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ON QUOTIENT DIFFERENCE ALGEBRAS VIA FUZZY IDEALS

        Roh, Eun-Hwan 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科學敎育硏究 Vol.26 No.-

        1914년 Hallsdorff는 poset과 군을 결합하여 새로운 대수 구조인 순서군(ordered group)을 만들었다. Meng은 1992년 Hausdorff의 아이디어를 poset과 BCK-대수에 응용하여 difference 대수로 명명하고 difference 대수는 순서군, BCK-대수 그리고 BCI-대수의 일반화이고 가환군과 동치가될 필요충분조건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그동안 difference 대수는 수학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그 이유 중 하나는 difference 대수의 공리가 서로 독립적이라는 예를 찾을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최근 Roh등은 difference 대수의 공리가 서로 독립적이라는 것를 보이고([RJKS1])이 분야에 대해 활발한 연구를 하고 있다. 한편, 1965년 Zadeh교수는 퍼지집합을 소개하였고 퍼지집합은 공학, 의학, 화학, 수학 등에 적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생활과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 형태로 그 응용력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ifference대수에 퍼지 개념을 접목시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퍼지 아이디얼을 이용하여 상(quotient) difference 대수를 만들었다. 둘째, 퍼지 준동형 기본 정리를 증명하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준동형 기본 정리와 제 1 동형 정리를 얻었다. We introduce the concept of a fuzzy ideal in a difference algebra X. Next, we give a construction of a quotient difference algebra X/μ by a fuzzy ideal μ in X and the fuzzy homomorphism fundamental theorem.

      • 지진이 아동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에 관한 문헌 고찰

        노은선,유미숙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2018 兒童硏究 Vol.30 No.1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는 인간이 통제하기 어렵고 불가항력적이기 때문에 피해자는 더 큰 정신적 충격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성인에 비해 인지, 정서, 사회적 발달이 미숙한 아동의 경우 성인보다 자연 재해로 인한 심리적인 손상이 더 클 수 있다. 또한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는 발생하는 시점에서부터 시간이 흐른 후에도 지속적으로 피해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지진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가 미치는 심리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거의 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 재해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자연 재해가 미치는 일반적인 심리적인 영향과 아동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외국의 사례연구를 고찰함으로써 현재 우리나라에서 지진이 발생한 지역의 아동의 피해규모와 아동에게 미친 심리적인 영향을 파악하는 것의 중요성과 추후 지진 피해 아동의 심리 치료 및 예방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 vitamin D₃와 retinoic acid가 사람 골수 줄기세포의 골세포 분화 증식에 미치는 영향

        노정섭,김은철,김상철 원광대학교 치의학연구소 2003 圓光齒醫學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tamin D₃and retinoic acid on the growth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s of the human mesenchymal stem cells(MSC). Cell proliferation rate was determined by MTT assay, mineralization assay was determined by alizarin red stain, cell cycle analysis was done by flow cytometry, p53, pRb, p21, BMP-2 and BSP were detect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observed results were as follows. 1. Cell viability was decreased by vitamin D₃ or retinoic acid(RA) added to MSC, it was more decreased by mixed treatment of vitamin D₃ and RA(p<0.05). 2. The pattern of mineralized nudule formation was similar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at 3 weeks in mixed treatment of vitamin D₃ and RA. 3. In mixed treatment of vitamin D₃ and RA, G1 stage was increased in 7 days of incubation, cell cycle progress was inhibited in 21 days of incubation as the increase of apoptosis. 4. Treatment vitamin D₃ inhibited the expression of p53 and p21, but increased that of pRb(phosphotylated retinoblastoma). Treatment of RA or mix of RA and vitamin D₃ inhibited the expression of p53, increased those of p21 and pRb. 5. The expression of BMP-2 was prominent in treated group of osteogenic supplement at 2 weeks, but vitamin D₃ decreased the expression of BMP-2 expression. Treatment of RA or mix of RA andvitamin D₃ showed the similar expression to that of negative control, but in 3 week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6. BSP was notably increased in the osteogenic supplement(0S) in comparison to positive control at 2 weeks, but treatment of vitamin D₃ showed the similar expression to the control group, treatment of RA or mix of RA and vitamin D₃ showed the least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vitamin D₃ and RA took the differential effects on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MSCs .

      • KCI등재

        Fluoride, Bisphosphonate 및 Gallium이 상아질 흡수 억제에 미치는 영향

        백은영,유윤정,노병덕,최윤정,이승종 大韓齒科保存學會 1997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2 No.2

        Replacement resorption is followed by the delayed replantation of an avulsed tooth. Currently no effective treatment is substantiated for replacement resor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annous fluoride, bisphosphonate(etidronate disodium) and gallium nitrate, which have been shown to reduce dentin resorption, on human dentin. Osteoclasts were collected from tibeas of chich embryo. The cells were well agitated to prevent adhesion and seeded onto the sliced human dentin wafers which had been soaked in either culture media(control), or several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tannous fluoride, etidronate disodium(1-hydroxyethylidene-1, 1-bisphosphonate disodium), and gallium nitrate. Resorption was measu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resorptive pit produced by the cells. Results are ad follows. Stannous fluoride and etidronate disodiu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dentin resorption(p<0.05) but the effect of stannous fluoride seemed to be its high cytotoxicity. Etidronate disodium did not show cytotoxicities in all experimented concentrations. Gallium nitrate did not show differences in resorption either betwee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rom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관련변인 연구 :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부자유 학생을 중심으로 with special emphasis o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riment, and physical disabilities

        김은주,김동일,최종근,노선옥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5

        본 연구는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실시된 조사연구로서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 고등부 1학년 학생 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3)에서 실시한 국가수준교육성취도 평가의 참여가 가능한 707명이 그 연구대상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연구협의회, 전문가 검토, 검사 방법의 수정 및 조정 작업, 평가 실시를 위한 설명회 개최,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 장애 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관한 설문 조사 실시로 이루어졌다. 자료는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 선택 형 문항의 득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의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한편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과 성취도에서 얻은 평균의 차이를 변량분석, 또는 상관 분석하였다. 또한 장애 학생들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필요한 경우 2002년 국가 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총론-(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에서 제시된 일반 학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부 6학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항목별로 결론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성별로 학력차가 나지는 않으며 장애 유형별로도 차이가 크지 않으나 일반 학생에 비하여 학력이 낮은 편이다. 한편 배경변인에 있어 장애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TV/비디오시청, 진학 포부 수준, 대화의 빈도, 취미생활과 집안일을 돕는 정도 등이며 지체부자유 학생은 TV/비디오 시청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진학포부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청각 장애 학생은 집안 일을 많이 거들지만 진학포부 수준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 학생은 취미생활에 대한 대화를 많이 나누지만 집안일은 거의 돕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의 배경 변인 중 일부는 장애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설명력은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청각장애 학생의 경우 수학에 대한 설명력을 지닌 변인은 아버지의 학력, 학교숙제 수행방식, 수업 내용 이해 정도. 학습지 활용 정도,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 구성 변인 등이었으며, 국어과의 경우 장서보유 정도, 국어 공부에 대한 대화 빈도, 국어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과 성차 인식이었다. 지체부자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에서는 학생의 중요 덕목에 따라 국어와 수학 두 교과에서 설명력을 지녔으며 교과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의 경우 수학과 에서만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시각장애의 경우 TV/비디오 시청 정도는 영어 교과에서 성취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은 2002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 보고된 일반 학생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일반 학생의 경우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전체 변인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따라서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본 연구의 변인이라고 할 수 있는 학생 개인변인으로 설명될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학부 3학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항목별로 결론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초등부 6학년과 마찬가지로 성별로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과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을 뿐 다른 장애 유형별 남녀 집단 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 학생에 비하여 학력이 낮은 편이다. 한편 배경변인에 있어 장애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TV/비디오시청, 진학 포부 수준, 대화의 빈도, 취미생활과 집안일을 돕는 정도 등이며 지체부자유 학생은 TV/비디오 시청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진학포부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부 6학년과 같은 형태를 보였다. 한편 중학부 3학년은 일반 학생과 비교해 볼 때 숙제 도움 대상에서 특히 부모의 도움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진학에 관한 대화가 적은 점은 특히 일반 학생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일반 학생의 경우 부모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드물고 진학이나 취업에 대한 대화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 학생의 경우 일반 학생에 비하여 늦은 시기까지 부모의 도움을 받는 한편 진학이나 진로에 관하여 아동과 부모 모두 불투명한 전망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부 6학년과 같이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설명력은 크지 않다 고 할 수 있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 학생의 중요 가치와 진학포부수준, 국어 공부를 하는 이유, 국어 수업 내용 이해 정도에 따라서는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서 활용 정도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수학의 통계적 유의 차가 검증되었을 뿐이다. 셋째, 고등부 1학년의 교과별 평균과 성차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등부 1학년의 경우에도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과 마찬가지로 일반 학생에 비하여 낮은 성취 정도를 보이는 한편 성취 정도의 차이는 고등부 1학년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대화의 빈도의 경우 진학이나 직업 선택에 대한 대화가 늘어나지만 다른 대화 내용은 줄어들고 진학포부 수준의 경우 특히 청각장애 학생이 낮고 모호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체부자유 학생의 경우 일반 학생 및 다른 장애 유형의 학생에 비해 독서 시간과 TV/비디오시청 시간이 긴 것은 고등부 1학년 학생의 배경 변인에서 나타나는 특성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숙제 도움 대상 면에 있어서도 전 장애 영역에서 여전히 부모의 도움을 많이 받는 점과 학습과 관련한 행동 통제가 어려운 대신 자아 효능 감과 학습전략이 향상되는 점 역시 학생의 배경변인에서 나타나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고등부 1학년 역시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과 같이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가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내용으로는 학생의 중요 덕목과 수학공부를 하는 이유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수학, 진학포부수준에 따라서는 지체부자유 학생의 국어와 수학, 어머니의 학력, 학교 숙제 수행 방식에 따라서는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에서만 통계적 유의 차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관련 변인이 증가하거나 감소 하는 정도에 따라서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일관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고 특정 항에 있어 증가하는 경우가 많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변인이라 할지라도 학생의 지원을 위한 일반화 자료로 쓰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장애 학생은 장애의 강점과 약점이 강하게 반영될 수 있는 배경변인에 있어서 장애 유형별로 빈도의 차이를 나타내지만 그렇지 않은 배경 변인에 대해서는 장애 유형별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업성취도와 배경변인과의 관계에서 전체 장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은 없으며 한 장애 유형에서 여러 교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역시 초등부 6학년 과정의 학생의 덕목밖에 없어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가져오는 강력한 변인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배경변인에 따른 학력차이가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은 장애 유형과 학년에 따라 달라지며 학생의 개인 변인은 학년이 증가할수록 설명력이 약해진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and related vari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7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or physical disabilities who were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first grade of high school and were able to participat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executed by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As for the methodology of study, this study utilized literature search, research council, expert reviews, correction and adjustment work of research method, information forum for the execution of academical achievement test, poll on national level academical achievement test, etc. Resources were utilized as follows. First,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alculated only from the right answers for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one point were granted to each right answer in 6th grade, and two point in 3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1st grade in high school. Second, Variation that could exercise influence o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was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Thir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vari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vari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lso, the outcome from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compared to the outcome from non-disabled students presented by national level academical achievement test, 2002 introduction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003).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process and outcom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der gap was not significant in scholastic ability of the disabled students except for Korean class of visually impaired middle school third grade students. The gap was not so big for types of disabilities but it was safe to say that more proportion of disabled students showed slow progress in basic education than non-disabled students. Second, the actual condition of variation related to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disabled student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 worse situation than non-disabled students are, especially in their parents' scholastic ability and jobs. 2)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inly did homework as activities directly related to study and they showed high level of dependency on their parents with their homework. 3)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poor scholastic strategies in terms of self-control in learning attitude composed of scholastic strategies, attitude control, and self-efficacy. They suffered difficulties in controlling their attitudes. Also, their self-efficacy was low. 4)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intained good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and teachers, but they were poor in understanding lessons, preparing for classes, and utilizing materials in their study of school subjects, and they felt a lot of difficulties toward class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variation, it was hard to find same relationships as those of non-disabled students in all grades and subjects, so it was safe to say that variations that affected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different from those of non-disabled students.

      • 정의적 특성이 수학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강호욱,노은환,박은진,송현준,이혜경,주채연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5 科學敎育硏究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basic data which can be helpful for improving the methods of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emphasizing the affective factors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students on the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for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ppeared that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on attitude on mathematics, belief, self-confidence and the degree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by sex. Second, it was appeared that there was some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 on attitude on mathematics, belief, self-confidence and the degree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high middle low ability on mathematics which the students think that they hav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d like to give some suggestions as followings to provide some help to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irst, the succeeding studies are needed by selecting different population from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classifying low-ranking factors consisting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differently from this study, compounding each low-ranking factors in various manners like using new items, etc. Second, the succeeding studies are needed in this part, because what mathematical belief teachers have mathematics can have an effect on students' mathematical belief and action as well as on teachers' thinking process and action in the class. Third, the succeeding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concrete field study and program which can be helpful for improving actually students' affec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in school field.

      • 초산모의 분만유형과 모성관련지식에 관한 연구

        김혜란,노진아,손은정,이명아,김증임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3

        Purpose: This study was to know primipara's general characteristics, delivery type, delivery characteristics, maternity related knowledge level, and relation of delivery type and maternity related knowledge level. Method: This is a survey. Subjects were sixty primiparas who had admitted to a pediatric outpatient clinic at general hospital in Seoul. Subject's age was ranged from 15 to 44 and it was lapsed 10 weeks after delivery of their first baby. Maternity related knowledge level was measured by "primipara's maternity related knowledge level". Data was 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t-test by SPSS 11.0. Result: Relation of delivery type and maternity related knowledge in primipary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relation of natural delivery and maternity related knowledge in primipara was a littlehig than that of caesarean section. Conclus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erence of maternity related knowledge between natural delivery and caesarean section. We suggest for randomized clinical trials with a larger sample 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