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yllable Structure Progresses in Child Romanian

        Elena Buja(엘레나 부자)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5 동유럽발칸연구 Vol.39 No.6

        이 논문의 목적은 루마니아어를 모국어(L1)로 습득하는 평범한 아동이, 그들이 목표로 두고 있는 성인 언어의 발화를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전략의 일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 연구의 초점은 간단히 언급하자면 음절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자음축약, 약음절 삭제, 음위전환, 삽입음 등과 같은 과정들로 대표된다. 이 연구를 위해 6개의 언어발달 기록집과 4개의 장기적으로 수집된 자료체를 통해 얻은 데이터들이 발달체계의 “ 일반성과 특수성 ” 이라는 관점(Slobin 1985: 5)에서 조사 되었다. 이 연구 분석의 결과는 언어 특유의 그리고 아동 특유의 특성들뿐만 아니라 음운 구조 습득의 일반적 경향들 또한 보여준다. 동시에, 그 결과들은 장기간에 걸쳐 추적 조사된 아동의발화에서 나타나는 특정한 발달 경로를 보여주고 있다. The paper aims at bringing to the fore some strategies young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who acquire Romanian as their mother tongue (L1) make recourse to in their attempt to produce adult targets. The focus of the study is represented by those processes that affect syllable structure, such as cluster reduction, weak syllable deletion, metathesis and epenthesis, to mention a few. To this aim, data coming from 6 language diaries and 4 ongitudinal corpora have been subjected to investig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developmental “universals and particulars” (Slobin 1985: 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language-specific and child-specific features, as well as universal tendencies in the acquisition of syllable structure. At the same time, they are also indicative of a certain developmental path in the case of the children whose speech production has been traced longitudinally.

      • Smar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Application-Layer Intrusions in Web Directories

        Goran Bujas,Marin Vukovi?,Valter Vasi?,Miljenko Mikuc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SmartCR Vol.5 No.6

        The Republic of Croatia homepage and directory of Croatian web servers (www.hr) attracts several thousand visitors daily, which makes it the target of various attacks. In order to lower the risk from such attacks, we propose a concept for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and a classifier of detected intrusions. We first examined the concepts of existing intrusion detection systems and combined their individual benefits into a concept best suited for protecting web services on the application layer. The proposed concept use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both intrusion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Intrusion detection, observed through analysis of requests, is implemented by a feed-forward neural network, while intrusion classification is done using self-organizing maps. The case study and preliminary evaluation is presented on the Republic of Croatia homepage (www.hr), followed by guideline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SYLLABLE STUCTURE PROCESSES IN CHILD ROMANIAN

        Elena Buja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5 동유럽발칸연구 Vol.39 No.6

        이 논문은 젊은이들의 일반적인 언어발달에 관한 기존의 방법들을 통해 루마니아어를 모국어로 습득하는 어린이들이 성인 수준의 언어능력을 시도할 의지를 갖도록 이끄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초점은 음절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자음축약, 약음절 삭제, 음위전환, 삽입음 등과 같은 과정들로 대표된다. 이 연구를 위해, 6개의 언어발달 기록집과 4개의 장기수집정보를 통해 얻은 자료들은 '일반성과 특수성'(Slobin 1985:5)이라는 발달체계 이론 조사에 적용되었다. 이 분석 연구결과는 언어 특수적이고 유아 특수적인 특성들뿐만 아니라 음운 구조 습득의 일반적 경향들 또한 보여준다. 동시에, 그 결과들은 언어능력의 성장곡선이 장기적으로 상승한 아이들의 경우에 특정한 발달 경로 또한 시사한다. The paper aims at bringing to the fore some strategies young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who acquire Romanian as their mother tongue (L1) make recourse to in their attempt to produce adult targets. The focus of the study is represented by those processes that affect syllable structure, such as cluster reduction, weak syllable deletion, metathesis and epenthesis, to mention a few. To this aim, data coming from 6 language diaries and 4 longitudinal corpora have been subjected to investig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developmental "universals and particulars" (Slobin 1985: 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language-specific and child-specific features, as well as universal tendencies in the acquisition of syllable structure. At the same time, they are also indicative of a certain developmental path in the case of the children whose speech production has been traced longitudinally.

      • KCI등재

        사회방언자료로서의 언간 연구 - 세대 간 언어 차를 중심으로 -

        박부자 ( Park Buja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3 No.-

        본고는 언간 자료를 대상으로 세대 간 언어 차를 살펴봄으로써 언간의 사회방언 자료로서의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언간 자료는 성, 세대 등 이질적인 사회언어학적 요소의 묶음으로, 그간의 국어사 자료로서는 접근하기 어려웠던 사회언어학적 연구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에 2장에서는 연구 대상 선정과 관련된 문제를 언급하면서, 동일한 시기, 동일 방언권의 화자, 동성의 발신자 등 세대 이외의 변수가 동일한 편지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노년층의 편지로는 송시열·송준길의 편지, 장년층의 편지로는 송병하의 편지를 선정하였다. 3장에서는 세대 차에 따른 언어 변화의 차를 종성의 ‘ㅅ’과 ‘ㄷ’ 표기, 어중 ‘ㄹ-ㄹ’의 ‘ㄹ-ㄴ’ 표기, ‘ㄷ’ 구개음화, 어미의 양성모음화, 연결어미 ‘-오□’의 형태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장년층의 언어에서는 언어변화의 개신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반면, 노년층의 언어에서는 언어변화의 개신형을 매우 소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demonstrating the value of Eongan as materials on social dialects by examining intergenerational linguistic differences, with a focus on materials on social dialects. This is because Eongan materials, as bundles of disparate sociolinguistic elements including gender and generation, make possible sociolinguistic research that has been difficult to approach through hitherto available materials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Consequently, Chapter 2, in alluding to problems related to the selection of study subjects, selected letters whose variables other than the writers’ generations-e. g., the same period, dialect zone, and gender-were identical. In accordance with such standards, Eongan of Song Si-yeol and Song Jun-gil were selected as those by the elderly, and Eongan of Song Byeong-ha were selected as those by the middle aged, respectively. Chapter 3 examined differences in language change stemming from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with a focus on the transcription of “ㅅ” and “ㄷ” in syllable finals, the transcription of the intersyllabic “ㄹ-ㄹ” as “ㄹ-ㄴ,” “ㄷ” alatalization, the positive vowelization in final endings, and the change of the conjunctive ending “-odᴧj(오□).” The results confirmed that while innovative forms in language change were prominent in the language of the middle aged, they were accepted into the language of the elderly very passively.

      • KCI등재후보

        의성김씨 학봉 종가 언간의 음식 관련 물명 연구

        박부자(Pakh, Buja) 돈암어문학회 2015 돈암어문학 Vol.28 No.-

        본고는 19세기 경북 방언을 반영하고 있는 의성김씨 학봉 종가 언간에 나타난 음식 관련어휘를 재료명, 음식명, 기명명(器皿名) 등의 물명과 단위명사를 중심으로 어휘사적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의성김씨 학봉 종가 언간’은 19세기 초중반에 주고받은 것으로 19세기 당시의 생활상 및 실제로 사용했던 일상어, 특히 일상 생활과 밀접한 물명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고, 19세기 전반기의 경북 방언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어서 국어사나 생활사, 복식사, 음식사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매우 흥미로운 자료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이 자료에 나타난 음식 관련 어휘 특히 물명에 대해서는 아직 제대로 조망된 바가 없고 어휘사적 접근이 이루어진 바가 없어 본고를 통해 이 자료에 나타난 음식 관련 물명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 자료에 나타난 음식 관련 어휘 중 ‘젹쇠’와 ‘셕쇠’가 모두 ‘셕쇠’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줘 어휘사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일면을 보였다. ‘명, 미역, 김댱’은 기존의 어휘사 연구에서는 해당 어휘의 출현 시기를 19세기 말 혹은 20세기 초에서 보았으나 이자료에 나타남으로써 19세기 중반으로 수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하였다. 또 다른 자료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던 ‘곰국’의 고형 ‘고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素)’에 대한 높임 표현의 어휘로 ‘소진’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이 자료가 19세기 경상도 지역의 당시의 생활상 및 실제로 사용했던 음식 관련 물명을 여실히 보여 주고 있어 음식 생활사 연구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food-related terms appearing in Eongan used by the Kims’ Main Branch Hakbong(鶴峰宗家) of the Clan Euiseong(義城金氏), which reflect the 19th century dialect used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especially in the aspect of etymological history, the food-related names such as ingredients, food and container and nouns used as unit. Among the food-related vocabularies listed in this study, including “jyeokshoi”(젹쇠) and “syeoksoi”(셕쇠), showed a very interesting aspect, while words like “Myeongtai”(명태), “miyeok”(미역) and “gimdyang”(김댱) provided a basis for correcting the time of their appearance of corresponding words, from the late 19th or early 20th century to the mid-19th century. In addition, the word “goeum”(고음) was newly confirmed as the ancient form of “gomguk”(곰국), since it was not previously found in any other material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term of respect for “so”(素), referring to vegetarian dishes, or “sojin”(소진) did exist. As investigated, the material clearly showed food-related vocabularies used daily in life in the 19th-century Gyeongsang region, which is believed to serve as important data for researching food and dining history.

      • KCI등재후보

        15세기 국어 연결어미에 결합한 [더+시] 통합순서의 변화에 대한 管見

        박부자(Pakh, Buja) 돈암어문학회 2016 돈암어문학 Vol.29 No.-

        본고는 15세기 국어 연결어미 ‘-니’와 ‘-ㄴ됀’ 앞에서 [더+시] > [시+더]의 변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ㄴ됀’과 ‘-니’ 모두 문법화가 완료된 시기는 13세기 정도로, 15세기 초에 시작된 [더+시] >[시+더]의 변화가 발생할 당시 ‘-ㄴ됀’과 ‘-니’는 모두 연결어미의 자격으로 ‘-더-’ 통합순서의 변화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러나 [[관형사형 어미 ‘-ㄴ’ # 의존명사 ‘다’]+처격 ‘애’+보조사 ‘ㄴ’]의 통사적 구성에서 문법화한 ‘-ㄴ됀’과 종결어미 ‘-니라’로부터 형성된 ‘-니’의 기원적인 구성이나 형성과정에서의 차이는 결국 연결어미 ‘-ㄴ됀’은 관형사형 어미 ‘-ㄴ’의 영향권에, 연결어미 ‘-니’는 종결어미 ‘-니라’의 영향권에 놓이게 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ㄴ됀’ 앞에서의 [더+시] > [시+더]의 변화가 연결어미 ‘-니’ 앞에서의 변화 양상보다 관형사형 어미 ‘-ㄴ’ 앞에서의 변화 양상에 더 가깝게 나타날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 다만, 시상체계의 변화에 있어서는 보수적인 양상을 보이는 관형사형 어미 ‘-ㄴ’이 ‘-더-’ 통합순서의 변화에서는 반대로 개신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현상인 듯하다. 선어말어미 통합순서의 변화와 관련한 관형사형 어미 ‘-ㄴ’의 문제는 앞으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son why the aspect of change of [deo+si]>[si+deo] is shown to be different before the connective suffix ‘-ni(니)’ and ‘-ndʌin(ㄴ됀)’ in 15th century Korean language. Both ‘-ndʌin’ and ‘-ni’ were grammaticalized around 13th century and came to accept the change in ‘-deo-’ combination sequence as connective suffixes upon the occurrence of change [deo+si]>[si+deo] in early 15th century.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original composition or formation of ‘-ndʌin’, which was grammaticalized in syntactic configuration of [[adnominal ending ‘-n’#bound noun ‘dʌ’] + locative case ‘ʌi’ + semantic marker ‘n’] and ‘-ni’ formed from the final ending ‘-nira’ is that apparently the connective suffix ‘-ndʌin’ was plac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adnominal ending ‘-n’ while the connective suffix ‘-ni’ was put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nal ending ‘-nira’. Against this backdrop, the change of [deo+si]>[si+deo] before ‘-ndʌin’ seems to be closer to the aspect of change before the adnominal ending ‘-n’ rather than that before the connective suffix ‘-ni’. When it comes to the change in temproal system, however, it is noticeable that the adnominal ending ‘-n’ that features conservative aspect contrarily took the lead in change of ‘-deo-’ combination sequence. The issue of adnominal ending ‘-n’ related to the change of prefinal ending combination sequence seems to be worth further researches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 동사 하위범주화 자질 습득 정도 및 양상에 대한 연구

        김부자 ( Kim Buja ) 대한영어영문학회 2013 영어영문학연구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quisition of English verb subcategorization features by Korean college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meaning of verb constructions produced according to subcategorization features, 42 verbs associated with 21 subcategorization feature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102 low-intermediate fresh students at a Korean university participated in a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an English to Korean translation test, and a Korean to English translation test.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designed to examine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correct subcategorization feature of a given verb showed that subcategorization features for 22 verbs were recognized by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The English to Korean translation test designed to examine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sentence generated according to a subcategorization feature revealed that sentences produced according to subcategorization features for 34 verbs were comprehended by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The Korean to English translation test designed to examine the ability to produce a sentence according to a subcategorization feature showed that correct sentences on the basis of subcategorization features for 11 verbs were produced by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ability to produce sentences according to subcategorization features was significantly low compared to their ability to recognize correct subcatgorization features and to understand sentences produced according to subcategorization features. (Seoul Christian University)

      • KCI등재

        종결형 {-삽} 이형태의 분포 변화

        박부자(Pakh, Buja)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8 No.-

        본고는 근대국어 시기에 등장하는 종결형 {-삽}의 이형태가 나타나는 분포 환경을 살피고 그 변화 양상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이에 먼저 종결형 {-삽}의 이형태 ‘-삽’, ‘-압’, ‘-잡’의 분포 환경을 17~19세기까지 세기별로 살피고, 이를 통해 드러난 종결형 {-삽}의 이형태가 나타나는 분포의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19세기에 ‘-잡’이 실현되던 환경에서 종결형이 이형태 ‘-삽’으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19세기에 이형태 ‘-잡’이 ‘-삽’으로 이형태의 단순화를 겪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선어말어미와 시기 상의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18세기 선어말어미에서 일어난 변화의 영향으로 뒤이어 종결형에서도 같은 환경에서 형태 ‘-잡’이 ‘-삽’으로 이형태의 단순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이로써 19세기는 종결형 {-삽}의 이형태가 ‘-삽’으로 단순화하는 변화가 완성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둘째, ‘ㄴ, ㅁ’ 뒤에 ‘-삽’과 ‘-압’ 중 어떤 이형태가 분포하는지 자료에서 확인되지는 않지만 ‘-삽’이 실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이를 달리 이야기 하자면, 이형태 ‘-압’이 모음과 ‘ㄹ’ 뒤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이미 축소되어 본래 ‘-압’이 분포할 환경인 ‘ㄴ, ㅁ’ 뒤에서 ‘-ᄉ’ 뒤에 ‘-삽’과 ‘-압’ 중 어떤 이형태가 분포하는지 자료에서 확인되지는 않지만 ‘-삽’이 실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이를 달리 이야기 하자면, 이형태 ‘-압’이 모음과 ‘ㄹ’ 뒤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이미 축소되어 본래 ‘-압’이 분포할 환경인 ‘ㄴ, ㅁ’ 뒤에서 ‘-ᄉ압’ 으로 단순화를 겪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종결형에서는 ‘-삽’ 분포 환경에 ‘-잡’이 공존하는 반작용의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화자 겸양의 선어말어미 {-삽-}에 기원을 둔 태생적인 문제로 인해 본래 이형태 ‘-잡’의 세력이 매우 미미하기도 했지만, 종결형의 경우 이형태 ‘-잡’이 선어말어미보다 빨리 소멸의 길로 접어들었기 때문으로 추정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distribution environments of the allomorphs and the ending {-sʌb}, which appeared in early modern Korean, with the aim to examine its changes. This paper first analyzed the distribution environments of the allomorphs of the ending {-sʌb}, which are ‘-sʌb,’ ‘-ʌb,’ and ‘-jʌb,’ by century, from the seventeenth to nineteenth century. The changes found in the distribution of the allomorphs we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 in which ‘-jʌb’ was realized in the nineteenth century was replaced with the allomorph ending of ‘-sʌb,’ which showed that the simplification of the allomorph ‘-jʌb’ to ‘-sʌb’ took place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time difference with the pre-final ending was caused as the changes in the pre-final end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led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allomorph ending ‘-jʌb’ to ‘-sʌb’ under the same environment. The nineteenth century was thus a period when the allomorph of the ending ‘-sʌb’ was simplified into its allomorph ‘-sʌb.’ Second, although records do not confirm which allomorphs of either ‘-sʌb’ or ‘-ʌb’ were distributed after /n/ and /m/,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sʌb’ that was realized. In other words, the allomorph ‘-ʌb’ had already been reduced to be distributed after vowels and /r/, and was thus simplified into ‘-sʌb’ after /n/ and /m/, where ‘-ʌb’ would have been originally distributed. Third, the reaction, through which ‘-jʌb’ would have coexisted in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for ‘-sʌb,’ did not take place in the endings. While it was because the allomorph ‘-jʌb’ lacked the power, as it originated from the addressee-honorific pre-final ending {-sʌb-}, this paper also posited that in the case of the endings, the allomorph ‘-jʌb’ disappeared faster than the pre-final ending.

      • KCI등재

        영어 쓰기 과업 중 구두 메타언어 피드백과 영어 쓰기 과업 후 문자 메타언어 피드백의 효과 비교

        김부자 ( Kim Buja ) 대한영어영문학회 2012 영어영문학연구 Vol.38 No.3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 of oral and written metalinguistic feedback on learners' accurate use of some English verb tenses in their written production. To help low intermediate-proficiency Korean university students improve the ability to use the simple past, present progressive, and present perfect tense correctly in their written production, oral and written metalinguistic feedback was used. The oral group was provided with oral metalinguistic feedback while the learners were performing a translation task. The written metalinguistic group was provided with written metalinguistic feedback one week after a translation task was completed.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corrective feedback. The study showed both oral and written metalinguistic feedbac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moting the correct use of the target verb tenses in written production and that oral metalinguistic feedback had a significantly superior effect than written metalinguistic feedback due to differences between oral and written corrective feedback. It was concluded that oral metalinguistic feedback given during writing task performance can be more effective than written metalinguistic feedback given after writing task performance in helping learners gain greater control over already partially acquired forms in their written production and therefore can improve their writing accuracy. (Seoul Christian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