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6차산업 서비스공간 디자인 연구

        김지선 ( Kim¸ Jisun ),김범관 ( Kim¸ Beomkw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2013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지역 농업의 약해진 경쟁력의 대안으로 1차산업 농업과 2차산업 제조·가공, 3차산업 서비스가 융복합된 6차산업을 주요 정책으로 제시하였고 지자체에서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에서는 생산·가공에 체험·관광·판매 등 서비스업을 연계한 6차산업 서비스공간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6차산업의 양적인 정책지원과 비교하여 6차산업의 서비스공간은 질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6차산업 서비스공간의 질적 향상과 지역의 가치실현을 위하여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공간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6차산업 서비스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6차산업 서비스공간과 스페이스 브랜딩에 관한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하여 해당 용어의 개념을 이해하고 정립하였으며, 이에 따른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국내 6차산업 서비스 공간 사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및 사례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6차산업 서비스공간 디자인 방향을 설정 후 공간을 설계하고 공사에 적용하였다. 연구의 적용 대상은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6차산업 서비스공간인 소이빈삼동이다. (결과) 6차산업 서비스공간은 지역 산업을 위한 교류 형성의 시작점으로, 소비자와의 관계 형성과 유지 그리고 지역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선 지역자원과 고유의 특성이 기반이 되는 차별성 있는 다양한 경험이 중요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현재 6차산업 서비스공간은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표현방법으로 공간이 계획되어 소비자에게 차별성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가 어려웠다. 지역 자원과 고유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스페이스 브랜딩을 공간디자인에 적용하여 소비자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 6차산업 서비스공간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결론) 6차산업 서비스공간에서 지역 자원과 고유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스페이스 브랜딩은 소비자에게 차별성 있는 인상을 심어줄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정보를 공간디자인을 통해 전달할 수 있어 소비자와의 관계 형성에 중요한 전략이 된다.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공간디자인은 소비자에게 반복적이지만 새로운 경험적 이미지를 제공하여 소비자와의 관계를 활성화 한다. 이로써 지역 산업의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고 질적인 측면과 지속 가능한 측면에서 지역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2013,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roposed the 6th industry as a mean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agriculture. The 6th industry is a converged type of primary industrial agriculture and secondary industrial manufacturing, as well as tertiary industrial services. Since local governments have supported the 6th industry in different ways, the service space that links not only production and processing but also experience, tourism, and sales has been created in the region. However, the qualitative state of the 6th industry’s service space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quantitative support it has received in terms of its polici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6th industrial service space by studying spatial design and space brand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ervice space and to add to local values. (Method) The concept was initially understood and a framework was established for the Korean cas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the 6th industry’s service space and space branding.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case studies, a direction of the 6th industry service space design was set and applied to spatial design and construction. The Soybean-Samdong, a 6th industry service space located in Ulju-gun, Ulsan, was taken as the case study. (Results) The 6th industry service space is a starting point for the formation of regional exchanges, a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differentiated experience based on local resources and characteristics. This can help not only form and maintain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but also continuously develop local industry. Analysis of the case study illustrated the difficulty of providing a differentiated experience to consumers through the 6th industry’s service space because the space was designed to work universally and on a general scale without its own characteristics. Space branding based on local resourc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applied to spatial design to provide consumers with special experiences an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6th industry’s service space. (Conclusions) In the 6th industry service space, space branding that reflects local resourc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not only gives consumers a memorable impression but also delivers complex information through spatial design. Therefore, spatial design that applies space branding could be one of the important ways to activate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by providing repetitive but fresh and new experiences. As a result, local industries can establish their own identities and regional values to improve the quality and sustainability of spaces.

      • KCI등재

        형태 초점 발음 교수가 고등학생 발화 평가에 미치는 영향

        육지선 ( Yuk¸ Ji Sun ),정현성 ( Chung¸ Hyuns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영어 발화 향상을 위한 발음 형태 초점 교수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고등학생 64명의 즉흥 말하기와 준비된 말하기를 사전, 사후 평가를 통해 녹음하여 액센트, 이해도, 이해가능성, 리듬, 유창성, 그리고 영어 모음의 발음 향상에 대해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음 형태 초점 교수에 참여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액센트, 이해도, 이해가능성, 리듬, 유창성이 향상했으며, 그들의 영어 모음 발화도 더 뚜렷이 구분되었다. 말하기 형태에 따른 결과는 액센트, 이해도, 유창도에서는 차이를 보였으나, 이해가능도, 리듬에서는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를 통해 발음 교수, 특히 발음 초점 교수 학습이 미치는 영향과 그 필요성에 대해 시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to draw out the effects of focus-on-form (FonF) pronunciation instruction during the evalu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utterances by closely observing the processes involved in Public Speaking and Presentation (PSP) classes, which find out how FonF pronunciation instruction and different types of assessment affects the evaluation (such as accentedness, comprehensibility, and intelligibility, rhythm, fluency, and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vowels). 64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ith their average English proficiency ranging from an intermediate to an advanced level,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ndings were that their overall accentedness, comprehensibility, intelligiblity, rhythm, and fluency were improved through the FonF pronunciation instruction. Moreover, their pronunciation of English vowels became much clearer and more typical after the FonF pronunciation instruction. Types of assessment affected the students’ accentedness, comprehensibility, and fluency, while intelligibility and rhythm were not directly affected by the assessment type. Thus, it suggest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eaching pronunciation, emphasizing the effects of FonF pronunciation instruction.

      • 고급 학습자의 발음 능력 향상을 위한 섀도우 리딩 학습의 교육적 효과 연구 -음운 규칙과 초분절음을 중심으로-

        양지선 ( Yang¸ Ji Su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1 한국어와 문화 Vol.29 No.-

        본 연구는 고급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 능력을 높이기 위한 학습법으로 섀도우 리딩(Shadow Reading)을 소개하고자 한다. 사전 및 사후 발음 평가를 실시하여 학습자들의 발음에 어떠한 영향를 주는지 살펴보고 섀도우 리딩 학습법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현재 고급 숙달도의 학습자들에게 발음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인식하여 이미 여러 방면에서 교육 효과가 입증된 섀도우 리딩 학습법을 음운 규칙 및 초분절음 교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국적의 학습자 45명을 대상으로 섀도우 리딩을 적용하여 발음 학습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실험이 끝난 후에는 사후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발음 학습은 약 5주간 진행되었으며, 섀도우 리딩 학습법이 음운 규칙과 초분절음 발음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학습을 실시하기 전과 후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첫째로, 섀도우 리딩 학습이 음운 규칙 적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격음화, 비음화, ‘ㄴ’첨가는 사전 및 사후 평가의 점수 향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음운 규칙의 향상도 순위는 연음>경음화>구개음화>유음화>비음화>‘ㄴ’첨가>격음화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로, 섀도우 리딩 학습이 초분절음 실현에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 살펴본 결과, 사후 평가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향상도를 확인하였다. 음운 규칙의 향상도에 비해 초분절음의 향상도가 눈에 띄게 높았으며, 향상도 순위로는 억양>발화 속도>끊어 말하기 순서로 나타났다. 원어민의 음성을 듣고 따라 말하는 섀도우 리딩 특성상 초분절음에서 특히 상당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로, 실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후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한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인식과 섀도우 리딩 학습법에 대한 반응에 대해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대다수의 학습자들은 한국어 발음 학습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특히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발음 수업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하여 고급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섀도우 리딩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어 향후 발음 교육에서 섀도우 리딩 학습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주목을 받는 섀도우 리딩 학습법을 한국어 발음 교육에 적용하였으며, 고급 숙달도의 발음 교육에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이번 연구에 이어서, 향후 섀도잉 학습을 활용하여 다양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Shadow Reading’ as a learning method to enhance the Korean pronunciation ability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Recognizing the reality that pronunciation training is not sufficient for current advanced Korean learners. By using shadow reading methods, which have proven to be effectiv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suprasegmental factors, phonological rules education and see how it affects pronunciation ability after five weeks of learning shadow reading. In this study, 45 advanced learners of various nationalities took pre- and post-pronunciation ability tests,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earcher interviewed survey those who participated in test. Studying pronounciation with ‘shadow reading’ took five weeks and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learning to check the effects of shadow reading methods on suprasegmental factors, phonological rules ability. First of all, the effects of shadow reading on the ability to apply phonological rules were investigated. Overall, the scores were confirmed to have improved. However, the score improvement of the pre-post evalu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spiration, nasalization, /n/-insertion. The order of improvement was followed by the order of prolonged sounds, glottalization, palatalization, lateralization, nasalization, /n/-insertion, aspiration. Secondly, the effects of shadow reading on the ability to apply suprasegmental factors were studied. Compared to the improvement of phonological rules, the improvement of the suprasegmental phoneme was higher. The order of improvement was followed by accents, speech rates and pause. The highest improvement was 'accents’. Third, after all the experiments ends, participants were conducted a survey to explore attitudes to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and responses to shadow reading methods. According to this survey, Korean pronunciation classes currently being held were not enough, and emphasized the need for pronunciation education for advanced learners. Furthermore, majority of learners were positive to shadow reading method, and confirmed the potential using shadow reading for pronounciation edu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tudied recent attention-shadow reading methods to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being used positively in pronunciation training of advanced proficiency. Following this study, I hope that various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studies will be actively conducted by utilizing shadowing learning in the future.

      • Media landscape in Twitter

        Jisun An,Meeyoung Cha,Krishna Gummadi,Jon Crowcroft 한국산업응용수학회 2011 한국산업응용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6 No.1

        We present a preliminary but groundbreaking study of the media landscape of Twitter. We use public data on whom follows who to uncover common behavior in media consum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classes of media, and the diversity of media content which social links may bring. Our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non-negligible amount of indirect media exposure, either through friends who follow particular media sources, or via retweeted messages. We show that the indirect media exposure expands the political diversity of news to which users are exposed to a surprising extent, increasing the range by between 60-98%. These results are valuable because they have not been readily available to traditional media, and they can help predict how we will read news, and how publishers will interact with u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