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결형 {-삽} 이형태의 분포 변화

        박부자(Pakh, Buja)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8 No.-

        본고는 근대국어 시기에 등장하는 종결형 {-삽}의 이형태가 나타나는 분포 환경을 살피고 그 변화 양상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이에 먼저 종결형 {-삽}의 이형태 ‘-삽’, ‘-압’, ‘-잡’의 분포 환경을 17~19세기까지 세기별로 살피고, 이를 통해 드러난 종결형 {-삽}의 이형태가 나타나는 분포의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19세기에 ‘-잡’이 실현되던 환경에서 종결형이 이형태 ‘-삽’으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19세기에 이형태 ‘-잡’이 ‘-삽’으로 이형태의 단순화를 겪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선어말어미와 시기 상의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18세기 선어말어미에서 일어난 변화의 영향으로 뒤이어 종결형에서도 같은 환경에서 형태 ‘-잡’이 ‘-삽’으로 이형태의 단순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이로써 19세기는 종결형 {-삽}의 이형태가 ‘-삽’으로 단순화하는 변화가 완성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둘째, ‘ㄴ, ㅁ’ 뒤에 ‘-삽’과 ‘-압’ 중 어떤 이형태가 분포하는지 자료에서 확인되지는 않지만 ‘-삽’이 실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이를 달리 이야기 하자면, 이형태 ‘-압’이 모음과 ‘ㄹ’ 뒤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이미 축소되어 본래 ‘-압’이 분포할 환경인 ‘ㄴ, ㅁ’ 뒤에서 ‘-ᄉ’ 뒤에 ‘-삽’과 ‘-압’ 중 어떤 이형태가 분포하는지 자료에서 확인되지는 않지만 ‘-삽’이 실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이를 달리 이야기 하자면, 이형태 ‘-압’이 모음과 ‘ㄹ’ 뒤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이미 축소되어 본래 ‘-압’이 분포할 환경인 ‘ㄴ, ㅁ’ 뒤에서 ‘-ᄉ압’ 으로 단순화를 겪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종결형에서는 ‘-삽’ 분포 환경에 ‘-잡’이 공존하는 반작용의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화자 겸양의 선어말어미 {-삽-}에 기원을 둔 태생적인 문제로 인해 본래 이형태 ‘-잡’의 세력이 매우 미미하기도 했지만, 종결형의 경우 이형태 ‘-잡’이 선어말어미보다 빨리 소멸의 길로 접어들었기 때문으로 추정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distribution environments of the allomorphs and the ending {-sʌb}, which appeared in early modern Korean, with the aim to examine its changes. This paper first analyzed the distribution environments of the allomorphs of the ending {-sʌb}, which are ‘-sʌb,’ ‘-ʌb,’ and ‘-jʌb,’ by century, from the seventeenth to nineteenth century. The changes found in the distribution of the allomorphs we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 in which ‘-jʌb’ was realized in the nineteenth century was replaced with the allomorph ending of ‘-sʌb,’ which showed that the simplification of the allomorph ‘-jʌb’ to ‘-sʌb’ took place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time difference with the pre-final ending was caused as the changes in the pre-final end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led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allomorph ending ‘-jʌb’ to ‘-sʌb’ under the same environment. The nineteenth century was thus a period when the allomorph of the ending ‘-sʌb’ was simplified into its allomorph ‘-sʌb.’ Second, although records do not confirm which allomorphs of either ‘-sʌb’ or ‘-ʌb’ were distributed after /n/ and /m/,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sʌb’ that was realized. In other words, the allomorph ‘-ʌb’ had already been reduced to be distributed after vowels and /r/, and was thus simplified into ‘-sʌb’ after /n/ and /m/, where ‘-ʌb’ would have been originally distributed. Third, the reaction, through which ‘-jʌb’ would have coexisted in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for ‘-sʌb,’ did not take place in the endings. While it was because the allomorph ‘-jʌb’ lacked the power, as it originated from the addressee-honorific pre-final ending {-sʌb-}, this paper also posited that in the case of the endings, the allomorph ‘-jʌb’ disappeared faster than the pre-final ending.

      • KCI등재

        선어말어미 {삽} 이형태의 분포 변화

        박부자(Pakh Bu-ja) 구결학회 2011 구결연구 Vol.26 No.-

        본고는 15세기 국어 선어말어미 {?}의 이형태가 근대국어 시기를 거치면서 어떠한 변화를 겪었으며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혀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기저형을 기준으로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의 기능에 따라 {?}의 이형태 실현 양상을 살펴본 결과 선어말어미 {?] 이형태의 분포 변화와 관련된 양상을 /?/으로의 단순화, /?/ 환경에 공존하는 /?/, /?/ 환경에 공존하는 /?/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으로의 단순화는 16세기에 주체 겸양의 {?}이 ‘ㄴ, ㅁ’ 뒤에서 /?(> ?)/이 아닌 /?/으로 나타나면서 시작되었지만, 주체 겸양의 경우 19세기에 이형태 /?/은 거의 사라지고 /?/과 /?/이 어휘화 과정에 참여하면서 명맥을 유지하였다. 반면 화자 겸양의 {?}은 17세기에 ‘ㄴ, ㅁ’ 뒤에서 /?/으로 나타난 이후 18세기에 /?/의 분포가 더욱 확대되어 본래 /?/이 분포하던 환경에서도 /?/이 나타나게 되었다. 19세기와 20세기를 전후해서는 화자 겸양의 {?}이 ‘ㄹ’ 이외의 자음 뒤에서 /?/으로 이형태가 통일되었다. 이와 같이 /?/으로의 단순화가 16세기에 ‘ㄴ, ㅁ’ 환경에서 시작된 것은 ‘Δ’의 변화로 남부방언형인 ‘ㅅ’형이 유입된 데에 그 원인이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반면 ‘ㄹ’ 뒤에서 /?/으로 단순화하지 않은 것은 ‘ㄹ’ 말음 어간이 다른 자음 어간과 달리 모음 어간과 활용 양상을 같이 하기 때문으로 보았다. /?/ 분포 환경에 공존하는 /?/은 화자 겸양의 경우 /?/으로의 단순화가 반영된 것이며, 주체 겸양의 경우는 단순히 /?/으로의 단순화에 이끌려 나타난 현상으로 /?/이 /?/으로 단순화하지 않았다. /?/ 분포 환경에 공존하는 /?/은 주체 겸양의 경우이든 화자 겸양의 경우이든 /?/>/?/ 변화에 대한 반작용의 결과이다. 이와 같이 {?}의 이형태가 단순화하여 자음 환경에서 /?/으로만 실현된 것은 화자 겸양의 기능을 하는 경우이다. 주체 겸양의 {?}은 선어밀어미로서는 자취를 감추고 자음 환경에서는 /?/이 어휘화한 모습으로 남아 있다. 따라서 주체 겸양의 경우에는 {?}이 선어말어미로서 자격을 상실함으로써 이형태가 /?/으로 단순화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changes of allomorphic forms of the prefinal ending {s?p} and the causes between the fifteenth century and tile twentieth century. The simplification to {s?p} begins with me addressee honorific form {s?p} when /z?p(>?p)/ appears as /s?p after 'n(ㄴ), m(ㅁ)' in the sixteenth century. This allomorph /s?p/ in tile addressee honorific form almost disappeared by the time of the nineteenth century although /z?p/ and /?p/ barely survived as the constituents of lexicalization. Meanwhile, a speaker's polite form {s?p} appeared as /s?p/ after 'n(ㄴ), m(ㅁ)' in the seventeenth century and took the place of /z?p/ as the consequence of the expansion of /s?p/ in the eighteenth century. Close to the tum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humble form {s?p} was combined to /s?p/ after a consonant with the exception of '1(ㄹ)'. This paper has suggested mat the simplification to /s?p/ after 'n(ㄴ), m(ㅁ)' in the sixteenth was possibly caused by the addition of me southern regional form 's(ㅅ)' in place of 'z(Δ)'. However, this does not seem to be the case for the humble form {s?p} after '1(ㄹ)' because, unlike the other verb stems ending with a consonant, the verb stems ending with '1(ㄹ)' were conjugated in the same manner as those ending with vowels. As for /s?p/ appearing in the place of /z?p/, the speaker's polite form /s?p/ reflects me simplification to /s?p/; but, the addressee honorific form /s?p/ was merely drawn to the simplification to /sop/ without simplifying the original form /z?p/ to /s?p/.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of /z?p/ in the place of /s?p/ is attributed to the hypercorrection in the process of simplifying /z?p/ to /s?p/ regardless of the different types of honorific forms.

      • KCI등재

        왕실발기의 국어사적 가치에 대한 연구

        박부자(Pakh, Bu-ja)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장서각 Vol.0 No.42

        이 글은 조선 후기 왕실에서 소용될 물품 혹은 소요된 물품 등의 내역을 적은 왕실발기가 국어사 자료로서 갖는 가치를 드러내어 왕실발기에 대한 국어사적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왕실발기의 국어사적 가치를 몇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작성시기가 분명한 필사자료라는 것이다. 이는 국어사 연구의 가장 기반이 되는 시기의 문제를 극복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동일한 혹은 관련된 내용의 문서가 둘 이상 공존하는 자료라는 것이다. 이러한 공존본, 특히 한글본과 한자본의 공존은 물명 차자표기의 해독에 있어 투명성과 정확성을 제공해 주고, 물명의 의미 파악을 용이하게 하며, 물명 어휘의 어원별 분류 및 분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분야의 물명이 집중 수록된 자료라는 것이다. 이는 왕실발기가 국어사, 특히 복식, 음식, 기명, 병풍 문구 등 다양한 분야의 물명의 어휘사를 연구하는 최적의 자료임을 말해 준다. 또한 물명과 함께 단위명사가 수록되어 있어 19~20세기 전반기 단위명사에 대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이는 나아가 왕실발기에 나타난 물명의 어휘를 통해 문화 접촉 등을 밝히는 데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사회방언 연구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자료라는 것이다. 한글본은 내인이 작성 주체로 화자의 사회적 특성이 분명한 자료여서 내인들의 언어를 살피는 데에 독보적인 자료라 할만하다. 뿐만 아니라 한글본과 한자본의 작성 주체가 다르므로 작성 주체에 따른 어휘 사용 양상도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자료이다. 이 글이 계기가 되어 왕실발기에 대한 국어사적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더불어 이를 기초로 국내외의 학제간 연구가 다채롭게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aim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Royal Archives (王室 발기[件記]), lists that have been compiled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consisting of items that would be used or have been used by the royal court, as research materials for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so as to activate research on Royal Archives. The significance of Royal Archives is as follows. First, Royal Archives are transcriptions with definite dates of writing, thereby overcoming the fundamental problem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which is the exact period a certain material was written. Second, there are two or more identical or relevant documents in Royal Archives. Deciphering the names of items written in loan-characters can be more transparent and accurate through identical documents, especially those written both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Royal Archives are also useful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such names and in classifying the origins and distribution of the words. Third, Royal Archives are a concentrated materials on the names of a variety of items, which makes it the optimal material for studying the history of the names of a variety of items, including clothing, food, ceramics, and of writings in folding screens. Numeral quantifiers are also written alongside the names of items and could be used for the research on the nouns of measure from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names of the items on the lists which comprise Royal Archives also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data for identifying the cultural contacts. Fourth, Royal Archives could facilitate the research on social dialects. The lists written in Korean were written by ladies in court and display the writer’s social characteristics and are valuable data on the language of the ladies in court. Moreover, since the writers of the lists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re different, the lists directly show how words were used differently by each writer. This paper would hopefully spark active research on Royal Archives in terms of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international interdisciplinary studies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후보

        화엄사 서오층석탑 발견 무구정광다라니의 필사 저본 재구와 그 가치

        박부자(Pakh, Bu-ja),정경재(Chung, Kyeong-jae)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6

        화엄사 서오층석탑 발견 무구정광다라니는 가장 많은 양의 다라니 필사본이 남아 있어 통일신라시대에 유통되었던 무구정광다라니의 온전한 형태를 재구해 낼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다. 이에 본고는 화엄사 다라니에서 같은 다라니를 필사한 지편을 모두 모아 서로 비교하여 글자가 누락되거나 추가된 경우, 다른 글자로 잘못 쓴 경우 등의 필사 오류를 변별해 낸 후,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을 온전히 재구해보았다.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 재구를 통해 통일신라시대에 유통되었던 무구정광다라니의 온전한 형태가 재구된 셈이다. 재구된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을 현전하는 다른 무구정광다라니와 비교한 결과,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이 석가탑 『무구정경』과 같은 계통이기는 하지만 동일본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 초기 사경과 대장경 계통의 차이가 드러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석가탑 『무구정경』의 훼손 부분을 복원하는 데에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이와 같은 본고의 논의를 바탕으로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과정이나 통일신라시대 무구정경 관련 유물 간 시대의 선후 관계 등에 대해 학계에서 더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Mugujeonggwang Dharani excavated from the West Stone Pagoda at Hwaeom-sa Temple is the only material which can reconstruct the intact form of the Mugujeonggwang Dharani distributed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as the Dharani has the largest amount of transcriptions left. This paper, thus collected all transcription of the same Dharani from the Dharani of Hwaeom-sa Temple and compared them to distinguish transcription errors, such as missing, added or replaced letters, and aimed on reconstructing the entire transcribed manuscript of the Dharani found at Hwaeom-sa Temple. This reconstruction of the transcription of the Dharani of Hwaeom-sa, in effect, is a reconsruction of the intact form of the Mugujeonggwang Dharani distributed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A comparison of the reconstructed Dharani of Hwaeom-sa Temple and other existing Mugujeonggwang Dharanis showed that while the original manuscript of the Dharani of Hwaeom-sa Temple may share its stems with the Mugujeonggyeong found in Seokgatab, it is not identical to it. Moreover, the reconstructed transcription served as an important evidence for reconstructing the damaged parts of the Mugujeonggyeong of Seokgatab.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opefully become a basis for more in-depth academic discussions on the transcription process of the Dharani of Hwaeom-sa or the historical order between the artifacts related to the Mugujeonggyeong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 KCI등재

        왕실발기에 나타난 복식 관련 어휘 차자표기의 한자 운용에 대한 연구

        박부자 ( Pakh Bu-ja ) 국어학회 2015 국어학 Vol.75 No.-

        본고는 동일한 내용의 한문본과 한글본이 공존하는 왕실발기를 대상으로, 동일한 명칭에 대한 한자표기와 한글표기의 대응을 통해 복식 관련 어휘의 차자표기 양상과 漢字의 運用을 살핀 것이다. 본고를 통해 19세기 왕실발기에 나타난 고유어 복식 관련 어휘의 차자표기는 音借, 訓借, 訓讀 등 전통적인 借字表記 方式이 다양하게 활용된 반면, 차용어 복식 관련 어휘의 차자표기는 音借의 방식으로만 표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복식 관련 어휘의 차자표기에 쓰인 한자는 총 100자인데, 音을 빌린 한자는 68자, 訓을 빌린 한자는 총 32자로 음을 빌린 한자의 비율이 우세했다. 音을 빌린 한자는 대부분 音借字로 쓰였으며 訓을 빌린 한자는 대부분 訓讀字로 쓰이고 단 2자만이 訓借表記에 쓰였다. 즉 복식 관련 어휘의 차자표기에서 音借의 방식이 가장 빈번히 사용되었으며, 訓讀字가 그 뒤를 잇는다. 음차자로도 쓰이고 훈독 자로도 쓰인 것은 ‘加’와 ‘頭’ 두 자뿐이다. 즉 19세기 왕실발기에 나타난 복식 관련 어휘의 차자표기에서 음을 빌리는 한자와 훈을 빌리는 한자가 상당 부분 구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 of character-loan spelling for the names of costume and the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through the correspondenc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transcriptions for the same name that are found in The Royal Court Balgi, of which Korean and Chinese versions have coexisted. This paper recognizes that the character-loan spelling for native words is applied in a variety of traditional ways such as ‘pronunciation-loan’, ‘meaning-loan’ and ‘reading Chinese characters ideographically’, while loanwords are transcribed only in the way of pronunciation-loan. Among the 100 Chinese characters used in character-loan spelling for the name of costumes, 68 characters loan pronunciations, which is superior in percentage than 32 characters loaning meaning. Most of Chinese characters that loaned pronunciation are written in ‘pronunciation-loan letter(音借字)’, and that loaned meanings are written in ‘ideographically -read letter(訓讀字)’. Only 2 letters were written in ‘meaning-loan spelling(訓借表記)’. In other words, the ‘pronunciation-loan(音借)’ method is applied most frequently in character-loan spelling for the names of costume, which is followed by ‘ideographically-read letter(訓 讀字)’. The letter ‘加, 頭’ are written in both ‘pronunciation-loan letters’ and ‘ideographically-read letters’, of which case is, however, very rare. That is, there seems to have been considerable distinction between ‘pronunciation-loan letter(音借字)’ and ‘meaning-loan letter(訓借字)’ in character-loan spellings for the names of costumes in the 19th century’s The Royal Court Balgi.

      • KCI등재후보

        의성김씨 학봉 종가 언간의 음식 관련 물명 연구

        박부자(Pakh, Buja) 돈암어문학회 2015 돈암어문학 Vol.28 No.-

        본고는 19세기 경북 방언을 반영하고 있는 의성김씨 학봉 종가 언간에 나타난 음식 관련어휘를 재료명, 음식명, 기명명(器皿名) 등의 물명과 단위명사를 중심으로 어휘사적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의성김씨 학봉 종가 언간’은 19세기 초중반에 주고받은 것으로 19세기 당시의 생활상 및 실제로 사용했던 일상어, 특히 일상 생활과 밀접한 물명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고, 19세기 전반기의 경북 방언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어서 국어사나 생활사, 복식사, 음식사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매우 흥미로운 자료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이 자료에 나타난 음식 관련 어휘 특히 물명에 대해서는 아직 제대로 조망된 바가 없고 어휘사적 접근이 이루어진 바가 없어 본고를 통해 이 자료에 나타난 음식 관련 물명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 자료에 나타난 음식 관련 어휘 중 ‘젹쇠’와 ‘셕쇠’가 모두 ‘셕쇠’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줘 어휘사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일면을 보였다. ‘명, 미역, 김댱’은 기존의 어휘사 연구에서는 해당 어휘의 출현 시기를 19세기 말 혹은 20세기 초에서 보았으나 이자료에 나타남으로써 19세기 중반으로 수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하였다. 또 다른 자료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던 ‘곰국’의 고형 ‘고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素)’에 대한 높임 표현의 어휘로 ‘소진’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이 자료가 19세기 경상도 지역의 당시의 생활상 및 실제로 사용했던 음식 관련 물명을 여실히 보여 주고 있어 음식 생활사 연구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food-related terms appearing in Eongan used by the Kims’ Main Branch Hakbong(鶴峰宗家) of the Clan Euiseong(義城金氏), which reflect the 19th century dialect used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especially in the aspect of etymological history, the food-related names such as ingredients, food and container and nouns used as unit. Among the food-related vocabularies listed in this study, including “jyeokshoi”(젹쇠) and “syeoksoi”(셕쇠), showed a very interesting aspect, while words like “Myeongtai”(명태), “miyeok”(미역) and “gimdyang”(김댱) provided a basis for correcting the time of their appearance of corresponding words, from the late 19th or early 20th century to the mid-19th century. In addition, the word “goeum”(고음) was newly confirmed as the ancient form of “gomguk”(곰국), since it was not previously found in any other material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term of respect for “so”(素), referring to vegetarian dishes, or “sojin”(소진) did exist. As investigated, the material clearly showed food-related vocabularies used daily in life in the 19th-century Gyeongsang region, which is believed to serve as important data for researching food and dining history.

      • KCI등재후보

        15세기 국어 연결어미에 결합한 [더+시] 통합순서의 변화에 대한 管見

        박부자(Pakh, Buja) 돈암어문학회 2016 돈암어문학 Vol.29 No.-

        본고는 15세기 국어 연결어미 ‘-니’와 ‘-ㄴ됀’ 앞에서 [더+시] > [시+더]의 변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ㄴ됀’과 ‘-니’ 모두 문법화가 완료된 시기는 13세기 정도로, 15세기 초에 시작된 [더+시] >[시+더]의 변화가 발생할 당시 ‘-ㄴ됀’과 ‘-니’는 모두 연결어미의 자격으로 ‘-더-’ 통합순서의 변화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러나 [[관형사형 어미 ‘-ㄴ’ # 의존명사 ‘다’]+처격 ‘애’+보조사 ‘ㄴ’]의 통사적 구성에서 문법화한 ‘-ㄴ됀’과 종결어미 ‘-니라’로부터 형성된 ‘-니’의 기원적인 구성이나 형성과정에서의 차이는 결국 연결어미 ‘-ㄴ됀’은 관형사형 어미 ‘-ㄴ’의 영향권에, 연결어미 ‘-니’는 종결어미 ‘-니라’의 영향권에 놓이게 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ㄴ됀’ 앞에서의 [더+시] > [시+더]의 변화가 연결어미 ‘-니’ 앞에서의 변화 양상보다 관형사형 어미 ‘-ㄴ’ 앞에서의 변화 양상에 더 가깝게 나타날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 다만, 시상체계의 변화에 있어서는 보수적인 양상을 보이는 관형사형 어미 ‘-ㄴ’이 ‘-더-’ 통합순서의 변화에서는 반대로 개신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현상인 듯하다. 선어말어미 통합순서의 변화와 관련한 관형사형 어미 ‘-ㄴ’의 문제는 앞으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son why the aspect of change of [deo+si]>[si+deo] is shown to be different before the connective suffix ‘-ni(니)’ and ‘-ndʌin(ㄴ됀)’ in 15th century Korean language. Both ‘-ndʌin’ and ‘-ni’ were grammaticalized around 13th century and came to accept the change in ‘-deo-’ combination sequence as connective suffixes upon the occurrence of change [deo+si]>[si+deo] in early 15th century.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original composition or formation of ‘-ndʌin’, which was grammaticalized in syntactic configuration of [[adnominal ending ‘-n’#bound noun ‘dʌ’] + locative case ‘ʌi’ + semantic marker ‘n’] and ‘-ni’ formed from the final ending ‘-nira’ is that apparently the connective suffix ‘-ndʌin’ was plac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adnominal ending ‘-n’ while the connective suffix ‘-ni’ was put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nal ending ‘-nira’. Against this backdrop, the change of [deo+si]>[si+deo] before ‘-ndʌin’ seems to be closer to the aspect of change before the adnominal ending ‘-n’ rather than that before the connective suffix ‘-ni’. When it comes to the change in temproal system, however, it is noticeable that the adnominal ending ‘-n’ that features conservative aspect contrarily took the lead in change of ‘-deo-’ combination sequence. The issue of adnominal ending ‘-n’ related to the change of prefinal ending combination sequence seems to be worth further researches in the future.

      • KCI등재

        왕실발기의 형태와 제작목적 -장서각본을 중심으로-

        박부자(Pakh, Bu-ja)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장서각 Vol.- No.46

        본고는 장서각본을 중심으로 왕실발기의 형태를 낱장본과 두루마리본, 절첩본, 선장본, 가철본으로 나누고 그 형태별 특징과 제작목적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장서각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을 검토하여 기존에 왕실발기로 분류되지 않은 17건을 찾아내고 이를 기반으로 장서각 소장 왕실발기를 915건으로 확인하였다. 915건을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왕실발기의 형태를 낱장본과 두루마리본, 절첩본, 선장본, 가철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낱장본과 두루마리본, 절첩본, 가철본은 모두 현장에서 해당 내용을 실제와 비교하여 확인하는 용도로 내인이나 내관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절첩본이나 가철본은 사후에 여러 사례의 내용을 취합하여 수록한 경우가 많은데 이 또한 사용자는 내인이나 내관이었을 것이다. 선장본도 사후에 관련 발기를 취합하여 수록한 것이기는 하나 공격지가 있는 왕실자료로, 최종적인 사후 복명서의 성격이면서 왕실 참조용으로 제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낱장본과 두루마리본은 기본적으로는 내용의 많고 적음에 따른 차이였을 것이나 낱장본이 통합되어 두루마리본으로 작성되기도 하고 두루마리본에서 일부 내용을 떼어 수정 사항이 반영된 정서본을 이전과는 다른 두루마리로 제작한 사례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낱장본과 두루마리본을 바탕으로, 완성된 물품의 이동에 따라 그 실제를 확인하기 위해 작성되는 왕실발기는 절첩본으로 제작되는 경향이 높고 봉투를 겸하는 경우도 많았다. 가철본은 여러 사례와 관련하여 작성된 개별 왕실발기의 내용을 실제와 비교하여 확인하기 위한 필요에 따라 관련 왕실발기를 한 곳에 모아 제작했던 것이 아닌가 한다. 즉 사후에 작성, 열람, 실무의 편의를 위해 책 형태의 가철본으로 제작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실제 의례에서 쓰인 물품의 최종 내역이 사후에 왕실을 위해 최종적으로 선장본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forms of the Royal Archives (王室 발기[件記]) and their purposes by focusing on the Jangseogak version.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the Royal Archives archived at the Jangseogak to analyze the various forms, as well as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the purpose of production of each form. Through the search, this study found 17 folded and stitched books that have not been classified as Royal Archives and included them in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This study also found differences in the folding methods of the loose-leaf and scrolled versions, which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Royal Archives. The folding books generally used baekjeo paper, and while some books used colored paper, multi-colored papers were not glued together like the scrolls, and a single color was used for each book. In the case of Darye balgi (list of food), many were found with their envelopes. Royal Archives that was sent outside the palace was more likely to be folded. The stitched versions of the Royal Archives were only found in the Jangseogak archive. This study classified the Royal Archives into balgi that was temporarily bound and used for practical purposes and the stitched versions collected and archived after the Royal Ceremonies was over. The temporary bindings were bound for convenience since they were used at the workplace, whereas the formally bound stitched versions most likely functioned as final reports and references for the royal cour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