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ona fide True Symbols: BTS as Purveyors of Authentic Koreanness

        Heather A Willoughby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2 이화음악논집 Vol.26 No.1

        Bona fide True Symbols: BTS as Purveyors of Authentic Koreanness In one sense, the Hallyu phenomenon is a contemporary iteration of a long-standing nationalistic trend wherein Korea distinguishes its culture and traditions from its East Asian neighbors as well as that of the world as a whole. In terms of Korean popular music (K-pop) questions arise as to what makes that genre particularly “Korean,” as opposed to pop music from any other country or culture. In other words, what is the “K” in K-pop? From its birth, K-pop - especially the music of idol groups - has been a contested genre in which Koreanness or Korean identity has been challenged. In this paper, I examine some of the ways in which Koreanness is expressed in the music video “IDOL” by the seven-member boy band BTS (a.k.a. Bangtan Sonyeondan | Bangtan Boys | Bulletproof Boy Scouts | Beyond The Scene) emphasizing visual and aural icons portraying the bandmembers as being “authentically” Korean.

      • KCI등재

        A Decade of Learning from the Movie So˘p`yo˘nje

        윌로비, 헤더 세계음악학회 2003 음악과 문화 Vol.8 No.-

        영화 서편제가 초연된 것은 이미 10년 전인 1993년이다. 그러나 학계나 대중문화에 끼친 그 영향력은 실로 대단하다. 그 영화의 감독인 임권택을 소개하는 영문 저서의 총 8장 중 3장이 서편제에 관한 것임을 비롯하여 많은 글들이 쓰여졌다. 특히 한국인들과 판소리에 대해 얘길 나누면, 나는 항상 서편제를 보았냐는 질문을 받는다. 그래서 나는 이 영화가 10년 전이나 마찬가지로 지금도 여전히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많은 학자들은 서편제를 남한 국민들의 민족적인 정체성을 정립하고자 하는 욕구 내지는 민족적 정체성이 어떻게 성의 정체성을 구축하는지를 비유한다고 분석한다. 어떤 학자들은 이 영화가 청중들에게 민족주의뿐만 아니라 판소리의 발성법, 그리고 한국인들의 미적 개념의 근원을 가르쳤다고 평가한다. 학자들은 모두 이 영화에서 표현된 한의 핵심적인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혹자는 이 영화가 한을 한국인의 근본 정서로 표현하는 것은 역사적인 사실과도 거리가 있고 비판 없는 선전에 지나지 않는다고 평가하는가 하면, 다른 이들은 한을 칭송하거나, 아니면 적어도 한국인의 미에 대한 절대적인 개념으로 수용하기도 한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먼저 한(恨)을 간단히 정의하고 서편제에서 이 한이 어떻게 그리고 왜 그렇게 표현되었는지를 몇몇 학자들의 견해를 통해 재검토 한 후, 본인의 분석을 덧붙이고자 한다. 한과 판소리가 역사적으로 서로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음과 판소리가 항상 한에 싸여 있는 것으로 보여진 것은 아니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판소리 가사 안의 통렬하고 애끓는 슬픈 노래(哀歌)들이 한을 표현하지 않는다고 간주하는 것 역시 잘못된 분석이다. ‘한’이라는 용어가 초기 판소리 광대나 역사가들에 의해 사용되었든 아니었든 간에 요즈음의 판소리 연주자들은 다른 재미있고, 어리석고, 장난기 있는 노래들과 함께 어울려 엮어진 애가들을 얘기할 때 한을 절대 빠뜨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한을 판소리 안에, 특히 이 영화 안의 깊숙한 곳에 깔려있는 미적 개념이라고 설명한다. 필자는 또한 영화를 본 몇 백만의 한국인들에게 깊은 감동을 준 소리, 그 자체와 그 소리가 전달하는 정서에 대해 논의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필자는 이 영화가 올바른 판소리 발성을 배워 가는 교수법과 그러한 장면들의 중요성을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를 서술한다.

      • KCI등재

        A Deeply Rooted Tree Grows in Manhattan : Issues of Identity in New York City’s 1990s Folk Scenes

        Heather A. Willoughby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6 이화음악논집 Vol.20 No.3

        In the Spring 2016, Volume 20, Number 1 issue of the Journal of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I published an article entitled, “Digging up the Roots: Understanding what is meant by the term ‘Folk Music.’” In that article, I elucidated various opinions and arguments regarding the question “What is Folk Music?” This article further investigates that question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dynamics of two starkly different folk music scenes (Fast Folk and the Anti-Folk) in New York City in the mid-1990s. This article will look more closely at the ideological and sonic divide between these two groups beginning with a brief history of each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existence and the distinction/similarities between them. The second section deals with the identity of the groups and how their identity and image is perpetuated by the physical location and décor of the venues, the differences generated by a folk vs. a punk heritage, and the demographics of the performers and audience members. 나는 『이화음악논집』 20집 1호(2016년 봄)에 “뿌리를 찾아서: ‘포크 뮤직’의 의미 이해하기”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한 바 있다. 그 글에서는, “포크 뮤직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둘러싼 다양한 견해와 논의들을 소개했다. 이 글에서는, 1990년대 중반 뉴욕 포크 뮤직 씬에 공존했던 두 개의 전혀 다른 포크 뮤직(패스트 포크와 안티 포크) 사이의 역학을 비교・대조함으로써 이 문제를 보다 깊이 고찰한다. 먼저 이 두 그룹의 존재양태와 둘 사이의 차이점/공통점을 이해하기 위해 짧은 역사를 돌아봄으로써, 두 그룹 사이의 이데올로기적・음향적 구분을 좀 더 세밀하게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는, 이 그룹들의 정체성을 다루고, 그들의 정체성과 이미지가 장소라는 물리적 위치와 환경에 의해 어떻게 영속되는지를 살펴보고, 포크에 기반한 그룹과 펑크에 기반한 그룹 간의 차이, 그리고 각 그룹의 연주자와 청중의 구성을 살펴볼 것이다.

      • KCI등재

        Lightning Splits the Tree: Further Issues of Identity in New York City’s 1990 Folk Scenes

        Heather A Willoughby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이화음악논집 Vol.21 No.1

        This is the third in a series of three articles dealing with folk music and the various means by which the genre has been perpetuated. The first article explicated the breadth of definitions and parameters of the term “folk music” as used by both scholars and performers. The second article explored more deeply two distinct folk music scenes in New York City in the mid-1990s, namely Fast Folk and the Anti-Folk. This article is a continuation of both, with an emphasis on the ways in which issues of identity and authenticity were promulgated through open stage performances and song at the Fast Folk Café and The Fort, the respective performance venues of the above mentioned groups. Whether directly related to the folk music of the past or not, scenes that people labeled as “folk” were vibrant in the 1990s in the West and East Villages. Although there is only a weak, invisible barrier between those two parts of the City few ever crossed the line. On the West Side folk music remained melodic, and the performers relatively placid. In the East Village the performers constantly vied for new ways to express themselves and were ever challenging the face of folk. But together, the venues and the scenes encompassed all who desired to enter the stage as a folk musician.

      • KCI등재

        본격적인 분화: 1990년대 뉴욕 포크 씬에서 나타난 정체성의 문제

        ( Heather A. Willoughby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이화음악논집 Vol.21 No.1

        이 글은 포크 음악과 그 장르가 파생시킨 다양한 의미를 다룬 일련의 논문 중 세 번째 결과물이다. 첫 번째 논문에서는 학자나 연주자들이 “포크 음악”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다양한 정의와 기준들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논문에서는 1990년대 중반 뉴욕 시에서 발흥한 두 가지 포크 음악 씬, 즉 패스트포크와 안티포크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논문에서는 앞서 소개한 두 가지 연구의 연장선에서, 오픈 스테이지를 제공하는 패스트포크 카페와 더 포트에서 연주하는 그룹들을 중심으로 정체성과 진정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과거의 포크 음악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던 아니던, “포크 음악”이라고 불리는 씬은 1990년대 웨스트사이드와 이스트 빌리지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뉴욕 시에서 형성된 이 두 가지 포크 씬을 구분하는 경계는 희미하고 비가시적인 것이었지만, 이 경계를 넘어서는 경우는 드물었다. 웨스트사이드의 포크 음악은 선율적이고 연주자들 역시 상대적으로 차분했다. 이스트 빌리지의 경우에는, 연주자들은 스스로를 표현할 새로운 방식을 끊임없이 모색했고 포크 음악의 정의 자체에 도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포크 씬은 포크 뮤지션으로서 무대에 서고자 하는 모든 이들을 포용했다. This is the third in a series of three articles dealing with folk music and the various means by which the genre has been perpetuated. The first article explicated the breadth of definitions and parameters of the term “folk music” as used by both scholars and performers. The second article explored more deeply two distinct folk music scenes in New York City in the mid-1990s, namely Fast Folk and the Anti-Folk. This article is a continuation of both, with an emphasis on the ways in which issues of identity and authenticity were promulgated through open stage performances and song at the Fast Folk Cafe and The Fort, the respective performance venues of the above mentioned groups. Whether directly related to the folk music of the past or not, scenes that people labeled as “folk” were vibrant in the 1990s in the West and East Villages. Although there is only a weak, invisible barrier between those two parts of the City few ever crossed the line. On the West Side folk music remained melodic, and the performers relatively placid. In the East Village the performers constantly vied for new ways to express themselves and were ever challenging the face of folk. But together, the venues and the scenes encompassed all who desired to enter the stage as a folk musician.

      • SSCISCOPUSKCI등재

        The Performance of Virtue and the Loss of Female Individuality in Chosŏn Korea

        Heather A. Willoughby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1 Asian Women Vol.27 No.2

        The Tale of Ch’unhyang is perhaps Korea’s most well known and oft repeated folk story. Originating in the middle of the Chos?n dynasty, it has persisted in various forms for nearly four hundred years in part because it is replete with moral lessons, including notions of filial devotion, obedience, and faithfulness; but none is as enduring and fundamental to the plot as the concept of womanly virtue. This paper will provide a feminist reading of the story to articulate the mandates of Chos?n Confucian society on women. We argue that the Tale of Ch’unhyang reveals that the price of fulfilling the Confucian ideal of womanhood lies in the sublimation of female self and in the loss of individuality. Taking a historical approach, the paper contextualizes the Confucian ideals of female virtue, discusses performative acts of gender, and analyzes the ways in which the traditional narrative art of p’ansori continually rearticulates historical norms of those ideals. It concludes with an extended feminist reading of particular p’ansori versions of the tale.

      • KCI등재후보

        The Globalization of Sound and Identity: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World

        WILLOUGHBY, HEATHER 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and Cooperation, 2009 Asian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Vol.10 No.2

        A systematic preservation and promotion system of Korean cultural heritage was established through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Since 1962, the government has promulgated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out the world for entertainment purposes as well as a form of soft power. However, although successful in terms of introducing music to a broader, global audience, the underlying intention of such performances was to build an internal sense of nationalism. This article briefly reviews the establishment of the CPPL, its correlation to nationalism and the ambition of wielding soft power through global performanc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t further provides two examples of performances aimed at foreign audiences and offers suggestions for the increased effectiveness of future performances abroad.

      • KCI등재

        Reviving Questions of Authenticity (I) : The Case of American Folk Musician Gillian Welch

        Heather A. Willoughby 한국국악학회 2010 한국음악연구 Vol.47 No.-

        과거 혹은 현대의 포크 음악(folk music)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어떤 식으로든 진정성(authenticity)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 장르의 특징을 직접적으로든 무심코든 설명하려는 시도를 발견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포크 음악과 포크 음악에서 파생된 컨트리(country)와 블루그래스(bluegrass)와 관련된 학계에서는 과연 ‘진정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를 놓고 오랫동안 논쟁을 벌여왔다. 오늘날 이 담론은 비단 학계뿐 아니라 마케팅과 소비자중심주의(consumerism)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본고는 포크 음악의 개념을 정의하고 특징을 분석한 기존의 연구를 간략하게 검토하고, ‘만들어진 전통(invented tradition)’이라는 문제도 논의하고자 한다. 이어서 ‘진정성 있는’ 음악가로 평가 받은 여러 음악가들의 커리어와 음악 스타일을, 삶과 음악 모두가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킨 한 여성, 질리안 웰치의 삶과 음악과 비교하고 분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질리안 웰치가 가사, 선율, 시각적 연출 면에서 진정성을 확립하기 위해 어떤 시도를 했는지 알아보려 한다. Most analyses of historical or contemporary folk music, at one level address issues of authenticity, directly or indirectly. Having studied and written about Korean music for more than a decade now, I find that whether researching traditional or newly created (changjak) pansori, traditional or fusion gugak, or the globalization of sound and identity, a consistent underlying question is that of “what is authentic Korean music?” With the recent trend among many traditional Korean musicians to experiment with instrumentation, harmonization, and presentation of gugak for contemporary audiences, this topic takes on an even deeper, more profound meaning. My point has never been to dismiss that which is may be deemed by some as “inauthentic,” but rather to questions the very labels, categorizations, and presumptions that accompany the concept of authenticity.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my interest in a so-called "authentic" sound, presentation and experience of Korean music, I propose a two-part article. Here, I wish to address the issue of authenticity not directly in Korean music, but as I was first confronted with the idea some fifteen years ago while concentrating my studieson contemporary American folk music. The reason for doing so is that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as well, this is a highly contestable subject that has been bitterly debated for nearly a hundred years; as such there is a great deal of relevant research and writing that can be referenced. Building on this foundation, I will subsequently present a second article that will turn the lens of authenticity onto the subject of contemporary Korean folk music performances. In order to best understand the issue of authenticity as it relates to folk music, however, we must first begin with an even more basic question, at least as it applies to the American folk scene.

      • KCI등재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며 -창작 판소리에 나타난 한국의 정체성

        헤더윌로비 ( Heather A. Willoughby ) 한국음악학학회 2010 음악학 Vol.18 No.1

        한국은 이전부터 존재하던 풍부한 전통문화 위에 다른 나라에서 받아들인 문화가 아로새겨진, 문화의 교차로로서 오랫동안 잘 알려져 왔다. 한국은 외세의 침략에도 자국의 문화를 굳건히 지켜낸 점을 자랑스럽게 여기면서도, 이웃나라의 여러 문화 또한 적극적으로 수용해 왔다. 이렇듯 한국은 전통을 보존하는 한편, 시대적 요구를 담아내기 위해 노력하면서 계속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왔다. 한국의 전통 음악 공연 형태를 보면, 과거와 현재의 정체성을 어떻게 조화롭게 풀어내는지 엿볼 수 있다. 본고는 창작 판소리의 다양한 공연양상과 청중의 반응을 고찰하고자 한다. 오늘날 공연되고 있는 창작 판소리의 형태는 여러 가지지만, 일반적으로 공연 스타일에 따라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전통 판소리를 새로운 스타일로 공연하는 ``다섯 마당``이고, 둘째는 완전히 새로운 장르인 이야기다. 전통 판소리가 북으로만 장단을 맞춰 창(唱)을 하는 반면, ``다섯 마당``에서는 소리꾼이 한국 전통 악기나 서양 악기의 독주, 한국 전통 기악 합주, 서양 오케스트라, 재즈 밴드 등의 반주에 맞춰서 소리를 하기 때문에, 전통 판소리와 차별화된 새로운 스타일로 간주된다. 이야기의 경우, 대체로 창자(唱者)는 오로지 북 장단에 맞춰 창(唱)을 하지만, 북 장단에서 변주가 나타나는 점이 전통 판소리와는 다르다. 본고는 창작 판소리 작품 네 편을 살펴봄으로써,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해나가는 판소리의 공연 형태와 소리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작품 네 편을 창작 판소리의 대표작이라고 보기는 어렵겠지만, 이 작품들의 양식적 특성과 이 작품들이 공연되는 수행적 특질들을 고찰함으로써 창작 판소리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가 한국의 정체성이라는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창작 판소리에 사용된 가사(歌詞), 소리, 공연 장소, 의상, 발림을 비교함으로써 전통 예술이 젊은 관객의 기호에 맞추기 위해서 어떤 방식으로 재창출되어 왔는지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판소리 자체가 외국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동시에 새롭게 표현되는 한국의 이미지를 세계에 선보이는 과정에서, 세계화 시대에 어떻게 발맞춰나가고 있는지도 알아 보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four contemporary p`ansori pieces as a means of elucidating the continuing and changing performance practices and sounds of the genre. These performances are not necessarily representative of all newly-created pieces (ch `angjak p `ansori ), but by observing certain stylistic and performative qualities we will be able to learn something about the way the genre is changing and what the changes might mean in terms of Korean identity. Thus, by comparing texts, sound aesthetics, performance space, costuming, and physical gestures used in contemporary p `ansori performances, we will be able to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a traditional art form is being re-invented to appeal to young audiences. Additionally, we will observe how p`ansori itself is dealing with an era of globalization as the genre absorbs influences from the outside and conversely presents a rearticulated image of Korea to the world.

      • SSCISCOPUSKCI등재

        Under the covers : Image and imagination in Korean popular music albums

        Heather A. WILLOUGHBY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2015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Vol.21 No.4

        Although in-depth research on the topic is relatively rare, music and musical performances should not only be considered to be aural phenomena, but visual ones as well. This paper investigates one specific form of visuality and what can be learned about Korean culture by observing and analyzing album covers of popular female performers from the 1920s to the 1960s, including photographs, art work, and portraiture of the singers. Conclusions can be drawn about the changing society of the time, and the role that music—or more specifically musicians, producers, and the record companies who created the albums and album jackets—played in helping to solidify the notion of modernity in Korea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the inextricable position of women in striking a balanc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본 주제에 대한 깊은 연구는 이제까지 별로 나온 것이 없다 할지라도, 음악과 연주를 단지 청각적으로만 들을 것이 아니라 시각적인 각도에서도 감상을 해야 한다. 본 논문은 눈으로 보는 특정한 형태에 대해 연구하고 1920년대서부터 1960년대까지 여성 대중 가수들의 앨범커버에 나타나는 사진, 예술적 표현, 가수의 인물 묘사법을 포함한 그 시대의 한국의 문화에 대해 고찰하고 분석해 봄으로서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의 음악의 역할에 대해 결론을 낼 수 있다. 좀더 정확하게 말을 하자면, 앨범과 앨범 자켓을 만들어 낸 음악가, 프로듀서, 및 음반 회사들이 20세기 초반 반 세기 동안 한국에서의 현대화를 고착시키는데 있어서 어떻게 도움을 주었는지, 전통과 현대 간의 현저한 차이의 균형을 맞추는데 불가분한 여성의 지위가 어떠했는지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