서 과거 여성스러움으로 놀림의 경험, 과거 정신과 병력, AIDS 검사면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자아 존중감, 무망감, 대처방식, 가족의 적응력, 사회적 지지와 갈등에서는 두 군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동성애자군이 이성애자군에 비해서 삶의 질과 가족 결속력이 저하되어 있었으며, 우울감과 자살 사고가 높게 나타났다. 삶의 질의 하위 변인인 가정으로부터의 소외, 사회로부터의 소외, 대인 관계로부터의 소외가 동성애자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높은 우울감과 낮은 가족의 결손력이 동성애자의 삶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왔다. 결론: 동성애가 DSM 진단 기준에서 제외 되었지만, 많은 정신 건강 문제들이 이성애자군에 비해서 동성애자군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동성애자로서 가지게 되는 여러 가지 우울, 가족 관계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도움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e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quality of life and mental health-depression, suicide etc-in homosexual men with those in heterosexual men and to identify how the quality of life is related with mental health. Methods: 129 homosexual men and 114 heterosexual men in twenties and thirties were enrolled by crosssectional method. Quality of life, depression, suicidal idea, hopelessness, self esteem, coping strategy, social support, social conflict, familiar adaptability and familiar cohesion were measured by self-report scale to compare the homosexual and the heterosexual group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age, educational level, income, alcohol intake, smoking and relig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omosexual group and heterosexual group. Teased experience about feminity, post psychiatric history. HIV test experience in homosexu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heterosexual group. The self-esteem, hopelessness, coping strategy, familiar adaptability and social support-conflic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Homosexual group had poorer quality of life, lower familiar cohesion, higher depression and higher suicidal idea than heterosexual group. Being alienated from home, social syst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are subscales of the quality of life, scored lower by homosexual group as compared with heterosexual group. Therefore, high depression and low familiar cohes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homosexual group. Conclusion: Although homosexuality is excluded from DSM, the prevalences of many mental health problems are higher in homosexual group than heterosexual group. It is suggested that the more studies on depression and familiar function related to homosexuality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