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SCISCOPUSKCI등재

        Normative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Adolescents' Actions,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 Non-Normative Behavior in South Korea

        Irkwon Jeong,Hyoungkoo Khang 한국학술연구원 2023 Korea Observer Vol.54 No.3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of adolescents' norms toward non-normative behaviors using a two-wave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over a one-year period. The study focuses on four modes of non-normative behavior, namely, verbal aggression, Internet slang, digital piracy, and self-exposure, and investigates the impact of exposure to descriptive and injunctive norms on social media on adolescents' actions,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non-normative behavior. The results reveal that exposure to injunctive norms on social media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dolescents' engagement in deterring non-normative behavior. This suggests that when adolescents witness others taking action against non-normative behavior on social media, they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similar actions to prevent such behavior. However, the effect of exposure to descriptive norms on actions against non-normative behavior is not supported in this study. The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influence of 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networks on young people's perceptions of social media use in South Korea, with importan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to promote responsible and respectful digital behavior among young people.

      • SSCISCOPUSKCI등재

        Cog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of Online Discussion as Antecedents of Deliberation and Tolerance Evidence from South Korea,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Irkwon Jeong,Hyoungkoo Khang 한국학술연구원 2019 Korea Observer Vol.50 No.4

        The current study examined cog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of online discussion as antecedents of attitudes toward opposing views and two aspects of social norms, perceived importance of public deliberation and social tolerance. Employing surveys in South Korea,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this study found that adjustment motive and discussion heterogeneity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rceived importance of public deliberation and social tolerance in all three countries. As compared to their American and British counterparts, Koreans tend to participate in an online discussion to strengthen their preexisting political views rather than to seek facts or to scan varied opinions surrounding those issues. Thus, in South Korea, polarization between groups having differing opinions on an issue could be more conspicuous among those who are frequently involved in the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such as reading comments and posting their thoughts in the public sphere. Further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SNS 이용과 SNS에 대한 긍·부정적 인식의 관계

        정일권(Irkwon Jeong),유경한(Kyung Han You) 한국정보사회학회 2016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7 No.3

        이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하면서 개인이 느끼는 인지적, 정서적 요인들이 긍정 혹은 부정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는 현상에서 출발한다. 더불어 SNS 이용자들이 이용과정에서 느낀 주관적 경험과 인식에 긍정과 부정이 상호 교차하며 혼재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는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어떠한 요인이 혼재된 SNS 이용자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 분석결과, 타인과의 공감행위는 SNS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주장/논쟁은 부정적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타인과의 공감행위는 사생활 침해 우려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의 크기와 성격은 부정적 인식에만 관련이 있었다. 한편, SNS 이용중단시 예상되는 이익과 손실도 긍·부정 인식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혼재된 인식을 중심으로 SNS 이용자들이 어떠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를 각각 군집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SNS 이용에 관하여 서로 다른 인식을 지닌 네 집단(갈등형, 관망형, 고립형, 낙관적 활용형)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갈등형은 긍정적·부정적 인식을 동시에 갖고 있었고, 고립형은 사생활 침해와 유대악화에 대한 우려가 특히 높았다. 관망형은 전반적으로 SNS를 긍정적으로 보지 않았지만,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는 가장 낮게 나타나 향후 SNS 활용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고립형은 자기표현행위가 적은 개인주의적 성향자들로 SNS의 사용여부에 크게 개의치 않는 유형이었고, 낙관적 활용형은 사회적 교류가 활발한 동시에 자기표현도 적극적인 유형으로 전반적으로 SNS의 활용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았다. 이 같은 결과는 이용자들이 SNS에 대해 긍정 혹은 부정 일변도의 인식을 갖기보다 이용자들의 성향과 이용행위와 연관되어 특정한 패턴을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Highlighting that users’ positive perceptions and attitudes are mixed with negative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NS,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these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NS are associated with behaviors on SNS, and what factors influence shaping users’ mixed attitude and perception regarding SNS. Firstly, our analyses showed that, empathetic behavior with others was a strong predictor not only in enhancing positive attitude toward SNS, but in influencing users’ negative perception on security of their personal information on SNS. Meanwhile, argumentative inclination increased users’ negative attitude toward SNS usage. Users’ individual network size and types of SNS use did not affect individuals’ positive perception regarding SNS, but influenced shaping negativ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SNS. Lastly, the effects of expected benefit and loss when stopping SNS on users’ attitude toward SNS were varied based on each type of perception and/or attitude related to SNS usage. Next, for cluster analysi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our different groups: contradictory, optimistic, observatory, and isolated user group. The result infers that users negative or positiv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are not consistently shaped, but mixed together in association with user personality and behavior on SNS.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클래식 음악 공연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일권(Irkwon Jeong),노애리(Airee Loh) 한국언론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6 No.2

        이 연구는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위해 연주자와 관객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연주자의 입장이 아니라 음악이라는 메시지의 수용자인 관객의 입장에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수단과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주목적이다. 음악은 보편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었고, 클래식 음악도 이와 발맞춰야 한다. 음악적 능력과 교육 수준이 낮아도 공연장에서 음악을 제대로 감상하여, 연주자와 감상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뤄지는 연주를 위해서 연주자는 연주환경을 파악하고 그에 맞춰 연주하고, 작곡가의 의도를 파악하고, 연주자 본인의 연주 능력을 판단하고 전달할 감정을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표현할 수 있는 청각적 요소와 시각적 요소를 정해서 이 둘이 어울리도록 조합을 만들어 청중에게 전달해야 한다. 또한 감상자가 연주가 진행되는 동안 보내는 피드백을 인지하고 그에 호응하는 연주를 할 때 감상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주자가 환경적 요소와 시각적 정보를 고려하여 음악 연주를 할 때 커뮤니케이션적이 보다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를 위해 시각적 요소와 환경(맥락)적 요소를 포함한 이론적 틀을 제시했다. This research aims to find a way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performers and the audience for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al music.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ways and means of effective communication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dience who are receiving messages, no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former. Music has become a universal means of communication, and classical music should be the same. Regardless of low musical ability and low educational level,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performers and the audience through listening to and understanding the performance in the hall is needed. For performance with successful communication, a performer should perform accordingly to the grasp of environment, understand the intentions of the composer and decide what emotion to pass through the performance depending on judgment of performer's own ability to perform. Also, a performer should communicate to the audience by determining and combining auditory elements and visual elements which can express the emotion of the performer. In addition, it helps the audience understand performance better when a performer recognize the feedbacks from the audience and performs with corresponding response. Thus, when music is performed with concern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visual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can be made ever more smoothly. On the basis of these conclusions, a theoretical framework including visual elements and the environment (context) elements was presented for the further study.

      • KCI등재

        선거 여론조사 보도를 통한 언론의 상관조정 기능 강화

        정일권(Irkwon Jeong) 한국언론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3 No.4

        선거 여론조사 보도의 개선과 관련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조사 과정상의 오류와 보도의 편향 두 가지를 중심으로 문제의 소지를 없애는 소극적인 개선 방법에 초점을 맞춰 왔다. 이는 여론조사 보도의 목적을 수용자의 알 권리 충족, 즉 특정 시점에서 지지도 현황을 정확하게 조사해서 객관적으로 보도하여 유권자들이 선거 결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돕는 것에 두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언론의 환경 감시 기능을 넘어 갈등 당사자들 간의 상관조정 기능에 초점을 맞춰 선거 여론조사 보도의 활용 방안을 탐색한다. 구체적으로는 후보자와 유권자들 간의 소통을 매개하여 사회적 갈등 사안에 대한 대응책의 합의를 이끌어 내는 데 선거 여론조사 보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보도의 내용과 형식을 개선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탐색했다.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결과, 지지율 이외의 문항을 추가하고, 분석과 해석을 강화하여 여론 형성에 기여하는 보도를 추구해야 하며 이를 위해 형식적으로는 스트레이트 뉴스를 지양하고 기획 뉴스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마지막으로 이 과정에서 우려되는 언론의 중립성과 객관성 훼손에 대한 보완책을 논의했다. A hack of studies examined various problems of news coverage on election polls. Most of them, however, focused on faults pertaining to the survey method and biases in news coverage. By removing some problems in news coverage did not fulfill the correlation faction of the press, yet. Therefore, unlikely to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xplores an active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news coverage on election polls by reconsidering social correlation function of news media. After discussing limit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proposed first, adding new question items other than voting intention for a specific candidate, second, augmentation of analysis and explanation of the results, and third, adoption of a planned news coverage format. In addition, the author discussed worries about undermining of objectivity and neutrality of the press in the coverage of electi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소극적 SNS 이용자와 중도포기자의 출현을 계기로 고찰해 본 SNS 긍정론의 한계

        정일권(Irkwon Jeong) 한국언론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1 No.4

        이 연구는 SNS로 불리는 다양한 서비스의 공통점이 관계를 통해 정보를 유통하거나 혹은 역으로 정보를 바탕으로 관계를 매개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SNS 이용에 대한 부정적 평가의 원인을 SNS를 통한 관계와 교류하는 정보에 대한 이용자의 불만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에서 시작했다. 이런 맥락에서 관계망의 크기와 관계의 횟수 그리고 정보의 양과 교류 속도 등과 같이 객관적으로 수치화가 가능한 요소와 함께 개별 수치에 대해 이용자 개인이 부여하는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인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극적 이용자와 중도포기자의 증가 원인을 분석한 후 SNS에 대안적 사회적 소통 수단의 지위를 부여한 긍정론의 한계를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에서 다뤄야 할 문제와 연구의 방향을 제안했다. Popularity of SNS use seems to turn down and the body of discontinuing users is rapidly growing. This study explores possible reasons for increase of less-active and discontinuing SNS users by critical and thorough review of optimistic perspectives for SN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s to relate the reasons of the turn down with users’ dissatisfaction to SNS networks and information. This study carefully explores qualitative aspects of the networks and information as well as various quantitative aspects. At last, this study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bout SNS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