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유식의 우식유발능에 관한 생체외 연구

        박득희,김대업,이광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1

        유아기 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식유발능을 생체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국내에서 시판되는 5종의 이유식을 실험군으로 하고 10% 자당용액과 우유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시료용액 50ml의 ph를 4.0까지 낮추는데 소모된 0.1 N 유산용액의 양으로 완충능을 측정하였고, Streptococcus mutans 10449의 배양액을 접종하여 48시간 배양하기 전과 후에 각각 시료용액의 ph, 시료용액 속에 담근 유치 법랑질시편의 표면미세경도, 합성 hydroxyapatite로부터 용출된 칼슘이온의 농도를 측정하여 산 생성능과 탈회능을 평가하였다. 이유식의 평균 ph는 3.88로서 자당용액의 4.35, 우유의 4.20보다 낮았고 자당용액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이유식 상호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배양 전후의 유치 법랑질 표면미세경도의 차이는 이유식군이 평균 98.7VHN로서 자당용액군의 97.1VHN과 비슷하였고 우유군의 63.5VHN보다 컸으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합성 hydroxyapatite로부터 용출된 칼슘농도의 차이는 이유식군이 평균 1816.02ppm로서 자당용액군의 2235.98ppm보다 작았으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ariogenic potential of five infant formulas in vitro, as compared with 10% sucrose solution and whole bovine milk. Buffering capacities were determined by the amount of 0.1N lactic acid consumed to titrate the 50ml specimen solutions to ph 4.0. The ph of the specimen solution inoculated by Streptococcus mutans was measured by ph meter and the surface microhardness of primary tooth enamel immersed in the specimen solution was measured by the microhardness tester, before and after 48 hours incubation. Also, the solubility of calcium from synthetic hydroxyapatite was evaluat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ephotometer. The buffering capacity of infant formulas was higher than that of sucrose solution and lower than that of milk,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infant formulas(P<0.01). The average ph of infant formulas after 48 hours incubation was lower than that of sucrose solution and milk,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fant formulas and milk(P<0.05). There were n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microhardness change of primary tooth enamel and in the amount of dissolved calcium ion from synthetic hydroxyapatite after incubation with Streptococcus mutans. In conclusion, infant formulas seemed to fulfill the basic requirments to cause dental caries in primary teeth,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ds of cariogenic potential among infant formulas. Cooperative efforts of dentistry and manufacturers to reduce the cariogenic potential of infant formulas would be necessary to prevent the early childhood caries in children.

      • KCI등재

        수종의 광중합기에 의한 복합레진 중합시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박성진,이광희,,김대업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4

        현재 광중합 복합레진은 치아의 수복을 위하여 많이 사용되며 복합레진이 많이 사용되는 만큼 광중합을 위한 광중합기도 다양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광중합기에 따른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은 아직 연구대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중합기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누출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으로 최근에 개발된 광중합기의 중합능력을 전통적인 할로겐 광중합기와 비교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지던 저출력 할로겐 광중합기(Optilux 360), 일반 플라즈마 아크 광중합기(Flipo), 저발열 플라즈마아크 광중합기(Aurys), 고출력 LED 광중합기(Freelight 2)를 사용하였다. 건전한 유구치에 와동을 형성한 후 복합레진(Z100)을 동일한 레진 접착제(Scotchbond Multi-purpose)를 사용하여 충전한 후 각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중합시켰다. 광중합기의 광조사 시간은 제조사에서 복합레진의 광중합을 위해 권장하는 시간으로 Optilux 360은 40초, Flipo는 5초, Aurys는 9초, Freelight 2는 20초간 조사하였다. Optilux 360만 광강도의 변화가 없는 광조사 방식이며 그 외 광중합기들은 광강도가 광조사 중에 증가되는 soft-start 광조사 방식이다. 각 시편을 증류수에 24시간 보관 후 열순환을 1000회 시행한 후 2% methylene blue 용액으로 색소침투를 시켰으며 각 시편을 절단하여 색소침투 정도를 점수화시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미세누출을 각 점수화하였을 때 Aurys가 평균 0.95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Freelight 2(1.05),Flipo(1.25), Optilux 360(1.30)의 순이었다. 하지만 각 중합기군 간의 값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P>0.05).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veral light curing units on the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in primary teeth. The types of curing units were traditional low intensity halogen light(Optilux 360), plasma arc light(Filpo), low heat plasma arc light(Aurys) and high intensity LED(Freelight 2). After preparing cavities on sound primaty teeth. cavities were filled with composite resin(Z100) using the same resin bond agent(Scotchbond MultiPurpose) and were cured with each curing light system. After storing each specimen in sterile water for 24 hours, thermal circulation was done 1,000 times followed by pigmentation using 2% methylene blue solution. Each specimen was sliced and the degree of Aurys was 0.95 which was the lowest and Freelight 2(1.05), Filpo(1.25), Optilux360(1.30) followed. But values were not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newly developed curing units which has advantage in children by decreasing discomfort and procedure time can increase the microleakage of the composite resin.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레이저형광측정을 통한 DIAGNODENT의 우식진단에 관한 생체와 연구

        박종석,이광희,김성형,김대업 大韓小兒齒科學會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1

        새로운 레이저형광측정기술을 사용한 Diagnodent의 우식진단능력을 탐침을 사용하는 시진법 및 일반적 방사선사진촬영법과 비교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건전하거나 열구우식이 있는 발거된 대구치와 소구치 103개를 대상으로 위의 세 가지 방법의 검사를 각각 시행하고 그 성적을 비교하였다. 시진 및 방사선검사 성적이 증가할수록 Diagnodent성적도 함께 증가하는 분포를 나타내었다(P<0.01). 시진 성적과 Diagnodent 성적간에는 피어슨 상관계수 0.676, 스피어만 순위상관계수 0.694의 상관성이 있었고, 방사선검사 성적과 Diagnodent 성적간에는 각각 0.623,0.658의 상관성이 있었다(P<0.01,전체). Diagnodent 검사법은 민감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양성의 측정치가 많아 특이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우식단계별 진단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평가되었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compare the laser fluorescence detection by Diagnodent (KaVo. Germany). visual inspection using dental explorers, and conventional dental radiography as diagnostic tests for dental caries. One hundred and three human premolars and molars which had no caries or fissure caries were tested by the three methods. Diagnodent scores increased as the scores of the other two tests increased(P<0>01).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visual inspection scores and Diagnodent scores (Pearson 0.676. Spearman 0.694) and between radiography scores and Diagnodent scores(Pearson 0.623. Spearman 0.658) (P<0.01. all.> Diagnodent test proved to have high sensitivity and low specificity and more studies are necessary to presen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progressive caries stages.

      • KCI등재후보

        상하악 측절치 발거를 통한 전치부 총생의 치료

        박상현,이광희,김대업,이종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4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한 하악 전치의 발거는 교합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적절히 사용한 경우에 부정교합 치료의 한 방향으로써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대개 총생에 대한 치료는 비발치와 4개의 소구치 발거 사이에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총생이 있는 하악 전치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은 구치의 원심이동, 견치의 외측이동, 전치의 순측이동, 인접면 법랑질 삭제, 소구치 발거, 한 개 또는 두 개의 전치 발거 및 이상의 복합적인 방법들이 있다. 전치의 발거는 총생이 있거나 전치부 치아크기의 불일치 및 상악 전치의 선전적인 소실이나 이소성 맹출 등에 의해 발거한 경우에 조화를 위해서이다. 하지만 수직피개가 크고 공간이 있는 경우는 피해야 하며 전치부 수직피개의 증가는 흔한 부작용이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전치부에 심한 총생이 있고 상악 좌측 측절치의 매복과 우측 측절치의 구개측 이소성 맹출로 인해 발거한 경우로써 하악 전치부에도 심한 총생이 있었다. 따라서 요구되는 공간, 안모의 심미성, 전방교합관계, 견치간 폭경, 적은 치아이동, Ⅰ급 교합관계, 발치시기 및 수직·수평피개 등을 고려하여 하악 양측절치를 발거하였다. 이에 본 증례는 상악 측절치의 매복 및 이소성 맹출을 동반한 상하악 전치부의 심한 총생이 있는 초기 영구치열기의 남아에서 상하악 양측절치를 발거하고 고정식 장치를 사용하여 공간 폐쇄 및 견치 shaping을 통한 교정치료를 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Extracting mandibular incisors for orthodontic treatment may adversely affect the occlusion. However, when properly used, extraction of mandibular inciors is a selection for the correction of the malocclusion. Generally, treatment for crowding needs to select between nonextraction and four premolar extraction. Approaches for crowded mandibular incisors include distal movement of posterior teeth, lateral movement of canines, labial movement of incisors, interpoximal enamel reduction, removal of premolars, removal of one or two incisors, and various combinations of the above. Extraction of incisors is used in case of crowding, anterior tooth size discrepancy, absent of maxillary lateral incisors, and ectopic eruption. But severe overjet, overbite, and space are the contraindication of it. A patient had severe crowding on upper anterior teet, impacted upper left lateral incisor, palatal ectopic eruption of upper right incisor and severe crowding on lower anterior teeth. Lower lateral incisors are extracted for space availability and facial esthetics. We report the case of rothodontic treatment of upper and lower anterior crowding through extraction of lateral incisor.

      • 만성 B형 간질환에서 라미부딘 초치료 후의 재발 양상과 재치료 효과

        박종호,박능화,신정우,방성조,김대현,주광로,김도하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

        목적: 만성 B형 간염 환자에 라미부딘은 효과적이지만 서양의 보고와 달리 국내에서는 치료 종료 후 재발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라미부딘 치료 종료 후의 재발 양상이나 재발군에서 라미부딘의 재투여에 대한 치료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 종료 후 재발 양상과 재발군에서 라미부딘 재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 B형 간질환으로 진단받고 라미부딘을 치료받은 환자 중 치료에 반응한 후 투약을 중지한 121명 중에서 재발한 42명(만성 간염 36예, 대상성 간경변 6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라미부딘을 1일 100 ㎎씩 6개월(평균 16개월, 범위: 6-35개월) 이상 투여하였다. 평균 연령은 39.7세였고 남녀 비는 35:7이었다. 재치료 전 혈청 ALT 평균치는 437 IU/L, AST 평균치는 227 IU/L, HBV DNA 평균치는 519 pg/mL였다. 치료반응군에서는 치료 반응이 있은 뒤 추가로 라미부딘을 투여하여 적어도 2개월 이상 반응이 유지된 후 투약을 중지하고 재발 유무를 추적 관찰하였다. 겨로가: HBeAg이 혈청전환된 192예 중 121예(63%)에서 투여를 중단하였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 8.9개월(범위: 1-40개월)이었다. 66명(54.5%)에서 재발하였으며 평균 재발 시기는 5.7개월(범위: 1-33개월)이었다. 50예(75.8%)에서는 HBeAg 양성 만성 간질환으로, 16예(24.2%)는 HBeAg 음성 만성 간질환으로 재발하였다. 누적 재발률은 1개월 후 6%, 3개월 후 27%, 6개월 후 47%, 12개월 후 60%, 18개월 후 64%, 24개월 후 66%이었다. 재발과 관련된 예측 인자로는 연령, 치료 전 정량적 HBeAg치, HBV DNA치가 의미 있는 인자였으며 30세 이하의 25명 중 5명만이 재발하였다. 재발한 66명 중에서 혈청 ALT치가 지속으로 상승된 42예(64%)에서 라미부딘을 재투여 하였다. 31예(73.8%)에서 반응이 있었으며 누적 치료 반응률은 6개월 62%, 9개월 69%, 12개월 72%였다. Breakthrough는 6예(14.3%)에서 일어났으며 전부 HBeAg 양성 만성 간질환 환자였다. 적어도 24개월 이상 치료반응이 유지된 21예에서 투여를 중지하였으며 이 중 11예(52.4%)에서 재발하였다. 재치료한 HBeAg 양성군과 음성군 간에 치료반응률, breakthrough률, 재발률 등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라미부딘 재투여의 치료 반응 예측 인자로는 라미부딘 투여기간(p=0.003)이 유의하였으며 breakthrough와 관련된 인자는 없었다. 결론: 라미부딘 초치료 후 재발률은 높았으며 재발 형태는 HBeAg 양성뿐만 아니라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질환의 형태로도 나타났다. 라미부딘 재치료는 초치료보다는 높은 치료 반응률을 보였으나 breakthrough률과 재발률은 초치료와 비슷하였다. Background/Aims: The post-treatment relapse patterns and efficacy of lamivudine re-treatment for relapsed patients have not been clarifie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lapse patterns after discontinuing therapy and the effects of lamivudine re-treatment for relapsed patients after HBeAg seroconversion. Methods: Therapy was discontinued after HBeAg seroconversion in 121 patients. Sixty-six patients were relapsed and included in this study. The duration of lamivudine re-treatment therapy was from 6-35 (mean:16) months. Post-retreatment monitoring continued for 1-40 (mean:8.9) months. Results: Among the relapsed 66 patients, 50 (75.8%) had HBeAg reappearance while 16 (24.2%) remained HBeAg negative and anti-HBe positive. The cumulative relapse rates at 3, 6, 12 and 24 months were 27%, 47%, 60% and 66% respectively. Forty-two relapsers received lamivudine re-treatment. Among them, 33 were HBeAg positive and 9 were HBeAg negative and anti-HBe positive, Response was achieved in 31 of the 42 patients (73.8%). The cumulative response rates at 6, 9 and 12 months were 62%, 69% and 72%, respectively. Six patients (14.3%) developed viral breakthrough. All patients were HBeAg positive chronic hepatitis B. The duration of lamivudine re-treatment was the only predictable factor for response of lamivudine re-treatment. Therapy was discontinued after response in 21 patients. Eleven patients were relapsed, including 6 who were HBeAg positive and 5 who were HBeAg negative. Predictive factors for post-retreatment relapse were age and the duration of additional lamivudine therapy after response. Conclusions: The response rate of lamivudine re-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initial lamivudine treatments. The breakthrough and relapse rates, however, were similar in both initial and retreated lamivudine therapy.(Korean J Hepatol 2003;9:188-197)

      • KCI등재

        Rett syndrome 환자의 제증상에 관한 증례보고 : A CASE REPORT

        박성진,이광희,김대업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2

        레트 증후군(Rett syndrome)은 1983년 Andreas Rett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여성에서 주로 호발하여 다양한 민족에서 발견되는 신경장애 중의 하나이다. 레트 증후군의 가장 특징적인 장애의 양상으로 실행증을 들 수 있으며 성장에 따라 집중해서 보는 듯한 눈을 보이기도 한다. 대부분의 레트 증후군은 자폐, 뇌성마비, 규정되지 않은 발달지체로 오진된다. 레트 증후군의 원인은 유전적 요소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아직가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증례에서 레트 증후군 환아는 과개교합으로 인한 상악 구개부의 손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상악 구개부의 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교합판을 제작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Rett syndrome is a neurological disorder seen almost exclusively in females, and found in a variety of racial and ethnic groups worldwide. First described by Dr. Andreas Rett in 1983.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Rett syndrome is apraxia. Most of the Rett syndrome has been diagnosed erroneously to autism, cerebral palsy, and unknown developmental disorders. The etiology of the Rett syndrome is not figured out exactly but it seem to have relation with genetic factors. In this case the patient with Rett syndrome had a chief complaint of the injury of palate due to deep bite. We report this case for the satisfactory result using the bite plane to decrease the injury of the palate due to deep bite.

      • 만성 B형 간질환에서 라미부딘 내성의 임상경과 및 예측인자

        박능화,신정우,박종호,방성조,김대현,주광로,김도하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4

        목적: 라미부딘의 투여기간이 길수록 약제내성 변이형 바이러스의 발생률이 증가하게 된다. 변이형의 장기적인 임상적 의의는 논란이 많다. 본 연구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질환자에서 변이형이 생긴 뒤의 임상적 경과와 변이형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 B형 간 질환자로 진단 받은 환자 중 라미부딘 치료도중에 viral breakthrough가 생긴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0세였고 남녀 비는 105:19였다. 치료 전 혈청 평균 ALT치는 223 IU/L, 혈청 평균 AST치는 127 IU/L, 혈청 평균 HBV DNA치 1216 pg/mL, 치료 전 정량적 평균 HBeAg치 259이였다. 라미부딘은 1일 100 ㎎씩 breakthrough가 발생한 124명에게 계속 투여하였으며 1, 2개월 간격으로 간기능 검사, HBeAg, anti HBe, HBV DNA 검사를 시행하였다. 라미부딘 총 평균투여 기간은 30.5개월(범위: 10-59개월)이었으며 breakthrough 후 라미부딘 평균 투여기간은 12.5개월(범위: 1-42개월)이였다. 결과: 라미부딘 투여 환자 519명 중 124명에서 viral breakthrough가 5-41개월 사이에 발생하였으며 누적발생률은 12개월 후 8%, 18개월 후 24%, 24개월 후 36%, 36개월 후 52%였다. Viral breakthrough가 생긴 6개월 이내에 120명에서 혈청 ALT치가 상승하였으나 4명에서는 계속 정상으로 유지되었다. 혈청 ALT치는 대부분 상승한 뒤 5개월 내에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나 6명에서는 12개월 이후에 최고치에 도달하기도 하였다. ALT치는 72명(65%)에서 치료 전 값 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며, 67명(56%)에서 정상치의 5배 이상, 29예(24%)에서 10배 이상 상승하였다. Breakthrough후에 라미부딘 계속투여로 혈청 ALT치가 정상으로 유지된 경우는 22예(18%)에 불과하였으며 98예는 치료전보다 높게 유지되었고 16예에서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Breakthrough후의 혈청 ALT치 및 AST치가 치료 전보다 의미 있게 상승하였으나 혈청 HBV DNA치는 차이가 없었다. Breakthrough후에 10명에서 HBeAg의 음전이 있었으나 5예에서는 음전 후에 HBV DNA가 재양전되고 혈청 ALT치가 상승되는 HBeAg 음성 만성 간염형태로 나타났다. Breakthrough와 관련된 예측자로 치료 중 정량적 HBeAg의 변화양상만이 유일하게 의미가 있어 감소 후 증가군 82.5%에서,. 지속적 유지군 23.7%에서 Breakthrough가 발생하였으나 지속적 감소군에서는 단지 3.5%만이 발생하였다. 또한 감소 후 증가군에서 정량적 HBeAg치의 감소 후 재상승시점은 약물투여후 평균 9개월로 HBV DNA가 재양전되는 평균시점인 16개월보다 의미 있게 짧았다. Breakthrough후에 투약을 중지한 예는 40예(33%)였다. 이 중 11예에서 중단전보다 혈청 ALT치가 상승되었으며 8개월 내에 전예에서 발생하였다. 중단시 혈청 ALT치가 치료 전 수치보다 높은 경우에서 중단한 26예 중 25명은 중단 후에 혈청 ALT치가 중단 시보다 낮았지만 치료 전 수치보다 낮은 경우에서 중단한 14명 중 10예에서 중단 후에 중단 시보다 더 높아졌다. 결론: 만성 B형 간염환자에서 라미부딘 투여 중에 발생한 HBeAg후의 임상양상은 상당수에서 급성악화를 보였다. Breakthrough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는 치료 중 정량적 HBeAg치의 변화양상만이 유일한 인자였으며 HBeAg치가 지속적 감소 후에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경우에는 HBV DNA의 재양전보다 더 빨리 Breakthrough을 예측할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Long-term treatment with lamivudine causes breakthrough, but the clinical course after lamivudine breakthrough is not well know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linical course in lamivudine after breakthrough, and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of breakthrough. Methods: 124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who represented viral breakthrough during lamivudine therapy, were included. The mean duration of lamivudine therapy and additional lamivudine therapy after breakthrough was 30.5 months and 12.5 months, respectively. Results: The cumulative breakthrough rates at 12, 18, 24 and 36 months were 8, 24, 36 and 52%, respectively. After viral breakthrough, only 4 patients maintained normal ALT levels. 120 patients showed ALT elevatio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LT levels greater than 5 times, and greater than 10 times, the upper normal limit were 67(56%) and 29 (24%), respectively. While still on lamivudine therapy after breakthrough, 98 patients presented ALT elevation. Only 22 had normalized ALT levels. Hepatic decompensation developed in 2 patients. HBeAg seroconversion after breakthrough occurred in 10 patients. The changing pattern of quantitative HBeAg levels during lamivudine therapy was the only predictive factor associated with viral breakthrough. The mean time of turning points in decrescendo-crescendo patterns of HBeAg levels during lamivudine therapy was earlier than viral breakthrough (9 months vs. 17 month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eterioration of hepatic function can usually be observed after breakthrough. The serial monitoring of serum quantitative HBeAg levels may allow an early recognition of viral breakthrough.(Korean J Hepatol 2003;9:293-303)

      • KCI등재

        수용시설 및 특수학교 정신지연아에 있어 간질발작의 실태조사

        박인옥,이대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5 신경정신의학 Vol.24 No.3

        This study was attempted to reveal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s seizures. In one institution and five special school selected ramdonly, which were located at the urban area in Seoul, there were on thousand seventy six cases. Then seven hundred ninty nine children who met the of mental retardation of DSM-Ⅲ diagnstic criteria were investigated from May. 1984 to Aug. 1984, and 85 epileptic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e eighty five(10.6%) of seven hundred ninty nine mentally retarded children. 2. The percentage of the seizur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R. had no significant meaning. 3. Among the presumbed etiological factors, forty six epileptics(13.1%) had infections disease, eight epileptics (9.4%) had Down’s syndrome, seven epileptics (8.3%) had perinatal brain trauma and infectious disease was the highest one of known etiologies. 4. In the eighty two cases, the proportion of abnormal EEG was seventy five (91.5%), and in the distribution of wave patterns of abnormal EEG, focal paroxysmal slow waves occupied 66.7%, highest one of all, then focal spikes and generalized slow waves was next. 5. As to the precipitating factors of seizureattak, the most frequent one was the physical exertion and eighteen epilepties (21.2%) were usually had attacks by this factor. 6. Seventy (82.3%) of eighty five epileptics had character and behavioral problems, and among those, hyperactivity consisted of nighteen(22.4%) of eighty five, and highest one of all, then aggression was next. 7. The side effects which were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seizure control by anticonvulsants revealed in the all eighty five epileptics, among those, drowsiness occupied tweenty three (25.3%), highest one of all. 8. As to the purchasing anticonvulsants, “by parents”consisted of forty six (54.1%) of eighty five, highest one of all. 9. As to the communication with family for seizures control, sixty (70.6%) of eighty five had no communication. 10.In the education and traing program, thirty eight (44.7%) of eighty five could not participated.

      • KCI등재후보

        고강도 할로겐광으로 중합한 복합레진 수복재의 경도

        박종석,이광희,김대업,김성형,안호영 대한소아치과학회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3

        복합레진의 광중합시간 단축과 관련하여 최근에 개발된 고강도 할로겐광 중합기를 기존의 중강도 할로겐광 중합기와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세 종류의 광중합용 복합레진을 두께가 2, 3, 4, 5mm인 스테인레스 스틸 몰드에 충전하고, 레진 상면을 중강도 할로겐 광은 (1) 400mW/cm²으로 40초간, 고강도 할로겐광은 (2) 10초동안 100mW/cm²부터 1000mW/cm²까지 출력량이 증가하면서 중합하고 다음 10초동안 1000mW/cm²로 중합하는 ramp 모드로 20초간, (3) 1000mW/cm²의 boost 모드로 10초간. (4) 850mW/cm²의 표준 모드로 20초간 조사하고. 상면과 하면의 표면경도를 미세경도측정기로 측정한 후 실험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레진 상면의 경도는 중합광의 강도와 중합시간 및 레진 두께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유의수준 0.05, 이하 동일). 레진 하면의 경도는,두께 2mm의 중강도군(1)을 제외하고,상면의 경도보다 낮았다. 레진 하면의 경도는 두께 2mm에서 중강도군(1)이 ramp군(2) 및 boost군(3)보다 높았고 중강도군(1)과 표준군(4) 간 및 ramp군(2)과 boost 군(3)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두께 3mm에서 중강도군(1)이 가장 높았고 표준군(4)이 boost군(3)보다높았다. 따라서, 복합 레진의 중합 깊이 측면에서 볼 때. 1000mW/cm²의 고강도 할로겐 광을 10초간 조사한 것은 400mW/cm²의 중강도 할로겐광을 40초간 조사한 것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레진 두께 2mm이내인 경우에는 850mw/cm²의 고강도 할로겐 광을 20초간 조사함으로써 400mw/cm²중강도 할로겐 광을 40초간 조사한 것과 대등한 중합을 일으킬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the high intensity halogen light (850∼ 1000 mW/cm²)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halogen light (400 mW/cm²) on the hardness of composite resin. Three resin com-posites (Z-100, 3M, U.S.A ; Tetric Ceram, Vivadent, Liechtenstein : Surefil, Dentsply, U.S.A.) were filled in the stainless steel moulds which were 4mm in diameter and 2, 3, 4, and 5 mm in depth, respectively. They were cured under the four different modes : (1) conventional mode,40 seconds at 400 mW/cm²; (2)'ramp'mode, 10 seconds at 100 to 1000 mW/cm² plus 10 seconds at 1000 mW/cm²: (3)'boost'mode, 10 seconds at 1000 mW/cm²: and (4) 'standard'mode, 20 seconds at 850 mW/cm² The surface hardnesses of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resin samples Were measured with a microhardness tester (MXT70, Matsuzawa, Japan) . The top surface hard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uring modes . The bottom surface hardness was gen-erally the highest in the conventional mode and the lowest in the high intensity boost mod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ottom surface hardness between the conventional mode and the high intensity standard mode in 2mm depth.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uring time of the high intensity halogen light (850 mW/cm²) should be at least 20 seconds to produce the equal level of the bottom surface hardness of 2mm resin composite as compared to the hardness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halogen light (400 mW/cm²).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