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태풍내습시 수영만내에서의 파랑특성 분석을 위한 수치실험연구

        김동환(Dong-Hwan Kim),유창일(Chang-Ill Yoo),이인철(In-Cheol Lee),김헌태(Heon-Tae Kim),류청로(Cheong-Ro Ryu)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2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5

        In order to research the wave characteristics in Suyeong bay on typhoons in 201this study were carried out observation of waves on typhoon "Ma-on" and "Muifa", calculation of wave characteristics using STWAVE and comparison with significant wave heights between observed and calculated data at three in-situ measurements (Geoje floating buoy, Gwangan light beacon, Observation point). The model input parameters are significant wave height, peak period and wave direction in Case 1 and changed edited wave direction instead of original it in Case 2.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maximum significant wave height at Gwangan light beacon (St. 1) and Observation point (St. 2) in case of "Ma-on" was observed, respective^ 2.8m, 2.6m and calculated by STWAVE L76m, 2,8m Also, the maximum significant wave height in case of "Muifa" observed at St 1 and St 2 was 3.5m, 3.82m and calculated 25m, 3.97m, respectively. Our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bserved and numerical in Gwangan light beacon on two typhoon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bserved and numerical in Observation point on two typhoons.

      • KCI등재

        응급 의료 센터내 사망 환자의 분석

        유인술,김준식,진재우,이철주,민영기,조준필 대한응급의학회 1995 대한응급의학회지 Vol.6 No.2

        We need the constitute of Emergency medical system that connect prehospital care of inhospital care effectively for optimal treatment of emergency patient.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our emergency medical system, through study of mortality case in emergency medical center will be a aid to the constitute. The authors performed a review on the records of 60 cases who died in Ajou university Emergency medical center during management, since June 1994 to september 1995. Among the 60 patient, 72% were male and 28% were female. In nontrauma patient, 6th decade was many, in trauma patients, 3rd and 5th decade was many. Among the 60 patient, 33% were traumatic cases, 66% were nontraumatic cases. Among the traumatic patients, more than half of the cases were due to motor vehicle accidents. The most frequent time interval from onset of emergent situation to arreving at emergency center was more than 2 hours. The most common transfer method was by 119 ambulance. In most cases, prehospital treatments were not taken. In most cases, initial mental status was comatose, and systolic blood pressure was less than 60 mmHg. Most cardiovascular resuscitation was done in 30 min. to an hour. In cases as traffic accident of ischemic heart disease, where rapid transportation of the patient is critical for the patient's survival, however, in most cases it took more than two hours to bring such patients to hospital, and first aid treatment before arrival to hospital was rare. No prehospital treatment was done to nearly all patient. In many cases the patient was already in under coma or shock state. The inhospital care at emergency center was made relatively quickly and adequately. The mean dur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tation was 30min to one hour. From this study, we could notice the poor quality of prehospital care in the region ,near Ajou university hospital, and we came to know that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prehospital car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reduce the motality of emergency department patient. that is, in the treatment of emergency patients, weak points has been revealed in the pre-hospital treatment, the improvement of which is important factor for the survival of emergency patients.

      • 태풍내습시 수영만내에서의 파랑특성 분석을 위한 수치실험연구

        김동환(Dong-Hwan Kim),유창일(Chang-Ill Yoo),이인철(In-Cheol Lee),김헌태(Heon-Tae Kim),류청로(Cheong-Ro Ryu) 대한조선학회 2012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2 No.5

        In order to research the wave characteristics in Suyeong bay on typhoons in 2011, this study were carried out observation of waves on typhoon "Ma-on" and "Muifa", calculation of wave characteristics using STWAVE and comparison with significant wave heights between observed and calculated data at three in-situ measurements (Geoje floating buoy, Gwangan light beacon, Observation point). The model input parameters are significant wave height, peak period and wave direction in Case 1 and changed edited wave direction instead of original it in Case 2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maximum significant wave height at Gwangan light beacon (St.1) and Observation point (St. 2) in case of "Ma-on" was observed, respectively, 2.8m, 2.6m and calculated by STWAVE 1.76m, 2.8m. Also, the maximum significant wave height in case of "Muifa" observed at St. 1 and St. 2 was 3.5m, 3.82m and calculated 2.5m, 3.97m, respectively. Our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bserved and numerical in Gwangan light beacon on two typhoon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bserved and numerical in Observation point on two typhoons.

      • KCI등재후보

        울산 석유화학공단 인근 어린이들의 혈액상변화 및 면역기능

        이충렬,유철인,이지호,이헌,김양호 대한산업의학회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 지역 특성상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진, 악취 등 환경오염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추정되는 울산석유화학공단 인근 어린이들의 혈액상 변화, 계절 차이에 의한 혈액상 변화와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 2000년 4월, 7월, 10월 3회에 걸쳐 석유화학공단 인근 A 초등학생 46명(남자 32명, 여자 14명), B 초등학생 97명(남자 49명, 여자 48명)과 교외지역의 A 초등학생 95명(남자 47명, 여자 48명)을 대상으로 일반혈액검사, 백혈구 백분율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7월 조사 때는 B 및 C 초등학생 11세 남자 각각 25명을 대상으로 면역학적 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3차례에 걸쳐 진행된 검사결과는 계절별로 다른 양상을 보여 주었다. 즉, 총백혈구수, 호중구수, 림프구수는 A와 C 초등학생은 7월 조사에서는 감소되었다 다시 10월 조사 때는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며, B초등학생은 계절별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혈구수는 B와 C 초등학생은 7월 조사시 감소되었다가 10월 조사 때는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나 A 초등학생은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혈색소량의 변화는 적혈구수의 변화와 유사하였다 혈소판수는 모두 7월 조사 때는 감 소되었다가 10월 조사 때는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조사시기에 따라 각 학교 어린이들간에 혈구세포수의 차이가 있음을 구명하기 위하여 generalized linear model의 repeated measures ANOVA를 시도한 결과 연령과 성을 공변인으로 보정한 후의 P 값에서 조사시기의 차이와 학교간 차이의 교호작용변수(interaction variable)는 모든 혈구세포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는 조사시기에 따라 각 학교어린이들간에 혈구세포수의 차이가 유의하게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면역기능 평가를 위하여 혈중 immunoglobulin 측정 및 림프구 아형 분포분석을 B 및 C 초등학생 6학년 남학생 각 25명, 총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나 모두 정상범위이었고 학교간 차이도 없었다. 결론 : 휘발성 유기화합물 같은 물질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백혈구와 적혈구 등의 혈구세포는 조사시기에 따라 각 학교어린이들간에 혈구세포수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남은 각 학교 어린이들간에 조사시기에 따라 혈구세포수에 영향을 주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노출량의 차이가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일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혈구세포의 변화의 원인이라 추정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기중 농도측정이나 체내 생체지표검사를 통한 노출원 조사를 병행하는 추가적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o evaluate the hematological changes and the immunological function of children living near the petrochemical estate in Ulsan. Methods :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of 238 children who consisted of 143 children living near the petrochemical estate and 95 children living in a suburban area. We conducted the hematological examination 3 times, in April, July and October. Also we evaluated the immunological function of some children in July. To confirm differences between schools repeated measures ANOVA of generalized linear model was done controlling age and sex as covariates. Results : The blood cell counts of children showed differences between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survey month. The total WBC, neutrophil, and lymphocyte counts of children living in a suburban area decreased in July and increased in October again, but those of some children living near the petrochemical estate did not changed distinctly. The RBC counts of children living in a suburban area decreased in July and increased in October again, but those of some children living near the petrochemical estate decreased as time passed. The changes of the amount of hemoglobin of all study subjects were similar with those of RBC. The platelet counts of all study subjects decreased in July and increased in October again. In the generalized linear model, school was a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total WBC, RBC, and platelet counts, and sex was a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RBC counts. Age was a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iymphocyte and platelet counts. P values of all blood cel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the survey month and school, and those of the total WBC, neutrophil, and iymphocyte cou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the survey month and age. The immunological func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y groups. Conclusions : The total WBC and RBC counts which would be easily affected by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the atmosphere showed differences between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survey month. This suggests that the amounts of exposure to VOCs are different among each school children in different months. To ascertain the hematological changes by VOCs, an additional study evaluating the concentrations of atmosphere of VOCs and biological monitoring of some VOCs is needed.

      • SCOPUSKCI등재

        백서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종양세포의 Chicken Lysozyme 유전자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에 미치는 T₃효과 분석

        이성진,박철영,정인경,홍은경,최철수,김현규,김두만,유재명,임성희,최문기,유형준,박성우,Larsen, P. Reed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유전자 전사과정은 증강부위 (enhancer) 또는 억제부위(silencer)의 복합작용을 통하여 조절되며 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억제부위는 두 개의독립적인 전사인자 결합부위 (Fl과 F2)를 가지는데 Fl부위는 75~93 kD 크기의 NePl 단백질이 결합하는 위치인 반면 역위회문구조(inverted palindrome, InvPal)의 F2 부위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가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인 동시에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에 대해 높은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실험적으로 Fl부위 또는 F2 부위 (이하 F2-TRE 부위)를 각각 다량체화(multimerization) 하였을 때 전사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는 연구 결과는 Fl 부위와 F2-TRE 부위가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구조임을 시사하고 있으며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억제부위가 완전한 전사억제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Fl 부위와 F2-TRE 부위가 모두 필요함이 보고 되어 있다. 현재 갑상선호르몬에 의한 chicken Iysozyme 유전자 조절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73 자극 전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거의 보고된 바 없으며 이와 관련하여 저자들은 치근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T₃ 자극전 ·후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인 IRE2 부위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이 교대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염색체 면역침전법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확인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F2-lRE 부위를 포함하는 백서 뇌하수체 종양세포주인 GC8 세포를대상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후 시간적 순서에 따라 F2-TRE 부위에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양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적 모델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thymidine kinase(TK) promoter의 5' 부위에 chicken Iysozyme silencer의 고친화력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F2-TRE 부위)가 삽입된 플라스미드,mouse TRα gene이 삽입된 플라스미드, neomycinresistance gene이 삽입된 플라스미드를 백서 뇌하수체성장호르몬 종양세포인 GC 세포에 각각 주입하여 제작한 GC8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100 α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각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을 1.5μL에서 4.5μL로 바꾸어 첨가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반복하여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전과 투여한 후 2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단백질의 발현량을 알아보고자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과: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F2-TRE 시발체를 이용한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₃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1과 TRβ2의 결합은 증가한 반면 TRβl의 결합은 감소하였다.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측정하였을 때TRα1은 T₃ 투여 전 1.01에서 T₃ 투여 후 2.73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Bβl은 T₃ 투여 전 4.59에서 T₃투여 후 2.06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Rβ2는 T₃ 투여 전 2.53에서 T₃ 투여 후 2.98로 증가하는 경향을보였다(TRα1, Δ=+170.3%, p<0.05; TRαl, Δ=-55.1%, p<0.05; TRβ2, Δ=+17.8%).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측정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전체 결합량은 T₃ 투여 전 8.13에서 T₃ 투여 후 7.77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Δ=-4.4%).100nM T₃ 투여 전 ·후 시간별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Rα1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20분과 6시간 뒤 각각 증가하였으며 TRβ2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20분 뒤 최고치까지 증가하였다가 2시간 뒤부터 감소하였다. 그러나 TRαl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1시간 뒤 최저치까지 감소되었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100 nM T₃ 투여 전과 투여 후 2시간 뒤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비교하였을 때 TRα1은 219.8% (1.01→3.23), TRβ2는 9.9% (2.53→2.78) 증가하였으나 TRβ1은 52.9% (4.59-)2.16) 감소하였으며 결합량 변화의 방향은 100 naM T₃ 투여 후 4시간 뒤와 6시간 뒤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량 변화의 방향과 일치하였다(TRα1, 2.89→4.09, Δ =+41.5%; TRβl, 2.33→2.04, Δ=-12.4%; TRβ2, 2.57→2.59, Δ=10.8%).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를 1.5 μL 또는 4.5 μL 투여한 후 F2-TRE부위에 대한 염색체 면역침전법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각각 시행하였을 때 첨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결합량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Western blot을 시행하였을 때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발현량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관찰된 T₃ 자극 전 · 후 chickenIysozyme 유전자의 F2-TBtE 부위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이성체의 교대현상 및 시간적 순서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가 나타내는 의미에 대하여 추시 연구가 필요함은 물론 추가적으로 다른 유전자 또는 다른 종류의 세포주를 대상으로 T₃자극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와유전자 발현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 결과만으로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에 대한 많은 의문점을 풀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외적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한 연구 결과가 거의 없는 현실을 고려하여 볼 때 본 연구는 제한적이나마 일정한 농도의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ㆍ후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F2-TRE 부위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교대현상을 재확인하였다는 점과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 후 시간적 순서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적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regulation of gene transcription can be controlled by both positive (enhancer) and negative (silencer) regulatory sequences. Several enhancer and silencer ele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5' region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The silencer located at -2.4 kb upstream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is composed of two separate modules (Fl and F2) that can function as silencers by themselves, but also show synergistic repression after multimerization. The F1 module is bound by a protein termed NePl and F2 module, a F2 thyroid hormone response element (F2-TRE), and can be bound by the thyroid hormone receptor (TR). F2-TRE has an inverted palindromic structure, with high affinity to TR. Although many current reported results have tried to explain the regulatory mechanism of chicken lysozyme gene expression due to the thyroid hormon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clarify the TR dynamics in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either with or without exposure of the thyroid hormone. Here, the changes in the TR binding patterns in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are described, both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over time. Methods: Using the stably transfected rat pituitary somatotroph tumor cell line, GC8 cells, with the F2-TRE inserted 5' to the thymidine kinase (TIC) promoter, together with a mouse TRα - expressing plasmid, a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technique was employed to reveal the TR-TRE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Following the cross-linking and sonication of the cells, the immunoprecipitation was performed overnight, at 4℃, with TRαl, TRβl and TRβ2 antibodies, respectively.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Rβ1 and TRβ2 to the F2-TRE, before and after 12 hours of 100nM T₃ stimulation, were analyzed using conventional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s (RQ-PCR). The ChIP technique was used to give a basal value for 20 minutes and 1, 2, 4, 6, 8 and 12 hours after the 100nM T₃ stimulation, and RQ-PCR was then performed. Western blot with TRαl, TRβl and TRβ2 antibodie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After 12 hours of 100 nM T₃ stimulation of the GC8 cells, the TRα1 and TRβ2 binding to the F2-TRE increased, but the TRβ1 binding to the F2-TRE decreased, by conventional PCR. Although all the TR isoforms were bound to the F2-TRE by RQ-PCR, the TRαl binding to the F2-TRE, after 12 hours of l00nM T₃ stimul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1.01→2.73, Δ =+170.3%, p<0.05), but the change in the amount of TW2 binding was not significant (2.53→2.98, Δ=+17.8%). The TRβl bind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basal level (4.59→2.06, Δ=-55.1%, p<0.05). The total TR bindings to the F2-TRE had a tendency to decrease after 12 hours of 100 nM T₃ stimulation (8.13→7.77, Δ=-4.4%).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βl and Tβ2, both before and after the 100 nM T₃ stimulation, were also identified over time. While the TRβl bindings to the F2-TRE after 1 hour of l00nM T₃ stimulation were acutely reduced, those of the TRαl at 20 minutes and 6 hours were increased. The TRβ2 bindings showed a maximal increase at 20 minutes. The directions of the TR binding patterns, between the before and after 2 hours of 100nM T₃ stimulation, were identical to those for between 4 and 6 hours of T₃ stimul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 bindings to the F2-TRE in relation to the amounts (1.5 vs. 4.5μ I) of TR antibodies used during the ChIP assays. The Western blo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of the levels of each TR isoform proteins, either before or after 12 hours of exposure to 100nM T₃.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e dynamic binding patterns of the TR isoforms to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both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over time. Further investigation, however, will be needed to clarify the mechanisms of our observations. The ChIP technique may then be used to reveal the dynamic models of the cofactors, as well as TR isoforms, in the TR-regulated transcription machinery (J Kor SOC Endocrinol 18:379-391, 2003).

      • KCI등재

        Qualitative Analysis of Proteins in Two Snake Venoms, Gloydius Blomhoffii and Agkistrodon Acutus

        Su-Jeong Ha,Yeo-Ok Choi,Eun-Bin Kwag,Soo-Dam Kim,Hwa-Seung Yoo,In-Cheol Kang,So-Jung Park 대한약침학회 2022 Journal of pharmacopuncture Vol.25 No.1

        Objectives: Snake venom is a complex mixture of various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s, such as small proteins, peptides, and organic and mineral component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and analyse the proteins in common venomous snakes, such as Gloydius blomhoffii (G. blomhoffii) and Agkistrodon acutus (A. acutus), in Korea. Methods: We used mass spectrometry, electrophoresis, N-terminal sequencing and in-gel digestion to analyse the proteins in these two snake venoms. Results: We identified eight proteins in G. blomhoffii venom and four proteins in A. acutus venom. The proteins detected in G. blomhoffii and A. acutus venoms were phospholipase A2, snake venom metalloproteinase and cysteine-rich secretory protein. Snake C-type lectin (snaclec) was unique to A. acutus venom. Conclusion: These data will contribute to the current knowledge of proteins present in the venoms of viper snake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investigating their therapeutic potential.

      • KCI등재후보

        조선업 근로자의 족부백선 유병률 및 관련 요인

        서호석,유철인,이충렬,이지호,김양호,이원신,최지호,성경제,고재경,문기찬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4

        목적: 울산지역에 소재한 대규모 조선업종 근로자 1,419명을 대상으로 족부백선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족부백선의 유병률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족부백선의 작업관련성을 알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근로자 건강진단시 족부백선의 유뮤를 확인하고, 현재 족부백선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는 여러 요인들과 작업, 환경적인 요인들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족부백선의 임상적인 양상을 관찰하였다. 결과: 조사결과 족부백선의 유병률은 54.8%로 높게 나타났으며, 직종과 공동목욕탕 이용 유무, 안전화 착용유무, 작업형태, 가족력 유무가 족부백선이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로 나타났으나, 다변량 분석결과 가족력과 공동목욕탕 이용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인자로 나타났으며(P<0.05), 안전화 착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사업장내 근로자들의 족부백선의 높은 유병률과 관련된 직접적인 요인은 사업장내의 공동 목욕탕의 이용 여부와 족부백선의 가족력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많은 근로자들이 원인으로 지목한 안전화의 착용은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따라서 족부백선이 작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었다는 근거는 적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반인보다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 사업장내 족부백선의 유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위험인자로 최종 확인된 작업장 내의 공동 목욕탕의 철저한 위생관리와 함께 가족간의 감염을 예방히기 위한 개인위생관리가 필요하면, 비록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여러 근로자들이 원인으로 지목한 안전화의 개선에도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s: Recently, tinea pedis has been reprted to be a type of occupational dermatoses because of its high prevalence in specific working conditions. Although there is no doubt that the environment surrounding work places, the usual habits of workers erc ate intimately related to this skin conditions, there is some controversu as to whether or not this condition is a real occupational illness and what is the exact cause of the high prevalence of this illness is.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tinea pedis in workers from the shipbuilding industry was investigated andthe risk factors of this disease were evaluated. This study also aimed to verify whether or not tinea pedis is one of the occupational diseases. Methods: The result of interviews, questionnaires and clinical findings from 1,419 workers who visited the occupational health center for an annual routine check for their health state were analyzed. Results: Among the 1,419 workers, 778 workers (54.8%)had tinea pedis. By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revalence of tinea pedis was found to e affected by some variables, including the jov category, the types of work, the kinds of footwear, whether or not they were using communal baths in the work places, and a family history of tinea pedis. In contrast,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ly utilization of the communal baths in the work places and a family history of tinea pedi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rors.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major factors contributing to the high prevalence of tinea pedis are the use of communal baths in the workplace and a positive family history. However, the wearing of safety sho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inea pedis could not be confirmed to be an occupational diseas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 solution to the environmental hygiene of communal bats and the personal hugiene of individuals needs to be improved in order to prevent tinea pedis.

      • SCOPUSKCI등재

        제1형 탈요오드효소 유전자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서 T₃자극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 모델

        이성진,박철영,정인경,홍은경,최철수,김현규,김두만,유재명,임성희,최문기,유형준,박성우,Larsen, P. Reed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3

        연구배경: 제1형 탈요오드효소의 발현에 관여하는 hdiol 유전자는 5 flanking region 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두 종류의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 즉 TREI과 TRE2를 가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T₃를 투여하였을 때 hdiol유전자의 전사작용이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hdiol mRNA가 충분히 발현하기 위해서는 두 종류의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가 모두 필요함이 보고 되어 있으나 T₃ 투여시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와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된바 없다. 한편 현재까지 보고 된 연구 결과들은 갑상선호르몬 자극이 없더라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와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가 서로 지속적으로 상호작용 한다는 전제 조건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이러한 가정은 간접적으로만 증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세포를 대상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후 hdiol 유전자의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양상 변화를 분석함과 동시에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에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와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존재함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를 대상으로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1, TR 1, TR 2 항체와 IREI, TRE2에 상보적인 시발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hdiol mRNA 발현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4'1, TR 1, TR 2 단백질의 발현량을 알아보고자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과: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TREI 시발체를 이용한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₃ 투여 전후 TREI 부위에는 TRgl이 결합하였으며 T₃를 투여한 후 TRal 결합이 감소하였다.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TR4'1 결합량을 측정하였을 때 T₃ 투여 전3.74에서 T₃ 투여 후 1.97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Δ=-47.3%, p<0.05). T₃ 투여 전 ·후 TRβl과 TRβ2의 결합은 관찰되지 않았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TRE2 시발체를 이용한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god하였을 때 T₃ 투여 전ㆍ후 TRE2 부위에는 TRα1, TR 1, TR 2가 모두 결합하였으며 T₃를 투여한 후 TRα1과 TR 1의 결합은 감소하였으나 TR 2의 결합은 증가하였다.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측정하였을 때 TRαl은 T₃ 투여 전 10.41에서 T₃ 투여 후 3.01, TRβl은 T₃ 투여 전 12.56에서 T₃ 투여 후 2.93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TRβ2는 T₃ 투여 전 9.17에서 T₃ 투여 후 9.84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TRα1, Δ=-71.1%, p<0.05; TR 1, Δ=-76.7%, p<0.05; TR2, Δ=+7.3%).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측정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전체 결합량은 T₃ 투여 전 32.14에서 T₃ 투여 후 15.78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Δ=-50.9%, p.0.05).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를 1.5μL와 4.5μL 첨가한 후TREI과 TRE2에 대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각각 시깡하였을 때 첨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량의 차이는 없었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전과 투여란 후 12시간 뒤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hdiol cDNA 시발체를 이용한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₃를 투여한 후 hdiol mRNA발현량은 2.03배 증가하였다(p<0.001).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Western blot을 시행하였을 때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발현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현재까지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한 연구가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실정을고려하여볼 때 본 연구는 제한적이나마 일정한 농도의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 특히 T₃ 자극 전 hdiol 유전자의 TREI 부위에서 TRal이 억제자 (silencer)로서 작용할 가능성 및 T₃자극 전 · 투 TRE2 부위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교대현상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른 종류의 세포주 및 체내에서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 및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한편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통해 HepG2 세포에서 T₃ 자극이 없더라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와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 사이에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존재할 뿐 아니라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이 교대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T₃ 자극 전 ·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를 통한 유전자 전사조절기전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와 역동학적 기전을 규명함에 있어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ype 1 iodothyronine deiodinase (Dl), the product of the hdiol gene, is involved in thyroid hormone activation by the deiodination of thyroxine (T4) to form 3,5,3'-triiodothyronine (T3). Recent studies have identified two thyroid hormone response elements (TREs) in the 5 ' flanking region of the hdiol gene. TRE1, proximal to TRE in the hdiol gene, consists of a direct repeat of thyroid hormone receptor (TR) binding octamers with 10 bp separating the two TR binding sites. The upstream TRE, TRE2, is a classical direct repeat of retinoid X receptor (RXR)/TR binding half-sites with a 4-bp separation. There are few studies clarifying the TR dynamics in the TRE of a specific gene with or without the exposure of activated thyroid hormone. We evaluated TR binding patterns in the proximal and distal TREs of the hdiol gene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Methods: We employed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technique to investigate the TR- TRE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 line. Following cross-linking and sonication of the cells, immunoprecipitation was performed overnight at 4℃ with TRαl, TRβ1 and TRβ2 antibodies. We analyzed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Rβl and TRβ2 to TREl and TRE2 before and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100 nM T3 by using conventional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s (RQ-PCR). Reverse transcriptional PCR (RT-PCR) and Western blot with TR 1, TR 1 and TR 2 antibodie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levels of hdiol mRNA and TR 1, TR 1 and TR 2 proteins before and after 12 hours exposure to l00nM T3. Results: In TRE1, TRαl bind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l00nM T3 (3.74→97, Δ=-47.3%, p<0.05), but TRβ1 and TRβ2 bindings were not detected by conventional PCR and RQ-PCR. Although all TR isoforms were bound to TRE2, the binding patterns were quite different. While TRα1 and TRβ1 bindings to TRE2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100 nM T3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10.41→3.01, Δ=-71.1%, p<0.05; 12.56 →2.93, Δ =-76.7%, p<0.05, respectively), TRβ2 binding was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9.17 →9.84, Δ =+7.3%). Total TR bindings in TRE2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1OOnM T₃ (32.14 →15.78, Δ=-50.9%, p<0.05). The TR bindings to TREl and TRE2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amounts of TR antibodies used during ChIP assays. The levels of hdiol mRN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2.03 times, after 12 hours exposure to l00nM T3 (p<O.001). Western blot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of the level of each TR isoform protein before and after 12 hours exposure to 100nM T3.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e dynamics of TRal at proximal TRE (TRE1) and the switching phenomenon of TR isoforms at distal TRE (TRE2) of the hdiol gene after T3 stimulation. Further investigation, however, is needed to clarify the mechanisms of these observations (J Kor SOC Endocrinol 18:283-295, 2003).

      • KCI등재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T세포 수용체 Vβ 유전자 레퍼토리 분석

        정성수 ( Sung Soo Jung ),황관표 ( Kwan Pyo Hong ),김동욱 ( Dong Yook Kim ),김태환 ( Tae Hwan Kim ),이인홍 ( In Hong Lee ),전재범 ( Jae Bum Jun ),배상철 ( Sang Cheol Bae ),유대현 ( Dae Hyun Yoo ),김성윤 ( Seong Yoon Kim ),이은영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6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3 No.1

        목적: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의 병인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T세포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한국인을 대항으로 시행된 보고는 없다.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관절병변부위에서 T세포 수용체(TCR)의 Vβ유전자 사용의 빈도를 검색하여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사용되는 빈도가 높은 유전자계를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에 저자는 T세포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3명과 정상인 4명을 대상으로 말초 혈액과 활액 T세포로부터 추출한 RN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한뒤 cDNA를 주형을 Vβ family specific oligonucleotide를 시발체(primer)로하여 반정량적 역전사 연쇄중합반응(semiquantative RT-PCR)을 시행하여 T세포 수용체(T cell receptor; TCR) Vβ 레퍼토리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정상인 4명의 말초혈액에서 T세포 수용체 Vβ유전자 평균사용빈도는 Vβ7(8.68±3.20%), Vβ3(7.83±2.03%), Vβ(6.74±1.43%)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으며, HLA-DR4 양성군(3명)에서는 Vβ8(7.39±1.71%), Vβ2(7.31±2.30%), Vβ1(7.22±1.54%)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고, HLA-DR4 음성(1명)에서는 Vβ3(17.79%), Vβ4(11.41%), Vβ24(9.8%)의 순서로 사용빈도가 높았다. 2. 류마티스 관절염환자 3명의 말초 혈액에서는 Vβ16(6.90±1.81%), Vβ18(6.89±0.80%), Vβ14(6.58±0.65%)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HLA-DR4 양성 환자군에서는 Vβ16(7.52±2.06%), Vβ14(6.96±0.04%), Vβ22(6.78±0.18%)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각각 환자의 결과를 보면 첫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16(8.98%), Vβ14(6.99%), Vβ22(6.91%)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고, 두번째 환자(HLA-DR13 양성)는 Vβ18(7.79%), Vβ20(5.98%), Vβ24(5.90%)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이를 종합해 보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Vβ16, Vβ20, Vβ14, Vβ18유전자계가 제한되어 사용되었다. 3.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의 활액의 T세포에서 Vβ유전자 평균발현빈도는 Vβ20(7.39±1.77%), Vβ18(5.60±1.31%), Vβ12(5.56±1.77%)순으로 높았으며, HLA-DR4양성인 환자군에서는 Vβ12(6.56±0.58%), Vβ20(6.44±0.94%), Vβ4(5.30±0.49%)순으로 빈도가 높았으며, HLA-DR4음성 환자에서는 Vβ20(9.29%), Vβ19(7.57%), Vβ18(7.07%)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각각 환자의 결과를 보면 첫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12(6.15%), Vβ20(5.77%), Vβ7(5.74%)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고, 두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20(7.10%), Vβ12(6.98%), Vβ24(5.83%)의 순서이었고, 세번째 환자(HLA-DR13 양성)는 Vβ20(9.29%), Vβ19(7.57%), Vβ18(7.06%)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활액 T세포에서는 Vβ20, Vβ12유전자계가 제한되어 사용되었다. 4. 말초 혈액에 비해 활액 T세포에서 TCR Vβ유전자 사용빈도가 1.5배 이상인 경우는 Vβ5.2, Vβ9, Vβ23 이었으나, 이들 유전자계가 활액 T세포 전체에서 차지하는 사용빈도에 있어서는 각각 Vβ5.2는 1.07±1.26%, Vβ9는 2.17±1.42%, Vβ23는 3.84+1.97%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각각 환자에서 비교했을때에 첫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23(3.69%:1.12%), Vβ5.1(3.51%:1.40%), Vβ12(6.15%:3.29%), Vβ6(3.35%:2.10%), Vβ2(5.74%:3.73%)의 유전자계에서, 두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9(3.58%:0.74%), Vβ19(4.67%:1.52%), Vβ5.2(2.52%:0.87%), Vβ10(4.25%:1.75%), Vβ1(5.74%:2.35%)의 유전자계에세, 세번째 환자(HLA-DR13 양성)는 Vβ6(2.68%:0.15%) Vβ9(2.17%:0.73%), Vβ11(2.30%:1.10%), Vβ20(9.29%:5.98%)의 유전자계에서 활액에서 말초혈액보다 1.5배이상 증가되어 사용됨을 볼수 있었다. 즉 활액에서 말초혈액보다 의미 있게 편향되어 사용되는 Vβ 유전자계는 각각 환자마다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5.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의 말초 혈액과 정상인의 말초 혈액의 T세포의 Vβ 유전자 사용빈도를 비교했을때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말초혈액 T세포에서 Vβ16(6.90±1.81%:3.23±1.21%), Vβ18(6.89±0.80%:2.72±0.70%) 유전자계가 2배 이상으로 빈도가 높았고, HLA-DR4양성군만 비교하였을때도 Vβ16(7.52±2.06%:3.69±1.46%), Vβ18(6.45±0.28%:2.61±0.86%) 유전자계가 2배 이상 사용이 많았다. 결론: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류마티스 관절염 각각 환자마다 다른 Vβ 유전자계의 제한적 사용과 편향됨을 볼 수 있었으나, 공통된 유전자계의 증식은 볼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연구보고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고, 이것은 대상 환자의 질병의 유병기간이 다르고, 또 유전적인 배경, 생존 환경, 적용된 방법의 차이로 기인한다고 하는 기존의 보고와 부합된다고 사료되는데 질병의 진행단계에 따라 주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의 에피토프가 달라짐에 따라 여기에 대항하는 T세포들의 수용체도 이들 에피토프에 반응할 수 있는 수용체를 가진 코론들이 증식하게 된다는 epitope spreading theory에 부합되며, 이는 아주 초기에 질병을 시작하게 유도하는 항원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환자선택이 연구결과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 다른 가능성은 각각 환자마다 다른 Vβ유전자계의 증식된 클론들의 CDR3 연기 서열을 규명하여 비록 유전자 서열이 다를 지라도 항원과 결합하는 같은 성상을 갖는 아미노산 motif를 가질 가능성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echnology was eamine synovial fluid and peripheral T cells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RA) to determine the preferential usage of the T cell receptor(TCR) variable region (V) gene. Methods: Oligonucleotide primers specific for individual TCR Vβ gene families were used to amplify the TCR gene products in a semiquantitative assay of their relative utilization in unselected T cell populations. Results: The result of Vβ utilization was generally heterogenous, similar with previous reports. However, the mean expression of Vβ16 and Vβ18 in RA was more preferentially utilized compared to normal donors. The usage of Vβ in peripheral blood from 3 patients with RA demonstrated restrictions in Vβ16, Vβ20 and Vβ18 genes, respectively. Analyses of synovial fluid resulted in restriction in β12, Vβ20 and Vβ20,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pattern of skewed Vβ gene mean usage when comparing the synovial fluids with the peripheral blood T cells from RA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biased Vβ genes, Vβ12, Vβl and Vβ20, each 3 patients. As the HLA type is a determining factor in shaping TCR repertoire of peripheral T cells, we compared the Vβ utilization in HLA-DR4 expressing groups that have susceptibility and gene dosage effect in disease progression. It was a little different that comparing the pattern of Vβ usage in peripheral blood and synovial fluid from RA patients between HLA-DR4 positive and negative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conclusion that the increased Vβ family T cells infiltrate synovium and are dependent on each patient and may be involved in inducing and maintaining the synovitis that characterizes RA The different outcome of each patient may be due to the difference in disease duration, genetic background and geographic region. A more important factor may be the stage of disease, because epitope induced immune reaction may change over time. Therefore, selecting patients early in the course of disease may be important and may facilitate the need for more in-depth TCR analysis in the future.

      • SCIESCOPUSKCI등재

        Unidirectional Ring Ethernet and Media Access Controller with Automatic Relaying for Low-complexity In-vehicle Control Network

        Yoo, Injae,Jo, Jihyuck,Ju, Youngjin,Park, In-Cheol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2017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7 No.5

        This paper proposes an Ethernet-based in-vehicle control network and its hardware realization. Since modern premium-class vehicles contain nearly a hundred electronic control units (ECUs), multiple control networks needed for the ECUs become considerably complex. In order to reduce the network complexity, the proposed network connects the ECUs by employing an Ethernet-based unidirectional ring topology. In addition, a new Ethernet media access controller (MAC) is proposed to automatically relay mismatched frames. As a result, the proposed ring network can be constructed without any switching device. A hardware platform employing the proposed MAC as a network controller is implemented on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to evaluate the realistic performance of the proposed network.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AC increases the communication speed by 123%. Moreover,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network with a large number of ECU nodes is evaluated using the OMNET++ simulation tool, which shows that the proposed network provides the ECUs with much higher communication speed than the conventional CAN and FlexRay 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