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6차산업 서비스공간 디자인 연구

        김지선 ( Kim¸ Jisun ),김범관 ( Kim¸ Beomkw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2013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지역 농업의 약해진 경쟁력의 대안으로 1차산업 농업과 2차산업 제조·가공, 3차산업 서비스가 융복합된 6차산업을 주요 정책으로 제시하였고 지자체에서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에서는 생산·가공에 체험·관광·판매 등 서비스업을 연계한 6차산업 서비스공간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6차산업의 양적인 정책지원과 비교하여 6차산업의 서비스공간은 질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6차산업 서비스공간의 질적 향상과 지역의 가치실현을 위하여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공간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6차산업 서비스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6차산업 서비스공간과 스페이스 브랜딩에 관한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하여 해당 용어의 개념을 이해하고 정립하였으며, 이에 따른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국내 6차산업 서비스 공간 사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및 사례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6차산업 서비스공간 디자인 방향을 설정 후 공간을 설계하고 공사에 적용하였다. 연구의 적용 대상은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6차산업 서비스공간인 소이빈삼동이다. (결과) 6차산업 서비스공간은 지역 산업을 위한 교류 형성의 시작점으로, 소비자와의 관계 형성과 유지 그리고 지역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선 지역자원과 고유의 특성이 기반이 되는 차별성 있는 다양한 경험이 중요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현재 6차산업 서비스공간은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표현방법으로 공간이 계획되어 소비자에게 차별성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가 어려웠다. 지역 자원과 고유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스페이스 브랜딩을 공간디자인에 적용하여 소비자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 6차산업 서비스공간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결론) 6차산업 서비스공간에서 지역 자원과 고유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스페이스 브랜딩은 소비자에게 차별성 있는 인상을 심어줄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정보를 공간디자인을 통해 전달할 수 있어 소비자와의 관계 형성에 중요한 전략이 된다.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공간디자인은 소비자에게 반복적이지만 새로운 경험적 이미지를 제공하여 소비자와의 관계를 활성화 한다. 이로써 지역 산업의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고 질적인 측면과 지속 가능한 측면에서 지역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2013,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roposed the 6th industry as a mean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agriculture. The 6th industry is a converged type of primary industrial agriculture and secondary industrial manufacturing, as well as tertiary industrial services. Since local governments have supported the 6th industry in different ways, the service space that links not only production and processing but also experience, tourism, and sales has been created in the region. However, the qualitative state of the 6th industry’s service space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quantitative support it has received in terms of its polici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6th industrial service space by studying spatial design and space brand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ervice space and to add to local values. (Method) The concept was initially understood and a framework was established for the Korean cas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the 6th industry’s service space and space branding.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case studies, a direction of the 6th industry service space design was set and applied to spatial design and construction. The Soybean-Samdong, a 6th industry service space located in Ulju-gun, Ulsan, was taken as the case study. (Results) The 6th industry service space is a starting point for the formation of regional exchanges, a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differentiated experience based on local resources and characteristics. This can help not only form and maintain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but also continuously develop local industry. Analysis of the case study illustrated the difficulty of providing a differentiated experience to consumers through the 6th industry’s service space because the space was designed to work universally and on a general scale without its own characteristics. Space branding based on local resourc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applied to spatial design to provide consumers with special experiences an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6th industry’s service space. (Conclusions) In the 6th industry service space, space branding that reflects local resourc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not only gives consumers a memorable impression but also delivers complex information through spatial design. Therefore, spatial design that applies space branding could be one of the important ways to activate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by providing repetitive but fresh and new experiences. As a result, local industries can establish their own identities and regional values to improve the quality and sustainability of sp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