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A 라우팅 기반의 개선된 멀티캐스트 제공 방안

        김인경(In-Kyeong Kim),하정락(Jeong-Lak Ha),현은희(Eun-Hee Hyun),김상하(Sang-Ha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Ⅲ

        IETF Mobile IP는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IP 멀티캐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HA 기반 라우팅과 FA 기반 라우팅을 간략히 언급하고 있다. FA 기반 라우팅의 경우, 단말기 이동 시 멀티캐스트 트리를 재구성하는 오버헤드가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반연, HA 기반 라우팅의 경우, 단말기 이동시 경로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멀티캐스트 트리 수정에 대한 오버헤드가 존재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망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HA 기반 라우팅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HA 기반 라우팅 방법에서 가장 큰 장애 요소는 터널링 집중화 현상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Mobile Multicast(MOM) 등에서 정성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프로토콜이 없으며 모든 HA들이 관여하는 복잡도로 인해 실제로 망에 배치되는 데 한계성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Mobile IP 메시지의 간단한 확장과 FA에 멀티캐스팅을 위한 기능을 첨가하여, 터널링 집중화 현상을 해결하는 프로토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되는 프로토콜은 현재의 모든 IP 멀티캐스트를 수용하고, Mobile IP와의 호환성을 유지한다.

      • SCISCIESCOPUS

        Interaction betwee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Val66Met Polymorphism and Recent Negative Stressor in Harm Avoidance

        Kim, Seog Ju,Cho, Seong-Jin,Jang, Ha Min,Shin, Jonghan,Park, Pil-Whan,Lee, Yu Jin,Cho, In Hee,Choi, Jung-Eun,Lee, Heon-Jeong S. Karger AG 2009 Neuropsychobiology Vol.61 No.1

        <P>There have been controversial results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Val66Met polymorphism and anxiety-related traits such as harm avoidance (HA). We aimed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I>BDNF</I> Val66Met polymorphism and negative life stressors in HA. <I>BDNF</I> Val66Met polymorphism was genotyped in 391 community-dwelling Koreans (152 males, 239 females; 43.2 ± 14.1 years old).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for Depression Scale (CES-D) were self applied.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axis I disorders and face-to-face interviews investigating negative life stressors within the last 6 months were also perform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CI score, major depressive disorder prevalence and CES-D score among the 3 genotypes (94 Met/Met, 188 Val/Met and 109 Val/Val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CI scores between subjects with stressors and those without stressors, while more common major depressive episodes (p = 0.03) and higher CES-D scores (p < 0.001) were found in subjects with stressor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I>BDNF</I> genotype and negative life stressors in HA (p = 0.02). Only subjects with the Val/Val genotype showed higher HA with recent negative stressors. Our finding suggests that <I>BDNF</I> Val66Met polymorphism might influence HA by interacting with recent negative stress experience.</P><P>Copyright © 2009 S. Karger AG, Basel</P>

      • 이동 환경에서 멀티캐스트 적용 방안

        홍형섭(Hyung-Seop Hong),하정락(Jeoung-Lak Ha),현은희(Eun-Hee Hyun),김상하(Sang-Ha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Ⅲ

        Mobile IP(MIP)[1] Working Group에서 제안하고 있는 멀티캐스트 적용 방안에는 크게 HA기반 라우팅과 FA기반 라우팅으로 구분된다. HA기반 라우팅 방법은 멀티캐스트 패킷을 HA에서 터널링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경로의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터널 집중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FA기반 라우팅 방법은 이동 호스트의 핸드오프가 일어날 때마다 멀티캐스트 트리의 재구성이 필요하므로 많은 오버헤드가 발생하지만 경로 최적화는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은 HA기반 라우팅과 FA기반 라우팅 방안을 절충한 새로운 멀티캐스트 제공 방안을 제안한다. MH의 이동이 빈번한 마이크로 레벨에서는 HA기반 라우팅을 이용하고, MH의 이동 거리가 큰 매크로 레벨에서는 경로 최적화를 위하여 새로운 멀티캐스트 트리를 재구성함으로써 보다 효율적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가능한 메커니즘의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 보건관리자 직무평가도구의 개발

        하은희,박혜숙,김영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200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6 No.2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ver effective worksite health management by specifying job of occupational physician, occupational nurse, occupational hygienist and making job reference manual and health performance audit. Therefore, We can contribute to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of workers by enhancing quality of worksite health management. Method : The methodology of making performance audit is comprised of developing audit questions and weighting the questions. Measures are made by scoring the values. The question-naires were grouped by the categories and sections. This occupational audit was distributed to the health personnel of 350 workplaces by mail. The self-administered results were returned and analyzed, Results : We plot the field of occupational health service by basic policy, preventive health service, health care, administration, and other services. We gave the weight A on the primary job, B on the supplementary job, and C on the minor job. This weight was made through the delphi procedures where 30 specialists joined. Basic policy got score of 16.1% preventive health service got 36.5%, health care 20.4%, administration 10.9%, and other services 10.1%. Further weightings on the questionnaire sections were made through the survey on specialists and final weighting on each questionnaire was made by making formula considering weights of each stage. The audit was composed of 96 questions which has dichotomos scales and full score was 1,000. Person-nels from 80 workplaces (23%) replied the audit and the scores of physicians, nurses, and hygienists were 608.6, 587.1 and 535.4, respectively, all a little higher than 500. Discussion : The health performance audit can be used by the sorksite health personnels providing health service. However, this work would not be complete without further comprehe-sion and application in the real settings.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 보건과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업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산업보건관리직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잇는 사업장 보건관리직무 평가항목과 평가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평가항목은 산업보건서비스의 내용별로 대항목, 소항목,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였다.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실제 사업장에서의 직무활동을 평가하여 평가의 기준을 현실에 맞게 설정하고자 위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평가도구를 350개 사업장의 보건관리자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산업간호사와 산업위생관리기사의 경우 한국산업안전공단 안전교육원에서 실시하는 보수교육자 이수자명단을 이용하였으며 설문실시기간은 1996년 7월 24일부터 8월 24일가지로 하여 우편설문의 형식을 취하였다. 결과: 1차 설문조사결과 산업보건의사, 산업간호사, 산업위생관리기사의 평균점수를 보면 기본방침 14.5%, 예방보건 서비스 39.0%, 치료서비스 18.0%, 관리 및 행정서비스 17.2%, 기타서비스 10.3%로 예방보건서비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 결과를 다시 1차 설문에 응하여준 응답자에게 통보하고 2차 Delphi를 시행한 결과 기본방침 16.1%, 예방보건서비스 36.5%, 치료서비스 20.4%, 관리 및 행정서비스 16.9%, 기타서비스 10.1%로 예방보건 서비스의 점수는 다소 낮아지고 기본방침과 치료서비스의 점수가 올라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산업보건학계, 대행기관, 사업장 실무 인력인 산업보건의사 10인, 산업간호사 10인, 산업위생관리기사 10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대항목 각각을 100%로 하였을 때의 소항목의 점수(백분율)를 구하였다. 기본방침 중에서는 기본방침의 설정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예방보건서비스중에서는 건강상담 및 보건교육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치료서비스 중에서는 환자치료가 관리 및 행정 서비스에서는 기록 및 보고가 높은 점수를 보였다. 우편설문을 보낸 350개 사업장중 85개 사업장, 110명의 보건관리자에서 직무평가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응답사업장 보건관리자들의 직종별 인원수는 의사 41명, 간호사 78명, 산업위생관리기사 24명, 환경관리기사 65명, 기타 2명으로 산업위생관리기사 대신 환경관리기사를 채용한 사업장이 많았다. 응답사업장의 업종은 대부분이 제조업이었으나 매우 다양하였고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이 38.5%, 300~999인 사업장이 32.5%, 1000인 이상이 28.8%었다. 결론: 본 평가도구가 개발목적에 부합되기 위해서는 사업장에 실제로 적용하여 사업장에서 실제 사용해 보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장 규모별, 업종별로 내용을 분석하여 직무를 평가함으로써 문제를 파악하고 특히 보건관리 인력을 얼마만큼 투입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보건관리자의 직무 즉, 사업장내 산업보건서비스를 올바로 수행하기 위한 보건관리자의 교육훈련제도지에 대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우리 나라 보건관리대행서비스 평가 연구

        하은희,조수헌,김선민,주영수,한상환,하미나,권호장,홍윤철,김창엽 大韓産業醫學會 1998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0 No.1

        Group occupational health service programme started in 1990 is one of the measures to cope with limited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in occupational health. The programme has expanded rapidly to include 52 institutions, private as well as public, all over the country. In spite of its potential impact on health of employees and practice of occupational health in small and medium sized industries, comprehensive evaluation in terms of quality has not been tried. This study has aims to develop the criteria to assess the quality of newly developed group occupational health service programme, and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institutions, and finally to develop policie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1) Criteria development : By defining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in particular for small and medium sized industries, as one of the primary health care, followings are included as core elements of qualitative occupational health programme; accessibility, continuity, comprehensiveness, technical quality, intersectoral collaboration, emphasis on preventive service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adequacy. Again each element is divided into five major components of national health system infrastructure develop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evelopment of health resources, organized arrangement of resources, delivery of health care, economic support, and management. In turn, each component is categorized into three aspects of quality assessment,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Expert panel selected several criteria for each category to evaluate the programme. Criteria were modified according to each group of interviewees, to produce two sets of questionnaire, one for chief operating officer and another for nurses in the institutions, and the chief operating officer and workers in the workplace. 2) Subject : Of all 52 institutions, 25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urvey. At individual institution, chief operating officer and practicing nurses were interviewed in depth. After intensive education for interviewees, every interviewees, every interview was performed with standardized guideline and questionnaire. The quality of the 'Group occupational health service programme' was found to be lower than expected. Especially in continuity, comprehensiveness, technical quality, community participation and adequacy, lower quality in structural aspect was commonly identified throughout all the institutions,. Quality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continuity highly varied among institutions., To improve quality of the programme,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rogramme such as accreditation has to be introduced. In addition, human resources, governmental fund and information systems for individual workers are to be developed. As a long range plan, integration of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into the national health systems and pooling of financial resources and planned allocation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건강증진학교 모형개발 : Based on Health Center of University 대형 보건소 활동을 중심으로

        하은희,조희숙,윤영옥,강명근 韓國學校保健學會 2001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14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ealth-promoting program centered on the university-health center and to provide a developed program for students and facultie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f 719 female students and 238 faculties concerning their health-promoting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developed programs that could be applied to students and faculties. After operating the programs, we developed further models by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Conclusions: We selected a comprehensive health-promoting program that included weight control, preventive inoculation, sex education and control of disease based on repsective needs. We also applied programs develop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departments from September 1998 to August, 1999. Users of the preventive inoculation-program increased by one point five during the year. Also, participa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weight control program and succeeded in reducing weight We hope that we can set up this program and expand it by developing various other projects in Korea. Key Words: Modeling, Health-Promoting School, Health Center of University

      • 부천집단의 타액내 Salivary acidic protein(Pa)의 다형현상에 대한 연구

        이하규,이경은,이주희,이희천 가톨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3 자연과학논문집 Vol.24 No.-

        한국인 집단의 타액 내 Salivary acidic protein의 다형현상과 유전자 빈도를 조사하기 위해 부천지역 초등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해서 Alkaline slab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을 실시해본 결과 Pa(+)와 Pb(-) 두 종류의 표현형질이 나타났으며, Pa(+)표현형은 44명 (32.59%), Pa(-)표현형은 91명(67.41%)로 나타나 이들의 유전자 빈도를 산출해 보니 Pa+=0.179, Pa-=0.821가 되었다. The polymorphism of phenotypes and allele frequencies of salivary acidic protein were studied on some unrelated individual of Buche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Kerea. Two phenotypes were observed : Pa(+) and Pa(-). The gene frequencies were as follows ; Pa+=0.179, Pa-=0.821

      • 소규모사업장 보건관리기술지원사업 지원여부에 따른 사업장내 의사소통 비교

        정최경희,박혜숙,김정연,이경용,현성민,오지영,김수근,김현주,하은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200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6 No.2

        목적: 소규모사업장 보건관리기술지원사업 지원여부에 따라 사업장내 위험의사소통채널이 마련되었는지와 이 채널이 기능을 하는지, 그리고 의사소통채널마련과 사업장내 위험의사소통 활성화의 기본적이고 중요한 배경이 되는 사업주의 산업보건에 대한 관심이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안산, 대전, 광주, 포항 지역에서 보건관리기술지원사업을 받은 사업장과 받지 않은 사업장을 대상으로 비례층화무작위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1991년 12월 6일부터 10일간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은 각 사업장의 남녀 각 1명, 보건업무담당자, 사업주였으며, 설문내용은 사업장 및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및 사업장내 위험의사소통이었다. 설문에 응답이 온 463개 사업장의 자료를 자료처리하여 총 228개 사업장(단해년도지원 사업장 189개, 연속2년지원 사업장 13개, 비지원사업장 26개)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사업장내 의사소통에 대한 단변량분석에서는 보건업무 담당자의 선정여부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규모사업장 보건관리기술지원사업을 지원받지 않은 사업장과 지원받은 사업장의 사업장내 위험의사소통을 비교하기 위한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나 사업주의 관심(OR ; 1.63, 95% CI ; 0.38~7.01)과 보건업무담당자의 선정(OR ; 3.67, 95% CI ; 1.00~13.44) 및 결정권한(OR ; 1.48, 95% CI ; 0.25~8.91), 사업주의 산업보건문제 소통(OR ; 3.07, 95% CI ; 0.81~11.71), 보건업무담당자의 정보요청경험(OR; 4.48, 95% CI ; 0.97~20.57)에서는 지원받지 않은 사업장에 비해 지원받은 사업장에서 교차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반면 노동자의 산업보건문제 소통가능성여부는 오히려 교차비가 0.53(95% CI ; 0.11~2.44)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결론: 소규모사업장 보건관리기술지원사업을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평가해보면, 사업주나 보건업무담당자에게는 다소 효과가 있었지만 노동자가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문화를 바꾸어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개선을 위해서는 노동자 중심의 접근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funded subsidized occupational health program for small-scale enterprises(GSOHP_SSE) by occupational health com-munication in workplace. Methods : We sampled the 1,835 enterprises of study by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among industries of supported and not supported by GSOHP_SSE in Seoul, Ansan, Daejeon, Kwang-joo and Pohang. Information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s and respondants and occupational health communication in the workplace was collected on self-reported questionnaires by post-survey between December 6 and 15 in 2001. We received answers from 463 enterprises and analyzed 228 enterprises through data-cleaning by logistic regression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GSOHP-SSE about occupational health communication in the workplace. Results :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GSOHP_SSE turned out no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 all dependent variables about occupational health communication in the work-place. The concern of owner(odds ratio (below OR) ; 1.63, 95% confidence interval(below 95% CI) ; 0.38-7.01), formation(OR ; 3.67, 95% CI ; 1.00-13.44) and empowerment(OR ; 1.48, 95% CI ; 0.25-8.91) of health manager, request about occupational health problem of health manager(OR ;4.48, 95% CI ; 0.97-20.57) and occupational health communication of owner (OR ; 3.07, 95% CI ; 0.81-11.71) had the trend increasing OR in the industries supported GS-OHP_SSE relative to the industries not supported. But in recognition of possibility on occupational health communication of laborers, OR of GSOHP_SSE was decreased in 0.53(95% CI ; 0.11-2.44).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 GSOHP_SSE was some effective to the side of employer and health manager, but had a limitation about change of communication culture useful to the laborers. We suggested the laborer-centered health training programs or the empowerment-based health training programs for effective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in the workplace.

      • KCI등재

        수행 평가 도구를 이용한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수 전략 개발 : 과학 3의 물질의 구성 Composition of Matter Section in Science 3

        강순희,김지영,박은미,이윤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5 교과교육학연구 Vol.9 No.2

        제7차 교육 과정의 과학 교과에 대한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 전략을 개발하여 현장 과학 교사들에게 구체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수업 운영 형태는 동일 학급 내 교과 수준별 분단 편성이며, 연구된 구체적인 단원은 중학교 과학 3의 ‘물질의 구성’ 단원으로 총 17차시가 소요된다. 먼저 현실적으로 중등 과학 교육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과학과 수준별 교육 과정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둘째, ‘물질의 구성’ 단원에 대하여 차시 수업의 목표로 사용 가능한 구체적인 성취 기준을 지식, 탐구, 태도 영역으로 개발하였다. 셋째, 앞에서 개발한 성취 수준의 도달 정도를 판별하는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이 성취 수준과 평가 기준을 토대로 하여 동일 학급 내 과학 교과 수준별 분단 편성을 위한 진단 평가 도구들을 개발하였다. 넷째, 이 진단 평가 도구에 의하여 학생들을 수준별 소집단 분단으로 분류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동일 학급 내 수준별 분단에 사용할 수 있는 보충 활동지를 개발하였으며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strategy for differentiated curricular by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instructions about junior high school science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ar Revision. The ability grouping for differentiated curricular in this study was within class ability grouping in same year. The composition of matter in junior high school science 3 was selected for this study and analyzed to develope the detail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of school class level for science teacher. Based on those detail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of school class level, the concept clusters of the composition of matter section was classified. The diagnostic evaluation which was the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according to the concept clusters was developed to classify for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groups. Also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about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groups in science class was suggested in details. Finall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supplementary groups according to the concept clusters were developed about the composition of matter section in science 3 at junior high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