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과 후 음악활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에 미치는 영향

        홍은숙 ( Eun Suk Hong ),김의정 ( Ui Jung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방과 후 음악활동이 일반학교에 통합된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적 시작행동 및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일반 초등학교의 2, 4, 6학년에 재학 중인 3명의 지적장애 여학생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실시한 중재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단일대상 연구 설계법의 하나인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재가 실시되자 모든 참여 아동들의 사회적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이 기초선1에 비하여 상당히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재를 철회하고 기초선2로 돌아가자 모든 참여 아동들의 사회적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이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안된 방과 후 음악활동이 초등학교 지적장애 아동들의 사회적 시작행동 및 반응행동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을 위해 구안된 음악활동이 다양한 교육장면에서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intervention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fter-school music activities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MR). In this study, three female students with MR attending 2nd, 4th, 6th grades in a general elementary school were participated. To investigate the intervention effectiveness, a multiple probe design, A-B-A design was employed. Results indicated that all participants` social initiation behavior and response behavior increased compared to baseline1 up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vention. However, their social initiation behavior and response behavior de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was discontinued and returned to baseline2. The findings provided evidence that the after-school music activities was effective in teaching social initiation behavior as well as social response behavior.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music activities designed to improve social interactions can be used to improve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MR in various educational settings.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 평가지표 타당화 연구

        홍은숙 ( Eun Suk Hong ),박경옥 ( Kyoung Ock Park ),오세철 ( Se Cheol Oh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3

        이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전국 수준의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평가문항을 구성하고, 두 차례에 거쳐 전문가 내용 타당도를 거쳐 13개 영역 70문항의 예비 평가지표를 마련하였고, 전국의 98개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담인력 242명으로부터 평가지표로서의 중요도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 응답을 받았다. 그리고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화한 결과, 최종적으로 유관기관 연계·협력(14문항), 장애 영·유아 교육지원(10문항), 상담 및 가족지원(8문항), 진로 및 직업교육지원(5문항), 대상학생 순회교육 지원(4문항), 보조공학기기 지원(4문항), 진단 및 평가(7문항), 치료서비스지원(4문항),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인적·물적 기반(4문항), 통합교육 지원(4문항)의 10개요인 64문항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지표를 토대로 각 지역 센터는 운영현황을 점검하여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보완할 수 있는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evaluation index o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o do so, this study analyzed documents related to the legislation, policies and the precedence studies, researchers constructed 70 preliminary item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e preliminary items were validated through items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we found out 10 areas and 64 items: linking and cooperation with related public institutes(14 items), educational support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10 items), consultation and family supports(8 items), supporting vocational course and job education(5 items), supporting itinerant education for person subject to special education(4 items), supporting various teaching tools and learning assisting equipments(4 items), diagnosis and evaluation(7 items), supporting therapeutic service(4 items), human and environmental(physical) bas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4 items),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4 items). So, each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ould check and supplement current state of affairs more systematically, using this evaluation scale o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로 및 직업교육과 평생교육에 대한 운영현황 및 지원요구

        홍은숙 ( Eun Suk Hong ),유장순 ( Jang Soon Yoo ),박경옥 ( Kyoung Ock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1

        이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로 및 직업교육과 평생교육의 운영 현황과 지역규모별 차이를 분석해 보고,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해 발전적 지원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고찰과 설문조사 및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전국의 98개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담인력 242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의 특수교육 지원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 및 직업교육과 평생교육은 보통 이하였고, 진로 및 직업교육에서는 광역도시가 중소도시나 농산어촌보다 운영이 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생교육에서는 지역규모간의 차이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및 직업교육에서는 전문 인력 배치 미비, 수요자의 실질적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미흡,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연계 부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및 직업교육 및 평생교육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향후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recommendations of developmental support needs through FGI by examining the current nationwide status and local discrepancy of career & vocational education / continuing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ecuted lots of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also surveyed 242 specialized staffs who were in charge of 98 nationwid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rough FGI and questionnai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is less than average to manage career & vocational education/continuing education of nationwid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carrier vocational education, wide districts(urban) have more operative than medium/small districts and farming/fishing villages. In continuing education, there is no local difference between the scale of districts. 2) For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in career & vocational education, There were lack of placement of specialized staffs and less diversity of programs on reflecting substantial needs for students and parents, insufficient connection between related agency and local commun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promotion plan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n career & vocational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 KCI등재

        장애아 가족의 여가 욕구 및 가족힐링센터에 대한 요구

        홍은숙(Eun Suk Hong)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아 가족의 여가실태와 욕구 및 장애아 가족의 여가활동을 위한 가족힐링센터 요구를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19세 이하 장애자녀를 둔 부모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부모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담 자료는 질적 분석을, 설문조사 자료는 다중응답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가족은 적어도 한 달에 1회 이상 가족 여가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가족의 여가를 제약하는 주된 이유는 장애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공간과 시설의 부족, 장애자녀 돌봄에 대한 부담, 사회적 이해의 부족에 있었다. 둘째, 가족들은 관련기관에서 주관하는 장애아 가족캠프, 장애아 가족을 위한 여가시설에서의 휴식, 영화/뮤지컬 관람, 야외 음악회 공연감상, 산책 그리고 실내 놀이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아 가족의 욕구를 반영한 장애인 가족힐링센터의 필요성과 기대하는 사항들이 위치, 시설, 프로그램 유형, 프로그램 대상, 센터 역할, 이용 우선순위, 상주인력 측면에서 제시되었다. 결론: 현재 장애아 가족의 여가활동에 대한 질적인 면을 고려했을 때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지속가능한 여가활동 프로그램과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복합 여가시설이 필요하겠다. 이에 대한 연구와 함께 제도적 차원에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leisure activities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desires and demands for family healing centers. Method: Fiv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nder 19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and 102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interview data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survey data using SPSS 22.0. Result: First, most families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ies at least once a month, and the major restrictions for such activities were the lack of space and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burden of caring for such children, and a lack of social understanding. Second, the families confirmed preference for family camps organized by institutions focusing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itable leisure facilities, watching movies. musicals. or outdoor concerts, taking walks, and indoor play activities. Third, the need and expect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 family healing center, which well reflects the desires of such families, were specifically presented in terms of location, facilities, program types, program targets, center roles, priority for use, and resident personnel. Conclusion: Considering the quality of leisure activities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mplex leisure facilities are required to satisfy their needs and provide sustainable leisure activities, programs, and environments. Along with research, cooperation from national and local organizations is further required on an institutional level.

      • KCI등재

        장애아동 아버지 자조모임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에 대한 연구

        홍은숙(Hong Eun-Suk),오세철(Oh Sei-Cheol) 한국통합교육학회 2019 통합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아버지 자조모임을 결성하고, 실행하고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향후 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 자조모임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우선 아버지와 자녀가 함께 하는‘아빠와 추억만들기’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실행하였다. 24명의 아버지들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자조모임을 결성하고 운영하게 되었다. 자조모임 운영 6개월 후에 여섯 명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집단 면담을 2회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을 통해 자조모임 전의 자신의 삶, 자조모임을 경험하면서 변화된 가족의 삶, 자조모임에 대한 기대의 3개 대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들은 자조모임을 원하고 있었지만 기회가 없어서 매우 소극적인 삶을 살아왔다. 둘째, 자조모임을 통해 아버지와 장애 자녀의 관계가 매우 긍정적으로 변하였다. 셋째, 자조모임의 구축과 초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회적 지원이 요구되었다. 넷째, 아버지들 스스로가 프로그램을 결정하고 실행함으로써 만족감과 자신감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how to implement a self-help group of fa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by forming, implementing and supporting a self-help group of fathers with disabilities. First of all, we planned and executed a program called ‘Making Memories with Da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Twenty-four fath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o form and run a self-help group. Six months after the meeting, six fathers were interviewed twic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ree large categories of expectations for self-help group, life of changed families, and self-help group were derived as they experienced self-help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thers wanted to be self-help groups, but they didn t have a chance. Second, through self-help group, relationships with children have become very positive. Third, social support was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self-help groups and initial revitalization. Fourth, the father was able to enhance satisfaction and confidence by deciding and implementing the program on his own. Finally, he suggested follow-up research.

      • KCI등재후보

        하고초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은숙 ( Eun Suk Hong ),안기웅 ( Gi Woong Ahn ),조병기 ( Byoung Kee Jo ) 대한화장품학회 2008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에서는 하고초(Prunella vulgaris)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험 결과, 하고초 추출물의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는 250 μg/mL 농도에서 75.7 %, MMP-1 생성 억제 효과는 200 μg/mL 농도에서 90.2 %로 나타났고, 엘라스테이즈 활성 억제 효과는 2.0 % 농도에서 43.7 %로 나타났다. 또한, 하고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측정을 위한 자유 라티칼 소거 효과 시험 결과 2.0 % 농도에서 76.9 %의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 효과는 2.0 % 농도에서 49.9 %로 나타났다. 하고초 추출물의 피부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2명(연령분포 : 34세 ∼ 48세)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중 맹검 임상 연구 결과, 하고초 추출물 4.0 % 함유 제형을 12주간 도포하였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전문가의 육안평가, 모사판을 제작하여 주름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주름 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 < 0.05).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하고초 추출물은 피부의 탄력과 주름을 효과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천연 항노화 소재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potential anti-aging properties of Prunella vulgaris extract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our results, Prunella vulgaris extract increased collagen synthesis (74.7 % at 250 μg/mL) and decreased on MMP-1 synthesis (90.2 % at 200 μg/mL) and elastase activity (43.7 % at 2.0 %). Furthermore, it also show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76.9 % at 2.0 %) and reduced H<sub>2</sub>O<sub>2</sub>-induced cytoxicity (49.9 % at 2.0 %). A double-blind clinic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unella vulgaris extract on the skin's surface was conducted with 22 healthy volunteers, aged 34 to 48 years. The volunteers applied a cream formula with 4.0 % of Prunella vulgaris extract, or placebo cream, on each crow’s feet twice a day for 12 weeks. Skin wrinkles were evaluated with the naked eye and instrumental image analysis of silicone replicas, followed by statistical analysis. Twelve weeks after application of cream formula with 4.0 % of Prunella vulgaris extract, we found significant improvement of facial wrinkle. Moreover, silicone replica analysis confirmed notable improvement in average of R2 and R3 at 12 weeks (p < 0.05).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runella vulgaris provides a remarkable and significant tensor and anti-wrinkle effect on the skin, which could be of great use in anti-aging skin care produc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