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리(東里) 이은상(李殷相) 한시(漢詩) 연구(硏究) -이정귀 가계문학의 특성과 차이를 중심으로-

        이명희 ( Lee Myoung-hee ) 근역한문학회 202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5 No.-

        본고는 당대 문단의 중심에 있었던 月沙 李廷龜(1564~1635) 가계의 일원인 東里 李殷相(1617~1678)의 詩文學을 고구하였다. 그의 시에 드러나는 중요한 특성들은 그만의 것이 아니라 이정귀 가계의 문학이 공유하는 것들이다. 본고는 이 점에 유의하면서 가계문학의 특성과 그만이 지녔던 차별성을 살펴보았다. 이정귀 가계는 산수 자연에 대한 갈망과 탐닉이 남달랐다. 이은상은 선대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금강산 유람을 시도하였으며, 이정귀가 그랬던 것처럼 악공을 대동하여 산에 올랐다. 장문의 시 제목을 통하여 운문과 산문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가계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또한, 윗세대와 달리 다양한 詞牌를 활용하는 詞를 창작해 문학적 역량을 과시하였다. 그의 이러한 행보는 그만의 특성이 아니라 가계문학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온전한 이해가 가능하다. 이정귀 가계문학은 ‘學唐’의 범주 안에 있었으며, 구성원의 시풍도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평어에 개별적 차이가 있지만, 이정귀의 ‘豪放’ ‘飄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이은상의 경우 ‘豪健’이라는 평을 받았는데, 이정귀의 ‘豪放’보다 좀 더 정제된 면모에서 나온 평가이다. 16세기에서 17세기로 넘어가는 시기의 시단은 ‘學唐’의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시적 수준을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은상의 시문학에서 ‘漢魏盛唐’을 주창한 鄭斗卿이나 金得臣처럼 적극적인 변화의 모습을 찾기는 어렵다. 그러나 가계문학의 전승속에서 이은상이 詞를 창작하고 시 구성의 치밀성 등 다양한 변화를 추구하려는 모습은 발견되었다. 김창협은 이은상의 시문학에 대하여 “율시에 뛰어나서 입을 열면 문장이 되었다”며 천부적인 재능에서 나온 口占과 口號를 높이 평가하였다. 이것은 즉흥적 감성을 담보로 한 문학의 진정성이 기반이 된 것으로 즉 백악시단의 ‘眞詩 追求’ 정신과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가계문학이라는 범주의 부여가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詩語를 통하여 자카드 분석을 시도한 결과, 그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정귀에서 이은상이 활동하던 시기까지 이정귀의 가계문학에 큰 변화가 일지 않았다는 증거이다. 題材의 측면에서 논한다면 이은상의 시문학은 당대의 시인들과 다른 어떤 특수성을 갖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당대 문단의 중심인물로 활약한 이정귀 가계문학의 성향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그가 물색의 탐닉에 몰두하여 ‘物色分留’라는 시어를 애호한 점은 현장체험을 중시하였던 가계의 전통을 계승하고 윗세대에서 표현하지 못한 새로운 시의 창작을 추구하였다는 실례이다. 처참했던 壬丙兩亂의 고통 속에서 헤어지는 한을 시에 담았던 윗세대와 달리 이별의 순간을 ‘浮生聚散’의 관점으로 詩想을 써내려간 이은상에게서 세상을 대하는 세대 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내재된 감성의 표현으로 達觀의 境地를 보여주는 시가 많은 것도 그의 차별적인 지점이다. 아울러 이은상의 시문학은 김상헌 가계와의 문학적 교류와 상호 영향을 고려해 볼 때, 18세기 문학의 새로운 면모를 만들고자 활약한 백악시단의 탄생에 일조했으리라 가늠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d the poetic literature of Dong-ri(東里) Lee Eun-sang(李殷相). He is a member of the Li Jung-gul family. The Li Jung-gu family shares literary characteristics. their literature transmits literary tradition faithfully and it should be focused that they have similar tendency. Lee Jung-gui’s family had a longing and indulgence for arithmetic. Lee attempted to tour Mt. Kumgangsan to share the experiences of his ancestors. The family tradition was inherited through the title of the long sentence, which is a combination of verse and prose. Unlike the older generation, he also created Sa(詞) that utilize various Sa(詞) to show off their literary capabilities. His behavior is fully understood in terms of inheritance of family literature. Lee Jung-Gui’s family literature has a similar style. Although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flatfish, they do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Lee Jung-Gui’s ‘Ho bang(豪放)’ and ‘飄逸(Pyoil)’. Lee Eun Sang received the reputation of ‘豪健(Ho geon)’, which comes from a more refined aspect than Lee’s free style. In the transition from the 16th to the 17th centuries, poetical circles endeavored to raise the poetic level without leaving the borders of ‘Hakdang(學唐)’. In the poetry of Lee Eun-sang, it is difficult to find positive changes such as Jeong, Du-gyeong(鄭斗卿) and Kim, Deuk-sin(金得臣) which advocated ‘Han-Wi-Seongdang(漢魏盛唐)’. However, even in the tradition of family literature, the movement of change to raise the level through the creation of a book and pursuing the preciseness of the composition of poetry is sensed. Kim Chang-hyup said that Lee Sang-sang’s poetry is “excellent and bizarre unless he intentions.” The authenticity of improvised sentiment was highly valued because it touched spirit of the Baekaksidan(白岳詩壇). Compared with other members of Lee Jung-gui’s family through the poetic diction, it is clear that they are in an influence relationship, but his distinctiveness can be seen in the words of his own particular favorite, ‘scenery(物色)’ and ‘transient life(浮生)’. According to the jacquard analysis, Lee Eun-sang and Lee Myung-han are the most similar. However, there is little variation except Lee Seok-hyung, which has a big difference in time. It is clear that there is a similarity in the use of Shea. This proves that the changes in Family literature were not significant until at least Lee’s time. Lee’s poetry is hardly considered to have any specificity different from the poets of his time. However, there is a clear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propensity of the Lee Jung-gui family that was at the center of the passage. And his devotion to the indulgence of nature and his love of the ‘mulsaegbunlyu(物色分留)’ is an example of his pursuit of a new poetic attempt that the older generation did not express. Unlike the poems of the older generations, who suffered through the experience of Im Byung-ran, being optimistic even in the moment of pa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busaengchwisan(浮生聚散)’ reveals a difference in the gaze for the world. Many poems that show the stage of ‘dalgwan(達觀)’ are also different points from those of family literature. Lee’s poetry is intact in the category of Lee Jung-gui’s family literature. His traits are mostly influenced by family literature. However, it also reveals the attempts of differentiation, such as the creation of her own poem and poem. Lee Jung-gui’s family literature favored improvisation and sincerity rather than hanging on the table. I valued the inspiration that comes directly from the landscape. This is in line with the spirit of ‘jinsichugu(眞詩追求)’ as mentioned earlier. The Lee Jung-Gwi family grew their literary capacity through continuous exchanges with the Kim Sang-Hun family. Lee Eun-sang’s position in the two-family exchange suggests that it played a role as a medium for the birth of the Baekaksidan, which contributed to creating a new face in the 18th century.

      • KCI등재

        조선시대 전주이씨 장천군파(長川君派)의 잡과 진출

        이남희(Lee, Nam Hee)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7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6 No.2

        전주이씨 하면 일반적으로 조선의 왕실, 그리고 핵심적인 양반 성관(姓貫)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성씨만 보고서 양반으로 분류해버리는 것은 심각한 오류에 빠질 수 있다. 전주이씨 가계 가운데서도, 구체적으로 사료를 검토해보면 일반적으로 중인들이 응시했던 잡과에도 응시해 합격자들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전주이씨 가계의 잡과 합격 현황을 살펴본 다음, 잡과에 진출한 전주이씨 집안에 대하여 주목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사례로서 제2대 임금 정종(定宗)의 제13남 장천군파(長川君派) 이택기 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잡과에 합격했다는 것은 기술관으로서의 입지를 보장해줄 뿐만 아니라, 고위직 기술관으로 진출할 수 있는 관직의 길을 담보해주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검토를 통해서, 같은 성관이라 할지라도 파(派)를 달리하면 그 후손들의 신분과 위상이 미묘하게 달라지게 되었다는 것, 그리고 그것이 왕실의 후손들 가문에서 잡과에 진출해 잡과중인 가계를 형성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을 밝혀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잡과중인 형성 과정에서 전주이씨 가계가 어떤 비중과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는지, 그리고 조선 왕실 후손들이 잡과시험을 통해 잡과중인 집안으로 변모하여 생존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시대, 특히 후기의 경우, 성관만으로 신분, 양반과 중인 등을 단정지울 수는 없는 것이다. 같은 성관이라 하더라도 파(派)에 따라서 후손들의 신분과 위상이 미묘하게 달라지기도 했기 때문이다. 임진왜란 이후의 사회적 신분과 사회변동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사례 연구와 더불어 다양한 측면에서 입체적으로 분석,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Jeonju LEE is known as the surname of the royal family and a prominent Yangban class of the Choson Dynasty. However, not all Jeonju Lee’s were Yangbans. After careful examination of historical literature, this report was able identify that even within the in Jeonju LEE family, there were Chungin’s(中人) who successfully passed the Chapkwa(雜科)-proving that it is erroneous to conclude one’s social status with one’s surname. This paper focuses on the Jeonju Lee family that took the Chapkwa. Specifically, this paper investigates Lee Taeg-ki, the 13th son of the King Jung-jong, and his family. Lee Taeg-ki was an official Chinese translator adalso Jangcheongun-pa(長川君派). Passing Chapkwa guarantees not only a position as a government techno-official, but also the route for a high ranking official. This study proves that even family members with the same surname had different social standing and status. Additionally, this paper found the status and importance of Jeonju Lee family in the process of forming Chapkwa-Chungin(雜科中人) and how they survived by becoming a Chapkwa-Chungin family. It is impossible to assume/conclude one’s class(Yangban, Chungin) by one’s surname in the late Choson Dynasty, because social status and social standing of descendants were differentiated by Pa(派). Therefore, in order to truly understand the social standing and social change in late Choson Dynasty, one needs to conduct specific case studies in diverse angles and spectrums.

      • SCISCIESCOPUS

        A selective cyclin-dependent kinase 4, 6 dual inhibitor, Ribociclib (LEE011)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s apoptosis in aggressive thyroid cancer

        Lee, Hyun Joo,Lee, Woo Kyung,Kang, Chan Woo,Ku, Cheol Ryong,Cho, Yoon Hee,Lee, Eun Jig Elsevier 2018 Cancer letters Vol.417 No.-

        <P><B>Abstract</B></P> <P>The RB-E2F1 pathway is an important mechanism of cell-cycle control, and deregulation of this pathway is one of the key factors contributing to tumorigenesis. Cyclin-dependent kinases (CDKs) and Cyclin D have been known to increase in aggressive thyroid cancer.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to investigate effects of a selective CDK 4/6 inhibitor, Ribociclib (LEE011), in thyroid cancer. Performing Western blotting, we found that RB phosphorylation and the expression of Cyclin D are significantly higher in papillary thyroid cancer (PTC) cell lines as well as anaplastic thyroid cancer (ATC) cell lines, compared with normal thyroid cell line and follicular thyroid cancer cell line. LEE011 dose-dependently inhibited RB phosphorylation and also decreased the expressions of its target genes such as <I>FOXM1, Cyclin A1,</I> and <I>Myc</I> in ATC. Furthermore, LEE011 induced cell cycle arrest in G0-G1 phase and cell apoptosis, and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in ATC. Consistently, oral administration of LEE011 to ATC xenograft models strongly inhibited tumor growth with decreased expressions of pRB, pAKT and Ki-67, and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umor cell apoptosis. Taken together, our data support the rationale for clinical development of the CDK4/6 inhibitor as a therapy for patients with aggressive thyroid cancer.</P> <P><B>Highlights</B></P> <P> <UL> <LI> pRB and Cyclin D were expressed high in aggressive thyroid cancer. </LI> <LI> LEE011 suppressed pRB and also decreased the expressions of its target genes in ATC. </LI> <LI> LEE011 induced cell cycle G1 arrest and apoptosis, and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LI> <LI> LEE011 inhibited in vivo tumor growth with decreased expressions of pRB and Ki-67. </LI> <LI> We could explain the anticancer effects with the RB-E2F pathway. </LI> </UL> </P>

      • KCI등재

        삼성(三星)그룹 글로벌 CEO이건희 회장의 시대별 기업 활동과 경영전략

        이건희 ( Kun Hee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6 유라시아연구 Vol.3 No.1

        According to professor John Corter of Harvard University, one of the main factor that cause corporate to experience failure in reform is due to the existing cooperate cultural that may hamper the smooth penetration. Hence when cooperate is building ethic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n infrastructure that brings ethical execution in the center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process. Yet the reform, constructing a new ethical infrastructure, can only be driven by the CEO of the organization. Chairman Kun-Hee Lee, the head of the Samsung, has set his own ethical spirit further building an infrastructure with ethical management mindset that applies from a high-ranked executive to low-ranked manager: through this Chairman Kun-Hee Lee, as a guiding figure, has advanced powerful reform even to bring change in the mindset of CEO``s, other executives and its employees. Samsung`s ethical infrastructure lies in “to produce the superlative goods and services based on competent human and technological resources to make a contribution to human society” and in management philosophy that is regulating the creditability or trustiness of the company. Thus Samsung, through the regular sessions of education and forwarding the ethical infrastructure, has developed into leading group not only in domestic sphere but also maintained its peculiarity in global sphere. The Samsung``s management reform strategy began with “The Frankfurt declaration” on June 1993 and the epochal event has altered Samsung``s constitution. At that time, Samsung Electronics were fiercely competing against currently known as LG Electronics in a domestic market yet applying the “quality based management” and recruiting competent human resources as well as investing more on R&D to stand as globally recognized first-class manufactured goods, Samsung Electronics became the leading electronics sector in domestic economy. Furthermore overcoming the IMF crisis in the late 90`s, Samsung was put as a leading figure among the corporate with globally competent information technology sources in year 2000. In year 1992, a year before starting the grand reform strategy, Samsung`s total profits before tax stayed 230 billion Korean Won but by the end of 2004, the total profits before tax became 60 times more, 14 trillion Korean Won. At the same time, the debt ratio was reduced from336% to 90% and moreover, Samsung`s brand value hiked up as competent as No.1 brand at a global market: they became one of the leading companies in the world. In addition, Samsung carries the vision of an enterprise based on sharing and coexisting humanity, Samsung, through the active social contribution to the digitally neglected social clas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ountries like Russia and Southeast Asia, has strengthened its brand image, friendliness and trustiness as well as taking full responsibility as an undertaking citizenry. Due to the Chairman Kun-Hee Lee`s endeavors to build Samsung as the world`s best company, active corporate activities and incessant management strategies led Samsung as the leading domestic enterprise in the global market also one of the most preferable company to invest among the Foreign Direct Investors. Currently, Samsung is putting all-in efforts in preparation for anew management project for coming decade along the training employees to become globally competent: they are not just leading a comfortable life with present time, the biggest profit in history, rather they are still seeking for reform or change in preparation to future: the exploratory question of what could Samsung do to compete in the future global market? Such a forwardly put vision of Samsung could be guidance and may well be considered to search for future direction of Korean corporate and society. Samsung aims 4 main strategies: first, management of globally competent human resources in preparation to the next 5~10 years, second, procuring the service sector and world``s best product, third, seeking the opportunity for preoccupying global market by searching for the hopeful sector in the future, and last, social-friendly management and reaching the world top brand value. As the world moves step closer to the post-internet, ubiquitous and biotechnology era, the encouragement of society to such entrepreneurs is needed for Samsung to continue the myth of the world``s best enterprise.

      • KCI등재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비교 고찰

        이순희(Lee, Soon-Hee)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0 No.-

        우리 국문학의 가장 큰 문제점은 대부분의 전통인문학이 수입인문학과 상생적으로 조화를 이루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람 이병기는 전통인문학의 한 갈래인 고시조를 시대변화에 발맞추어 유지·발전시키기 위해 시조혁신론을 주창하였다. 본고는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비교 고찰을 통해 가람 이병기가 시조문학에 있어 시도했던 전통인문학과 수입인문학의 조화로운 통합을 이룩하는 일련의 과정을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가람 이병기는 우리 시조문학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모습인 간결성과 명료성을 구심점으로 하면서 표현 방법, 주제선택, 리듬 창조 등에서 이미지즘의 영향을 받아들여 발전적인 변화를 시도했다. 여기서 시조가 가지는 간결성과 명료성은 이미지즘이 동양시문학에서 받아들인 부분이다.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를 ‘시조의 의미와 운율, 시조의 비유, 극적 상황, 복합성과 통일성’ 등으로 나누어 고구(考究)했다. 먼저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공통점으로는 ‘시조의 비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조의 비유’ 부분에서 범위를 확대하면 비유뿐만 아니라 말씨와 관계된 분야까지 포함하므로 모두가 일치한다고 할 수는 없다. 한정된 언어 사용이나 한자어구 사용은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시대와 장르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 ‘시조의 의미와 운율’, ‘극적 상황’, ‘복합성과 통일성’ 부분에서는 모두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차이점은 이미지즘 이론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시조의 의미와 운율’에서 가람 이병기는 황진이 시조를 비롯한 고시조의 악곡이 떨어져 나간 자리에 대체물로써 ‘격조의 변화’를 새롭게 도입했다. 그 ‘격조의 변화’를 위해 ‘정형적 자유시’를 구사했으며 ‘행구분의 다양화’를 시도했다. ‘극적 상황’에서는 작가의 다양한 연출 상황이 요구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주제와 소재의 선택이 확장되어야 한다. 황진이 시조의 경우 주제와 소재가 한정되어있으므로 가람 이병기는 이 부분을 지양하고 있어 뚜렷한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취재범위의 확장’으로 보완하고 있다. ‘복합성과 통일성’에서는 많은 내용을 담되 내용의 통일을 기해야 하는 것으로 가람 이병기는 시조의 복합성과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연시조’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황진이 시조의 경우 6편 모두가 단시조로 이 부분도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가 가지는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이 같은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고 존재하고 있는 것은 시조 문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간결성과 명료성이다. 간결성과 명료성 외에 시조혁신론을 통해 리듬이나 주제와 소재 선택 등에서 보여준 변화는 시대와 장르 변화에 따른 능동적인 변화였으며 상생적인 변화였다. 그 능동적이고 상생적인 변화를 위해 가져온 것이 이미지즘 이론이었다. 그러나 그 이미지즘 이론의 뿌리는 전통인문학에 닿아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which imported humanscience element was integrated into the traditional human-science element that Hwang Jin-i Sijo had possessed, resulting in having formed the Lee Byeong-gi Sijo literature, through difference that these works have while considering comparison between Garam Lee Byeong-gi Sijo and Hwang Jin-i Sijo. The biggest problem of our human science is what most of the traditional human science failed to be co-existentially harmonized with the imported human science. However, Lee Byeong-gi advocated the Sijo reformism theory in order to maintain and develop classic Sijo(古時調), which is one branch of traditional human science, in line with a historical change. This study examined Lee Byeong-gi Sijo and Hwang Jin-i Sijo by being divided into ‘poetic rhythm & meaning, poetic accent & metaphor, dramatic situation, complexity & unity,’ thereby having been able to demonstrate that Lee Byeong-gi advocated the Sijo reformism theory by harmoniously integrating the theory of imagism poetry, which is one branch of the imported human science, into the classic Sijo, which is one branch of traditional human science, and that the main axis of forming the Sijo reformism theory was the harmonious integration between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 being possessed by classic Sijo, and the theory of imagism poetry.

      • KCI등재

        한방 이화주의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이상진(Sang-Jin Lee),권이영(Yi-Young Kwon),조성원(Sung-Won Cho),권희숙(Hee-Suk Kwon),신우창(Woo-Chang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에서는 한방이화주의 피부 생리기능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70% EtOH 추출물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HEE은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tyrosine을 기질로 melanin이 형성되는 pathway에 관여하는 주요한 인자인 TRP-1과 TRP-2를 저해하는 작용 기전을 통해 피부 색소침착의 주요 원인 물질인 melanin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HEE은 피부진피 내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elastin을 분해하는 효소인 elastase의 활성을 저해하였고, 피부의 keratinocyte가 생성분비하는 MMP-2와 MMP-9의 단백질 발현과 proteolytic 활성을 억제하여 노화에 따른 피부 주름 생성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 독성 없이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 반응을 50% 저해하는 HEE의 농도(IC50)는 24.9 μg/mL이며, 50 μ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염증 반응 저해 효과가 70%로 높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HEE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항염증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기능성 화장품의 주요한 소재로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Extrinsic skin aging is characterized by the loss of skin tone and resilience, irregular pigmentation, and deep wrinkl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hwa Makgeolli containing oriental herbs (Glycyrrhiza uralensis Fisch., Lycium chinense MILL., Morus alba L., and Saururus chinensis Baill) on skin whitening and wrinkling in human skin cells. We prepared Makgeolli extracts (HEE) with 70% ethanol. HEE significantly inhibited in vitro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and reduced the cellular and secreted melanin content of mouse melanoma melanocytes (B16F1 cells). HEE down-regulated the protein expression of tyrosinase related protein (TRP)-1/-2, a key player in melanogenesis. Treatment with HEE in human keratinoctyes (HaCaT cells) inhibited the proteolytic activities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9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dramatically reduced the expression of MMP-2/-9. In addition, HEE attenuated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murine macrophages (RAW264.7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EE may be a great cosmeceutical ingredient for its whitening, anti-wrinkl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 KCI등재

        투고논문 : 일제하 이병헌(李炳憲)의 공자교운동의 성과와 좌절

        이희재 ( Hee Jae Lee ) 한국공자학회 2011 孔子學 Vol.20 No.-

        공자교 운동은 서세동점(西勢東漸) 하에서 느낀 서양문명에 경악한 유교 지식인의 위기의식이며 동도서기적(東道西器的) 대응방식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일제하 유교지식인인 이병헌은 자신의 사상적 바탕은 유교였으나, 새로운 서구문화를 접하면서 큰 충격을 받았고, 또한 중국의 사상가이자 공자교 운동의 선구자인 강유위에게서 큰 영향을 받게 된다.1919년에 발간된 그의 저술 『유교복원론(儒敎復原論)』 등을 통해 그는 공자교의 기본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병헌은 그 자신의 학문의 출발이 소위 향교적 유교에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그의 사상적 바탕이 되었고, 또 일제에 저항했던 위정척사파와 같은 보수적 유생의 입장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이들을 보수적인 유교에 대해 노골적으로 공격하지는 못했지만, 그의 저술에서 나타나는 ``구파``니 ``향교식 유교``라는 말 자체가 기존의 주자학자들에 대한 비판이었다. 그는 유교의 성격을 정의하면서 "유교는 공자의 교"이며 또한 공자는 "오로지 하나이며 둘일 수 없는 소위 ``독일무이지교주(獨一無二之敎主)``"로서 섬기는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종래의 유교는 공자이전의 요순 이래로부터의 성인은 물론이려니와 공자의 제자들이 모두 제례를 드리는 대상인데 비해 이병헌은 ``오로지 공자``만이 공자교의 존숭의 대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했다. 이병헌의 공자교에 있어서 대동사상은 종래의 군주 중심의 사유를 벗어나 공자에 의한 대동(大同)의 의리와 맹자에 의한 민본의 정신 그리고 춘추의 태평세를 이상으로 하는 세계를 지향해야할 이상세계로 보았다. 춘추에서 말하는 소강시대와 『예기(禮記)』에서 말하는 승평세가 가정과 국가 간이 서로 대립되는 시대라면, 미래의 사회는 대동시대이며 태평시대인데 그것은 공자교에 의하여 구현되는 인류의 평화시대이다. 그의 공자교운동은 기존의 보수적 주자학자들의 비호응, 그리고 민중적 기본을 확대하지 못하고 좌절되었지만. 공자교 운동의 과정속에서 그가 치열하게 연구한 성과가 『공경대의고(孔經大義考)』, 『시경삼가설고(詩經三家說考)』, 『서경금문고(書經今文考)』, 『예경금문설고(禮經今文說考)』 등과 같은 고전연구의 성과로 나타났다.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전거들은 금문경학으로 기본의 고문경학을 비판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금문경학의 설이란 공자의 문하생들이 구전해온 설이며, 반대로 향교식 유학은 수구적인 고문경학인데 이는 유흠(劉歆)에게 의거하는 날조된 것이라고 했다. The Confucian culture supported society since long time, but this old society caused big chaos because of the arrive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occupied by Japan. The collapse of Chosun dynasty lead to abolish the Confucian shrine and it`s school role. This abolition means official dissolution of Cofucian rites that have been supported by dynasty. The typical scholars who focus on moral fidelity resisted and fought against the Japanese rule, but Korean was colonized by Japan. Japanese ruler had double standard to Confucianism. They hoped to reform traditional custom, on the other hand, they need to keep traditional Confucian morals in Korea. Therefore, Confucian shrine could worship to Confuzu during Japanese imperial period. Lee Byunghean(1870-1940) was shocked by Western civilization and Japanese, he realized on human right, democratic idea and accept the universalism. He thinks that traditional Confucianism needs reflection about the premodern way. The ideas also could find to his teacher Gwak Chongseak. But his idea was influenced by Kang Youwei`s Confucian church, Great equality and original Classics conclusively. His suggested that Confucian church must faith to Confuzu like Jesus and Buddha. He asks that break the old Confucianism served monarch and realize the Great equality for the human beings in the global. This idea originated from real Classics, he studied hard on the Classics for his important mission. Lee`s Confucian church movement failed to integrate to peoples. Nevertheless, it is very fresh and meaningful idea to reform on old Confucianism in his time. He did introspection why Confucianism was criticized as a premodern thinking way. He pointed out that old Confucianism pander to monarch and did not communicate with other civilizations. Even though Lee`s ideas originated from Kang Youwei in China, but in Korea he needed more effort for persuasion due to the background of deep rooted Chuzu learning country. Therefore, he studied hard on the original classics. The founder of Confucian church Kang Youwei gave unstinted praise to Lee`s books. But, Lee`s effort was failed because of peoples did not accept the deify of Confuzu. Peoples in his time, did not accept the great equality and individual human right. His movement of Confucian church was a new interpretation base on the new classics studies(今文經學). These ideas were very fresh break the premodern thinking way, but he could not success as a reformer of Confucian church.

      • KCI등재

        이병기 시조의 이미지와 율격 연구

        이순희(Lee, Soon-Hee) 한국어문학회 2014 語文學 Vol.0 No.1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age and versification rule of being embodied in Lee Byeong-gi Sijo.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Gosijo(古詩調), which had been a song genre, into modern Sijo, which is a literature genre, Garam Lee Byeong-gi accepted the Anglo-American imagist theory in the 1910s, thereby having systematized a theory of modern Sijo. In the middle of analyzing Sijo works that were put in Lee Byeonggi’s 『Collection of Garam`s Sijo Poems』, it could demonstrate that Lee Byeong-gi was influenced by ‘use of daily terminology,’ ‘freedom of choosing a topic,’ ‘suggestion of image(imagery),’ ‘creation of new rhythm,’ and ‘emphasized concentration,’ which correspond to the imagist theory, thereby having asserted ‘diversification in terminology,’ ‘expansion in coverage range,’ ‘Silgamsiljeong(實感實情: actually experiencing and feeling),’ ‘a change in tone,’ and ‘creation in Yeonsijo(聯時調)’ in the Sijo renovation theory and having applied these theories to the creation of a work.

      • KCI등재

        이규보(李奎報) 배율연구(排律硏究)(3) - 치사(致仕) 이후(以後)를 중심(中心)으로

        이희영 ( Lee¸ Hee-young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4 No.-

        본고는 致仕 이후 李奎報(1168-1241) 배율에서 보이는 작품세계의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 이규보 배율은 자신의 서정을 읊는 내용보다는 교유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성을 확인하게 한다. 그는 座主와 門生의 모임 落成式 등과 같은 자리 및 奉贈해야 하는 의례적 상황에서 배율을 짓고, 이를 통하여 중후한 정서를 드러내며 상대에 대한 존중의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조정에서 함께 일했던 동료 문인 및 동년들과 次韻相酬하는 과정에서 배율을 짓고, 그들과 진솔한 감정을 나누고자 하였다. 상대와 자신의 오래된 인연과 친분, 그리고 상황을 對仗의 형식으로 다양하게 보여주었다. 끝으로 지적 유희의 수단으로 배율을 활용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배율의 시체는 對仗을 연속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편폭이 길어지거나 回文體와 같은 형식의 추가는 상대에게 많은 부담을 준다. 노년에도 장편 회문 배율과 연작 배율의 창작은, 이규보의 作詩 과정이 몸의 어려움을 잊게 할 정도의 즐거움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동료들과 시를 주고받는 과정을 통하여 삶의 활력을 얻고 오락으로서 즐기는 지적 유희의 한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규보가 전 생애에 걸쳐 作詩한 배율의 한시사적 의의는, 이러한 중국 배율시의 흐름을 인식한 가운데 이뤄져야 명확해질 것이다. 아울러 이를 통하여 한 걸음 더 나아가 고려시대 배율을 수용하고 활용하는 측면까지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의 과제로 미룬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atterns of Lee Gyu-bo(1168-1241)'s creative world in his metrical poems after his resignation. After resigning from office, Lee showed a tendency of creating metrical poems as a means of seeking social intercourse rather than expressing his feelings. He wrote metrical poems at gatherings of Jwajus and Munsaengs, events such as Nakseongsik, and ceremonial situations demanding Bongjeung, trying to reveal solemn emotions and convey his respect for others. Next, he also created metrical poems in the process of Chawoonsangsu with his colleague literary men and fellows that he worked with at the royal court, trying to share honest feelings with them. He exhibited his long relationships, closeness and situations with others in various forms of Daejang. Finally, Lee had a tendency of using metrical poetry as a means of intellectual play. Since the poetic style of metric poems uses Daejang consecutively, they become prolonged in Pyeonpok or impose a huge burden on others through the addition of Hoimunche. Lee continued to write long Hoimuns and metrical poems and even series of metrical poems in old age, which indicates that he found enough joy in the process of writing a poem to forget about his physical difficul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 Lee's tendency of getting the vitality of life and enjoying intellectual play as entertainment by exchanging poems with his colleagues.

      • KCI등재

        이규보(李奎報) 배율연구(排律硏究)(2) -관인활동(官人活動) 시기(時期)를 중심(中心)으로-

        이희영 ( Lee Hee Young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8 No.-

        본고는 이규보 생애에 걸친 배율을 연구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관인활동 시기 배율 창작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시기에 이규보는 높은 직위의 관인들과 교유하면서 일어나는 의례적인 상황과 좌천이라는 불리한 상황 속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奉贈의 배율을 짓기도 하였다. 이것은 대상과 목적이 뚜렷한 상황에서 격식을 지키면서도 정중하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배율이 지니는 詩體의 장점을 활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시기 이규보는 題詠·詠物·戲作에서 배율을 활용하면서 주제의 다변화를 추구하였다. 이것은 배율의 운용이 제한된 주제와 특정한 환경에서 벗어났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서 이규보 詩作의 성숙함이 일정한 경지에 도달하였음을 확인하게 한다. 끝으로 이 시기 이규보가 다양한 일상에서 배율을 활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이규보가 배율을 개인의 영역 어디에서나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詩體로 인식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창작의 바탕에는 杜甫로부터 시작하여 白居易에 이르기까지 배율을 궁정문학의 틀 안에서 벗어나 일상의 詩體로 활용한 前人들의 흐름을 충실히 익힌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reative patterns of Baeyul by Lee Gyu-bo during the years of his positions in the government under the goal of understanding his Baeyul creations throughout his life. During the period, Lee created Baeyul works of Bongjeung to escape from the formal situations happening in exchanges with government officials in a high rank and his unfavorable condition of demotion, thus taking advantage of Baeyul's merits in the poetic style, which allow one to deliver his or her intention respectfully while keeping the formality in a situation of clear objects and goals. During the period, Lee also sought after the diversification of his topics, making use of Baeyul in Jeyeong, Yeongmul, and Heejak, which indicates that Baeyul was free in its operation from an environment of limited topics and certain environments. This shows that Lee's maturity in poetic creation reached a certain level. Finally, he also used Baeyul in various aspects of his daily life during the period, which shows that he regarded Baeyul as a poetic style that he could choose in every aspect of his life whenever it was required. At the root of his creations was his faithful acquisition of the flow among the poets of the previous generations from Du Fu to Bai Juyi who grew out of the old framework of court literature and used Baeyul as a daily poetic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