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actors Influencing the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of Generation Z: Focusing on Communication Competence

        ( Jungeun Yang ) 한국PR학회 2022 AJPR Vol.5 No.1

        Generation Z is the youngest generation of society who feature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Just like in other industries,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Generation Z in the public relations industry is argued to exert a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older generations within the organization. To address the argument, this study aims to test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GenZers'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age stereotype and social norm, the main predictors revealed in previous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literature, this study employed communication competence as a communication variabl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found to be the second strongest predictor, next to benevolence (stereotype on personality). Practical implications for public relations employers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The Influence of Indigenous Cultural Factors on Conflict Resolution

        Jungeun Yang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4

        이 연구는 토착심리학(indigenous)적인 관점에서 한국인들의 고유한 문화 변수(체면과 우리)가 갈등 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감정 변수(분노와 연민) 가 문화와 갈등전략의 관계를 어떻게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갈등상황에서 체면은 갈등 전략에 우리보다 더 강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체면이 갈등해소 전략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또한 체면과 우리가 갈등해소 방식에 미치는 효과는 갈등 유형 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면은 상대적으로 감정관여도가 높은 갈등 상황에서 영향력을 보였다. 감정변수인 분노의 매개효과 또한 갈등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상대적으로 감정관여도가 높은 갈등 상황에서는 연민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던 반면, 상대적으로 감정관여도가 낮은 갈등 상황 에서는 분노의 매개효과만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한국인의 문화변수가 가지는 맥락 적 특성에 대한 기존의 이론적 논의를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unique cultural aspects of Koreans influence the way they communicate in conflict situations. First, “Chemyon” had a stronger impact on conflict resolution than “Uri” in conflict situations, support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Chemyon” and conflict communication. Second, the impact of indigenous cultural variables on conflict resolution varied depending on the types of conflict situations. The predictive power of “Chemyon” was stronger in more emotionally-involved situation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also differed by the types of conflict. In more emotionally-involved situations, compassion appear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conflict while anger was found to be the mediator in less emotionally-involved situations. The results empirically supported the contextual nature of Koreans'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acts on communication.

      • KCI등재

        Has the Collectivism of Koreans been changed? An exploratory study

        Jungeun Yang(양정은),Jae-Won Lie(이재원)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집단주의가 어떤 면에서 변화하였는지, 혹은 변화하지 않았는지에 대해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기성세대와 신세대들과의 심층인터뷰 및 FGI를 통하여 오늘날 한국인의 집단주의를 표현하는 키워드를 발견하였다. 첫째, 오늘날 한국인들의 집단주의는 ‘선택적 집단주의’로써, 이전처럼 주어진 집단이 아닌 스스로 선택한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보다 축소된 형태의 집단을 기반으로 한다. 둘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오프라인 집단주의와 대조되는 온라인 집단주의가 출현하였는데, 온라인 집단주의는 온라인 기술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에 기초하며, 익명성을 통한 평등주의,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연결성 등을 중요한 특징으로 한다. 셋째, 한국인의 집단주의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정’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집단주의의 변화하지 않은 측면으로 인식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인들에게 집단은 자아정체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한국인들은 예나 지금이나 집단에 대한 소속감 및 구성원들과의 관계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연구의 의미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collectivism of Koreans has changed or has not chang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GI with the older and new generations, keywords that express Korean collectivism today were discovered. First, the collectivism of Koreans is defined as selective collectivism, which is based on a more compact group consisting of self-selected members rather than a given group as before. Secon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online collectivism, in contrast to offline collectivism, emerged. Online collectivism is based on communication using online technology, and is characterized by horizontal relationship based on anonymity and 24-hour connectivity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Third,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composes Korean collectivism was found to be Cheong, which was recognized as an unchanged aspect of collectivism. Lastly, for Koreans, the group is closely related to self-identity, and for this reason, Koreans are obsessed with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group membership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member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Cultural Peculiarities and Risk Perception among Korean People -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Risk Types -

        Jungeun Yang,Soo Jin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6 Crisisonomy Vol.12 No.6

        본 연구는 문화와 위험인식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여 감정변수와 맥락변수가 위험인식에 미 치는 문화의 영향력을 어떻게 매개하고 조절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위험 상황에서 한국인들이 가진 체면이나 우리와 같은 문화적 특성은 공포, 분노, 연민과 같은 감정을 유발하고 이러한 감정들 중 공포의 감정은 위험인식으로 이어졌다. 또한 위험 유형에 따라 감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문화 변수에 차이가 나타났다. 정부 책임성이 높은 위험 상황에서는 체면이, 정부책임성이 낮은 위험 상황에서는 우리가 감정유발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의 학문적, 실용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study extends the current studies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culture and risk perception by defining emotion as a mediating variable and risk types as a moderating variable. Our findings show that Koreans have emotional reactions when they face risky situations. We find that cultural peculiarities such as “Chemyon”, which means concerning their reputations, or “Uri ”, which means collectivism,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emotional reactions such as anger, sympathy, and fear under the risky situations. Among the emotions, fear is related to risk perception. The risk type moderates the level of influence of culture on emotion and risk perception. While if risky situations are understood as government-responsible, Chemyon plays a stronger role in initiating emotional reaction, if the risky situations understood as relatively less government- responsible, Uri plays a stronger role in emotional reactions.

      • Factors Influencing the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of Generation Z: Focusing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ungeun Yang Korean Academic Society For Public Relations 2022 Asia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Vol.5 No.1

        Generation Z is the youngest generation of society who feature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Just like in other industries,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Generation Z in the public relations industry is argued to exert a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older generations within the organization. To address the argument, this study aims to test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GenZers'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age stereotype and social norm, the main predictors revealed in previous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literature, this study employed communication competence as a communication variabl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found to be the second strongest predictor, next to benevolence (stereotype on personality). Practical implications for public relations employers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 과학 교사의 PCK 요소 간 상호작용

        Jungeun Yang,최애란 대한화학회 2022 대한화학회지 Vol.6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eractions among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targeting science practice-based instruction.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pre and post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ith each of five science teachers, audio-recording of teacher discussion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lesson plans, teacher written reflection, and video-recording of teaching practice. Qualitative data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two types of interactions, i.e., one-way interaction and two-ways interaction among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ers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re were also consecutive interactions as well as one-shot interaction. For two-ways interaction there were synchronous two-ways interaction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meeting as well as consecutive two-ways interaction along with several meeting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collaborative learning context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should stimulate various types interactions among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본 연구는 과학 실천 수업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PCK 요소 간 상호작용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과 면담, 교사학습공동체 논의 녹음, 수업계획안, 수업 영상, 수업 일기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 교사들의 과학 실천 수업 PCK 요소 간 상호작용은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단방향 상호작용과 서로 영향을 주기도 하고 받기도 하는 양방향 상호작용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타 났다. 상호작용이 일회성으로 그치거나 연쇄적으로 일어나기도 했으며, 양방향 상호작용의 경우에는 교사학습공동체 한 모임에서 동시적으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거나, 교사학습공동체 여러 모임을 거쳐 연속적으로 양방향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의 협력적 학습 맥락이 다양한 PCK 요소 및 하위요소 간 여러 가지 상호작용을 복합적으로 촉진하는 환 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과학 탐구 수업을 위한 중학교 과학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변화와 특징

        양정은(Jungeun Yang),최애란(Aera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수업을 지향하는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일 년간 교사학습공동체에서 수행한 활동의 변화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방법 중학교 과학교사 5명의 교사학습공동체 모임의 논의 전사 자료를 분석하여 반복되는 활동 패턴 및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4단계로 나누어 특징을 서술하였다. 결과 교사학습공동체 도입기에 교사들은 각자 개발해온 과학 탐구 수업계획안을 협력적으로 검토하고 수업 실행 후 회고적 진술에 기반하여 성찰하는 활동을 반복하였다. 성장기Ⅰ에는 도입기에 수행했던 활동뿐 아니라 교육과정 분석과 수업 영상 공유 활동이 추가되었다. 성장기Ⅱ에는 치밀하고 정교한 수업 설계를 위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교사-학생 상호작용 시나리오를 포함한 수업계획안을 작성하였다. 성숙기에는 교육과정 분석, 수업계획안 검토 및 보완, 상호작용 시나리오 작성 및 검토, 수업 영상 공유, 수업 실행 성찰의 활동들이 더욱 유기적으로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다. 결론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은 도입기, 성장기Ⅰ, 성장기Ⅱ, 성숙기로 진행되면서 과학 탐구 수업계획안 개발 및 반성적 성찰의 내용과 범위의 수준이 심화되고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teacher activities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argeting science inquiry instruction. Methods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26 audio-recordings of teacher discussion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one year. We were able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activities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by categorizing into four periods such as Introduction, Growth I, Growth II, and Maturity. Results During the Introduction period, teachers collaborated to examine lesson plans that each teacher developed and to reflect on teaching practice based on retrospective description. During the Growth I period, teachers collaboratively analyzed science curriculum and discussed video-recordings of teaching practice in addition to the activities that they implemented during the Introduction period. During the Growth II period, teachers discussed to design detailed and elaborated lesson plans including teacher-student interaction scenario. During the Maturity period, all the activities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ere more efficiently implemented. Conclusions It appeared that teacher activities such as analyzing science curriulum, designing inquiry lesson plans, and reflecting teaching practices were gradually improved from Introduction to Maturity stage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KCI등재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이 비윤리적 협상전략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양정은 ( Jungeun Yang ),김영욱 ( Yungwook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한국 협상자들의 문화적 요인이 협상 시 비윤리적인 협상 전략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협상 상황의 경쟁 정도를 맥락변수로 설정하고, 문화적 요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문화변수 중 사회적 체면이 종속변수인 5가지의 비윤리적 협상전략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체면 수준이 높은 협상자들일 수록 비윤리적 협상 전략 사용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협상 상황의 경쟁성이라는 맥락변수가 고려된 상황에서는 조금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2 x 2 요인 분석 결과 사회체면의 효과는 협상 상황의 경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사회체면이 높은 협상자들의 경우 경쟁 수준이 높은 협상 상황에서 비윤리적협상 전략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낮아졌으며, 특히 제 3자와 관련된 비윤리적 협상 전략일수록 사용 의도가 낮아졌다. 이는 사회적 체면 수준이 높을수록 비윤리적인 행동의 결과로 벌어지게 될 체면 손상을 피하고자 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사회체면이 가진 극단적인 특성으로 인해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설명되었다. The study examined how cultural factors influence Korean negotiators’ intention to use unethical bargaining tactics during the negotiation. Also, the level of competitiveness during the negotiation situation was examined as the contextual variable to interact with cultural variable to influence on the willingness to use unethical bargaining tactics.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on five unethical bargaining tactics showed that among emic/etic cultural variables, social Chemyeon significantly influenced Korean negotiators’ willingness to use unethical bargaining tactics. Negotiators with higher level of social Chemyeon were more likely to use questionable negotiation tactics during the negotiation. Nonetheless, the results of 2 x 2 factorial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social Chemyeon was moderated by the level of competitiveness of the negotiation. Negotiators with strong sense of social Chemyeon were less likely to use unethical tactics involving third parties or making false promise in order to avoid serious loss of Chemyeon. The contradictory results were attributed to the extreme characteristic of social Chemyeon.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의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 :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양정은(Jungeun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9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인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문화변수인 효 규범, 그리고 한국적 고유문화변수인 유교주의(장유유서)와 체면의식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태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일반문화 변수 중 공경심은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긍정적인 영향을, 경외심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문화변수 중 장유유서는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긍정적 영향을, 체면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국적 특징을 보여주는 고유문화변수는 전체 모델의 설명력을 유의미하게 변화시켜, 한국인들의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을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변수임이 입증되었다. 한편 여학생들보다 남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Koreans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and the impacts of filial piety and indigenous cultural factors(confucianism and Chemyon) on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styles and intergener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ere tested.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politeness and confucianism had positive influence on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while deference and Chmyon had negative influence on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The indigenous cultural variables increased total R2 significantly, proving the crucial impact of confucianism and Chemyon on the Koreans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Finally, male students perceived higher level of communicative satisfaction than female students in the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context.

      • KCI등재

        고정관념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외집단불안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중심으로

        양정은(Jungeun Yang),김수진(Sooji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성세대와의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인 ‘고정관념’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외집단불안의 매개효과와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외집단 불안은 고정관념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경로는 성별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남학생 집단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은 집단의 경우에는 고정관념이 외집단 불안에 영향을 주었으나 외집단 불안이 직접적으로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여학생 집단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낮은 집단의 경우 외집단 불안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 결과와 달리 능력과 관련된 고정관념보다는 인품과 관련된 고정관념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bout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nd its affecting factors. Based on literatures on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the effect of stereotype on intergenerational satisfaction was testified and the mediating role of intergroup anxie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were also analysed.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stereotype was mediated by intergroup anxiety, and the path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ende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In the case of the male student group and the group with high communication ability, stereotypes affected intergroup anxiety, but intergroup anxiety did not directly affect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emale student group and the group with low communication skills, intergroup anxiety had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of stereotype had an important effect on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