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제이주, 젠더, (비)이동성의 동학: 네팔 사례를 중심으로

        신지원 ( Julia Jiwon Shi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21 담론 201 Vol.24 No.2

        이 연구는 네팔정부의 국제이주에 대한 젠더차별적 규제의 배경을 분석하고, 이주여성과 이주가정의 남아있는 여성들의 경험을 통해 국제이주, 젠더, 이동성이 어떻게 맞물려 서로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본다. 이 연구는 ‘이동성 레짐 접근’을 통해 네팔의 국제이주 맥락에서 발생하는 불평등한 권력의 작동방식과 이동과 부동성의 동학을 설명한다. 이 연구는 네팔의 중부산지 농촌마을과 카트만두 일대에서 수집한 현지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이주여성과 남아있는 여성의 경험을 동시에 살펴봄으로써 공간적 이동성에 관한 기존 이주연구의 단편적이고 이원적인 접근을 넘어서는 시도를 한다. 네팔의 젠더화된 국제이주는 공간적 이동성이 권력의 위계와 공간성에 의해 구성되는 사회ㆍ정치적 과정임을 확인해준다. 네팔여성에게 부과된 이동성의 엄격한 제약은 이동성에 대한 사회적 위계를 구성하며, 이동성 레짐에서 네팔여성의 위치를 더욱 취약하게 만든다. 그러나 국제이주는 이주여성과 남아있는 여성 모두의 사회ㆍ경제적 지위와 젠더관계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며 기존의 관습과 이데올로기에 도전한다. 네팔여성들은 국제이주를 통해 그들만의 궤적을 생성하고 끊임없는 경계넘기를 시도하며 새로운 사회관계와 이동을 매개하는 초국적 이주공간을 생성해가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international migration, gender, and mobility intertwine and influence each other. Through a ‘regimes-of-mobility approach’, the study explores the dynamics of mobility and immobility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migration as well as Nepalese society. It critically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onsequence of gender-discriminatory regulation of international migration imposed by the Nepalese government. By reflecting experiences of both migrant and left-behind women, the study also attempts to go beyond the fragmentary and dualistic approach to spatial mobility in migration studies. The gendered international migration of Nepal confirms that spatial mobility is a social and political process constituted by a hierarchy of power and spatiality. Strict restrictions on mobility imposed on Nepalese women lead to a social hierarchy of mobility and make Nepalese women’s position in the mobility regime even more vulnerable. Nevertheless, international migration has a complex effect on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gender relations for both migrant and left-behind women, challenging existing customs and ideologies. Nepalese women are creating their own trajectory through international migration, endlessly attempting to cross boundaries, and creating transnational spaces that mediate new social relations and mobilities.

      • KCI등재후보

        국제이주와 발전의 연계 담론에서 ‘디아스포라’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신지원(Shin, Julia Jiwo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5 디아스포라 연구 Vol.9 No.2

        전례 없는 수준의 활발한 국제인구이동이 발생하고 있는 시대적 현상과 맞물려 디아스포라의 개념은 초국가주의의 개념과 중첩되고 확장되어 오늘날 국제이주와 발전의 담론에서 중요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주와 발전에 있어 디아스포라의 잠재적 역할은 ‘이주와 발전에 관한 국제포럼(GFMD)’에서 매년 빠짐없이 논의되는 주제이다. 본국의 발전에 있어 디아스포라의 영향력은 주로 송금, 두뇌 유입 혹은 순환, 초국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설명된다. 이 글은 국제이주와 발전의 연계성 담론에서 부각되고 있는 디아스포라의 개념과 그 역할에 대해 탐색하고, 인도와 아프리카 지역 출신 디아스포라의 지식교류를 통한 두뇌순환 및 공동발전프로젝트(MIDA)와 멕시칸 디아스포라의 향우회(HTAs) 결성을 통한 초국적 네트워크 및 활동 사례를 통해 ‘디아스포라에 의한 발전’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체화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해본다. 이 글은 ‘디아스포라에 의한 발전’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국의 발전이라는 공동의 가치와 동기를 통해 디아스포라가 형성되어야 하고, 디아스포라의 활동 및 고국과의 유대를 지속가능하게 하는 송출국과 수용국 내 사회적, 구조적 환경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아울러 송출국과 수용국은 개인 혹은 공동체와 시장으로 ‘발전’의 실천적 책임을 전가하는 경제중심적 관점을 넘어서서 진정한 ‘공동발전’의 개념을 정립하여 디아스포라가 고국의 경제발전뿐 아니라 정치사회적 변화에 긍정적인 역할과 기여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함을 주장한다. With the unprecedentedly vigorous international movement of population in the present epoch, the term, diaspora, has received prominent attention in the discourse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development. The potential role of diasporas in development is one of the key issues discussed at the Global Forum on Migration and Development (GFMD) every year. The contribution of diasporas to the home country’s development is explained mainly by remittances, brain gain/circulation and transnational networks. This paper explores the contemporary concepts and roles of diasporas emerged in the migration-development nexus. It discusses the development by diasporas examining the cases of brain circulation, co-development projects (MIDA - Migration for Development in Africa) and the transnational networks of Mexican hometown associations (HTAs). The paper highlights that, in order to fulfill the development by diasporas, a diaspora should be formed based on shared values and interests on the home country’s development, and positive social and structural environments need to be established both countries of origin and destina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sustainable link between the diaspora and the home country. In addition, both origin and destination countries should seek for the tangible measures to promote ‘co-development’ that goes beyond the economic-centered perspective which passes the practical responsibility of ‘development’ merely on to individuals, communities or markets, and makes progressive way for diasporas to fully contribute to political and social development as well as economic development in home countries.

      • KCI등재

        다문화 도시의 다양성 관리와 ‘디아스포라 공간’

        신지원(Shin, Julia Jiwo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7 디아스포라 연구 Vol.11 No.1

        지난 50년 동안 이민자의 지속적인 유입을 경험한 영국은 프랑스나 독일과 같은 이웃 국가와는 차별된 고유의 이민자 통합정책을 발전시켜왔다. 영국의 이민자 통합정책은 ‘통합과 공동체 화합(integration and community cohesion)’이란 정책 패러다임 안에서 중앙과 지방정부의 역할분담과 협의체를 통한 정책결정과정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영국에서 다문화 도시의 모범사례로 잘 알려진 ‘레스터 모델’의 형성 배경을 좀 더 심도 있고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레스터는 도시의 인구 약 34만 명 중 절반이 넘는 인구가 비백인 이민자 출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레스터의 다문화 현황 및 관련 정책에 대한 현상적인 분석을 넘어 다문화 인구를 구성하는 디아스포라 형성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지역의 ‘다양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관리되어왔는지 살펴본다. 과거 이민자의 유입을 노골적으로 반대하고 인종차별적인 분위기가 만연했던 레스터 시가 효과적인 다양성 관리 제도와 정책을 발전시킬 수 있던 배경에는 인구학적(종족 및 종교구성의 다양화), 제도적(인종관계법 및 지방정부 책임성 강화), 경제적(에스닉 산업) 요인이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아브타 브라(Avtar Brah)의 ‘디아스포라 공간’ 개념을 차용하여 레스터의 다양성 관리 담론, 제도 및 실행에 있어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영역에서의 권력관계와 자리매김이 어떻게 작동해 왔고 경합해왔는지 살펴본다. Over the last 50 years, Britain has experienced a constant influx of migrants and developed its own unique migration integration policy that is different from its neighbours, such as France and Germany. The migrant integration policy in Britain is implemented within the policy paradigm of “integration and community cohesion”, which emphasises the policymaking process based on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aking a renowned British multicultural city, Leicester, as a case study,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Leicester model’. Over the half of the total population in Leicester are non-white immigrants and their descendants. The paper scrutinis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iaspora formation that constitutes the multicultural population of Leicester and the ways in which local ‘diversity’ have been managed. Leicester, which was blatantly opposed the influx of migrants in the past, was able to develop effective diversity management policy due to demographic (ethnic and religious diversities), institutional (local government’s commitment to racial relations and community cohesion), and economic (ethnic businesses) factors. By using the Avtar Brah’s concept of ‘diaspora space’, it also explores the ways in which power relations and social positioning in the discourse, institutions and practices of diversity management are constructed and contested in the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spheres.

      • KCI등재

        국제이주와 남아있는 가족: 네팔 중부 ‘카브레팔란초크 지구’ 사례를 중심으로

        신지원(Julia Jiwon Shin),김경학(Kyunghak Kim),박경환(Kyonghwan Park),이기연(Ki-Youn Lee),신난딩(Nanding Shi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다문화사회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네팔 중부 산지에 위치한 카브레팔란초크 지구의 농촌마을에서 수행한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송출국에 남아있는 가정의 경험을 살펴보고 국제노동이주의 양면성을 조명한다. 본 연구는 국제이주가 송출국에 남아있는 가족에게 미치는 긍정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조망하는 단편적인 분석을 넘어 네팔 사회구조에서 작용하는 이주문화, 카스트 및 젠더관계의 복합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이주가정의 경제적・사회적 차원의 변화와 경험을 살펴본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네팔 농촌지역에서 토지와 경제적 자본은 이주의 결정부터 귀환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국제이주의 실현과 경제적 효과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주가정의 사회경제적 위치는 이주의 유형과 목적국의 선택에 중요한 연관성을 가지며 이는 이주의 경제적 결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둘째, 국제이주는 네팔사회 내 사회적(카스트・가족・젠더) 관계의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국제이주는 남아있는 가족의 경제적 부담과 책임감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네팔사회에 만연한 이주문화는 해외송금이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폭시키면서 국제이주에 대한 기대감과 욕구를 정상화한다. 그러나 이주가정이 경험하는 가계부채와 반복적 이주는 이주과정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민간 고용중개업체의 횡포와 목적국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착취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conducted in rural villages of the Kavrepalanchok district in the middle hills of Nepal, 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xperiences of Nepalis left behind by family wh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Our findings highlight the ambivalence both the left-behind families and migrants feel towards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This study goes beyond a fragmentary analysis of the positive or negative impact of international migration on left-behind families. Rather, it looks at the larger economic and social experiences of left-behind families, considering the culture of migration, caste and gender relations in Nepal.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n rural Nepal, land and economic capital are signific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realization and economic effects of international migration throughout the entire migratory process. The socioeconomic status of migrant families relates considerably to the type of migration and the choice of destination country, which subsequently affect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migration. Second, international migration significantly impacts changes in social (caste, family, and gender) relations in Nepali society. Lastly, international migration can also result in an increased economic burden and responsibility for left-behind families. The culture of migration, prevalent in Nepali society, normalizes expectations for international migration, while amplifying the influence of overseas remittances on social relations. However, the negative experiences and household debt problems of migrant famil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infringement of private recruitment agencies and structural exploitation in the migrants’ countries of dest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