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밀배지에서 Aspergillus niger 균주에 의한 구리 및 코발트의 미생물 침출 거동

        효진,재우,류승형,Ahn, Hyo-Jin,Ahn, Jae-Woo,Ryu, Seong-Hyu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4 資源 리싸이클링 Vol.23 No.1

        코발트 정광으로부터 코발트와 구리의 회수를 위한 기초 연구로 Aspergillus균주를 사용하여 당밀 배지에서 Co, Cu, Fe, Mg, Al 등의 미생물 침출 거동을 조사하였다. 실험의 주요 변수로는 균주 종류 및 당밀의 당도, 고액농도(pulp density), 반응시간 등의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당밀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코발트 및 구리의 침출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정 당도는 4%이었다. 한편, Aspergillus niger KCTC 6985의 경우 당도 4%, 고액농도가 10 g/L인 조건에서 21일 경과 후 코발트는 최대 90 %, 구리의 경우는 최대 70%의 침출율을 나타내었고, Aspergillus niger KCTC 6144의 경우는 당도 4%, 고액농도가 5 g/L에서 코발트 및 구리가 각각 90%의 최대 침출율을 나타내었다. For the recovery of Co and Cu, bioleaching behavior of Co, Cu, Fe, Mg, Al by Aspergillus niger culture from the molasses growth medium was investigated. Series of leaching tests have been conducted by varying Aspergillus niger's type, molasses concentration in the growth medium, pulp density and reaction time. The results showed that increase of the molasses concentration in the growth medium from 1% to 4% increased the leaching percentage of Co and Cu and the optimal molesses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4% in the growth medium. Maxinum 90% of Co and 70% of Cu were dissolved from the leaching test at the 10 g/L pulp density, 4 % of molasses concentration in the growth medium after 21 days by Aspergillus niger KCTC 6985. But in case of using Aspergillus niger KCTC 6144, the maxium leaching percentage of Co and Cu was reached 90% respectively at a pulp density 5 g/L and 4% of molasses concentration.

      • SCOPUSKCI등재

        방사선 조사된 라면수프의 조사선원에 따른 전자스핀공명 분석특성

        재준(Jae-Jun Ahn),이주운(Ju-Woon Lee),정형욱(Hyung-Wook Chung),권중호(Joong-Ho Kwon) 한국식품과학회 200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1 No.2

        시판 분말 라면수프(RS-1, RS-2)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선원(감마선, 전자선, 0-20 kGy)에 따른 ESR 분석특성을 연구한 결과, 수프에 함유된 결정형 당이 방사선 에너지에 의해 free radical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사선 처리되지 않은 2종의 라면 수프에서는 Mn<SUP>2+</SUP> radical이 나타났으나, 조사시료의 ESR spectra는 RS-1에서 g = 2.011, 2.006, 2.002 및 1.999, RS-2에서 g = 2.010, 2.006, 2.002 및 1.999의 4개의 peak를 가진 multi-component signal이 각각 확인되어 조사여부의 판별이 가능하였다. 또한 감마선 및 전자선과 조사선량에 따른 ESR intensity를 비교한 결과, 동일 측정조건에서는 모든 선량에서 전자선 조사시료가 감마선 조사 시료보다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라면수프의 방사선 조사선량과 ESR intensity 간의 R<SUP>2</SUP>는 0.9665 이상을 보이면서 각 signal의 intensity는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였으며, g-value가 나타나는 자장영역은 일정하였다. 이들 중 강도가 큰 g<SUB>2</SUB>(2.010-2.011)와 g<SUB>3</SUB>(2.002)의 signal 증가는 조사선량과 높은 선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R<SUP>2</SUP>= 0.9750-0.9981). The identification characteristics of irradiated commercial Ramen soup were investigated depending on radiation sources and doses by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scopy. Two commercial powder soups (RS-1, RS-2) were irradiated at 0 to 20 kGy under ambient conditions by both a Co-60 gamma irradiator and an electron beam (EB) accelerator, respectively. Crystalline sugar-induced multi-component signals with g-values of 2.010/2.011, 2.006, 2.002 and 1.999 were detected in the irradiated Ramen soup (RS-1, RS-2), whereas Mn<SUP>2+</SUP> signals were observed in non-irradiated samples, thereby distinguishing each other. Under the same analytical conditions, the intensity of ESR signals was higher in EB-irradiated samples than the gamma-irradiated ones. Determination coefficients (R<SUP>2</SUP>) between irradiation doses and corresponding ESR responses were above 0.9665 in all the samples, and the magnetic field of specified g-value remained constant. The predominant ESR signals of g<SUB>2</SUB> (2.010-2.011) and g<SUB>3</SUB> (2.002) increased with corresponding doses of irradiation (R<SUP>2</SUP>= 0.9750-0.9981).

      • KCI등재
      • KCI등재후보

        IPA분석 기법을 활용한 천연 발효 종·발효 빵 전문점 선택속성 중요도-만족도 분석

        형기(Ahn Hyung Gi),박경애(Park Kyung Ai),이재동(Lee Jae Dong) 한국식공간학회 2016 식공간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태동한 천연 발효 종·발효 빵 제과점 정착과 매출증대를 위한 속성을 찾기 위해 IPA기법을 활용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알아보는 것이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천연 발효 종·발효 빵 전문점 브랜드에 적합한 고객 리즈를 파악하고 홍보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 지역 천연 발효 빵 전문점 소비자를 대상으로 350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였으며, 이 중 14개의 이상점을 제거하고 총 336부의 자료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천연 발효 종·발효빵 전문점 각각의 요인에 대한 신뢰도 분석결과 위생 및 청결에 대한 신뢰도는 .762 으로 나타났으며, 입지에 대한 신뢰도는 .879,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는 .885, 가격에 대한 신뢰도는 .860, 마케팅전략에 대한 신뢰도는 .813, 이미지에 대한 신뢰도는 .720, 건강, 영양에 대한 신뢰도는 .706로 나타났으며, 중요도·만족도 IPA분석 기법 활용한 결과 Ⅰ사분면 ‘좋은 성과의 지속적 관리 요망’은 ‘가격’, ‘건강, 영양’, ‘서비스’가 해당되며, Ⅱ사분면 ‘적극관리 요망’에 ‘마케팅전략’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Ⅲ사분면 ‘낮은 우선순위’는 ‘위생 및 청결’, ‘입지’,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으며, Ⅳ사분면 ‘과잉 노력지양’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identify properties for burgeoning natural leaven and sourdough bread bakery to settle and increase sales by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n selection properties using IPA. Based on the analysis, it will identify customer needs on natural leavening and sourdough bread bakery brand and suggest marketing strategies. From 350 copies of questionnaire sent to customers of sourdough bakery in Seoul, a total of 336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with 14 excluded due to abnormalities. In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results were .762 for sanitation and cleanliness; .879 for location; .885 for service; .860 for price; .813 for marketing strategies; .720 for image and .706 for health and nutrition. In the IPA model, quadrant I “Keep up the good work” includes price, health, nutrition and service; quadrant II “Concentrate here” has marketing strategies; quadrant III “Lower priority” accounts for sanitation/cleanliness, location and image in order; and quadrant IV “Possible over kill” has none.

      • 다발성 조기위암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영재,오성진,송재원,강욱호,형우진,최승호,노성훈,Ahn, Young-Jae,Oh, Sung-Jin,Song, Jye-Won,Kang, Wook-Ho,Hyung, Woo-Jin,Choi, Seung-Ho,Noh, Sung-Hoon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4

        목적: 다발성 조기위암은 전체 조기위암 중 4.5~11.7%를 차지한다. 본 연구는 다발성 조기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조사 분석하여 그 의의를 알아보고 치료방침의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11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위선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한 2,281예의 조기위앙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다발성 조기위암은 총 91예(4.0%)였으며 2개의 병변이 81예, 3개가 9예, 4개가 1예였다. 총 102예의 보조병변 중 64예(62.7%)는 크기가 10 mm 이하였으며 83예(81.4%)는 주병변과 같은 부위에 위치하였다. 가장 흔한 조직학적 분류는 분화형으로 52예(57.1%)였다. 점막암은 49예(53.8%)였으며 점막하층암은 42예(46.2%)였고 림프절 전이는 6예(6.6%)에서 발견되었다. 단발성 조기위암과 비교하였 때 전체 생존율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다발성 조기위암은 단발성 조기위암과 임상병리학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생존율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다발성 오기위암의 치료에 있어서 일반적인 조기위암의 치료지침에 준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조기위암의 수술 전후 잔위에 보조병변을 남기지 않기 위하여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Purpose: Multiple early gastric cancer (MEGC) accounts for between 4.5% and 11.7% of all early gastric cancers (EGC). We investigated the treatment of MEGC from the viewpoint of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the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2,281 patients with EGC underwent gastric resection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Severance Hospital during the 11 years between January 1994 and December 2004 and we carried out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se patients. Results: There were 91 cases of synchronous MEGC (4.0%) according to the diagnostic criteria of Moertel: there were 81 double, 9 triple and 1 quadruple lesions. Of the 102 accessory lesions, 64 (62.7%) were less than 10 mm in diameter and 83 (81.4%) were located in the same region as the main lesion. The most frequent histologic type of main lesion was a well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which was found in 52 cases (57.1%). There were 49 mucosal main lesions and 42 submucosal main lesions. Lymph node metastasis was detected in 6 cases (6.6%): 1 in mucosal lesions and 5 in submucosal main lesions Conclusion: Solitary EGC and MEGC had very similar clinopathological features and a similar prognosis.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general EGC treatment guidelines can be applied for multiple EGC.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whole stomach before and during the operation and then after examining the resected specime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GGEx16, GGEx18과 감비통성교낭(減肥通聖膠囊)의 항비만유전자 활성 비교

        오재호 ( Jae Ho Oh ),예지 ( Ye Ji Ahn ),이혜림 ( Hye Rim Lee ),임혜숙 ( Hye Sook Lim ),이형희 ( Hyung Hee Lee ),윤미정 ( Mi Chung Yoon ),신순식 ( Soon Shik Shin ) 대한본초학회 2013 大韓本草學會誌 Vol.28 No.2

        Objectives: Gambigyeongsinhwan 16 (GGEx16), gambigyeongsinhwan 18 (GGEx18) and gambitongseong capsule are shown to b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obesit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porter activity of anti-obesity genes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 (PPARa) and PPARδ by GGEx16, GGEx18 and gambitongseong capsule. Methods: After NMu2Li liver cells, C2C12 skeletal muscle cells and 3T3-L1 preadipocytes were treated with GGEx16 (1 μg/ml), GGEx18 (1 μg/ml) and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ambitongseong capsule, the transactivation of PPARa and PPARδ was measured by a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Results: PPARa reporter gene activity in NMu2Li liver cells and 3T3-L1 preadipocy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GGEx16, GGEx18 and gambitongseong capsule compared with control, whereas PPARa reporter gene activity in C2C12 skeletal muscle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GGEx18 only compared with control. Similarly, PPARδ reporter gene activity in 3T3-L1 preadipocytes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by GGEx18 compared with control. PPARδ reporter gene activity in C2C12 skeletal muscle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GGEx16 and GGEx18 compared with control although PPARδ reporter gene activity in NMu2Li liver cells was not changed by these three formula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l three formulas have the ability to stimulate PPARa and PPARδ transactivation in animal cell lines with high metabolic rates. In particular, this effects were most prominent in GGEx18-treated cells. In addition, it is likely that GGEx18 may be used as an effective anti-obesity composition.

      • SCOPUSKCI등재

        자연발생 당뇨쥐의 신장에서 섬유화 초래인자인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의 발현

        김형엽 ( Hyung Yup Kim ),장재휘 ( Jae Hwi Jang ),한상미 ( Sang Mi Han ),기성 ( Ki Sung Ahn ),박성배 ( Sung Bae Park ),김현철 ( Hyun Chul Kim ),박관규 ( Kwan Kyu Park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2

        목적 : 당뇨병성 신질환은 당뇨병중에서 나타나는 합병증의 하나로서 사구체경화에 의한 신장의 기능상실로 이어진다. 이러한 당뇨병적 사구체경화와 과혈당증은 세포외기질의 증가로 인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중에 하나로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1의 과발현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당뇨병에 의해 사구체의 경화가 일어나면 그 회복이 불가능하며 근본적인 치료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TGF-β1의 발현시기와 위치를 찾는 것은 이를 바탕으로한 치료 시기 및 방법 결정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방법 : 자연발생적인 제 2형 당뇨병 모델인 OLETF 쥐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유전적으로 유사하나 당뇨병이 발생하지 않는 LETO 쥐를 사용하여, 당뇨에 의한 사구체 섬유화와 TGF-β1의 발현양상을 비교 조사하였다. 당뇨병적인 증상이 관찰된 쥐를 30주부터 60주까지 혈당과 체중을 측정하였고, 희생 후 신장을 적출하여 형태학적인 변화를 관찰하고, TGF-β1에 대한 면역조직화적 염색 및 RT-PCR을 실시하여 TGF-β1의 발현 양과 발현 부위를 조사하였다. 결과 : 37주째의 혈당은 OLETF 쥐와 LETO 쥐에서 각각 237 mg/dL와 131 mg/dL이었으며, 체중에 있어서는 OLETF쥐가 LETO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HE염색을 통한 형태학적 관찰에서는 60주까지도 사구체경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TGF-β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30주에서 40주까지의 OLETF 쥐에서 사구체 내피세포에서 TGF-β1이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37주부터는 세뇨관 상피세포에서도 TGF-β1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60주 OLETF 쥐의 사구체 내피세포에서는 TGF-β1의 발현은 없었으나, 세뇨관 상피세포에서는 많은 양의 TGF-β1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30주째의 OLETF 쥐와 LETO 쥐로부터 RNA를 분리하여 TGF-β1 mRNA에 대한 RT-PCR 결과, LETO 쥐에 비하여 OLETF 쥐에서 TGF-β1 mRNA의 발현이 의의있게 많았다. 대조군인 LETO 쥐는 유의할 만한 TGF-β1의 발현이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OLETF 쥐의 사구체 섬유화는 60주까지도 매우 느리게 진행되었으나, 30주 이후에 혈당과 TGF-β1의 발현은 크게 증가하였다. OLETF 쥐 37주째부터는 TGF-β1의 발현이 사구체 내피세포에서 뿐만 아니라 세뇨관 상피세포에서도 과다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 Diabetic nephropathy is a common cause of end-stage renal disease by means of glomerular and interstitial fibrosis. Increases in extracellular matrix (ECM) and changes in its components have been documented in the glomeruli of diabetic nephropath. Fibrogenic cytokines, particularly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1, play a central role in progressive renal fibrosis. Activated TGF-β1 is known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ECM as collagen and fibronectin.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 is an inbred strain that spontaneously develops non-insulin-depentent diabets mellitus which progresses to diabetic glomerulosclerosis. This study is examined the time points and localization of TGF-β1 in diabetic glomerulosclerosis of OLETF rats. Methods : OLETF rats, a chronic model for human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age-matched control (LETO) rats were used. Blood was assayed for glouse and body weight were measured. From rats aged 30 to 60 weeks, animals were sacrificed under ether anesthesia, and both kidneys were removed. Portions of these tissues were processed for light microscopy and immunohistochemistry of TGF-β1. TGF-β1 mRNA levels were measur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 The body weights of OLETF ra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LETO rats from the age of 30 to 40 weeks, but those of OLETF rats gradually decreased after 40 weeks of ag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dy weights between these two strains at 50 weeks of age. Blood glucose levels of OLETF rat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ing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LETO rats after 32 weeks of age. There was no significant fibrosis in kidney of OLETF and LETO rats at all ages examined. The TGF-β1 protein was detected in the glomerular endothelial cells and tubular epithelial cells of OLETF rats at 35 to 38 weeks of age. The TGF-β1 protein in tubular epithelial cells of OLETF rats was strongly expressed at 60 weeks of age, whereas the glomerular endothelial cells scarcely detected the expression of TGF-β1 protein. In LETO rat kidneys, the TGF-β1 protein is detected in the glomerular endothelial cells at 35 weeks of ages, but is not detected in any other cells. The TGF-β1 mRNA of OLETF rats were increased at 32 weeks of ag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LETO rats. Conclusion : Until 60 weeks of age, glomerular sclerosis became very weakly in OLETF rats. However, in 30-week-old OLETF rats, the blood gloucose levels and TGF-β1 protei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TGF-β1 protein was detected in the glomerular endothelial cells and tubular epithelial cells of OLETF rats at 37 weeks of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